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63년 유러피언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2-63년 유러피언컵은 30개 팀이 참가하여, 이탈리아의 AC 밀란이 결승에서 SL 벤피카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AC 밀란은 이탈리아 클럽 최초로 유러피언컵 우승을 달성했으며, 조제 알타피니가 14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3년 축구 - 196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에서 개최된 4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가나, 에티오피아, 아랍 연합 공화국, 수단, 튀니지, 나이지리아 6개국이 참가하여 가나가 수단을 꺾고 우승, 아랍 연합 공화국이 3위, 에티오피아가 4위를 기록했다. - 1963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62-63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62-63은 스페인 축구 컵 대회로, FC 바르셀로나가 레알 사라고사를 결승전에서 3-1로 이기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 1962년 축구 - 1962년 FIFA 월드컵
1962년 FIFA 월드컵은 칠레에서 개최되어 16개국이 참가, 브라질이 체코슬로바키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콜롬비아와 불가리아의 첫 월드컵 본선 진출과 골득실제 도입 등의 기록을 남겼다. - 1962년 축구 - 196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에티오피아에서 열린 196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예선이 처음 도입된 대회로, 에티오피아가 아랍 연합 공화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모든 경기는 아디스아바바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고 멩기스투 월쿠와 바다위 압델 파타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유러피언컵 - 1967-68년 유러피언컵
1967-68년 유러피언컵은 UEFA 주관 클럽 대항전으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SL 벤피카를 꺾고 잉글랜드 클럽 최초로 우승했으며, SL 벤피카의 에우제비우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유러피언컵 - 1955-56년 유러피언컵
1955-56년 유러피언컵은 UEFA가 주관한 첫 번째 대회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스타드 드 랭스를 꺾고 초대 챔피언이 되었으며 밀로시 밀루티노비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62-63년 유러피언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정보 | |
| 대회 이름 | 유러피언컵 |
| 개최 연도 | 1962–63년 |
![]() | |
| 개최 기간 | 1962년 9월 12일 – 1963년 5월 22일 |
| 참가 팀 수 | 30 |
| 참가 협회 수 | 29 |
| 경기 수 | 59 |
| 총 득점 | 214 |
| 총 관중 수 | 1782573 |
| 결과 | |
| 우승 팀 | AC 밀란 |
| 우승 횟수 | 1 |
| 준우승 팀 | 벤피카 |
| 득점왕 | 조제 알타피니 (AC 밀란) |
| 득점 | 14골 |
| 대회 역사 | |
| 이전 시즌 | 1961–62 |
| 다음 시즌 | 1963–64 |
2. 참가 팀
1962-63년 유러피언컵에는 총 30개 팀이 참가했다. 각국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 자격을 얻었으며, 전년도 우승팀인 벤피카는 자동 출전권을 얻어 스포르팅 CP와 함께 포르투갈에서 두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2] CSKA 레드 플래그는 7번째 유러피언컵에 참가했으며, 레알 마드리드만이 이 대회에 더 많이 출전했다.
파르티자니, 에스비에르, 입스위치 타운, 유니옹 룩셈부르크, 플로리아나, 쉘본, 디나모 부쿠레슈티, 던디, 1. FC 쾰른은 이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갈라타사라이는 1957년 이후 처음으로 대회에 복귀했으며, IFK 노르셰핑, 폴로니아 비톰, 안데레흐트, 그리고 최종 우승팀인 밀란은 각각 5년, 4년, 3년, 3년 만에 대회에 복귀했다.
모든 참가팀은 각 협회의 챔피언이었지만, 벤피카와 프레드릭스타드는 예외였다. 프레드릭스타드는 1962년 7월 1일 여름 휴식기에 30경기 중 21경기를 치른 후 호베르세리엔에서 선두를 달렸지만, 1962년 가을에 3위로 마감했다.[2]
| 파르티자니 | 오스트리아 빈 | 안데레흐트 | CSKA 레드 플래그 |
| 두클라 프라하 | 에스비에르 | 포어베르츠 베를린 | 입스위치 타운 |
| IFK 헬싱키 | 랭스 | 파나티나이코스 | 바샤시 |
| 밀란 | 유니옹 룩셈부르크 | 플로리아나 | 페예노르트 |
| 린필드 | 프레드릭스타드 | 폴로니아 비톰 | 스포르팅 CP |
| 벤피카 TH | 쉘본 | 디나모 부쿠레슈티 | 던디 |
| 레알 마드리드 | IFK 노르셰핑 | 세르베트 | 갈라타사라이 |
| 1. FC 쾰른 | 파르티잔 |
2. 1. 주요 참가 팀 (한국의 관점)
3. 경기 결과
- '''밀란'''(이탈리아) 14 - 0 우니온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
1962년 9월 12일, 산 시로에서 열린 1차전에서 조제 알타피니가 5골, 지아니 리베라가 1골, 제르마노가 2골을 기록하며 밀란이 8-0 대승을 거두었다.[5] 9월 19일 스타드 뮈니시팔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로사노가 2골, 조제 알타피니가 3골, 피바텔리가 1골을 넣어 밀란이 6-0으로 다시 승리했다. 합계 14-0으로 이탈리아의 밀란이 룩셈부르크의 우니온 룩셈부르크를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이는 당시 유러피언컵 역사상 한 팀이 기록한 최다 득점 기록이었다.
