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는 지방 분권과 상원 개혁을 골자로 한 개헌안의 통과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였다. 드골 대통령은 개혁안 부결 시 사임하겠다고 발표했고, 국민투표 결과 개혁안은 부결되었으며, 드골은 대통령직에서 사임했다. 국민투표는 1969년 4월 27일에 실시되었으며, 반대 52.4%, 찬성 47.6%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국민투표 - 대한민국 제2차 국민투표
    대한민국 제2차 국민투표는 1969년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위한 헌법 개정안에 대한 찬반을 묻는 투표였으며, 찬성 65.1%로 개헌안이 통과되어 박정희의 장기 집권과 유신 체제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1969년 프랑스 -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샤를 드 골 대통령 사임으로 치러진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공화국민주연맹의 조르주 퐁피두와 민주중도의 알랭 포에르가 결선 투표에서 맞붙어 퐁피두가 당선되었고, 이는 좌파 진영의 재편을 촉진하여 프랑스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69년 프랑스 - 1969년 칸 영화제
    1969년 칸 영화제는 루키노 비스콘티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린제이 앤더슨 감독의 《만약에...》가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섹션에서 여러 독립 영화들이 소개된 영화제이다.
  • 1969년 4월 - 1969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69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5개국이 참가하여 태국 방콕에서 개최, 버마와 태국이 결승전에서 비겨 공동 우승을 차지했고, 이란이 3위를 기록했으며, 대한민국은 8강전에서 이란에 패배했다.
  • 1969년 4월 - 1969년 EC-121 격추 사건
    1969년 EC-121 격추 사건은 1969년 4월 15일 북한 공군이 동해 상에서 미국 해군의 EC-121 정찰기를 격추하여 탑승자 31명 전원이 사망하고 냉전 시대 미-북 관계 악화 및 한반도 긴장 고조를 초래한 사건이다.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
국민투표 개요
제목대통령이 프랑스 국민에게 제출한, 레지옹 창설 및 상원 개혁에 관한 법안을 승인하는가?
국가프랑스
날짜1969년 4월 27일
투표 결과
찬성10,901,753
반대12,007,102
무효643,756
유권자29,392,390
결과
결과 요약헌법 수정안이 부결됨.
샤를 드골 대통령 사임.

2. 제안 배경

1960년대 프랑스는 중앙집권적인 정치 체제와 지역 간 불균형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샤를 드골 대통령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의 자율성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지방 분권 개혁을 추진하였다. 드골 대통령은 또한 상원이 시대에 뒤떨어진 기관이며, 경제, 사회, 문화 단체의 대표성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상원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는 바예 연설 등을 통해 의회의 자문 기능을 강화하고, 영토, 경제, 사회, 문화 단체를 대표하는 새로운 상원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3. 개혁안 내용

개혁안은 크게 두 가지 주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첫째는 레지옹의 지위를 헌법에 명시하여 영토 집합체로 격상시키는 것이었다. 레지옹은 공공시설, 주택, 도시화 등에 대한 권한을 확대하고, 재정 자율성을 확보하며, 다른 레지옹과 협력할 수 있게 되었다. 레지옹 의회는 일반 평의회 의원, 시의회 대표, 지역 대표 기관이 지정한 의원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파리, 코르시카, 해외 레지옹에는 특별 조치가 마련될 예정이었다.

둘째는 상원과 경제사회위원회를 통합하여 자문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상원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드골은 1946년 바예 연설에서부터 의회의 자문 기능을 하는 기관의 필요성을 주장해왔다.[1]

새로운 상원은 대통령 유고 시 대통령 직무 대행을 총리가 맡도록 하고, 전쟁 선포 및 계엄령 연장은 국민 의회의 승인을 받도록 변경했다. 또한 상원은 법 제정 기능을 상실하고, 법안 심의 과정에서 제안 및 수정 권한만 가지며, 헌법 개정안은 국민투표 전 국민 의회에서 절대 다수로 통과되어야 했다. 상원 의원의 임기는 6년으로, 3년마다 절반씩 선출되며, 피선거권 연령은 23세로 낮아졌다.[2]

상원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변경될 예정이었다.[2]

