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드릭스타드 FK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드릭스타드 FK는 1903년 4월 7일에 창단된 노르웨이의 축구 클럽이다. 노르웨이 최초의 축구 클럽으로 여겨지며, 1932년 노르웨이 컵 우승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리그와 컵 대회에서 우승했다. 1950~60년대 전성기를 누렸으며, 1960년에는 노르웨이 클럽 최초로 유러피언컵에 출전하기도 했다. 2024년 엘리테세리엔으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리테세리엔 구단 - 비킹 FK
비킹 FK는 1899년에 창단된 노르웨이 축구 클럽으로, 엘리테세리엔에서 8회, 노르웨이컵에서 6회 우승을 기록하며 1970년대 리그 4연패를 통해 전성기를 맞았다. - 엘리테세리엔 구단 - SK 브란
SK 브란은 노르웨이 베르겐을 연고로 하며 1908년 창단되어 엘리테세리엔 3회 우승, 노르웨이 컵 7회 우승을 기록하고 UEFA 컵 위너스컵 8강에 진출한, 브란 스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노르웨이 대표적인 축구 클럽이다. - 1903년 설립된 축구단 - 클루브 과라니
클루브 과라니는 1903년에 창단된 파라과이의 축구 클럽으로, 파라과이 리그에서 11번 우승했으며 올림피아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한다. - 1903년 설립된 축구단 - US 크레모네세
US 크레모네세는 1903년에 창단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와 B, C1을 오가며 활동하다가 1992-93 시즌 앵글로-이탈리안 컵에서 우승했으며, 2022-23 시즌에는 세리에 A에 참가했었다. 
| 프레드릭스타드 FK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전체 이름 | Fredrikstad Fotballklubb | 
| 별칭 | "Aristokratene" (귀족) "Rødbuksene" (빨간 바지) F.F.K.  | 
| 창단일 | 1903년 4월 7일 | 
| 경기장 | 프레드릭스타드 스타디온 프레드릭스타드  | 
| 수용 인원 | 12,565명 | 
| 회장 | Jostein Lunde | 
| 감독 | Andreas Hagen | 
| 감독 직함 | 헤드 코치 | 
| 웹사이트 | 프레드릭스타드 FK 공식 웹사이트 | 
| 현재 시즌 | 2024 시즌 | 
| 클럽 색상 | |
| 홈 유니폼 | 흰색 상의, 빨간색 하의, 흰색 양말 | 
| 원정 유니폼 | 빨간색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 
| 세 번째 유니폼 | 검은색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 
| 리그 정보 | |
| 리그 | 엘리테세리엔 | 
| 시즌 | 2024 | 
| 현재 순위 | 엘리테세리엔, 16팀 중 6위 | 
2. 역사
1903년 4월 7일에 창단되었다. 다른 대다수의 클럽들과는 달리 스키와 육상팀을 보유한 클럽이 축구팀을 창단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프레드릭스타드는 축구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클럽으로, 노르웨이에서의 진정한 최초의 축구 클럽이라 할 수 있다.
이웃 도시인 사릅스보르그에 살고있던 잉글랜드사람인 H.W. 켄워시는 축구를 가르치고자 하여, 프레드릭스타드로 여행을 가서 프레드릭스타드 FK의 훈련기간에 참가하였다. 그는 사릅스보르그로 돌아가서 새로운 축구 클럽의 창단을 제안하였고, 사릅스보르그 FC가 1903년 5월 8일에 창단되었다. 두 팀간의 첫 경기는 다음 해인 1904년에 이루어졌는데, 이 역사적인 경기에서 프레드릭스타드가 4 대 0으로 승리하였다. 사릅스보르그와 프레드릭스타드는 최초의 지역 리그를 조직하였고, 이에 영감을 받아 많은 클럽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프레드릭스타드의 유니폼은 창단 당시인 1903년에는 흰색과 붉은색이 없었다. 1927년까지 일곱번이나 변경되었는데, 현재의 유니폼은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을 따라한 것이다.
