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세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세유는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프랑스에서 파리, 리옹 다음으로 큰 도시권이며, 지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다. 기원전 600년경 그리스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중요한 무역 도시로 발전했다. 19세기 산업 혁명과 프랑스 식민 제국 확립으로 더욱 성장했으며,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로 발전했다. 현재는 프랑스 최대의 상업 항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힙합 음악, 부야베스, 마르세유 비누 등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마르세유는 14개의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다양한 도시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세유 - 폴 모리아
폴 모리아는 프랑스의 지휘자이자 작곡가로, 1965년 폴 모리아 그랜드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Love Is Blue〉, El Bimbo 등 여러 히트곡을 발표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아시아 지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 마르세유 - 프리울 제도
- 부슈뒤론주의 코뮌 - 엑상프로방스
엑상프로방스는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프로방스의 수도로 번성했으며, 예술가들의 활동으로 문학과 예술의 도시로 명성을 얻었고, 현재는 고속철도가 정차하는 대학 도시로서 문화유산을 자랑한다. - 부슈뒤론주의 코뮌 - 가르단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와 마르세유를 잇는 철도 노선에 위치한 가르당은 석회암 고원, 숲, 농경지로 이루어진 코뮌으로, 중세 마을에서 탄광업과 알루미늄 제조업 발달로 성장했으나 마지막 탄광 폐광 후 알루미늄 공장과 열병합발전소가 주요 산업 시설이며, 폴 세잔이 거주했던 곳이자 좌파 성향이 강하지만 우파 후보가 승리한 이례적인 사례도 있다. - 프랑스의 항구 도시 - 칸 (도시)
프랑스 남동부 코트다쥐르에 위치한 칸은 세계적인 칸 영화제 개최지이자, 19세기 이후 국제적인 휴양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영화도시로 지정된 유명한 관광 도시이다. - 프랑스의 항구 도시 - 니스 (프랑스)
니스는 프랑스 남동부에 위치한 지중해 연안 도시로, 고대 그리스에 의해 건설되어 오랜 역사 동안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860년 프랑스에 합병되었고, 니스 코트다쥐르 공항이 위치하며, 관광, 문화,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마르세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마르세유 |
현지어 이름 | 프랑스어: Marseille 오크어: Marselha |
별칭 | 마르세유 |
인구 명칭 | 프랑스어: Marseillais 오크어: Marselhés 고대: Massiliot |
도시 모토 | 라틴어: Actibus immensis urbs fulget massiliensis, "마르세유시는 위대한 업적들로 빛난다" |
행정 구역 | 코뮌 및 현의 현청 소재지 |
하위 행정 구역 | 16개 구 |
위치 | 43.2964°N 5.37°E |
면적 | 240.62 km² |
인구 순위 | 프랑스에서 2번째 |
도시권 면적 | 1758.2 km² |
도시권 인구 | 1,625,845명 (2021년 1월) |
대도시권 면적 | 3971.8 km² |
대도시권 인구 | 1,888,788명 (2021년 1월) |
광역 공동체 | 엑스마르세유프로방스 메트로폴리스 |
우편 번호 | 13001-13016 |
INSEE 코드 | 13055 |
전화 지역 번호 | 0491 또는 0496 |
공식 웹사이트 | marseille.fr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치 | |
시장 | 베노이트 파얀 |
소속 정당 | DVG |
임기 | 2020-2026 |
역사 | |
설립 | 기원전 600년경 |
경제 | |
주요 산업 | 항구 |
기타 | |
관련 정보 |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 지중해에서 가장 큰 항구 도시 |
참고 | 2016년 인구 조사에서는 870,018명이었다. |
2. 명칭
'마르세유'라는 이름의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고대 그리스인들이 정착하기 전 이 지역 주민들이 사용하던 고대 리구리아어 단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16] 혹은 페니키아어로 "식민 도시"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117] 기원전 600년경 그리스인들이 도시를 세운 뒤로는 고대 그리스어로 Μασσαλία|마살리아grc라고 불렸다. 이후 로마 제국의 지배 아래 들어갔지만 오랫동안 그리스어권 지역으로 남아 있었으며, 라틴어 이름인 Massilia|마실리아la로도 알려졌다.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프랑스어 발음 Marseille프랑스어를 따라 '마르세유'로 표기하는 것이 표준이다. 하지만 마지막 음절 발음을 살려 '마르세이유'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표준 프랑스어 발음은 '마르세유'에 가깝지만, 남부 프랑스어에서는 '마르세이어'와 비슷하게 발음되기도 한다.
프랑스 남부의 지역어인 오크어(프로방스어)로는 '마르세요' 또는 '마르시요'에 가깝게 발음된다. 고전 철자법으로는 Marselhaoc로 표기하며, 미스트랄이 정립한 현행 표기법으로는 Marsihooc라고 쓴다. 이는 고대 오크어의 Marselhapro 또는 Masselhapro에서 유래한 것이다.
영어에서는 Marseille영어 또는 Marseilles영어로 표기하며, 두 표기 모두 '마세이' 와 유사하게 발음된다. 다른 언어로는 이탈리아어로 Marsiglia|마르시글리아it, 스페인어로 Marsella|마르세야es라고 부른다. 한자 표기로는 '馬耳塞'(마이새)가 있으나 잘 쓰이지 않고, 중국어에서는 주로 馬賽|마사이중국어라고 표기한다.
3. 역사
마르세유 지역에는 약 3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했으며,[147] 인근에서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와 기원전 6000년경의 신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148]
본격적인 도시의 역사는 기원전 600년경 고대 그리스의 포카이아인들이 교역항 마살리아(Μασσαλία|마살리아grc)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149] 마살리아는 헬레니즘 시대 갈리아 남부의 주요 폴리스로 성장했으나, 로마 공화국과의 관계 속에서 기원전 49년 카이사르의 내전 이후 독립성을 잃고 로마화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서고트족, 프랑크족 등의 지배를 거쳤으며, 739년 샤를 마르텔 군대에 의한 약탈 등으로 부침을 겪었다. 10세기 이후 프로방스 백국의 일부가 되었고, 14세기 흑사병과 1423년 아라곤의 약탈로 큰 피해를 보기도 했으나, 15세기 중반부터 점차 회복하여 1481년 프랑스 왕국에 병합되었다.
근세에는 프로방스 백작 르네 당주의 노력으로 재건되었고, 16세기에는 프랑코-오스만 동맹 시기 연합 함대의 기지로 활용되기도 했다.[25] 1720년 마르세유 대역병으로 큰 인명 손실을 겪었으나 18세기 중반 다시 회복세를 보였다.
근대 이후 프랑스 혁명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프랑스 국가 ''라 마르세이예즈''의 이름 유래가 되었다. 19세기 산업혁명과 프랑스 식민제국 확장을 통해 항구 도시로서 크게 발전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큰 피해를 입었다. 전후 복구 과정과 함께 프랑스령 알제리 등 옛 식민지로부터 많은 이민자가 유입되면서 다문화 도시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3. 1. 고대
마르세유의 역사는 기원전 600년경 소아시아의 포카이아(현재 포차, 터키)에서 온 고대 그리스인들이 고대 식민지로 마사일리아(Massalia)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때문에 프랑스에서는 마르세유를 '포카이아인의 도시'(cité phocéenne|시테 포세엔프랑스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처음에는 광물 채굴을 목적으로 세워졌으나, 점차 내륙과의 교역 중계지 및 포도주 생산지로 발전하며 번영했다.[117] 마사일리아는 헬레니즘화된 남부 갈리아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그리스 폴리스(도시 국가)로 성장했다.[24]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도 마사리아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제2차 포에니 전쟁(기원전 218년~201년) 중에는 카르타고에 맞서 로마 공화국의 편에 섰다. 로마가 서유럽과 북아프리카로 세력을 확장하는 동안에도 마사일리아는 독립을 유지하며 서지중해 전역에 걸쳐 상업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기원전 49년 시작된 카이사르의 내전에서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최고원로파(망명파)를 지지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카이사르 군대에 의해 마사일리아 포위전을 겪고 패배한 후, 마사일리아는 독립성을 잃고 자치권이 크게 축소되었다. 이후 갈리아 트란살피나 속주의 일부로 편입되어 점차 로마화되었으며, 갈로-로마 문화가 시작되었다.
