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드 드 랭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드 드 랭스는 1910년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1931년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1935년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리그 1에서 6회, 쿠프 드 프랑스에서 2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53년 라틴컵에서 우승했다. 1950년대에는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 두 번의 준우승을 기록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재정난으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 이후 여러 차례 리그를 오가다 2018년에 리그 1으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랑테스트의 축구단 - FC 메스
FC 메스는 1932년 창단되어 프랑스 리그 시스템에서 부침을 겪는 축구 클럽으로, 스타드 생생포리앙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로렌 십자와 그라울리가 그려진 문양, 검붉은색과 하얀색을 공식 색상으로 하고, 수많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한 유소년 아카데미이자 AS 낭시와 로렌 더비를 펼치는 클럽이다. - 그랑테스트의 축구단 - AS 낭시
AS 낭시는 1967년 FC 낭시 해체 후 창단되어 미셸 플라티니 활약으로 쿠프 드 프랑스 우승을 차지하고 아르센 벵거 감독이 이끌기도 했으나, 리그 1과 리그 2를 오가는 부침을 겪으며 FC 메스와 로렌 더비로 유명하고 2023년 구단 지분 변동을 맞이한 프랑스 축구 클럽이다. - 리그 1 구단 - AS 생테티엔
프랑스 축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AS 생테티엔은 1919년 창단하여 리그 1에서 10회 우승, 쿠프 드 프랑스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유러피언컵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했고, 홈 구장인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를 사용하며 올랭피크 리옹과의 데르비 론알프가 유명하고, 2023-24 시즌에 리그 1으로 복귀했다. - 리그 1 구단 - 툴루즈 FC
프랑스 툴루즈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인 툴루즈 FC는 1970년 US 툴루즈로 창단되어 1977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보라색과 흰색을 팀 컬러로 하며, 2023년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 스타드 드 툴루즈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31년 설립된 축구단 - 그라나다 CF
그라나다 CF는 1931년에 창단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1941-42 시즌에 라 리가에 처음 진출했으며, 2020-21 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 8강에 진출하기도 했다. - 1931년 설립된 축구단 - 알쿠와 알자위야
알쿠와 알자위야는 1931년 이라크 항공 경찰에 의해 창단된 바그다드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이라크 프리미어리그 7회 우승, 이라크 FA컵 6회 우승, AFC컵 3년 연속 우승 등 국내외적으로 성공적인 역사를 가진 이라크에서 가장 오래된 클럽 중 하나이며, 알자우라 SC와 "이라크 엘 클라시코"로 불리는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다.
스타드 드 랭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스타드 드 랭스 |
별칭 | Les rouges et blancs (붉고 흰색) |
창단 | 1931년 6월 18일 |
홈 구장 | 스타드 오귀스트=들론 |
수용 인원 | 21,029명 |
회장 | 장피에르 카이요 |
감독 | 루카 엘스너 |
현재 시즌 | |
리그 | 리그 1 |
시즌 | 2024-25 |
순위 | 리그 1 참가 중 |
웹사이트 | 스타드 드 랭스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 |
![]() | |
![]() |
2. 역사
스타드 드 랭스는 1910년 '소시에테 스포르티브 뒤 파르크 포메리'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으며, 1931년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4] 1935년까지 아마추어 클럽으로 Championnat de France amateur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1945-46 시즌 1부 리그에 처음 진출한 후, 로베르 종케, 로제 마르셰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1949년 리그 첫 우승을 차지했고, 1950년 쿠프 드 프랑스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알베르 바토 감독 체제 하에 레이몽 코파, 라울 지라두 등을 영입하며 1953년과 1955년에 리그 우승을 추가했고, 라틴컵에서 우승하며 프랑스 축구 클럽 최초로 이 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유러피언 컵 초대 대회인 1955-56 시즌과 1958-59 시즌 결승에 진출했지만, 레알 마드리드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1950년대 후반 쥐스트 퐁텐, 장 뱅상, 로제 피앙토니 등을 영입하며 1957-58 시즌 리그와 쿠프 드 프랑스에서 동시에 우승하며 더블을 달성했다. 1960년과 1962년에도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 프랑스 축구를 대표하는 명문 클럽으로 자리매김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퐁텐, 바토 감독 등이 팀을 떠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고,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1부 리그 잔류와 강등을 반복했다. 1991년에는 심각한 재정난으로 인해 3부 리그로 강등되고 청산 절차를 밟는 등 위기를 겪었다. 1992년 재창단 이후 하부 리그를 전전하다 2002년 리그 2로 승격하며 프로 리그에 복귀했다.