1932년에 프레드릭스타드는 최초로 컵 대회 우승을 하며 노르웨이 챔피언이 되었다. 이 당시에는 전국 규모의 리그가 없었기 때문에 컵 대회 우승 팀이 노르웨이 챔피언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총 컵 대회 5회 우승을 하였고, 1937-38 시즌에 최초로 시작된 리그 첫 시즌에는 리그와 컵을 동시에 우승하는 더블을 달성하였다.
나치 독일의 노르웨이 점령기간 동안에는 축구대회가 열리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선수들이 반란의 지원에 나섰었다. 전쟁이 끝나고 축구는 더욱 인기를 얻었고, 프레드릭스타드는 1945년의 노르웨이 컵 준결승전인 사릅스보르그와의 경기에서 최다 관중 기록을 새로이 수립하였다. 그러나 성적은 좋지 못하였다. 4년 동안 컵 대회 결승에 세번 올랐으나, 모두 준우승에 머물렀다. 1949년에 세 번째 리그 우승을 하였다.
1950년대와 60년대는 프레드릭스타드의 전성기였다. 여섯번의 리그 우승과 일곱번의 준우승을 비롯하여, 네번의 컵 우승을 하였다. 1957년에는 두 번째 더블을 달성하였다. 1960년에는 노르웨이 클럽 최초로 리그 우승 팀 자격으로 유러피언컵에 출전하여, 1회전에서 AFC 아약스와의 홈 경기에서 4-3으로 승리하고, 원정에서 0-0으로 비기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프레드릭스타드 지역은 여러 가지 면에서 20세기의 경제적으로 앞선 지역이었다. 먼저 목재 산업 기계의 주요 공급지가 되었고, 곧 조선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프레드릭스타드의 조선소는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큰 곳이다. 마을과 주민들사이에는 항상 낙천주의적 분위기가 있었고, 이는 프레드릭스타드의 쾌활하고 느긋한 축구 스타일에 반영되어, 노르웨이에서 가장 즐거운 클럽으로 생각되었다. 아마 이러한 느긋하고 이완된 분위기가 클럽의 성공을 이끈 이유일 것이다. 또한 이런 점 때문에 결국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팀의 성공적 시기가 지난 후 보수적으로 변하였다. 다른 클럽들은 점점 더 프로로 전향했는데, 프레드릭스타드의 선수들은 여전히 본인의 직업을 가지고 축구를 하고 있었다.
1971년에는 컵 대회 결승에 올랐지만, 로센보르그 BK에 패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2년 후에는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강등되었다. 1975년에 승격하여 다시 강등될 때까지 2년 동안 1부리그에서 활동하였다.
1984년까지 승격과 강등이 계속 이어졌다. 그 해에 노르웨이 컵 우승을 차지하였지만, 클럽은 또 다시 강등되었다. 게다가 1992년에는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그 후 2003년 2부 리그 준우승을 하며 승격을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1년 12월 13일, 클럽 사무실은 라요 피이로야 계약 조사와 관련하여 노르웨이 경찰의 급습을 받았다.
2012년 엘리테세리엔에서 강등된 후, 프레드릭스타드는 오보스-리가엔 (2012-2017, 2021-2023)과 포스트노르-리가엔 (2018-2020)에서 시간을 보낸 후 2023년 오보스-리가엔에서 1위를 기록하며 2024 시즌에 엘리테세리엔으로 복귀하였다.
2. 1. 창단 초기 (1903년 ~ 1927년)
프레드릭스타드 FK는 1903년 4월 7일에 창단되었다. 다른 클럽들과는 다르게 축구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클럽으로, 노르웨이 최초의 진정한 축구 클럽으로 여겨진다.이웃 도시 사릅스보르그의 사릅스보르그 FC가 1903년 5월 8일에 창단되었고, 1904년에 열린 두 팀 간의 첫 경기에서 프레드릭스타드가 4 대 0으로 승리했다. 이들은 최초의 지역 리그를 조직하여 다른 많은 클럽들의 창단에 영감을 주었다.
프레드릭스타드의 유니폼은 1927년에 현재 사용하는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을 본뜬 것으로 결정되기 전까지 일곱 번이나 변경되었다.
1932년 최초로 컵 대회에서 우승하며 노르웨이 챔피언이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총 5번의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37년-1938년 시즌에는 최초로 시작된 리그 첫 시즌에 리그와 컵을 동시에 우승하는 더블을 달성하였다.