고대 후기인 3세기경에는 기독교가 전래되었다.
3. 2. 중세
로마 제국의 쇠퇴 이후 마르세유는 서고트족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이후 6세기 중반, 프랑크족 왕이 도시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739년, 샤를 마르텔이 이끄는 군대가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아랍인과 전투를 벌이는 과정에서 마르세유를 약탈하면서 도시는 한동안 쇠퇴기를 겪었다.
샤를마뉴와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도 마르세유는 프랑스의 주요 무역항으로서 명맥을 유지했다. 10세기에 이르러 프로방스 백국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다시 부와 무역 능력을 회복하기 시작했다. 1262년에는 보니파스 데 카스텔란과 위그 드 보가 앙주 카페가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샤를 1세에 의해 진압되었다.
14세기 중반, 마르세유는 다시 큰 시련을 맞았다. 1348년부터 1361년까지 간헐적으로 흑사병(림프절 페스트)이 창궐했다. 주요 항구였던 탓에 마르세유는 프랑스에서 가장 먼저 전염병의 피해를 입은 도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로 인해 당시 25,000명이었던 인구 중 약 15,000명이 사망하며 도시의 번영은 크게 꺾였다. 설상가상으로 1423년에는 아라곤 인들의 약탈까지 겪으며 도시의 쇠퇴는 더욱 심화되었다.
1481년, 마르세유는 프랑스 왕국에 병합되었다.
3. 3. 근세
15세기 중반, 프로방스 백작 르네 당주의 야심찬 건설 사업으로 도시의 운명이 다시 회복되기 시작했다. 16세기에는 프랑코-오스만 동맹의 연합 해군 함대가 마르세유에 주둔하며 제노바 공화국의 항구와 해군을 위협하는 거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25]
그러나 1720년에는 마르세유 대역병이 크게 유행하여 도시 인구의 상당 부분, 약 10만 명에 달하는 주민이 사망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르세유는 18세기 중반까지 역병의 피해를 극복하고 회복하였으며, 항구를 통한 무역도 다시 활기를 띠었다.
3. 4. 근대 ~ 현대
18세기를 지나면서 항구의 방어 기술이 향상되어 마르세유는 지중해에 위치한 프랑스의 가장 중요한 군항 중 하나가 되었다. 1720년에는 대규모 페스트 유행(마르세유 대역병)으로 약 1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지만, 18세기 후반에는 다시 부흥하였다. 1792년 프랑스 혁명 시기 마르세유는 혁명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프랑스 국가인 ''라 마르세이예즈''는 스트라스부르에서 작곡되었으나 마르세유 출신 의용군이 파리에서 처음 불러 널리 알려졌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나폴레옹 전쟁 기간에는 도시가 일시적으로 쇠퇴하기도 했다.
19세기 산업혁명과 제2차 프랑스 식민 제국의 팽창은 마르세유의 성장을 촉진했다. 특히 19세기 중반 이후 항만 시설이 현대화되고 다양한 공업이 발달하면서 주요 상공업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마르세유는 큰 시련을 겪었다. 1940년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의 폭격을 받았고, 1942년 11월에는 독일 베어마흐트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3년 1월 22일에는 4,000명이 넘는 유대인들이 체포되어 폴란드의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어 희생되는 비극이 있었다.[24] 전쟁 기간 동안 도시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전후 마르세유는 대규모 재건 사업을 통해 고층 빌딩이 들어선 현대 도시로 탈바꿈했다. 1950년대 이후에는 아프리카 등지에서 프랑스로 유입되는 100만 명 이상의 이주민들이 거쳐가는 주요 관문 역할을 했다. 특히 1962년 알제리 독립 이후 프랑스령 알제리를 비롯한 옛 프랑스 식민지 출신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이들은 도시에 정착하여 대규모 시장과 독특한 프랑스-아프리카 문화를 형성했다.
하지만 2020년대 들어 높은 빈곤율과 맞물려 치안 문제가 심화되었고, 특히 마약 관련 폭력 범죄가 급증했다. 2023년에는 마약 관련 사건 사망자가 49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120] 같은 해 6월 27일, 파리 근교 낭테르에서 17세 북아프리카계 청소년이 경찰 검문 중 총격으로 사망한 사건[118] 이후 프랑스 전역에서 시위와 폭동이 일어났는데, 7월 1일 마르세유에서도 격렬한 시위가 벌어져 경찰이 최루탄을 사용하고 최소 56명이 체포되었다.[119] 2024년에는 한 소년이 50여 차례 흉기에 찔린 뒤 산 채로 불태워지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20]
4. 지리
마르세유는 파리와 리옹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11] 프랑스 남동부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바다, 북쪽과 동쪽으로는 에투알 산맥, 가를라방 산맥 등 여러 산지에 둘러싸여 분지 형태를 이룬다.
동쪽 해안으로는 칼랑크로 알려진 독특한 해안 지형이 발달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론강 삼각주 지대인 카마르그와 연결된다. 마르세유 만에는 프리울 제도가 있으며, 이 중 이프 섬에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배경이 된 이프 성이 있다.[11] 마르세유의 상세한 위치, 지형, 기후 등은 아래 관련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4. 1. 위치
프랑스 남동부 프로방스 지역에 위치하며, 주요 도시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마르세유 코뮌의 면적은 240.62km2이며, 프랑스 본토 코뮌 중 면적 5위이다. 코뮌 인구는 약 87만 명으로 파리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코뮌이다. 인구밀도는 3,608명/km²이지만, 개발이 불가능한 자연보호구역 150km2를 제외한 실제 인구밀도는 5,788명/km²에 달한다.[143] 마르세유는 파리와 리옹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권(urban area)이며, 인근 지역을 포함한 도시권 인구는 약 176만 명이다. 인근에는 엑상프로방스가 있다. 주변 프로방스 지역과 함께 2013년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되었다.
