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샤를 드골 대통령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졌다. 개헌안 국민투표 부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드골이 사퇴하면서, 여당인 공화국민주연맹의 조르주 퐁피두와 중도파 알랭 포에르가 결선 투표에 진출했다. 결선 투표에서 퐁피두가 승리하여 공화국민주연합 정권이 연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르주 퐁피두 - 클로드 퐁피두
    클로드 퐁피두는 프랑스 대통령 조르주 퐁피두의 부인이자 자선 사업가로, 클로드 퐁피두 재단을 설립하여 사회에 기여했으며 퐁피두 센터 건립에도 관여했다.
  • 1969년 프랑스 - 1969년 칸 영화제
    1969년 칸 영화제는 루키노 비스콘티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린제이 앤더슨 감독의 《만약에...》가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섹션에서 여러 독립 영화들이 소개된 영화제이다.
  • 1969년 프랑스 -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는 지방 분권과 상원 개혁을 골자로 한 개헌안의 통과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였으며, 개혁안이 부결되고 드골 대통령이 사임하는 결과를 낳았다.
  • 1969년 선거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69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일미 안보조약 갱신 문제가 쟁점이었으나 자민당의 압승과 사회당의 참패, 낮은 투표율, 그리고 하타 쓰토무, 모리 요시로 등 정치 거물들의 등장과 다나카 가쿠에이의 정치적 입지 강화 등 일본 정치의 중요한 변곡점이 되었다.
  • 1969년 선거 - 1969년 뉴질랜드 총선
    1969년 뉴질랜드 총선은 선거구 84개로 치러졌으며, 국민당이 45석을 얻어 승리했고 투표율은 88.94%였다.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선거 정보
국가프랑스
유형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65
다음 선거1974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74
선거일1969년 6월 1일 (1차 투표)
투표율77.59% (1차 투표)
후보 정보
조르주 퐁피두
조르주 퐁피두
후보조르주 퐁피두
정당공화국민주연합
득표수11,064,371
득표율58.21%
1차 득표10,051,783
1차 득표율44.47%
알랭 포에르
알랭 포에르
후보알랭 포에르
정당민주중도
득표수7,943,118
득표율41.79%
1차 득표5,268,613
1차 득표율23.31%
지도 정보
선거 결과 지도
선거 결과 지도
대통령직
선거 전 대통령알랭 포에르 (대행)
선거 전 정당민주중도
선거 후 대통령조르주 퐁피두
선거 후 정당공화국민주연합

2. 배경

샤를 드골 대통령은 지방분권화 및 상원 개혁을 위한 개헌을 추진하면서 1969년 프랑스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그러나 국민투표는 53.5%의 반대로 부결되었다.[1] 드골 대통령은 국민투표가 부결될 경우 사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어, 투표 결과 발표 다음 날 대통령직에서 사퇴했다.[1] 이로 인해 대통령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3. 후보

여당인 공화국민주연맹은 샤를 드 골 정권의 2인자였던 조르주 퐁피두 전 총리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했다. 퐁피두는 경제 성장을 이끌고 1968년 5월 혁명을 해결하는 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았다.[2] 그는 독립 공화당과 그 지도자인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좌익 진영은 분열된 모습을 보였다. 프랑스 공산당(PCF)은 자크 뒤클로를 후보로 선출했고,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는 가스통 드페르 마르세유 시장을 후보로 선출했다. 드페르는 피에르 멘데스 프랑스와 함께 대통령-총리 후보로 나섰는데, 이는 프랑스 대통령 선거 사상 최초의 '듀얼 티켓'이었다.[2] 통합사회당은 프랑스 5월 혁명에 참여했던 미셸 로카르를 후보로 내세웠다.[2]

민주 중도의 알랭 포에르 상원의장은 국민투표 반대 운동을 주도했고, 드골 대통령 사퇴로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면서 중도층의 지지를 얻었다.[2] 트로츠키주의자 알랭 크리뱅은 미셸 로카르보다 더 급진적인 입장을 취하며 후보로 출마했다.[2]

4. 선거 과정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샤를 드 골 대통령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졌다. 1차 투표와 2차 투표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4. 1. 1차 투표

1969년 6월 1일에 1차 투표가 실시되었다. 총 유권자 2,877만 4,041명 중 약 78%가 투표에 참여하였다. 조르주 퐁피두알랭 포에르는 각각 43.9%와 23.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차 투표 진출권을 획득했다.[2]

4. 2. 2차 투표

자크 뒤클로는 좋은 선거 운동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2차 투표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대통령 선거에서 공산주의자가 거둔 최고의 결과를 기록했다.[3] 사회당은 중도주의 성향의 상원 의장 알랭 포에르를 마지못해 지지했다. 공산당은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않고 "사실상 다 똑같다"는 의미의 슬로건(''c'est bonnet blanc et blanc bonnet'')을 사용했다.

2차 투표는 1969년 6월 15일에 실시되었다. 유권자의 약 69%가 참여했으며, 조르주 퐁피두는 58%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프랑스 대통령에 당선되었다.[2]

5. 선거 결과

1차 투표에서 좌파 진영은 분열되어 모두 낙선했고, 중도파인 알랭 포에르 후보가 결선 투표에 진출하였다. 결선 투표에서는 공산당을 비롯한 극좌 진영이 포에르 후보를 지지하지 않아 조르주 퐁피두 후보가 승리하였고, 공화국민주연합 정권이 연장되었다.[1]

후보정당1차 투표2차 투표
득표수%득표수%
조르주 퐁피두공화국민주연합10,051,78344.47%11,064,37158.21%
알랭 포에르민주중도5,268,61323.31%7,943,11841.79%
자크 뒤클로프랑스 공산당4,808,28521.27%colspan="2" rowspan="5" |
가스통 드페르노동자 인터내셔널1,133,2225.01%
미셸 로카르통합사회당816,4703.61%
루이 듀카텔무소속 (급진당)286,4471.27%
알랭 크리빈공산주의자 동맹239,1041.06%
합계22,603,924100%19,007,489100%
유효표22,603,92498.71%19,007,48993.58%
무효표295,0361.29%1,303,7986.42%
투표율22,898,96077.59%20,311,28768.85%
기권6,614,40122.41%9,189,04731.15%
등록 유권자29,513,36129,500,334



1차 투표 지역별 최다 득표자.


2차 투표 지역별 최다 득표자.

참조

[1] 웹사이트 27 avril 1969 : De Gaulle s'en va https://www.parismat[...] Paris Match 2024-06-27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Modern France: The Pompidou Years, 1969–197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논문 Candidate Evaluations and Presidential Electoral Choices in France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9-30
[4] 문서 프랑스 헌법 제7조제5항은 대통령이 궐위된 때에는 20일 이후 35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