2. 2. 전성기 (1930년대 ~ 1960년대)
프레드릭스타드 FK는 1903년 4월 7일에 창단되었으며, 축구에만 전념한 노르웨이 최초의 클럽으로 간주된다. 이웃 도시인 사릅스보르그의 사릅스보르그 FC와 함께 최초의 지역 리그를 조직하여 노르웨이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1903년부터 1927년까지 일곱 번의 유니폼 변경을 거친 후, 현재 사용하는 유니폼은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에서 유래했다.1932년 노르웨이 컵 우승을 시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총 5번의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37년-1938년 시즌에는 최초로 시작된 리그에서 우승하며 리그와 컵을 동시에 석권하는 더블을 달성했다. 나치 독일 점령 기간 동안 선수들은 저항 운동에 참여했으며, 전쟁 이후 1949년 세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는 프레드릭스타드의 전성기였다. 이 기간 동안 여섯 번의 리그 우승과 일곱 번의 준우승, 네 번의 컵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 1957년에는 두 번째 더블을 달성했으며, 1960년에는 노르웨이 클럽 최초로 유러피언컵에 출전하여 AFC 아약스를 상대로 인상적인 경기를 펼쳤다.
프레드릭스타드는 당시 경제적으로 앞선 지역이었으며, 낙천적인 분위기 속에서 즐겁고 느긋한 축구 스타일을 추구했다. 하지만 이러한 분위기는 점차 보수적으로 변했고, 다른 클럽들이 프로화되는 동안 선수들은 여전히 본업을 유지하며 축구를 하는 상황이었다.
1971년 컵 대회 준우승, 1972년 리그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1973년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강등되었다. 1984년 노르웨이 컵 우승을 차지했으나, 다시 강등되는 등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1992년에는 3부 리그까지 강등되었다가, 2003년 2부 리그 준우승을 통해 1부 리그로 승격하였다.
2. 3. 쇠퇴와 재기 (1970년대 ~ 현재)
프레드릭스타드는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1971년 컵 대회 결승에 진출했지만, 로센보르그 BK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5] 1972년에는 비킹 FK에 골 득실차로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5] 1973년에는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강등되었다.[5] 1975년에 승격하여 2년간 1부 리그에서 활동했지만, 다시 강등되었다.[5]1984년까지 승격과 강등이 반복되는 롤러코스터 행보를 보였다.[5] 1984년 노르웨이 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지만, 클럽은 또다시 강등되었다.[5] 1992년에는 3부 리그까지 강등되었다.[5]
2003년, 2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티펠리겐으로 승격하여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5] 이후 2006년에는 노르웨이 컵에서 우승을 차지했고,[5] 2008년에는 리그 2위를 기록하며 전성기 시절의 영광을 재현하는 듯했다.[5] 하지만 2009년 다시 1부 리그로 강등되었다가,[5] 2010년 플레이오프를 거쳐 티펠리겐으로 복귀했다.[5]
2012년 다시 강등된 후,[5] 프레드릭스타드는 오보스-리가엔 (2012-2017, 2021-2023)과 포스트노르-리가엔 (2018-2020)에서 시간을 보냈다.[5] 2023년 오보스-리가엔에서 1위를 기록하며 2024 시즌에 엘리테세리엔으로 복귀하였다.[5]
3. 경기장
프레드릭스타드 스타디온은 1914년에 개장하였으며, 노르웨이 최초로 조명 시설을 갖춘 경기장이었다. FFK의 최다 관중 기록은 1956년 라르비크 턴과의 노르웨이 컵 8강전 경기로, 15,534명이 입장하였다. 2004년 시즌을 앞두고 마지막 개보수가 이루어졌으며, 당시 수용 인원은 약 10,500명이었다.