마르세유의 역사적인 지역은 서쪽의 바다와 산지, 남쪽의 카르스트 지대, 블뢰 코트와 레스탁, 그리고 북쪽의 에투알 산맥과 가를라방 산맥에 둘러싸여 원형 경기장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마르세유 외곽의 작은 어촌 마을인 칼롱그에서 시작하여 까시까지 이어지는 험준한 해안 지역인 칼랑크가 있다. 칼랑크는 피오르드와 유사한 작은 만이 점재하는 곳이다. 더 동쪽에는 활엽수림으로 둘러싸인 해발 1147m의 생토밤 산맥과 툴롱시, 그리고 프랑스 리비에라가 있다. 마르세유 북쪽에는 낮은 가를라방 산맥과 에투알 산맥 너머로 해발 1011m의 생빅투아르 산이 있다. 마르세유 서쪽에는 예술가 마을이었던 레스탁이 있으며, 더 서쪽으로는 블뢰 코트, 사자 만, 그리고 론강 삼각주에 있는 카마르그 지역이 있다. 마르세유 프로방스 공항은 마리냥의 베르 석호에 있는 도시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11]
도시의 주요 간선도로인 넓은 대로 카네비에르는 마르세유 구항에서 레포르메 지구까지 동쪽으로 뻗어 있다. 두 개의 큰 요새가 구항 입구에 위치해 있는데, 남쪽에는 17세기에 지어진 생니콜라 요새[12], 북쪽에는 생장 요새가 있다. 마르세유 만의 더 먼 바다에는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프리울 제도가 있으며, 그중 한 섬인 이프 섬에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몽테크리스토 백작''으로 유명해진 이프 성이 있다. 도시의 주요 상업 중심지는 생페레올 거리와 시내 주요 쇼핑몰 중 하나인 센터 부르스에서 카네비에르와 교차한다. 마르세유 시내에는 여러 보행자 구역이 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곳은 생페레올 거리, 음악원 근처의 쿠르 쥘리앵, 구항에서 떨어진 쿠르 오노레 데스티엔 도르브, 시청 주변 지역 등이다. 마르세유 중심부의 남동쪽, 마르세유 6구에는 행정부 청사와 중요한 버스 및 지하철 환승 지점인 카스텔란 광장의 기념비적인 분수가 있다. 남서쪽에는 마르세유 7구와 마르세유 8구의 언덕이 있으며, 노트르담 드 라 가르드 대성당이 자리 잡고 있다. 마르세유의 주요 기차역인 마르세유 생샤를역은 1구의 센터 부르스 북쪽에 있으며, 아테네 대로를 통해 카네비에르와 연결되어 있다.[11]
4. 2. 지형

마르세유는 서쪽과 남쪽으로는 지중해를 면하고 북쪽으로는 에스타크 지괴와 에투알 지괴, 동쪽으로는 가를라방 지괴, 남동쪽으로는 생시르 지괴와 퓌제산, 남쪽으로는 마르세유베이르 지괴와 접해 있다. 마르세유의 역사적인 지역은 서쪽의 바다와 산지, 남쪽의 카르스트 지대, 그리고 북쪽과 동쪽의 에투알 산지와 갈라방 산지 등에 둘러싸여 원형 경기장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시가지 면적은 프랑스 본토 코뮌 중 5번째로 넓다.
위본강과 그 지류인 자레강이 마르세유 전반에 걸쳐 있으며 에이갈라드를 통과하는 카라벨천과 더불어 마르세유의 주요 강으로 꼽힌다. 위본강과 카라벨천은 유속이 상대적으로 낮은 강에 해당된다. 지중해 연안지형 특성상 수량은 적지만 비가 올 경우에는 범람한다. 이와 함께 뒤랑스강을 수원지로 하는 마르세유 운하와 베르동강을 수원지로 하는 프로방스 운하가 놓여 마르세유의 식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르세유의 해안선 길이는 57km에 달하며, 그 가운데 24km는 무인도인 리우 제도와 프리울 제도의 연안 섬에 해당된다. 마르세유 만의 더 먼 바다에는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프리울 제도가 있는데, 그중 한 섬인 이프 섬에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몽테크리스토 백작''으로 유명해진 이프 성이 있다.[11] 도시 남서쪽 구드 마을과 카시스 마을 사이의 20km 연안 지대를 따라 칼랑크 지괴라는 특유의 지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피오르드와 유사한 작은 만이 점재하는 험준한 해안 지역이다. 이곳에서는 천연자원 채굴과 레저 활동이 이루어진다. 해마다 백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프랑스의 명소로도 꼽히며, 2012년부터 칼랑크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자연유산 보호구역이 되었다.[144]
주요 해수욕장으로는 프라도 해수욕장, 카탈랑 해수욕장, 푸앵트루주 해수욕장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프라도 해수욕장의 공식 명칭은 '가스통데페르 해수욕장' (plages Gaston-Defferre)으로서 마르세유 지하철의 터널 공사로 파낸 흙을 제방으로 쌓아 형성하였다. 리우제도, 프리울제도, 플라니에르섬 등지에는 총 19곳의 스쿠버다이빙 명소가 있다.[145]
마르세유는 파리와 리옹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권이다.[11] 동쪽으로는 칼랑크 너머로 활엽수림으로 둘러싸인 해발 1147m의 생토밤 산맥과 툴롱시, 그리고 프랑스 리비에라가 있다. 마르세유 북쪽에는 낮은 가를라방과 에투알 산맥 너머로 해발 1011m의 생빅투아르 산이 있다. 마르세유 서쪽에는 예술가 마을이었던 레스탁이 있으며, 더 서쪽으로는 블뢰 코트, 사자 만, 그리고 론강 삼각주에 있는 카마르그 지역이 있다. 마르세유 프로방스 공항은 마리냥의 베르 석호에 있는 도시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11]
도시의 주요 간선도로인 카네비에르는 마르세유 구항에서 레포르메 지구까지 동쪽으로 뻗어 있다. 두 개의 큰 요새가 구항 입구에 위치해 있는데, 남쪽에는 생니콜라 요새,[12] 북쪽에는 생장 요새가 있다. 도시의 주요 상업 중심지는 쌩페레올 거리와 센터 부르스에서 카네비에르와 교차한다. 마르세유 시내에는 여러 보행자 구역이 있는데, 쌩페레올 거리, 꾸르 쥘리앵, 꾸르 오노레 데스티엔 도르브, 시청 주변 지역 등이 대표적이다. 마르세유 중심부의 남동쪽, 마르세유 6구에는 카스텔란 광장의 기념비적인 분수가 있으며, 남서쪽 마르세유 7구와 마르세유 8구의 언덕에는 노트르담 드 라 가르드 대성당이 자리 잡고 있다. 마르세유의 주요 기차역인 마르세유 생샤를역은 1구의 센터 부르스 북쪽에 있으며, 아테네 대로를 통해 카네비에르와 연결되어 있다.[11]
4. 3. 기후
마르세유는 온난하고 습윤한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 (쾨펜 기후 구분법: Csa) 지역이다.[13] 서쪽에서 불어오는 습한 바람의 영향을 받는다.12월, 1월, 2월이 가장 추운 달로, 평균 기온은 낮에는 약 12°C, 밤에는 약 4°C이다.[14] 7월과 8월은 가장 더운 달로, 마르세유 프로방스 공항 기준으로 낮 평균 기온은 약 28°C에서 30°C 사이이며, 밤 평균 기온은 약 19°C이다. 다만 바다와 가까운 시내에서는 7월 평균 최고 기온이 27°C 정도이다.[14]
마르세유는 프랑스 도시 중 연평균 일조 시간이 2,897.6시간으로 가장 길며,[15] 연간 강수량은 532.3mm로 프랑스 주요 도시 중 가장 건조한 편에 속한다.[146] 이는 주로 론 계곡에서 불어오는 차갑고 건조한 미스트랄 바람의 영향 때문이다. 미스트랄은 주로 겨울과 봄에 불며, 맑고 햇살 좋은 날씨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뜨겁고 모래를 동반하는 시로코 바람은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한다. 강설은 매우 드물어, 절반 이상의 해에는 눈이 전혀 내리지 않는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83년 7월 26일 폭염 기간에 기록된 40.6°C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1929년 2월 13일 한파 때 기록된 -16.8°C이다.[19]
5. 인구
프랑스 제2의 도시권을 형성하는 중심 도시인 마르세유의 시 인구는 약 87만 명이며, 인근 지역을 포함한 도시권 인구는 약 176만 명에 달한다.
