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2인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2인승 경기는 13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미국 팀이 금메달, 스위스 팀이 은메달, 그리고 또 다른 미국 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총 4번의 주행 기록을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 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4인승
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4인승 경기에서 스위스 II팀이 금메달, 스위스 I팀이 은메달, 영국 I팀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미국 팀은 5분 11초 98로 금메달, 스위스 팀은 5분 14초 39로 은메달, 또 다른 미국 팀은 5분 17초 67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6년 동계 올림픽 밀리터리 패트롤
1936년 동계 올림픽 밀리터리 패트롤은 독일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의 시범 종목으로, 9개국이 참가하여 이탈리아가 금메달, 핀란드가 은메달, 스웨덴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는 독일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복합 2종목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독일의 강세와 나치 체제 선전 논란 속에서도 알파인 스키의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 1936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1936년 동계 올림픽 밀리터리 패트롤
1936년 동계 올림픽 밀리터리 패트롤은 독일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의 시범 종목으로, 9개국이 참가하여 이탈리아가 금메달, 핀란드가 은메달, 스웨덴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는 독일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복합 2종목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독일의 강세와 나치 체제 선전 논란 속에서도 알파인 스키의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2인승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종목 | 봅슬레이 |
세부 종목 | 남자 2인승 |
대회 | 1936년 동계 올림픽 |
개최국 | 독일 |
개최지 |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경기장 | (정보 없음) |
기간 | 2월 14일 ~ 2월 15일 |
참가 선수 | 92명 |
참가국 | 10개국 |
메달 | |
금메달 | 아이번 브라운, 앨런 워시본드 (미국) |
은메달 | 프리츠 파이어라벤드, 요세프 베어리 (스위스) |
동메달 | 길버트 콜게이트, 리차드 로렌스 (미국) |
올림픽 봅슬레이 연혁 | |
이전 대회 | 1932년 |
다음 대회 | 1948년 |
2. 참가국
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2인승 경기에는 13개국이 참가했다. 자세한 내용은 참가국 목록을 참조하라.
2. 1. 참가국 목록
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2인승 경기는 각 팀이 총 4번 주행하여 그 시간을 합산, 최종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 경기 결과
순위 팀 선수 1차시기 2차시기 3차시기 4차시기 총계 미국 I 아이번 브라운 & 앨런 워시본드 1:22.50 1:21.02 1:25.39 1:20.38 5:29.29 스위스 II 프리츠 파이어라벤드 & 요세프 베어리 1:26.34 1:20.31 1:24.11 1:19.88 5:30.64 미국 II 길버트 콜게이트 & 리차드 로렌스 1:25.06 1:21.94 1:24.80 1:22.16 5:33.96 4 영국 I 프레드릭 맥에보이 & 제임스 카드노 1:25.61 1:23.85 1:28.58 1:22.21 5:40.25 5 독일 I 한스 킬리안 & 헤르만 폰 발타 1:27.29 1:24.24 1:26.63 1:23.85 5:42.01 6 독일 II 프리츠 그라우 & 알베르트 브레메 1:30.66 1:23.33 1:26.94 1:23.78 5:44.71 7 스위스 I 레토 카파드루트 & 찰스 보우비어 1:25.45 1:23.69 1:34.09 1:23.00 5:46.23 8 벨기에 I 렌 바론 룬덴 & 에릭 빅콤테 데 스포엘베르흐 1:25.82 1:24.35 1:32.31 1:23.80 5:46.28 9 벨기에 II 막스 후벤 & 마셜 판 슈엘레 1:31.73 1:24.05 1:26.13 1:25.41 5:47.32 10 네덜란드 I 빌렘 바롱에버스 & 사무엘 J. 