새로운 홈 구장은 2007년 시즌을 위해 프레드릭스타드 메카니스크 베르크스테드(통칭 "Værste")에 건설되었다. 이곳은 프레드릭스타드 중심부에 위치한 오래된 조선소로, 한때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큰 조선소였다. 경기장 건축 양식은 187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현재는 폐쇄된 두 개의 기계 공장을 측면 스탠드로 개조한 것이다. 또한, 피치 양쪽 끝에 두 개의 별도 스탠드가 건설되었다. 새 경기장(이름은 동일하게 프레드릭스타드 스타디온)은 12,550석 규모의 전 좌석 경기장이다.
4. 유니폼과 엠블럼
초창기 프레드릭스타드 FK는 유니폼을 자주 변경했다. 첫 번째 유니폼은 파란색과 흰색 줄무늬 셔츠와 검은색 반바지였으나, 2년 만에 흰색 셔츠와 파란색 반바지로 바뀌었다. 1910년에는 노르웨이 컵 첫 번째 준결승전을 앞두고 녹색과 흰색 유니폼이 채택되었다.
1926년 10월 7일 프레드릭스타드 스타디온에서 열린 노르웨이와 폴란드의 경기가 끝난 후, 프레드릭스타드는 폴란드 축구 협회에 폴란드 국가대표팀의 국기를 사용해 줄 것을 요청했다. 폴란드 축구 협회는 이를 승인했고, 1927년 3월 17일 클럽은 폴란드 협회로부터 새 유니폼을 받아 공식 유니폼 색상으로 지정했다. 이후 1997년에 양말 색상이 빨간색과 흰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유니폼에 큰 변화가 없었다.
FFK의 배지는 축구공과 F.F. (프레드릭스타드 FK의 원래 약자) 이니셜이 새겨진 녹색과 흰색 스트리머로 1909년 처음 도입된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다. 프레드릭스타드의 유니폼이 흰색과 빨간색으로 바뀌면서 스트리머의 색상도 변경되었다.
5. 우승 기록
프레드릭스타드 FK는 노르웨이 프리미어리그에서 9회 우승(1937-38, 1938-39, 1948-49, 1950-51, 1951-52, 1953-54, 1956-57, 1959-60, 1960-61)과 9회 준우승(1949–50, 1954–55, 1955–56, 1958–59, 1964, 1966, 1969, 1972, 2008)을 차지하였다. 3위는 1회 (1961-62) 기록했다.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는 1회 (2023) 우승을 기록하였다.
노르웨이 컵에서는 12회 우승(1932, 1935, 1936, 1938, 1940, 1950, 1957, 1961, 1966, 1984, 2006, 2024)과 7회 준우승(1945, 1946, 1948, 1954, 1963, 1969, 1971)을 기록하였다.
6. 선수 명단
wikitext
|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 1 | GK | 호바르 옌센 | |
| 3 | DF | 브라게 스카레트 | |
| 4 | DF | 스티안 스트레이 몰데 | |
| 5 | DF | 시멘 라프 | |
| 6 | DF | 필립 아우클란 | |
| 7 | MF | 브란두르 헨드릭손 | |
| 9 | FW | 헨리크 셸스루드 요한센 | |
| 10 | MF | 모르텐 비욀로 | |
| 11 | FW | 마이 트라오레 | |
| 12 | MF | 패트릭 메트칼프 | |
| 13 | MF | 손드레 소를뢰크 | |
| 14 | FW | 요안네스 비아르탈리드 | |
| 15 | DF | 팔루 팔 | |
| 16 | DF | 다니엘 에이드 | |
| 17 | DF | 시구르 크빌레 | |
| 19 | MF | 율리우스 마그누손 | |
| 20 | MF | 예페 셰르 | |
| 22 | DF | 맥스웰 올레지 | |
| 23 | FW | 헨리크 스코그볼드 | |
| 24 | DF | 토르유스 엥게바켄 | |
| 25 | GK | 올레 랑브로텐 | |
| 28 | DF | 임레 베크 헤르만센 | |
| 29 | FW | 오스카 아가 | |
| 30 | GK | 조나단 프로스트 피셔 | |
| 31 | MF | 엘리아스 솔베르그 | |
| 32 | DF | 예스퍼 솔베르그 | |
| 44 | MF | 샘슨 티야니 | 
- 팀 비에르크스트룀 (모스,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7]
 - 루드비그 베그비 (IK 스타르트,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7]
 - 마스 닐센 (올레순,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7]
 - 루카스 리마 (우치텐스 BK,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7]
 