지중해의 주요 항구로서 마르세유는 역사적으로 프랑스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해왔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이민자들이 유입되어 국제적인 도시를 형성했다. 19세기 초반부터 외국인 노동자들이 유입되면서 인구 구성이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주요 이민 집단으로는 북아프리카 출신의 아랍인과 유대인, 러시아인, 그리스인, 이탈리아인, 에스파냐인, 아르메니아인 등이 있다. 특히 북아프리카 출신 아랍인 인구는 마르세유 전체 인구의 약 25%를 차지하며, 프랑스 내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또한 마르세유의 유대인 공동체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를 형성하고 있다.
20세기에는 경제적, 정치적 요인으로 여러 차례 대규모 이민 물결이 있었다.
- 19세기 말 ~ 20세기 초: 그리스인, 이탈리아인 (한때 인구의 40% 차지[47])
- 1917년: 러시아인
- 1915년, 1923년: 아르메니아인
- 1920년대, 1954년, 1975년 이후: 베트남인[48]
- 1920년대 ~ 1930년대: 코르시카인
- 1936년 이후: 스페인인
- 전간기, 1945년 이후: 마그레브인 (아랍인, 베르베르인)
- 1945년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인
- 1950년대 ~ 1960년대: 마그레브 유대인
- 1962년: 알제리 독립 후 피에드누아르
- 이후: 코모로인
201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르세유 대도시권 주민의 81.4%는 프랑스 본토 출생, 0.6%는 프랑스 해외 영토 출생, 18.0%는 외국 출생이었다. 외국 출생자 중 약 2/5는 피에드누아르와 같이 출생 시 프랑스 국적을 가졌던 사람들이다.[44] 이민자(출생 시 프랑스 국적이 아닌 외국 출생자)의 출신 지역을 보면 유럽 1/4, 마그레브 46%, 기타 아프리카 14%, 그 외 지역 15%로 구성된다.[45]
출신 국가/지역 | 인구 |
---|---|
알제리 | 59,927 |
튀니지 | 17,340 |
모로코 | 16,704 |
이탈리아 | 11,740 |
코모로 | 10,457 |
포르투갈 | 7,708 |
스페인 | 7,384 |
터키 | 6,863 |
루마니아 | 4,514 |
레위니옹 | 3,841 |
세네갈 | 3,173 |
마다가스카르 | 2,885 |
베트남 | 2,754 |
벨기에 | 2,594 |
독일 | 2,444 |
마요트 | 2,304 |
마르티니크 | 2,168 |
러시아 | 2,078 |
영국 | 1,767 |
중국 | 1,732 |
레바논 | 1,614 |
주: 이민자는 출생 시 프랑스 국적이 아닌 외국에서 태어난 사람을 의미하며, 이후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더라도 통계상 이민자로 분류된다. 프랑스 해외 영토 출신(레위니옹, 마요트, 마르티니크 등)은 이민자로 분류되지 않는다. |
2002년 기준으로 마르세유 인구의 약 3분의 1은 이탈리아계 뿌리를 가지고 있었다.[49] 또한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코르시카인 및 아르메니아인 공동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마그레브인, 터키인, 코모로인, 중국인, 베트남인 등 다양한 공동체가 존재한다.[50] 2002년 주요 이민자 공동체(후손 포함) 규모는 이탈리아계(29만 명, 33%), 무슬림(주로 마그레브인, 20만 명, 23%), 코르시카인(10만 명, 11.5%), 아르메니아인(8만 명, 9%) 순이었다.[49]
1999년 일부 지역에서는 18세 미만 청소년의 약 40%가 마그레브 출신(부모 중 최소 1명 이민자)이었으며,[51] 같은 해 전체 18세 미만 중 41.8%는 최소 한 명의 이민자 부모(마그레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터키 출신이 23%)를 두었다.[128] 2008년 기준 이민자는 108,392명(전체 인구의 12.7%)이었고, 주로 마그레브 등 비유럽 출신이었다.[127] 2005년에는 일부 구역에서 이민자 비율이 50%를 넘기도 했다.[129][130]
2013년 이후로는 더 나은 일자리와 기후 조건에 이끌려 루마니아, 폴란드 등 중부 및 동유럽 출신 이민자들의 정착도 늘어나고 있다.[52]
6. 경제
마르세유는 우수한 교통 인프라(도로, 해항, 공항)를 갖춘 프랑스의 주요 무역 및 산업 중심지이다. 마르세유 프로방스 공항은 프랑스에서 네 번째로 큰 공항이다. 2005년 5월, 프랑스 경제 전문지 ''L'Expansion''은 2000년 이후 7,200개의 기업이 설립된 것을 근거로 마르세유를 프랑스 대도시 중 가장 역동적인 도시로 선정했다.[26] 2019년 기준, 마르세유 광역권의 GDP는 814억달러 또는 1인당 43430USD(구매력평가)였다.[27] 상공회의소의 기원도 마르세유로 여겨진다.
역사적으로 마르세유의 경제는 프랑스 제국의 항구로서 역할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와 같은 북아프리카 식민지들을 프랑스 본토와 연결했다. 구항은 제2제정 기간 동안 마르세유-포스 항의 일부가 된 졸리에트 항(Port de la Joliette)에 주요 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을 넘겨주었다. 현재 구항은 레스토랑, 사무실, 바, 호텔 등이 들어서 있으며 주로 전용 요트 정박지로 기능하고 있다. 1970년대 석유 위기 이후 쇠퇴를 겪었던 항구와 부두의 대부분은 최근 유럽 연합의 자금으로 재개발되었다. 마르세유에서는 어업이 여전히 중요하며, 마르세유의 식량 경제는 현지 어획량에 의존한다. 구항의 벨기에 부두(Quai des Belges)에서는 여전히 매일 수산 시장이 열린다.
오늘날 마르세유 경제는 구항 북쪽에 위치한 신항, 즉 마르세유-포스 항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이 항구는 컨테이너항과 수송항 기능을 수행하며, 프랑스 최대 항구이자 화물 중량 기준 유럽 3위 항구이다. 연간 1억ton의 화물이 항구를 통과하며, 그중 60%는 석유이다. 이는 프랑스와 지중해에서는 1위 규모이다. 항구 활동과 관련된 일자리는 약 4만 5천 개이며, 지역 경제에 40억유로의 부가가치를 창출한다.[28] 그러나 2000년대 초, 끊임없는 파업과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컨테이너 운송량 증가가 억제되기도 했다.[29] 이 항구는 1,062,408개의 TEU를 처리하며 유럽에서 컨테이너 운송량 20위권에 속하며, 새로운 인프라를 통해 처리 용량이 200만 TEU로 증가했다.[30] 마르세유는 운하를 통해 론 강과 연결되어 프랑스의 광범위한 수로망에 접근할 수 있다. 석유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파리 분지로 북쪽으로 운송되며, 이 도시는 프랑스 최대의 정유 중심지 역할도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마르세유는 서비스업 고용의 큰 증가와 경공업에서 문화 및 첨단 기술 경제로의 전환을 경험했다. 철강, 화학, 플라스틱, 금속, 조선, 석유 정제, 건축 자재, 비누, 식품 가공 등의 산업이 발달해 있다. 마르세유 지역에는 수천 개의 기업이 있으며, 그중 90%는 직원 수가 500명 미만인 중소기업이다.[31] 가장 유명한 기업으로는 컨테이너 해운 대기업인 CMA CGM, 해저 공학 및 유압 시스템 분야의 선두주자인 Compagnie maritime d'expertises(Comex), 에어버스의 자회사인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활발한 부동산 개발 회사인 Azur Promotel, 지역 일간 신문인 ''La Provence'', 마르세유의 대중교통 회사인 RTM, 지중해 서부의 여객, 차량 및 화물 운송의 주요 제공업체인 Société Nationale Maritime Corse Méditerranée (SNCM) 등이 있다. 유로메디테라네 도시 개발 사업은 많은 사무실을 개발하여 마르세유에 프랑스 주요 비즈니스 지구 중 하나를 조성했다.
