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7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영선 감독의 지휘 아래 3월과 4월에 걸쳐 국내 훈련과 상하이 원정 경기를 치렀다. 3월에는 선수 소집 훈련과 홍백전을 진행했으며, 4월에는 상하이에서 소비에트 클럽, 철도팀, 청북, 둥화 대학 축구단, 싱타오 축구단과 친선 경기를 가졌다. 5월에는 상하이 원정 선수단을 위한 환영 행사와 함께 서울운동장에서 원정군과 환영군의 친선 경기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축구에 관한 - 1947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1947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는 1947년에 개최되었으나,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내용 작성이 불가능하다. - 1947년 축구에 관한 - 1947년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
1947년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는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6개 대학이 참가한 토너먼트 방식의 대한민국 대학 축구 대회로, 경성대학이 고려대학교를 꺾고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 1947년 대한민국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봉기 사태와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남로당 무장봉기와 미군정 및 이승만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되었으며, 현재 진상 규명 노력과 국가의 공식 사과가 이루어졌으나 폭동과 항쟁이라는 시각이 대립하며 논쟁이 진행 중이다. - 1947년 대한민국 - 1947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1947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는 1947년에 개최되었으나,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내용 작성이 불가능하다. - 1947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7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7은 스페인 축구 컵 대회로서 레알 마드리드가 RCD 에스파뇰을 꺾고 우승했으며, 아틀레틱 빌바오, FC 바르셀로나 등이 16강에 직행했다. - 1947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7-48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7-48은 1948년 세비야 FC가 셀타 비고를 꺾고 우승했으며, 다양한 라운드를 거쳐 프리메라 디비시온 팀들이 참여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47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 |
---|---|
선수단 정보 | |
선수단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시즌 | 1947 |
선수단 명칭 | 조선 |
원어 명칭 | Korea |
소유 | 조선축구협회 |
운영 | 조선축구협회 |
구단주 | 하경덕 |
구단주 직책 | 축구협회장 |
감독 | 이영선 |
다음 시즌 | 1948 |
2. 감독
이영선은 1947년 4월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조선축구협회는 1947년 2월, 3월 5일부터 3월 15일까지 진행되는 합동 훈련에 참가할 축구 국가대표 선수 소집 명단을 발표했다.[2][3][4]
3. 선수 명단
3. 1. 3월 소집 훈련 선수 명단
조선축구협회 심사위원회는 1947년 3월 5일부터 3월 15일까지 진행된 합동 훈련에 참가할 축구 국가대표 선수 소집 명단을 발표했다.[2][3][4]
3. 1. 1. 골키퍼
3. 1. 2. 수비수
3. 1. 3. 미드필더
번호 | 위치 | 선수 | 생년월일 | 소속 | 비고 |
---|---|---|---|---|---|
MF | 김규환 | align=left| | |||
MF | 문창욱 | align=left| | |||
MF | 민병대 | align=left| | |||
MF | 양준석 | align=left| | |||
MF | 이강열 | align=left| | |||
MF | 이용일 | align=left| | |||
MF | 이유형 | align=left| | |||
MF | 주영광 | align=left| | |||
MF | 최성곤 | align=left| |
3. 1. 4. 공격수
3. 2. 4월 상하이 원정 선수 명단
1947년 4월 상하이 원정에는 이영선 감독과 김용식 코치가 참가했다.직책 | 이름 |
---|---|
감독 | 이영선 |
코치 | 김용식 |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
3. 2. 1. 골키퍼
3. 2. 2. 수비수
3. 2. 3. 미드필더
3. 2. 4. 공격수
4. 경기 결과
1947년 4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여러 차례 친선 경기를 가졌다. 이 경기들은 모두 비공식 경기로, 공식적인 A매치로 인정되지 않는다.