2010년대 들어 다시 한번 부활을 알렸다. 2011-12 시즌 리그 2 준우승을 차지하며 33년 만에 리그 1으로 승격했다. 비록 2016년 리그 2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2018년 리그 1으로 재승격하며 저력을 과시했다. 2019-20 시즌에는 리그 6위를 기록하며 2020–21 UEFA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획득, 1963년 이후 처음으로 유럽 대항전에 참가하는 쾌거를 이뤘다.
스타드 드 랭스의 유럽 대항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1955–56 | 유러피언컵 | 1R | AGF 오르후스 | 2–2 | 2–0 | 4–2 |
8강 | MTK 헝가리아 | 4–2 | 4–4 | 8–6 | ||
준결승 | 히버니언 | 2–0 | 1–0 | 3–0 | ||
결승 | 레알 마드리드 | 3–4 | ||||
1958–59 | 유러피언컵 | 예선 | 아즈 | 6–2 | 4–1 | 10–3 |
1R | HPS | 4–0 | 3–0 | 7–0 | ||
8강 | 스탕다르 리에주 | 3–0 | 0–2 | 3–2 | ||
준결승 | 영 보이즈 | 3–0 | 0–1 | 3–1 | ||
결승 | 레알 마드리드 | 0–2 | ||||
1960–61 | 유러피언컵 | 예선 | 제네스 에슈 | 6–1 | 5–0 | 11–1 |
1R | 번리 | 3–2 | 0–2 | 3–4 | ||
1962–63 | 유러피언컵 | 1R | 오스트리아 빈 | 5–0 | 2–3 | 7–3 |
8강 | 페예노르트 | 0–1 | 1–1 | 1–2 | ||
2020–21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세르베트 | 1–0 | ||
3차 예선 | 페헤르바르 | 0–0 (1–4 승부차기) |
2. 1. 창단 초기 (1910-1930년대)
스타드 드 랭스는 1910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활동하게 된 멜키오르 드 폴리냑 후작의 지휘 아래 '소시에테 스포르티브 뒤 파르크 포메리(Société Sportive du Parc Pommery)'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4] 1931년 6월 18일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932년 프랑스에서 프로 축구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랭스는 스코틀랜드 출신 빌리 에이킨의 지도 아래 Championnat de France amateur에서 우승을 차지한 1935년까지 아마추어 클럽으로 남아 있었다.
2. 2. 황금기 (1940-1960년대)
1945-46 시즌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첫 번째 챔피언십에서 1부 리그에 처음 진출했다. 로베르 종케, 로제 마르셰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4] 1949년 리그 1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결승전에서 레이싱 파리를 2-1로 꺾고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했다.앙리 로슬러 감독이 클럽을 떠난 후, 오랫동안 선수로 활약했던 알베르 바토가 지휘봉을 잡았다. 레이몽 코파와 라울 지라두를 영입하며 팀은 더욱 강화되었다. 1953년, 랭스는 리그에서 우승하며 두 번째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고, 같은 해 라틴컵에서 우승하며 이 영예를 얻은 최초의 프랑스 축구 클럽이 되었다. 1955년, 랭스는 세 번째 타이틀을 획득하며 새롭게 창설된 유러피언 컵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
유러피언 컵 초대 대회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에 4-3으로 패했다. 다음 시즌 랭스는 주축 미드필더 코파를 마드리드로 떠나보냈지만, 프랑스 국가대표 쥐스트 퐁텐, 장 뱅상, 로제 피앙토니, 도미니크 콜론나를 영입했다. 1957-58 시즌 리그 우승과 쿠프 드 프랑스 우승을 동시에 달성하며 더블을 기록했다.
1958-59년 유러피언 컵 결승전에 다시 진출했으나, 레알 마드리드에 2-0으로 패했다. 시즌 후, 아르망 펜베른이 클럽을 떠났지만, 코파가 복귀하면서 1960년에 다섯 번째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
시즌 후, 종케는 국가대표에서 은퇴하고 랭스를 떠나 스트라스부르로 이적했다. 지라두와 미셸 르블롱도 팀을 떠났지만, 랭스는 1962년 리그에서 우승했다.
2. 3. 침체기와 재건 (1970-2000년대)
랭스는 1961-62 시즌 리그 우승 이후, 쥐스트 퐁텐이 은퇴하고 알베르 바토 감독마저 팀을 떠나면서 급격히 쇠퇴했다. 1964-65 시즌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4] 1966-67 시즌에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했지만, 곧바로 강등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4]1970년대에 1부 리그에 복귀하여 약 10년간 잔류하며 1975-76 시즌에는 5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1978-79 시즌에 다시 강등되었다.[4] 이후 33년 동안 1부 리그로 복귀하지 못했다. 1980년대에는 카를로스 비안키 감독 부임 하에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에 두 차례 진출하는 등 선전했지만, 1부 리그 복귀에는 실패했다.