마르세유에는 세 개의 주요 테크노폴리스가 있다. 샤토-곰베르(기술 혁신), 루미니(생명공학), 라 벨 드 메이(멀티미디어 활동 전용 17000m2 사무실)이다.[32][33]
1995년 20%였던 마르세유의 실업률은 2004년 14%로 감소했다.[37] 그러나 마르세유의 실업률은 여전히 프랑스 전국 평균보다 높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청년 실업률이 4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8]
7. 스포츠
마르세유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축구 클럽인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Olympique de Marseille)의 연고지이다. 리그 1에 소속된 이 팀은 지역 주민들에게 단순한 축구 클럽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도시 정체성의 일부로 여겨진다. 프랑스 내에서는 파리 생제르맹 FC 다음으로 인기가 많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는 1991년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에 이어 1993년에는 우승을 차지하며, 2024년 현재까지 이 대회에서 우승한 유일한 프랑스 클럽으로 남아 있다. 또한 UEFA 유로파리그에서도 1999년, 2004년, 2018년에 결승에 진출하는 등 유럽 무대에서 꾸준한 성과를 보여왔다. 특히 베르나르 타피가 구단주였던 시절 클럽은 성공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약 67,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홈구장 스타드 벨로드롬(Stade Vélodrome)은 축구 경기 외에도 프랑스 국가 럭비 팀의 경기 등 다른 스포츠 행사에도 사용된다. 이곳에서는 1998년 FIFA 월드컵, 2007년 럭비 월드컵, UEFA 유로 2016, 2023년 럭비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의 경기가 여러 차례 열렸다. 지역 럭비 팀으로는 마르세유 XIII과 마르세유 비트롤 럭비가 있다.
마르세유는 페탱크(pétanque)가 매우 활성화된 도시로, '페탱크의 수도'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104] 특히 고령층에게 인기가 많으며, 도시 곳곳의 광장에서 페탱크를 즐기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2012년에는 페탱크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으며, 매년 주요 페탱크 대회인 몽디알 라 마르세유 드 페탱크(Mondial la Marseillaise de pétanque)가 열린다.
요트 역시 마르세유의 주요 스포츠 중 하나이다. 지중해의 따뜻한 바다와 연중 부는 바람은 요트 경주(레가타)에 적합한 조건을 제공한다. 마르세유는 세계 최고의 요트 팀들이 참가하는 월드 매치 레이싱 투어(World Match Racing Tour)의 프랑스 대회 개최지 중 하나였다. 동일한 J-80 요트로 벌이는 치열한 경기는 해안 가까이에서 진행되어 관중들에게 좋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마르세유는 2007년 아메리카스컵(America's Cup) 개최 후보지로 고려되기도 했다.[105]
수구(Water polo)에서는 CN 마르세유(CN Marseille)가 전통적인 강호로, 프랑스 선수권 대회에서 총 36회 우승을 차지했다. 이 외에도 마르세유는 윈드서핑과 파워보팅 등 다양한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 좋은 장소이다.
또한 마르세유에는 3개의 골프 코스가 있으며, 수십 개의 체육관과 여러 공공 수영장이 있다. 르 파로(Le Pharo), 르 자르댕 피에르 푸제(Le Jardin Pierre Puget)와 같은 공원에서는 조깅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매년 마르세유와 인근 도시 카시스(Cassis) 사이에서는 마르세유-카시스 클래식 인터나시오날(Marseille-Cassis Classique Internationale)이라는 달리기 경주가 열린다.
8. 문화
마르세유는 프랑스의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닌 도시이며, 이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다.[58] 역사 및 해양 박물관, 24개의 박물관과 42개의 극장, 마르세유 오페라, 수많은 영화관, 클럽, 바, 레스토랑 등이 모여 있는 지역 문화 및 오락의 중심지이다.[34] 주요 문화 행사는 주로 파리 궁전, 팔레 데 콩그레 에 데 엑스포지션(파르크 샤노), 세계무역센터 등에서 열린다.[35] 2012년에는 세계 물 포럼이 마르세유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마르세유의 매력을 높이기 위해 26주년 기념 공원, 마르세유 구항,[36] 유로메디테라네 등 여러 도시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는 새로운 공원, 박물관, 공공 공간 등을 조성하여 도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기업과 사람들을 유치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마르세유는 예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빅토르 젤뤼, 발레르 베르나르, 에드몽 로스탕, 앙드레 루생 등 많은 프랑스 작가와 시인들의 고향이자 활동 무대였으며, 르스타크와 같은 지역은 폴 세잔, 오귀스트 르누아르 등 유명 화가들이 즐겨 찾던 곳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타로 카드 중 하나인 마르세유 타로는 이 도시의 이름을 딴 것이다.[72] 또한, 전통적인 프로방스 크리스마스 크레슈(구유)를 위한 작은 수공예품인 산통 제작도 마르세유의 중요한 지역 전통이며, 매년 11월 산통 박람회가 열린다. 마르세유에서는 팬이에 축제(Fête du Panier), 음악 축제(Fête de la Musique),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마르사탁(Marsatac) 전자 음악 축제, 피에스타 데 쉬드(Fiesta des Suds) 세계 음악 축제 등 연중 다양한 축제가 개최된다.[77][78]
8. 1. 다문화
지중해의 주요 항구인 마르세유는 역사적으로 프랑스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해왔으며, 이는 많은 이민자들을 유치하여 도시를 국제적인 용광로로 만들었다.[46] 18세기 말에는 인구의 약 절반이 주로 프로방스의 다른 지역과 남부 프랑스 출신이었다.[46]19세기 초반부터 외국인 노동자들이 항구로 들어오면서 인구 구성이 변하기 시작했다. 북아프리카 출신의 아랍인과 유대인, 러시아인, 그리스인, 이탈리아인, 에스파냐인, 아르메니아인 등이 마르세유에 거주하게 되었다. 마르세유의 북아프리카 아랍인들은 마르세유 인구의 25%를 차지하며, 프랑스 내에서 가장 많은 아랍인 인구를 가진 도시로 알려졌다. 또한 이곳의 유대인 공동체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이다.
20세기에는 유럽과 세계 다른 지역의 경제적,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여러 차례 이민자 물결이 마르세유로 유입되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전반에는 그리스인과 이탈리아인이 도착하기 시작했으며, 한때 도시 인구의 최대 40%가 이탈리아계였다.[47] 이후 1917년 러시아인, 1915년과 1923년 아르메니아인, 1920년대, 1954년, 1975년 이후 베트남인,[48] 1920년대와 1930년대 코르시카인, 1936년 이후 스페인인, 전간기 마그레브인(아랍인과 베르베르인), 1945년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인, 1950년대와 1960년대 마그레브 유대인, 1962년 전 프랑스령 알제리 출신 피에드누아르(Pieds-Noirs), 그리고 코모로 출신 이민자들이 차례로 정착했다.