다그핀 에넬리는 프레드릭스타드 FK에서 윙어로 활약했던 노르웨이 선수이다. 그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프레드릭스타드 FK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6. 1. 현역 선수
|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 1 | GK | 호바르 옌센 | |
| 3 | DF | 브라게 스카레트 | |
| 4 | DF | 스티안 스트레이 몰데 | |
| 5 | DF | 시멘 라프 | |
| 6 | DF | 필립 아우클란 | |
| 7 | MF | 브란두르 헨드릭손 | |
| 9 | FW | 헨리크 셸스루드 요한센 | |
| 10 | MF | 모르텐 비욀로 | |
| 11 | FW | 마이 트라오레 | |
| 12 | MF | 패트릭 메트칼프 | |
| 13 | MF | 손드레 소를뢰크 | |
| 14 | FW | 요안네스 비아르탈리드 | |
| 15 | DF | 팔루 팔 | |
| 16 | DF | 다니엘 에이드 | |
| 17 | DF | 시구르 크빌레 | |
| 19 | MF | 율리우스 마그누손 | |
| 20 | MF | 예페 셰르 | |
| 22 | DF | 맥스웰 올레지 | |
| 23 | FW | 헨리크 스코그볼드 | |
| 24 | DF | 토르유스 엥게바켄 | |
| 25 | GK | 올레 랑브로텐 | |
| 28 | DF | 임레 베크 헤르만센 | |
| 29 | FW | 오스카 아가 | |
| 30 | GK | 조나단 프로스트 피셔 | |
| 31 | MF | 엘리아스 솔베르그 | |
| 32 | DF | 예스퍼 솔베르그 | |
| 44 | MF | 샘슨 티야니 | 
6. 2. 임대 선수
wikitext- 팀 비에르크스트룀 (모스,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7]
 - 루드비그 베그비 (IK 스타르트,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7]
 - 마스 닐센 (올레순,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7]
 - 루카스 리마 (우치텐스 BK,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7]
 