1991년, 랭스는 심각한 재정난으로 인해 행정상 3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5천만 프랑 이상의 부채를 해결하지 못해 청산 절차를 밟았다.[4] 1991년 10월, 클럽은 ''스타드 드 랭스 샹파뉴 FC''로 이름을 바꾸고 1991-92 시즌을 3부 리그에서 보냈다.[4] 1992년 5월, 마지막 리그 경기 직전에 사법 청산으로 인해 리그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고, 클럽의 모든 자산은 경매에 부쳐졌다.[4]
1992년 7월, 랭스는 ''스타드 드 랭스 샹파뉴''라는 이름으로 재창단되어 디비지옹 도뇌르(6부 리그)부터 다시 시작했다.[4] 1990년대 말까지 샹피오나 나시오날과 샹피오나 드 프랑스 아마퇴르에서 뛰었다. 1999년, 다시 '스타드 드 랭스'로 이름을 변경하고, 2002년에 리그 2로 승격하며 프로 자격을 회복했다.[4]
2. 4. 부활과 현재 (2010년대-현재)
2008-09 시즌 리그 2에서 강등되었으나, 다음 시즌 바로 리그 2로 복귀했다. 2011-12 시즌 리그 2에서 2위를 차지하며 33년 만에 리그 1으로 승격했다.[5] 2016년에 리그 2로 강등되었다가[5] 2018년에 다시 리그 1으로 승격했다.[7] 2018-19 시즌 리그 1에서 8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다.[8] 2019-20 시즌 리그 1에서 6위를 기록하며 2020–21 UEFA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이는 1962–63 유러피언 컵에서 페예노르트와 1-1로 비긴 1963년 3월 13일 이후 처음으로 유럽 대회에서 경기를 치른 것이다. 2020–21 리그 1 시즌에는 14위를 기록했다.[9]3. 선수
현재 선수 명단은 하위 섹션인 "선수 명단 (2024년 9월 7일 기준)"에 상세히 나와 있다.
1910년 클럽 창단 이후 리그 및 국제 대회에서 스타드 드 랭스를 대표했던 주목할 만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에 이름을 올리려면, 선수는 클럽에서 최소 100경기 이상을 출전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유명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선수 명단 (2024년 9월 7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 | DF | 조제프 오쿠무 | Joseph Okumu|조제프 오쿠무ken |
4 | DF | 막심 부시 | Maxime Busi|막심 부시bel |
5 | DF | 유니스 압델하미드 | Yunis Abdelhamid|유니스 압델하미드mar |
6 | MF | 발랑탱 아탕가나 | Valentin Atangana|발랑탱 아탕가나fra |
7 | FW | 이토 준야 | 伊東 純也|이토 준야jpn |
8 | MF | 아미르 리차드슨 | Amir Richardson|아미르 리차드슨mar |
9 | FW | 모하메드 다라미 | Mohamed Daramy|모하메드 다라미den |
10 | MF | 테디 테우마 | Teddy Teuma|테디 테우마mlt |
14 | MF | 레다 카드라 | Reda Khadra|레다 카드라ger |
15 | MF | 마셜 무네치 | Marshall Munetsi|마셜 무네치zim |
16 | GK | 뤼도비크 뷔텔 | Ludovic Butelle|뤼도비크 뷔텔fra |
17 | FW | 나카무라 케이토 | 中村 敬斗|나카무라 케이토jpn |
18 | DF | 세르히오 아키에메 | Sergio Akieme|세르히오 아키에메esp |
22 | FW | 오마르 디아키테 | Oumar Diakité|오마르 디아키테civ |
24 | DF | 에마뉘엘 아그바두 | Emmanuel Agbadou|에마뉘엘 아그바두civ |
25 | DF | 티보 드 스메트 | Thibault De Smet|티보 드 스메트bel |
26 | MF | 뱅자맹 스탐불리 | Benjamin Stambouli|뱅자맹 스탐불리fra |
27 | FW | 아다마 보얀 | Adama Bojang|아다마 보얀gam |
32 | DF | 토마 포케 | Thomas Foket|토마 포케bel |
94 | GK | 예반 디우프 | Yehvann Diouf|예반 디우프fra |
96 | GK | 알렉상드르 올리에로 | Alexandre Olliero|알렉상드르 올리에로fra |
3. 2. 유명 선수
다음은 1910년 클럽 창단 이후 리그 및 국제 대회에서 스타드 드 랭스를 대표했던 주목할 만한 선수들이다. 최소 100경기 이상을 소화해야 아래 목록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선수 | 국적 | 기간 |
---|---|---|
알베르 바토 | ||
아르망 팽베른 | ||
도미니크 콜론나 | ||
장 뱅상 | 1956-1963 | |
쥐스트 퐁텐 | 1956-1962 | |
라울 지라우도 | ||
레이몽 코파 | 1951-1956, 1958-1969 | |
로베르 종케 | 1945-1960 | |
로제 마르슈 | ||
로제 피안토니 | ||
이토 준야 | 2022- | |
미셸 르블롱 | 1949-1961 | |
미셸 이달고 | 1954-1957 | |