출생 국가/지역 | 인구 (2019)[44][45] |
---|---|
알제리 | 59,927 |
튀니지 | 17,340 |
모로코 | 16,704 |
이탈리아 | 11,740 |
코모로 | 10,457 |
포르투갈 | 7,708 |
스페인 | 7,384 |
터키 | 6,863 |
루마니아 | 4,514 |
레위니옹 | 3,841 |
세네갈 | 3,173 |
마다가스카르 | 2,885 |
베트남 | 2,754 |
벨기에 | 2,594 |
독일 | 2,444 |
마요트 | 2,304 |
마르티니크 | 2,168 |
러시아 | 2,078 |
영국 | 1,767 |
중국 | 1,732 |
레바논 | 1,614 |
201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르세유 대도시권 주민의 81.4%는 프랑스 본토 출신, 0.6%는 프랑스 해외 영토 출신, 18.0%는 외국 출신이었다 (그중 5분의 2는 출생 시 프랑스 국적을 가진 사람들, 특히 1962년 알제리 독립 이후 프랑스 본토에 도착한 알제리 출신 피에드누아르).[44] 마르세유 대도시권에 거주하는 이민자의 4분의 1은 유럽 출신(그중 절반은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46%는 마그레브 출신(그중 3분의 2는 알제리), 14%는 아프리카 다른 지역 출신(그중 절반은 레위니옹과 마요트를 제외한 코모로,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등 인도양 섬 출신), 15.0%는 세계 다른 지역 출신이었다.[45]
2002년 기준으로 마르세유 인구의 약 3분의 1은 이탈리아계 뿌리를 가지고 있었다.[49] 마르세유는 또한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코르시카인과 아르메니아인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마그레브인, 터키인, 코모로인, 중국인, 베트남인 등 다른 중요한 공동체도 존재한다.[50] 2002년 가장 큰 이민자 공동체(후손 포함)는 이탈리아인(29만 명, 33%), 무슬림(주로 마그레브인, 20만 명, 23%), 코르시카인(10만 명, 11.5%), 아르메니아인(8만 명, 9%) 순이었다.[49] 1999년에는 여러 구역에서 18세 미만 청소년의 약 40%가 마그레브 출신(최소 한 명의 이민자 부모)이었다.[51]
2013년 이후에는 더 나은 일자리 기회와 지중해 도시의 좋은 기후에 이끌려 상당수의 중부 및 동유럽 이민자들이 마르세유에 정착했으며, 주요 국적은 루마니아와 폴란드이다.[52]
출생지 프랑스 본토 | 출생지 프랑스 해외 영토 | 출생 시 프랑스 국적을 가진 외국 출신 | 이민자 | ||
---|---|---|---|---|---|
81.4% | 0.6% | 7.1% | 10.9% | ||
유럽 출신 | 마그레브 출신 | 아프리카 출신 (마그레브 제외) | |||
2.7% | 5.0% | 1.5% | |||
터키 출신 | 아시아 출신 (터키 제외) |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 출신 | |||
0.4% | 1.0% | 0.3% | |||
출처: INSEE[44][45] |
마르세유는 부유한 지역과 빈민가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범죄 문제도 있지만, 다른 도시에 비해 다문화적 관용의 정도가 더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시 지리학자들은 산으로 둘러싸인 마르세유의 지형적 특성 때문에 파리와 같은 문제를 겪지 않는다고 설명한다.[61] 파리에서는 소수 민족 지역이 분리되어 도시 외곽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지만, 마르세유 주민들은 다양한 출신 배경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도시 정체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62][63] 예를 들어, 2005년 프랑스 폭동 당시 다른 프랑스 도시 교외의 소수 민족 인구가 폭동을 일으켰을 때 마르세유는 비교적 평온을 유지했다.[64]
마르세유는 슬로바키아의 코시체와 함께 2013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되었다.[65] 이는 유럽 연합에 '인간적인 얼굴'을 부여하고 문화 다양성을 기념하며 유럽인들 간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취지였다.[66] 또한 문화를 통해 마르세유의 국제적 위상을 재정립하고 경제를 활성화하며, 다양한 집단 간의 상호 연결을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었다.[67] 마르세유-프로방스 2013(MP2013) 기간 동안 마르세유와 주변 지역에서는 900개가 넘는 문화 행사가 열렸고, 1,100만 건 이상의 방문을 기록했다.[68] 유럽 문화 수도 지정은 뤼디 리시오티가 디자인한 뮤세(MuCEM)을 포함하여 마르세유와 그 주변 지역에 6억유로가 넘는 새로운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르세유의 다문화적 모습은 구 항구 근처 구시가지에 있는 노아이유 시장(Marché des Capucins)에서 잘 관찰할 수 있다. 이곳에는 레바논 제빵소, 아프리카 향신료 시장, 중국 및 베트남 식료품점, 신선한 채소와 과일, 쿠스쿠스를 파는 상점, 카리브해 음식을 파는 상점들이 지중해 전역에서 온 신발과 의류를 파는 노점상들과 함께 자리 잡고 있다. 근처에서는 신선한 생선을 팔고 튀니지 출신 남성들이 차를 마시는 모습을 볼 수 있다.[70]
아르메니아인 공동체는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이후 대거 유입되었지만, 그 이전인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도 마르세유에 존재했다. 전 세계에 걸친 무역 네트워크를 가진 아르메니아인들은 마르세유 항구를 통해 활발히 교역했다. 특히 16세기 이란의 샤 아바스로부터 이란 실크 독점권을 얻은 후 마르세유 아르메니아인들의 무역 규모는 크게 증가했다. 아르메니아 상인들은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 추기경과 이후 장-바티스트 콜베르로부터 프랑스 내 무역 특권을 부여받았으며, 1669년 마르세유가 자유 항구가 되면서 더욱 활발히 활동했다. 한 아르메니아-이란 상인은 루이 14세로부터 이란 실크 특허를 받기도 했다.[71] 아르메니아인들은 성공적인 사채업자이자 은행가로도 활동하며 부를 축적했고, 그들의 유산은 오늘날 마르세유에 남아 있다.
2008년 기준 마르세유 시의 이민자 수는 108,392명으로 전체 인구의 12.7%를 차지했으며, 이 중 2.2%는 유럽 출신, 10.5%는 비유럽 출신(주로 마그레브 국가)이었다.[127] 1999년에는 18세 미만 청소년의 41.8%가 적어도 한쪽 부모가 이민자였고, 이 중 23%는 마그레브 국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또는 터키 출신이었다.[128] 2005년에는 마르세유 내 3개 구에서 주민 중 이민자 비율(그중 40%는 마그레브 국가 출신)이 50%를 넘기도 했다.[129][130]
8. 2. 예술
마르세유는 프랑스의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진 도시이며, 이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다.[58] 오늘날 마르세유는 중요한 마르세유 오페라를 비롯해 역사 및 해양 박물관, 5개의 미술관, 수많은 영화관, 클럽, 바, 레스토랑 등이 모여 있는 지역 문화 및 오락의 중심지이다.
마르세유에는 라 크리에(La Criée), 르 짐나즈(Le Gymnase), 튀르스키 극장(Théâtre Toursky) 등 많은 극장이 있다. 생 샤를 역 뒤편의 옛 성냥 공장 자리에 들어선 라 프리슈(La Friche)는 광범위한 예술 센터 역할을 한다. 1960년대까지 유명한 뮤직홀이자 가변극장이었던 알카자르(Alcazar)는 최근 원래의 외관을 보존하며 완전히 개조되어 현재 중앙 시립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59] 그 외 음악 공연장으로는 르 실로(Le Silo, 극장 겸용)와 GRIM이 있다.