구분의원 수선출 방식
프랑스 본토의 영토 집합체160명하원 의원, 영토 지역 의원, 일반 의원 및 시의회 대표에 의해 선출
해외 영토(DOM 및 TOM)13명하원 의원, 영토 지역 의원, 일반 의원 및 시의회 대표에 의해 선출
해외 프랑스 시민 대표4명해외 프랑스 시민 고등 협의회에서 임명
경제, 사회, 문화 활동 대표146명대표 기관에서 임명
노동자 대표42명대표 기관에서 임명
농민 대표30명대표 기관에서 임명
기업 대표36명대표 기관에서 임명
가족 대표10명대표 기관에서 임명
공인 전문가 대표8명대표 기관에서 임명
고등 교육 및 연구 대표8명대표 기관에서 임명
사회 및 문화 활동 대표12명대표 기관에서 임명


3. 1. 지방 분권

개혁안의 첫 번째 부분은 레지옹의 존재를 헌법상 영토 집합체로 명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는 1960년에 만들어진 지역 ''선거구''와 코르시카에 영향을 미칠 것이었다.

레지옹의 관할권은 주로 공공시설, 주택, 도시화에 대한 통제를 통해 확대될 것이었다. 이러한 새로운 권한을 행사하기 위해 레지옹은 돈을 빌리고, 계약을 체결하고, 공공 기관을 만들고, 관리하거나 허가하며, 다른 레지옹과 협약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레지옹 의회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 일반 평의회 (데파르트망당 1명, 3년 임기)와 시의회 또는 해당 ''대표''에 의해 선출된 레지옹 ''데퓌테''(하원 의원) 및 영토 레지옹 의원의 5분의 3, 6년 임기.
  • 대표 기관이 지정한 레지옹 의원 5분의 2, 6년 임기.


파리 레지옹, 코르시카, 해외 레지옹을 위한 특별 조치가 취해질 것이다.

개혁안에 따른 지역

3. 2. 상원 개혁

개혁안의 두 번째 부분은 상원과 경제사회위원회를 합쳐 자문 기능을 갖고 거부권을 갖지 않는 새로운 상원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드골은 1946년 6월 16일 바예 연설에서 의회의 자문 기능을 하는 두 번째 기관이 필요하며, 이는 영토 집합체와 경제, 가족, 지적 단체를 대표해야 한다고 발표했고, 대통령 임기 중과 알랭 페이레피트에게 다시 언급했다.[1]

상원의 역할에서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2]

  • 대통령 유고 시 대통령 직무 대행은 총리가 맡고, 상원 의장이 맡지 않는다.
  • 전쟁 선포 및 계엄령 연장은 국민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상원은 더 이상 새로운 법을 제정할 수 없다.
  • 법안은 먼저 상원에 제출되며, 상원은 국민 의회에 회부되기 전에 법안의 채택, 거부 또는 수정안을 제안할 수 있다. 그 후 정부 또는 국민 의회는 상원에 다시 법안을 보낼 수 있다.
  • 헌법 개정안은 국민 투표에 부쳐지기 전에 국민 의회에서 절대 다수로 통과되어야 하며, 그런 다음 다시 국민 의회에 제출되어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최종 비준될 수 있다.
  • 상원은 더 이상 정부에 질문할 수 없다.
  • 대법원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는 상원이 아닌 영토 집합체를 대표하는 상원 의원 회의만 (국민 의회와 함께) 역할을 하게 된다.


상원 의원의 임기는 6년이며, 3년마다 상원 의원의 절반을 선출한다(2003년부터 현재까지). 당시 최소 연령인 35세 대신 23세 이상이어야 한다.[2]

상원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2]

구분의원 수선출 방식
프랑스 본토의 영토 집합체160명하원 의원, 영토 지역 의원, 일반 의원 및 시의회 대표에 의해 선출
해외 영토(DOM)7명rowspan="2" |
해외 영토(TOM)6명
해외 프랑스 시민 고등 협의회에서 임명하는 해외 거주 프랑스 시민 대표4명
대표 기관에서 임명하는 경제, 사회, 문화 활동 대표146명
노동자 대표42명rowspan="7" |
농민 대표30명
기업 대표36명
가족 대표10명
공인 전문가 대표8명
고등 교육 및 연구 대표8명
사회 및 문화 활동 대표12명


4. 국민투표 캠페인

샤를 드골 대통령은 개혁안이 부결될 경우 사임하겠다고 발표하였다.[1] 야당은 반대 운동을 펼쳤으며, 조르주 퐁피두 전 총리는 드골이 물러날 경우 대통령 후보로 나설 것이라고 밝혀, 우익 골수주의 유권자들이 느끼는 권력 공백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주었다.[1]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전 재무장관도 찬성표를 던지지 않겠다고 선언했다.[1] 공화국을 위한 민주 연합(UDR)만이 찬성 캠페인을 벌였다.[1]

5. 국민투표 결과

선택프랑스 본토전체
득표수%득표수%
찬성10,512,46946.810,901,75347.6
반대11,945,14953.212,007,10252.4
무효/기권표635,678643,756
총 투표수23,093,29610023,552,611100
등록 유권자28,655,69229,392,390



행정 구역별 국민투표 결과


개혁안은 반대 52.4%, 찬성 47.6%로 부결되었다. 지역별, 행정 구역별 투표 결과는 프랑스 사회 내의 다양한 의견 분포를 보여주었다.