1962년 9월 5일,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레알 마드리드는 소코, 겐토, 디 스테파노의 골로, 안데를레흐트는 판 힘스트, 얀센스, 스톡만의 골로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26일 헤이젤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쥐리옹이 결승골을 넣어 안데를레흐트가 1-0으로 승리했다. 합계 4-3으로 벨기에의 안데를레흐트가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를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특히, 레알 마드리드는 1955-56 시즌 초대 유러피언컵 우승 이후 5연패를 달성한 강팀이었기에 이 결과는 더욱 충격적이었다.
1962년 9월 9일, 23 어거스트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디나모 부쿠레슈티는 퍼컬랩의 페널티킥 골로, 갈라타사라이는 옥타이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3] 9월 16일 미트하트파샤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옥타이의 페널티킥 골, 쾨켄과 쿠트베르의 골로 갈라타사라이가 3-0 완승을 거두었다. 합계 4-1로 터키의 갈라타사라이가 루마니아의 디나모 부쿠레슈티를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 1라운드 ==
예선전을 통과한 14개 팀과 전년도 우승팀 벤피카, 부전승으로 올라온 스타드 드 랭스를 포함한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8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갈라타사라이 | 4–2 | 폴로니아 비톰 | 4–1 | 0–1 |
| 밀란 | 4–2 | 입스위치 타운 | 3–0 | 1–2 |
| CSKA 레드스타 | 2–4 | 안데를레흐트 | 2–2 | 0–2 |
| 스포르팅 CP | 2–4 | 던디 | 1–0 | 1–4 |
| 아우스트리아 빈 | 3–7 | 스타드 드 랭스 | 3–2 | 0–5 |
| 페예노르트 | 3–31 | 버셔시 | 1–1 | 2–2 |
| 노르셰핑 | 2–6 | 벤피카 | 1–1 | 1–5 |
| 에스비에르 | 0–5 | 두클라 프라하 | 0–0 | 0–5 |
1 플레이오프 결과 페예노르트가 버셔시를 1-0으로 누르고 8강전에 진출하였다.
== 8강전 ==
8강전에서는 총 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4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 준결승전 ==
준결승전은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2개 팀이 결승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 밀란 ||5–1||0–1 |- |페예노르트 ||1–3||'''벤피카''' ||0–0||1–3 |} '''밀란'''(이탈리아)이 던디(스코틀랜드)를 합계 5-2로 이겼다. 1차전은 산 시로에서 1963년 4월 24일에 열렸으며, 밀란이 5-1로 승리했다. 사니(3분), 바리손(47분, 76분), 모라(52분, 82분)가 밀란에서 득점했고, 커즌(22분)이 던디에서 득점했다. 2차전은 덴스 파크에서 1963년 5월 1일에 열렸으며, 던디가 1-0으로 승리했다. 길지언(43분)이 던디에서 득점했다. 페예노르트(네덜란드)와 벤피카(포르투갈)의 경기는 합계 1-3으로 벤피카가 승리했다. 1차전은 데 카위프에서 1963년 4월 10일에 열렸으며 0-0 무승부였다. 2차전은 에스타디오 다 루스에서 1963년 5월 8일에 열렸으며, 벤피카가 3-1로 승리했다. 에우제비우(20분), 아우구스투(43분), 산타나(62분)가 벤피카에서 득점했고, 바우마이스터(80분)가 페예노르트에서 득점했다. == 결승전 == 1963년 5월 22일,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1962-63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밀란(이탈리아)이 벤피카(포르투갈)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7] 전반 18분 에우제비우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후반 58분과 66분에 알타피니가 연속 2골을 넣어 역전승을 거두었다.[7] 경기는 45,715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주심은 아서 홀랜드(잉글랜드)였다.