밀란 갈리치 | 1970-1973 | |
데리오 오니스 | 1971-1973 | |
카를로스 비안키 | 1973-1977, 1984-1985 | |
필리프 트루시에 | 1981-1983 | |
티에리 튀소 | 1988-1991 | |
살림 알라셰 | 2008-2009 | |
실뱅 은디아예 | 2008-2010 | |
에두아르 멘디 | 2016-2019 | |
엘 비랄 투레 | 2020-2022 | |
위고 에키티케 | 2020-2023 | |
포라린 발로건 | 2022-2023 | |
나카무라 케이토 | 2023- |
4.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윌리엄 에이켄 | 1934 ~ 1936 |
알베르 바토 | 1950 ~ 1963 |
미셸 르블롱 | 1975 |
카를로스 비안치 | 1985 ~ 1988 |
오스카르 가르시아 후니엔트 | 2021 ~ 2022 |
5. 우승 기록
wikitext
종류 |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연도 |
---|---|---|---|
국내 | 리그 1 | 6 | 1948-49, 1952-53, 1954-55, 1957-58, 1959-60, 1961-62 |
리그 2 | 2 | 1965-66, 2017-18 | |
샹피오나 나시오날 | 1 | 2003-04 | |
샹피오나 드 프랑스 아마퇴르 | 1 | 1935 | |
쿠프 드 프랑스 | 2 | 1949–50, 1957-58 | |
트로페 데 샹피옹 | 5 | 1949, 1955, 1958, 1960, 1966 | |
국제 | 라틴컵 | 1 | 1953[10] |
코파 델레 알피 | 1 | 1977 | |
유러피언 컵 | 0 |
5. 1. 프랑스 국내 대회
- '''리그 1''': 우승 6회 (1949, 1953, 1955, 1958, 1960, 1962)
- '''리그 2''': 우승 2회 (1966, 2018)
- '''샹피오나 나시오날''': 우승 1회 (2004)
- '''샹피오나 드 프랑스 아마퇴르''': 우승 1회 (1935)
- '''쿠프 드 프랑스''': 우승 2회 (1950, 1958), 준우승 1회 (1977)
- '''트로페 데 샹피옹''': 우승 5회 (1949, 1955, 1958, 1960, 1966), 준우승 1회 (1962)[11]
5. 2. 유럽 대회
스타드 드 랭스는 유러피언 컵에서 2회(1956, 1959) 준우승을 차지했고, 라틴컵에서는 1회 우승(1953)과 1회 준우승(1955)을 기록했으며, 코파 델레 알피에서 1회(1977) 우승했다.참조
[1]
웹사이트
#925 – Stade de Reims : les Rouges et Blancs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3-01-08
[2]
웹사이트
Stade Auguste Delaune | Stade de Reims
http://stade-de-reim[...]
[3]
웹사이트
European Cup final results since 1956
https://web.archive.[...]
Reuters
2019-08-02
[4]
뉴스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since 1907
http://olympic-museu[...]
Olympic Museum
2011-01-04
[5]
웹사이트
Reims relegated despite thrashing OL
https://www.ligue1.c[...]
2016-05-14
[6]
웹사이트
Live Commentary: Real Madrid 5-3 Reims - as it happened
https://www.sportsmo[...]
2016-08-16
[7]
웹사이트
Reims secure promotion with Ligue 2 title
https://www.espn.co.[...]
2018-04-21
[8]
웹사이트
PSG stumble to finish with finale loss to Reims
http://www.espn.in/f[...]
[9]
웹사이트
Stade de Reims back in Europe after 57 years!
https://www.ligue1.c[...]
2020-08-03
[10]
뉴스
El gran minero: Entrevista con Raymond Kopa
https://es.uefa.com/[...]
UEFA
2011-02-05
[11]
뉴스
Les joueurs
https://stade-de-rei[...]
Stade de Reims
2019-01-26
[12]
웹사이트
Liste Joueurs | Stade de Reims
https://www.stade-de[...]
[13]
뉴스
Stade de Reims, club fondé en 1931
http://www.stade-de-[...]
Stade Reims
2011-01-04
[14]
뉴스
Staff
http://www.stade-de-[...]
Stade Reims
2011-01-04
[15]
웹사이트
Stade Auguste Delaune
http://stade-de-reim[...]
[16]
뉴스
Les joueurs
http://stade-de-reim[...]
stade-de-reims.com
2023-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