18세기 후반 건립 이후 1970년대 후반까지 마르세유의 주요 문화 명소는 마르세유 오페라였다. 구항과 라 카네비에르 근처,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이 오페라 극장의 건축 양식은 같은 시기 리옹과 보르도에 세워진 다른 오페라 하우스와 유사한 고전적인 경향을 보였다. 1919년 화재로 건물이 거의 소실되어 원래 외관의 돌 콜로네이드와 페리스타일만 남게 되었다.[73][74] 고전적인 외관은 복원되었고, 대규모 공모전을 통해 오페라 하우스는 주로 아르데코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현재 마르세유 오페라에서는 매년 6~7편의 오페라를 공연한다.[75] 1972년부터는 마르세유 국립 발레단이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을 하고 있으며, 설립부터 1998년까지는 롤랑 프티가 단장을 맡았다.

마르세유는 예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빅토르 젤뤼, 발레르 베르나르, 피에르 베르타스,[60] 에드몽 로스탕, 앙드레 루생 등 많은 프랑스 작가와 시인들의 고향이자 활동 무대였다. 마르세유 만 끝자락의 작은 항구 르스타크는 오귀스트 르누아르, 폴 세잔(종종 엑상프로방스의 자택에서 방문), 조르주 브라크, 라울 뒤피와 같은 예술가들이 즐겨 찾던 장소가 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타로 카드 중 하나는 이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30년대 이후 프랑스 카드 제작자이자 점술가인 B–P Grimaud의 소유주 폴 마르토(Paul Marteau)가 상업적 목적으로 만들어낸 이름인 Tarot de Marseille프랑스어(마르세유 타로)로 불린다. 이전에는 Tarot italien프랑스어(이탈리아 타로)으로, 그 이전에는 단순히 타로라고 불렸다. Tarot de Marseille프랑스어가 되기 전에는 18세기 말 점술에 사용되기 시작하기 전까지 타로치 게임의 지역 변형에 사용되었다. 이는 앙투안 쿠르 드 제벨랭이 제시한 경향을 따른 것이다. Tarot de Marseille프랑스어(마르토는 ancien Tarot de Marseille프랑스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라는 이름은 Tarot de Besançon프랑스어과 같은 다른 유형의 타로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이름들은 단순히 18세기에 많은 카드 제작자가 있었던 도시들과 연관되어 있다 (이전에는 프랑스의 여러 도시들이 카드 제작에 관여했다).[72]
또 다른 지역 전통으로는 전통적인 프로방스 크리스마스 크레슈(구유)를 위한 작은 수공예품인 산통 제작이 있다. 1803년부터 매년 11월 마지막 일요일에 마르세유에서 산통 박람회가 열렸으며, 현재는 비외 포트(Vieux-Port) 근처의 큰 광장인 쿠르 데스티엔 도르브(Cours d'Estienne d'Orves)에서 개최된다.
'''마르세유를 배경으로 한 작품'''
마르세유는 여러 영화와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되었다.
- 마르세유의 밤 (1948년, 프랑스)
- 마르세유 특급 (1974년, 영국/프랑스)
- 프렌치 커넥션 2 (1975년, 미국)
- 스튜어디스 이야기 (1983년, 일본/제6화·제11화)
- 마르세유의 추억 (1998년, 프랑스)
- 마르세유의 사랑 (1996년, 프랑스)
- 어린 시절의 친구 (1998년, 프랑스)
- 택시 시리즈 (1998년, 프랑스)
- 마르세유 바이스 (2003년, 프랑스)
- 마르세유의 결착 (2007년, 프랑스)
- 킬리만자로의 눈 (2011년, 프랑스)
- 허공의 레퀴엠 (2012년, 프랑스)
- 프렌치 커넥션: 마약수사 (2014년, 프랑스/벨기에)
- 뮤지컬 마리우스 (2017년, 일본)
- 스틸워터 (2021년, 미국)
8. 3. 음악
18세기 후반에 건립된 오페라는 1970년대 후반까지 마르세유의 주요 문화 명소였다. 구항과 카네비에르 근처, 도시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같은 시기에 리옹과 보르도에 세워진 다른 오페라하우스처럼 고전적인 건축 양식을 보여주었다. 1919년 화재로 건물이 거의 소실되어 원래 외관의 돌 콜로네이드와 페리스타일만 남게 되었다.[73][74] 이후 고전적인 외관은 복원되었고, 대규모 공모를 통해 오페라하우스 내부는 주로 아르데코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현재 마르세유 오페라는 매년 6~7편의 오페라를 무대에 올리고 있다.[75] 1972년부터는 마르세유 국립 발레단이 오페라하우스에서 공연을 하고 있으며, 설립 당시부터 1998년까지는 롤랑 페티가 단장을 맡았다.
마르세유는 프랑스 내에서도 힙합 음악으로 잘 알려져 있다.[79] IAM, Fonky Family, Psy 4 de la Rime(래퍼 Soprano와 Alonzo 포함), 그리고 Keny Arkana와 같은 유명 힙합 그룹들이 마르세유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또한, 레게 음악 분야에서는 Massilia Sound System이 대표적인 그룹이다.
과거 1960년대까지 유명한 뮤직홀이자 가변극장이었던 알카자르는 최근 개조되어 중앙 시립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59] 이 외에도 르 실로(Le Silo, 극장 겸용)와 GRIM 같은 음악 공연장이 있다.
마르세유는 2013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되기도 했다.
8. 4. 음식

마르세유의 대표적인 음식은 다음과 같다.
- 부야베스(Bouillabaisse)는 마르세유에서 가장 유명한 해산물 요리이다. 최소 3종류 이상의 매우 신선한 현지산 생선을 사용한 생선 스튜로, 일반적으로 붉은 쥐노래미, 빨강도다리(fr: ''grondin''), 그리고 유럽 붕장어(fr: ''congre'')를 사용한다.[80] 때로는 도다리(fr: ''dorade''), 참다랑어, 아귀(fr: ''lotte'' 또는 ''baudroie''), 숭어, 또는 은색 대구(fr: ''merla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성게(fr: ''oursins''), 홍합(fr: ''moules''), 털게(fr: ''étrilles''), 꽃게(fr: ''araignées de mer'')와 같은 조개류 및 기타 해산물과 감자, 채소를 포함하기도 한다.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생선을 국물과 별도의 접시에 담아 제공하며,[81] 국물은 루이유(rouille)(계란 노른자, 올리브 오일, 빨간 피망, 사프란, 마늘로 만든 마요네즈)와 구운 빵 조각 또는 크루통(''croûtons'')과 함께 곁들여 먹는다.[82][83] 마르세유에서는 부야베스를 10명 미만을 위해 만드는 경우가 거의 없다.[84] 원래는 바다에서 돌아온 어부들의 몸을 녹이기 위한 음식이었으나, 현재는 고급 요리로 취급받으며 일반적으로 근교의 화이트 와인과 잘 어울린다고 여겨진다.
- Aïoli)는 생마늘, 레몬즙, 계란, 올리브 오일로 만든 소스로, 삶은 생선, 삶은 계란, 삶은 채소와 함께 제공된다.[82]
- 앙초이아드(Anchoïade)는 멸치, 마늘, 올리브 오일로 만든 페이스트로, 빵에 발라 먹거나 날채소와 함께 제공된다.[82]
- 부리드(Bourride)는 흰살 생선(아귀, 유럽농어, 흰살 생선 등)과 아이올리로 만든 수프이다.
- Fougasse)는 이탈리아 포카치아(focaccia)와 비슷한 프로방스 지방의 납작한 빵이다. 전통적으로 나무 오븐에 구워지며, 때로는 올리브, 치즈 또는 멸치를 넣기도 한다.