3. 1. 예선전
1962년 9월 12일, 산 시로에서 열린 1차전에서 조제 알타피니가 5골, 지아니 리베라가 1골, 제르마노가 2골을 기록하며 밀란이 8-0 대승을 거두었다.[5] 9월 19일 스타드 뮈니시팔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로사노가 2골, 조제 알타피니가 3골, 피바텔리가 1골을 넣어 밀란이 6-0으로 다시 승리했다. 합계 14-0으로 이탈리아의 밀란이 룩셈부르크의 우니온 룩셈부르크를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이는 당시 유러피언컵 역사상 한 팀이 기록한 최다 득점 기록이었다. 1962년 9월 5일,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레알 마드리드는 소코, 겐토, 디 스테파노의 골로, 안데를레흐트는 판 힘스트, 얀센스, 스톡만의 골로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26일 헤이젤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쥐리옹이 결승골을 넣어 안데를레흐트가 1-0으로 승리했다. 합계 4-3으로 벨기에의 안데를레흐트가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를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특히, 레알 마드리드는 1955-56 시즌 초대 유러피언컵 우승 이후 5연패를 달성한 강팀이었기에 이 결과는 더욱 충격적이었다. 1962년 9월 9일, 23 어거스트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디나모 부쿠레슈티는 퍼컬랩의 페널티킥 골로, 갈라타사라이는 옥타이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3] 9월 16일 미트하트파샤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옥타이의 페널티킥 골, 쾨켄과 쿠트베르의 골로 갈라타사라이가 3-0 완승을 거두었다. 합계 4-1로 터키의 갈라타사라이가 루마니아의 디나모 부쿠레슈티를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3. 1. 1. 주요 경기 (한국의 관점)
1962년 9월 12일, 산 시로에서 열린 1차전에서 조제 알타피니가 5골, 지아니 리베라가 1골, 제르마노가 2골을 기록하며 밀란이 8-0 대승을 거두었다.[5] 9월 19일 스타드 뮈니시팔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로사노가 2골, 조제 알타피니가 3골, 피바텔리가 1골을 넣어 밀란이 6-0으로 다시 승리했다. 합계 14-0으로 이탈리아의 밀란이 룩셈부르크의 우니온 룩셈부르크를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이는 당시 유러피언컵 역사상 한 팀이 기록한 최다 득점 기록이었다. 1962년 9월 5일,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레알 마드리드는 소코, 겐토, 디 스테파노의 골로, 안데를레흐트는 판 힘스트, 얀센스, 스톡만의 골로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26일 헤이젤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쥐리옹이 결승골을 넣어 안데를레흐트가 1-0으로 승리했다. 합계 4-3으로 벨기에의 안데를레흐트가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를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특히, 레알 마드리드는 1955-56 시즌 초대 유러피언컵 우승 이후 5연패를 달성한 강팀이었기에 이 결과는 더욱 충격적이었다. 1962년 9월 9일, 23 어거스트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디나모 부쿠레슈티는 퍼컬랩의 페널티킥 골로, 갈라타사라이는 옥타이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3] 9월 16일 미트하트파샤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옥타이의 페널티킥 골, 쾨켄과 쿠트베르의 골로 갈라타사라이가 3-0 완승을 거두었다. 합계 4-1로 터키의 갈라타사라이가 루마니아의 디나모 부쿠레슈티를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3. 2. 1회전예선전을 통과한 14개 팀과 전년도 우승팀 벤피카, 부전승으로 올라온 스타드 드 랭스를 포함한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8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3. 2. 1. 주요 경기 (한국의 관점)1962-63년 유러피언컵에서 주목할 만한 경기는 다음과 같다:
이 경기들은 모두 1962-63년 유러피언컵 16강전에서 벌어진 경기들이다. 3. 3. 8강전8강전에서는 총 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4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3. 3. 1. 주요 경기 (한국의 관점)1963년 1월 23일, 터키의 갈라타사라이는 이스탄불의 미트하트파샤 스타디움에서 이탈리아의 밀란을 상대로 홈 경기를 가졌으나 1-3으로 패배했다.1963년 3월 13일, 밀란은 산 시로에서 열린 갈라타사라이와의 2차전 경기에서 5-0으로 대승을 거두며 합계 8-1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벨기에의 안데를레흐트는 1963년 3월 6일 브뤼셀의 헤이젤 경기장에서 스코틀랜드의 던디에게 1-4로 패배했다. 1963년 3월 13일, 던디는 던스 파크에서 열린 안데레흐트와의 2차전에서 2-1로 승리하며 합계 6-2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프랑스의 랭스는 1963년 2월 6일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네덜란드의 페예노르트에게 0-1로 패배했다. 1963년 3월 13일, 페예노르트는 로테르담의 데 카위프에서 열린 랭스와의 2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합계 2-1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포르투갈의 벤피카는 1963년 3월 6일 리스본의 에스타디우 다 루스에서 체코슬로바키아의 두클라 프라하를 2-1로 꺾었다. 1963년 3월 13일, 두클라 프라하는 프라하의 벨키 스트라호프스키 스타디온에서 열린 벤피카와의 2차전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합계 1-2로 벤피카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3. 4. 준결승전준결승전은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2개 팀이 결승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