1936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는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열린 스키 점프 경기였다. 총 14개국에서 48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비르이르 루드가 금메달, 스벤 셀롱제르가 은메달, 레이다르 안데르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K-포인트 80미터의 올림피아샨체에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로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스키점프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는 알펜시아 스키점프 경기장에서 남자 노멀힐, 남자 라지힐, 남자 단체 라지힐, 여자 노멀힐 총 4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독일, 노르웨이, 폴란드가 메달 순위 상위를 차지했으며, 21개국에서 10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올림픽 스키점프 - 1924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1924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는 최초로 스키 점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대회로, 9개국 2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노르웨이의 야코브 툴린 탐스가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경기장 안전 및 심판 판정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6년 동계 올림픽 밀리터리 패트롤
1936년 동계 올림픽 밀리터리 패트롤은 독일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의 시범 종목으로, 9개국이 참가하여 이탈리아가 금메달, 핀란드가 은메달, 스웨덴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는 독일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복합 2종목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독일의 강세와 나치 체제 선전 논란 속에서도 알파인 스키의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1936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스키 점프 |
대회 | 1936년 동계 올림픽 |
![]() | |
개최지 |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경기장 | Große Olympiaschanze |
날짜 | 2월 16일 |
참가 선수 | 50명 |
참가국 | 15개국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비르이르 루드 |
금메달 국가 | 노르웨이 |
은메달 | 스벤 에릭손 |
은메달 국가 | 스웨덴 |
동메달 | 레이다르 안데르센 |
동메달 국가 | 노르웨이 |
기타 정보 | |
우승 점수 | 232.0 |
우승 점수 레이블 | 우승 점수 |
이전 대회 | 1932 |
다음 대회 | 1948 |
2. 경기 방식
각 선수들은 두 번의 점프를 실시하며, 점프 거리와 스타일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거리 점수는 비행 거리에 따라 부여되며, K-포인트를 기준으로 점수가 가감된다. 스타일 점수는 5명의 심판이 비행 자세, 착지, 균형 등을 평가하여 20점 만점으로 채점하며, 이 중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3명의 점수를 합산한다.[2]
1936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대회에는 14개국에서 48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1936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경기는 2월 16일 일요일 오전 11시, 14개국 48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당시 기온은 0°C에서 3°C 사이였고 바람이 거의 없는 맑은 날씨였다.[2]
경기는 1936년 2월 16일 일요일 오전 11시에 시작되었으며, 당시 기온은 0°C에서 3°C 사이였고 바람은 없었다. 14개국에서 48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설질의 영향으로 80m에 달하는 점프는 나오지 않았다. 우승자 비르거 루드의 비거리는 74.5m와 75.0m였다. 2위 스벤 에릭손은 두 번 모두 76.0m로 가장 긴 비거리를 기록했다. 다츠타 신지는 2차 시기에서 77.0m까지 비거리를 늘렸으나 착지에 실패했다. 아다치 고로, 다츠타 신지, 사울리 팰리, 마리오 보노모를 포함하여 총 4명의 선수가 넘어졌다. 아다치 고로는 1차 시기에서 좋은 점프를 보였으나 2차 시기에서 넘어졌다. 다츠타 신지와 사울리 팰리는 두 번 모두 넘어졌고, 마리오 보노모는 1차 시기에서 넘어져 2차 시기를 기권했다.
독일의 G. 슈미트, 노르웨이의 요한 아스, 스위스의 R. 슈트라만 심판은 비르거 루드가 가장 뛰어난 비행 자세를 보였다고 판정했다.
3. 참가국
4. 경기 결과
당시 설질 상태가 좋지 않아 80m에 이르는 점프는 나오지 않았다. 우승자인 비르이르 루드는 75.0m와 74.5m를 기록했다. 스벤 에릭손은 두 번 모두 76.0m를 기록하여 최장 거리를 기록했지만, 비행 자세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2위에 머물렀다. 일본의 다쓰타 신지는 2차 시기에서 77.0m를 기록했지만 착지에 실패했다.
아다치 고로를 포함하여 총 4명의 선수가 착지 과정에서 넘어졌다. 다쓰타 신지와 사울리 팰리는 두 번 모두 넘어졌으며, 마리오 보노모는 1차 시기에서 넘어져 경기를 포기했다.
심판은 독일의 G. 슈미트, 노르웨이의 요한 아스프, 스위스의 R. 스트로만이 맡았으며, 이들은 비르이르 루드의 비행 자세가 가장 뛰어났다고 평가했다.
4. 1. 순위
–– –
––
––
–DNF – 12 레벤테 벌러토니 –
–– –
––
––
–DNS 48 산도르 더러보스 –
–– –
––
––
–D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