6. 3. 은퇴 선수
다그핀 에넬리는 프레드릭스타드 FK에서 윙어로 활약했던 노르웨이 선수이다. 그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프레드릭스타드 FK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7. 코칭 스태프
wikitable
| 직책 | 이름 | 
|---|---|
| 감독 | 안드레아스 하겐 | 
| 수석 코치 | 케네스 독켄 | 
| 골키퍼 코치 | 사무엘 디르셰르 | 
| 피트니스 코치 | 토르발트 베르텔센 | 
| 선수 개발 담당 | 스티안 욘센 | 
| 물리 치료사 | 호콘 베일러 | 
| 의료 담당 | 요른 페데르센 | 
8. 역대 감독
발터 뢰드(1950-1951), 프란츠 쾰러(1952), 군나르 안드레아센(1953-1956), 에릭 홀름베르그(1957-1959), 페르디난트 셰퍼(1961-1962)가 프레드릭스타드 FK의 감독을 역임했다. 1963년에는 에릭 홀름베르그, 군나르 안드레아센, 레이다르 올센, 오드 아스가 감독직을 수행했다. 프랭크 수(1964), 에릭 홀름베르그(1965), 비외른 스피데볼드(1966-1967), 브레데 보르겐(1968), 페르 모스가르(1969), 오드 아스(1970), 아르네 페데르센(1971-1973), 페르 헤네스(1974-1975), 빌헬름 크멘트(1976), 로르 요한센(1977), 페르 모스가르(1978-1979), 후이프 루이흐로크(1980), 크누트-에릭 릭하임(1980-1981), 토니 냅(1982-1983), 얀 아스(1984), 페르 모스가르(1984-1985), 레이네 알름크비스트(1986-1988), 외이빈 닐센(1989-1992), 프로데 홀스타드 한센(1993), 라르스-올로프 맷슨(1994-1995), 알프 구스타브센(1996-1997), 뱌르네 뢰닝(1998-1999), 호칸 산드베리(2000), 조니 요나센(2000), 글렌 로스타드(2001), 크누트 토르비에른 에겐(2002-2004), 에길 올센(2005), 크누트 토르비에른 에겐(2006), 안데르스 그뢴하겐(2007-2009), 톰 노르들리에(2009-2010), 톰 프레디 오네(2010-2012), 트론 아문센(2012), 라르스 바케루드(2013), 호콘 비베-룬(2013-2015), 얀 토레 오포그 & 알렉산데르 올센(임시, 2015), 아르네 에를란센(2015), 얀 할보르 할보르센(2015-2016), 몬스 이바르 멜데(2016), 안드레아 로베르토(2016-2017), 페르-마티아스 호그모(2017-2018), 비외른 요한센(2019-2022), 미클리알 토마센(2022-2024)이 감독을 역임하였다.
9. 유럽 대회 성적
프레드릭스타드 FK는 여러 차례 유럽 대회에 참가했다. 1960-61 시즌 유러피언컵에서는 네덜란드의 아약스를 상대로 합계 4-3으로 승리하여 1회전에 진출했으나, 덴마크의 오르후스에게 합계 0-4로 패배했다. 1961-62 시즌에는 벨기에의 스탕다르 리에주에게 합계 1-4로 패배했고, 1962-63 시즌에는 헝가리의 바사스에게 합계 1-11로 크게 패했다.
UEFA 컵위너스컵 1967-68 시즌에는 포르투갈의 비토리아 세투발에게 합계 2-7로 패배했고, 1972-73 시즌에는 유고슬라비아의 하이두크 스플리트에게 합계 0-2로 패배했다. UEFA컵 1973-74 시즌에는 소련(현 우크라이나)의 디나모 키예프에게 합계 0-5로 패배했다.
UEFA 컵위너스컵 1985-86 시즌에는 웨일스의 뱅고어 시티를 상대로 원정 다득점 규칙에 의해 탈락했다. UEFA컵 2007-08 시즌에는 스웨덴의 함마르비에게 합계 2-3으로 패배했다. UEFA 유로파리그 2009-10 시즌에는 폴란드의 레흐 포즈난에게 합계 3-7로 패배했다.
|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팀 | 홈 | 원정 | 합계 | 
|---|---|---|---|---|---|---|
| 1960-61 | 유러피언컵 | 예선 | 아약스 | 4-3 | 0-0 | 4-3 | 
| 1960-61 | 유러피언컵 | 1회전 | 오르후스 | 0-1 | 0-3 | 0-4 | 
| 1961-62 | 유러피언컵 | 예선 | 스탕다르 리에주 | 0-2 | 1-2 | 1-4 | 
| 1962-63 | 유러피언컵 | 예선 | 바사스 | 1-4 | 0-7 | 1-11 | 
| 1967-68 | UEFA 컵위너스컵 | 1회전 | 비토리아 세투발 | 1-5 | 1-2 | 2-7 | 
| 1972-73 | UEFA 컵위너스컵 | 1회전 | 하이두크 스플리트 | 0-1 | 0-1 | 0-2 | 
| 1973-74 | UEFA컵 | 1회전 | 디나모 키예프 | 0-1 | 0-4 | 0-5 | 
| 1985-86 | UEFA 컵위너스컵 | 1회전 | 뱅고어 시티 | 1-1 | 0-0 | 1-1 (원정 다득점) | 
| 2007-08 | UEFA컵 | 예선 2회전 | 함마르비 | 1-1 | 1-2 | 2-3 | 
| 2009-1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3회전 | 레흐 포즈난 | 1-6 | 2-1 | 3-7 | 
참조
[1] 
웹사이트
 
Fredrikstad fotballklubb - Arenaer
 
http://www.fredrikst[...] 
2012-02-27
 
[2] 
서적
 
Sarpsborg-idretten gjennom 100 år
 
[3] 
서적
 
News of Norway
 
Norwegian Information Service
 
1972
 
[4] 
웹사이트
 
Tok med seg mapper på ni FFK-spillere – sport
 
http://www.dagbladet[...] 
Dagbladet.no
 
2011-12-14
 
[5] 
웹사이트
 
Fredrikstad FK
 
https://www.nifs.no/[...] 
2022-10-30
 
[6] 
뉴스
 
A-laget
 
http://www.fredrikst[...] 
2017-03-27
 
[7] 
뉴스
 
Lima lånes ut
 
https://www.fredriks[...] 
Fredrikstad FK
 
2024-02-02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fredrikst[...] 
2012-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