6. 국민투표 이후

샤를 드골 대통령은 약속대로 1969년 4월 28일 자정 10분 후에 사임했으며, Colombey-les-Deux-Églises에서 간결한 성명을 발표했다.[2]

>나는 공화국 대통령으로서의 직무 수행을 중단한다. 이 결정은 오늘 정오부터 효력을 발휘할 것이다.[2]

알랭 포에르 상원 의장은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조르주 퐁피두가 대통령으로 당선될 때까지 임시 대통령이 되었다.

7. 평가 및 영향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는 정치 및 사회적으로 다양한 평가와 영향을 남겼다.

정치적으로는 국민투표 부결로 샤를 드 골 대통령의 권위가 크게 손상되었고, 이는 프랑스 정치에서 대통령 권한, 상원의 역할, 그리고 지방 분권 문제에 대한 활발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 이후 조르주 퐁피두 정부는 드골의 개혁안을 일부 수정하여 지방 분권 정책을 추진했다.[1]

사회적으로 레지옹에 헌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개혁안은 프랑스 사회 전반, 특히 1960년에 만들어진 지역 선거구와 코르시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레지옹은 공공시설, 주택, 도시화 등에 대한 통제 권한 확대를 통해 재정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다른 레지옹과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레지옹 의회는 일반 평의회 의원, 레지옹 데퓌테(하원 의원), 대표 기관 지정 레지옹 의원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파리, 코르시카, 해외 레지옹에는 특별 조치가 취해질 예정이었다.

한국 역시 중앙집권적 국가 운영과 지역 불균형 문제에 직면해 있어,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와 유사한 점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방 분권과 균형 발전을 강조하며 지역 자율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프랑스 사례는 한국의 지방 분권 및 정치 개혁 논의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특히 개혁 과정에서 국민 의견 수렴과 사회적 합의 도출이 중요하며, 국회 상원(또는 양원제) 개혁 논의 시 프랑스처럼 다양한 사회 계층 및 지역 대표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7. 1. 정치적 영향

이 국민투표의 부결은 샤를 드 골 대통령의 권위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그의 정치적 영향력 약화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프랑스 정치에서 대통령의 권한, 상원의 역할, 지방 분권 문제 등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1] 조르주 퐁피두 정부는 드골의 개혁안을 일부 수정하여 지방 분권 정책을 추진하였다.[1]

7. 2. 사회적 영향

개혁안에 따른 레지옹의 헌법상 지위 부여는 프랑스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특히 1960년에 만들어진 지역 선거구와 코르시카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였다.

레지옹의 권한은 공공시설, 주택, 도시화에 대한 통제 등을 통해 확대될 예정이었다. 이러한 권한 확대를 통해 레지옹은 재정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다른 레지옹과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레지옹 의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예정이었다.

구성설명
일반 평의회 의원 및 레지옹 데퓌테 (하원 의원)데파르트망당 1명, 3년 임기인 일반 평의회 의원과 시의회 또는 해당 대표에 의해 선출된 레지옹 데퓌테(하원 의원) 및 영토 레지옹 의원의 5분의 3 (6년 임기)
대표 기관 지정 레지옹 의원대표 기관이 지정한 레지옹 의원 5분의 2 (6년 임기)



파리 레지옹, 코르시카, 해외 레지옹에는 특별 조치가 취해질 예정이었다.

7. 3. 한국과의 비교 (더불어민주당 관점)

한국 역시 중앙집권적인 국가 운영 방식과 지역 간 불균형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점에서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와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방 분권과 균형 발전을 강조하며, 지역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프랑스의 사례는 한국의 지방 분권 및 정치 개혁 논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개혁 과정에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한국 국회의 상원(또는 양원제) 개혁 논의 시, 프랑스의 사례를 참고하여 다양한 사회 계층의 대표성을 확보하고, 지역 대표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 상원이 지역,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대표들로 구성된 것처럼, 한국에서도 이러한 구성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2] 문서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