날짜 | 상대 | 결과 | 점수 | 대회 | 장소 | 경기장 | 비고 |
---|---|---|---|---|---|---|---|
4월 13일 | 소비에트 클럽 | 승 | 3 : 1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월 16일 | 중화민국 철도팀 | 패 | 0 : 2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월 18일 | 중화민국 청북 | 승 | 1 : 0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월 20일 | 중화민국 둥화 대학 축구단 | 승 | 4 : 0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월 26일 | 영국령 홍콩 싱타오 축구단 | 무 | 0 : 0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 1. 3월 홍백전
1947년 3월 16일 12시 KST (UTC+9) 서울 서울운동장에서 홍군과 백군의 경기가 열렸다. 홍군은 안종수가 전반 2분, 정국진이 전반 8분에 득점하였고, 백군은 박건섭이 후반 65분에 득점하여, 최종 2 : 1로 홍군이 승리하였다. 주심은 김화집이 맡았다.[1]
4. 2. 4월 상하이 원정 경기
1947년 4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여러 차례 친선 경기를 가졌다. 이 경기들은 모두 비공식 경기로, 공식적인 A매치로 인정되지는 않는다.날짜 | 상대 | 결과 | 점수 | 대회 | 장소 | 경기장 | 비고 |
---|---|---|---|---|---|---|---|
4월 13일 | 소비에트 클럽 | 승 | 3 : 1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월 16일 | 중화민국 철도팀 | 패 | 0 : 2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월 18일 | 중화민국 청북 | 승 | 1 : 0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월 20일 | 중화민국 둥화 대학 축구단 | 승 | 4 : 0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월 26일 | 영국령 홍콩 싱타오 축구단 | 무 | 0 : 0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 2. 1. 소비에트 클럽 경기
1947년 4월 13일, 상하이에서 조선 축구 대표팀은 소비에트 클럽을 상대로 3 : 1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약 15,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치러진 비공식 친선 경기였다.날짜 | 상대 | 결과 | 점수 | 대회 | 장소 | 경기장 | 비고 |
---|---|---|---|---|---|---|---|
1947년 4월 13일 | 소비에트 클럽 | 승 | 3 : 1 | 친선 경기 | 상하이 | 불명 | 비공식 경기 |
4. 2. 2. 철도팀 경기
1947년 4월 16일, 상하이에서 조선 축구단은 중화민국 철도팀을 상대로 친선 경기를 가졌으나 0 : 2로 패배하였다.[1] 이 경기는 비공식 경기였다.
4. 2. 3. 청북 경기
1947년 4월 18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조선 축구 대표팀이 청북팀을 상대로 1 : 0 승리를 거두었다.[1] 이 경기는 친선 경기로, 비공식 경기였다. 경기장은 알려지지 않았다.4. 2. 4. 둥화 대학 축구단 경기
1947년 4월 20일, 상하이에서 조선 축구단이 둥화 대학 축구단을 상대로 4 : 0으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는 친선 경기로 비공식 경기였다.4. 2. 5. 싱타오 축구단 경기
1947년 4월 26일, 상하이에서 조선 축구단은 영국령 홍콩의 싱타오 축구단과 친선 경기를 가졌으며, 0 : 0 무승부를 기록했다.[1] 이 경기는 비공식 경기였다.
4. 3. 5월 환영 경기
1947년 5월, 조선체육회와 조선축구협회는 상하이 원정에서 돌아온 선수단을 환영하는 행사를 서울운동장에서 개최했다.[5][6][7]4. 3. 1. 환영축구전
1947년 5월 3일, 조선체육회와 조선축구협회는 상하이 원정 경기에 다녀온 선수단을 환영하기 위한 행사를 서울운동장에서 개최했다.[5][6][7] 이 행사에서 "원정축구단 환영축구전"이라는 이름으로 원정군과 환영군 간의 친선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원정군이 환영군을 4:3으로 이겼다.[8][9]
참조
[1]
뉴스
代表選手决定(대표선수결정) 朝鮮蹴協(조선축협)서正表發式(정표발식)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47-02-26
[2]
뉴스
代表選手决定(대표선수결정) 朝鮮蹴協(조선축협)서正表發式(정표발식)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47-02-26
[3]
뉴스
蹴球合同練習(축구합동연습)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47-03-04
[4]
뉴스
蹴球代表選手合同練習實施(축구대표선수합동연습실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47-03-04
[5]
뉴스
上海遠征蹴球團(상해원정축구단) 歡迎競技會開催(환영경기회개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47-05-03
[6]
뉴스
体育(체육)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47-05-03
[7]
뉴스
上海遠征蹴球團歸國(상해원정축구단귀국)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47-05-03
[8]
뉴스
体育(체육)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47-05-06
[9]
뉴스
遠征蹴球團(원정축구단) 歡迎蹴球戰(환영축구전)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47-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