뒨로프 1:31.41 1:24.99 1:25.71 1:26.00 5:48.11 11 이탈리아 II 에드가르도 바기 & 다리오 포지 1:30.03 1:25.66 1:29.04 1:26.29 5:51.02 12 이탈리아 I 안토니오 브리비오 & 카를로 솔디니 1:33.38 1:27.85 1:25.78 1:24.20 5:51.21 13 오스트리아 I 한스 스튀러 & 한스 로텐스타이너 1:28.12 1:25.20 1:30.55 1:28.13 5:52.00 14 프랑스 I 장 드 수아레즈 돌랑 & 자크 브리도 1:32.49 1:25.59 1:28.93 1:27.80 5:54.81 15 루마니아 I 알렉산드루 프리무 & 코스텔 러둘레스쿠 1:29.96 1:27.26 1:34.06 1:24.73 5:56.01 16 루마니아 II 알렉산드루 부디슈테아누 & 드미트루 게오르지우 1:30.37 1:27.58 1:34.11 1:26.85 5:58.91 17 체코슬로바키아 II 구스타프 레우브너 & 빌헬름 블레흐슈미트 1:32.53 1:29.23 1:31.59 1:26.12 5:59.47 18 리히텐슈타인 I 에두아르트 폰 팔츠 파인 & 오이겐 뷔헬 1:30.96 1:26.91 1:35.27 1:28.20 6:01.94 19 오스트리아 II 한스 폴크마르 & 안톤 칼텐베르거 1:33.71 1:26.28 1:30.50 1:31.81 6:02.30 20 체코슬로바키아 I 요세프 란젠되르퍼 & 카렐 루슈이츠카 1:31.40 1:28.90 1:36.57 1:32.83 6:09.70 21 프랑스 II 루이 보종 & 에밀 클레베르 1:41.99 1:31.92 1:35.09 1:31.07 6:20.07 22 룩셈부르크 I 라울 베크베커 & 게자 베르타임 1:45.41 1:33.95 1:35.96 1:37.47 6:32.79 – 룩셈부르크 II 헨리 코흐 & 구스타프 바그너 1:42.02 1:31.91 1:29.76 NM DNF
3. 1. 순위
1936년 동계 올림픽의 봅슬레이 남자 2인승 경기는 2월 14일과 15일에 진행되었다. 13개국에서 46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미국 팀(아이번 브라운, 앨런 워시본드)이 금메달, 스위스 팀(프리츠 파이어라벤드, 요세프 베어리)이 은메달, 다른 미국 팀(길버트 콜게이트, 리차드 로렌스)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3. 1. 1. 최종 순위
순위 | 팀 | 선수 | 1차시기 | 2차시기 | 3차시기 | 4차시기 | 총계 |
---|---|---|---|---|---|---|---|
미국 I | 아이번 브라운 & 앨런 워시본드 | 1:22.50 | 1:21.02 | 1:25.39 | 1:20.38 | 5:29.29 | |
스위스 II | 프리츠 파이어라벤드 & 요세프 베어리 | 1:26.34 | 1:20.31 | 1:24.11 | 1:19.88 | 5:30.64 | |
미국 II | 길버트 콜게이트 & 리차드 로렌스 | 1:25.06 | 1:21.94 | 1:24.80 | 1:22.16 | 5:33.96 | |
4 | 영국 I | 프레드릭 맥에보이 & 제임스 카드노 | 1:25.61 | 1:23.85 | 1:28.58 | 1:22.21 | 5:40.25 |
5 | 독일 I | 한스 킬리안 & 헤르만 폰 발타 | 1:27.29 | 1:24.24 | 1:26.63 | 1:23.85 | 5:42.01 |
6 | 독일 II | 프리츠 그라우 & 알베르트 브레메 | 1:30.66 | 1:23.33 | 1:26.94 | 1:23.78 | 5:44.71 |
7 | 스위스 I | 레토 카파드루트 & 찰스 보우비어 | 1:25.45 | 1:23.69 | 1:34.09 | 1:23.00 | 5:46.23 |
8 | 벨기에 I | 렌 바론 룬덴 & 에릭 빅콤테 데 스포엘베르흐 | 1:25.82 | 1:24.35 | 1:32.31 | 1:23.80 | 5:46.28 |
9 | 벨기에 II | 막스 후벤 & 마셜 판 슈엘레 | 1:31.73 | 1:24.05 | 1:26.13 | 1:25.41 | 5:47.32 |
10 | 네덜란드 I | 빌렘 바롱에버스 & 사무엘 J. 뒨로프 | 1:31.41 | 1:24.99 | 1:25.71 | 1:26.00 | 5:48.11 |
11 | 이탈리아 II | 에드가르도 바기 & 다리오 포지 | 1:30.03 | 1:25.66 | 1:29.04 | 1:26.29 | 5:51.02 |
12 | 이탈리아 I | 안토니오 브리비오 & 카를로 솔디니 | 1:33.38 | 1:27.85 | 1:25.78 | 1:24.20 | 5:51.21 |
13 | 오스트리아 I | 한스 스튀러 & 한스 로텐스타이너 | 1:28.12 | 1:25.20 | 1:30.55 | 1:28.13 | 5:52.00 |
14 | 프랑스 I | 장 드 수아레즈 돌랑 & 자크 브리도 | 1:32.49 | 1:25.59 | 1:28.93 | 1:27.80 | 5:54.81 |
15 | 루마니아 I | 알렉산드루 프리무 & 코스텔 러둘레스쿠 | 1:29.96 | 1:27.26 | 1:34.06 | 1:24.73 | 5:56.01 |
16 | 루마니아 II | 알렉산드루 부디슈테아누 & 드미트루 게오르지우 | 1:30.37 | 1:27.58 | 1:34.11 | 1:26.85 | 5:58.91 |
17 | 체코슬로바키아 II | 구스타프 레우브너 & 빌헬름 블레흐슈미트 | 1:32.53 | 1:29.23 | 1:31.59 | 1:26.12 | 5:59.47 |
18 | 리히텐슈타인 I | 에두아르트 폰 팔츠 파인 & 오이겐 뷔헬 | 1:30.96 | 1:26.91 | 1:35.27 | 1:28.20 | 6:01.94 |
19 | 오스트리아 II | 한스 폴크마르 & 안톤 칼텐베르거 | 1:33.71 | 1:26.28 | 1:30.50 | 1:31.81 | 6:02.30 |
20 | 체코슬로바키아 I | 요세프 란젠되르퍼 & 카렐 루슈이츠카 | 1:31.40 | 1:28.90 | 1:36.57 | 1:32.83 | 6:09.70 |
21 | 프랑스 II | 루이 보종 & 에밀 클레베르 | 1:41.99 | 1:31.92 | 1:35.09 | 1:31.07 | 6:20.07 |
22 | 룩셈부르크 I | 라울 베크베커 & 게자 베르타임 | 1:45.41 | 1:33.95 | 1:35.96 | 1:37.47 | 6:32.79 |
– | 룩셈부르크 II | 헨리 코흐 & 구스타프 바그너 | 1:42.02 | 1:31.91 | 1:29.76 | NM | DNF |
4. 메달리스트
요세프 베어리
리차드 로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