- Navette de Marseille|나베트 드 마르세유프랑스어는 음식 작가 M. F. K. 피셔(M. F. K. Fisher)의 표현을 빌리자면 "오렌지 껍질 맛이 약간 나는 질긴 반죽으로 만든 작은 배 모양의 쿠키로, 맛보다 향이 더 좋다"고 한다.[85]
- 파니스(Panisse)는 병아리콩 가루를 끓여 걸쭉한 죽처럼 만든 후, 굳혀서 블록으로 자른 다음 튀긴 요리이다.[86]
- 파스티스(Pastis)는 아니스와 향신료로 만든 알코올 음료로 이 지역에서 매우 인기가 있으며,[87] 식전주로 선호된다. 물을 부으면 뿌옇게 흐려지는 특징이 있으며, 달콤하고 아니스 향이 강하다.
- 피에 파케(Pieds paquets)는 양의 발과 내장으로 만든 요리이다.
- 피스투(Pistou)는 다진 신선한 바질과 마늘에 올리브 오일을 넣어 만든 것으로, 이탈리아 페스토(pesto)와 비슷하다. "수프 오 피스투(soupe au pistou)"는 파스타와 채소에 피스투를 넣은 수프를 의미한다.[82]
- 타페나드(Tapenade)는 다진 올리브, 케이퍼, 올리브 오일로 만든 페이스트이며, 때로는 멸치를 넣기도 한다.[88]
8. 5. 마르세유 비누
마르세유 비누(Savon de Marseillefra)는 마르세유의 전통적인 비누로,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진다. 그 역사는 오래되어 제조법이 확립되기 이전 가장 오래된 판매 기록은 137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1688년 루이 14세 치세의 재무총감 장-바티스트 콜베르가 "마르세유 비누"(Savon de Marseillefra)라는 명칭을 마르세유산 올리브 오일만을 원료로 하고, 지방 함량이 72% 이상인 비누에 사용하도록 하는 칙령을 내렸다. 2003년 3월 이후로는 엄격한 원산지 명칭이 아니며, 동물성 원료를 포함한 정제된 지방산의 최소 함량을 기준으로 하는 제품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오늘날에도 전통적인 마르세유 비누의 원료는 식물성이어야 한다.9. 교통
마르세유는 인근 마리냥에 위치한 국제공항인 마르세이유 프로방스 공항을 통해 항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프랑스에서 다섯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다.[100] 시 외곽으로는 A7, A51, A50, A8 등 주요 고속도로망이 발달하여 엑상프로방스, 툴롱, 프랑스 리비에라 등 주변 지역과 편리하게 연결된다.
주요 기차역인 마르세유 생샤를 역은 프랑스 남부의 TGV 주요 종착역 중 하나로, 파리까지 3시간대에 도달할 수 있으며, 엑상프로방스, 니스, 리옹, 보르도 등 국내 주요 도시 및 브뤼셀, 제네바, 프랑크푸르트, 런던(여름철 한정 유로스타), 밀라노(텔로) 등 국제 도시로 향하는 열차편도 제공한다. 생샤를 역 옆에는 장거리 버스 터미널이 있어 엑상프로방스, 카시 등 인근 도시로 이동할 수 있다.
'가르 마리팀(Gare Maritime)'이라 불리는 페리 터미널에서는 코르시카, 사르데냐, 북아프리카의 알제리, 튀니지 등지로 향하는 배편을 이용할 수 있다.
시내 대중교통은 레지 드 트랑스포르 드 마르세유(Régie des transports de Marseille, RTM)가 운영하는 지하철 2개 노선, 트램 3개 노선[101], 그리고 100개가 넘는 노선의 버스로 구성된다. 또한, 2007년에 도입된 자전거 공유 시스템인 "르 벨로(Le vélo)"[102]와 구항 양쪽 부두를 잇는 무료 페리, 구항과 푸앙트 루주(Pointe Rouge), 레스타크(L'Estaque) 등을 연결하는 유료 페리 셔틀 서비스도 운영되고 있다.[103]
9. 1. 항공

마르세유는 근교 마리냥에 위치한 국제공항인 마르세이유 프로방스 공항을 통해 항공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 공항은 프랑스에서 다섯 번째로 분주하며, 2012년에는 유럽에서 네 번째로 중요한 교통량 증가를 기록했다.[100] 또한 화물 처리량 기준으로는 프랑스 2위, 여객 처리량 기준으로는 3위 규모를 자랑한다. IATA 공항 코드는 MRS이며, 국제선 90편과 파리행 46편이 운항된다.
9. 2. 철도
마르세유의 주요 기차역은 마르세유 생샤를 역( Gare de Marseille-Saint-Charles프랑스어 )이다. 이 역은 프랑스 남부의 TGV 주요 종착역 중 하나이며, 고속 열차를 이용하면 파리까지 3시간, 리옹까지 1시간 반 남짓 걸린다. TGV 고속선 개통으로 브뤼셀까지의 소요 시간도 5시간으로 단축되었다.생샤를 역에서는 엑상프로방스, 브리앙송, 툴롱, 아비뇽, 니스, 몽펠리에, 툴루즈, 보르도, 낭트 등 프랑스 주요 도시로 가는 지역 및 직행 열차를 운행한다. 또한 릴, 제네바, 스트라스부르, 프랑크푸르트 등 국제 도시로 향하는 직행 TGV 노선도 이용할 수 있다. 여름철에는 런던으로 가는 유로스타 서비스가 운영되며, 니스와 제노바를 거쳐 밀라노로 가는 텔로( Thello프랑스어 ) 서비스도 매일 한 차례 운행한다.
생샤를 역 외에도 마르세유 시 동부와 북부에는 마르세유 블랑카르드 역을 포함한 11개의 지역 기차역이 있다. 생샤를 역의 현대식 확장 구역 옆에는 장거리 버스 터미널이 새로 마련되어, 주로 부슈뒤론 지역의 다른 도시들, 예를 들어 엑상프로방스, 카시, 라시오타, 오바뉴 등으로 가는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9. 3. 도로
마르세유는 광범위한 고속도로망을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된다. 북쪽과 서쪽으로는 A7과 A51이 엑상프로방스(Aix-en-Provence) 방면으로 이어지고, 동쪽으로는 A50이 툴롱(Toulon) 및 프랑스 리비에라(French Riviera)와 연결된다. 또한 A8을 통해 프랑스 리비에라(French Riviera)의 주요 도시들로 이동할 수 있다.
9. 4. 대중교통

마르세유의 대중교통은 레지 드 트랑스포르 드 마르세유(Régie des transports de Marseille, RTM)가 운영한다.
마르세유 메트로는 1977년에 개통된 1호선(파란색, 카스텔란(Castellane) ↔ 라 로즈(La Rose))과 1984년에서 1987년 사이에 개통된 2호선(빨간색, 생트 마르게리트 드로멜(Sainte-Marguerite-Dromel) ↔ 부갱빌(Bougainville))의 두 개 노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1호선은 1992년에 카스텔란에서 라 티몬(La Timone)까지 연장되었고, 2010년 5월에는 라 티몬에서 라 푸라주에르(La Fourragère)까지 2.5km 구간(4개 신규 역 포함)이 추가로 연장 개통되었다. 지하철은 회전문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역의 자동 판매기에서 티켓을 구매할 수 있다. 두 노선은 생 샤를 역(Gare Saint-Charles)과 카스텔란 역에서 서로 교차한다. 현재 메트로와 외곽 지역(카스텔란 → 루미니(Luminy), 캡테인 게즈–라 카뷔셀(La Cabucelle) → 발롱 데 튀브(Vallon des Tuves), 라 로즈 → 샤토 곰베르(Château Gombert)–생 제롬(Saint Jérôme))을 더 잘 연결하기 위해 3개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노선이 건설 중이다.
2007년에 개통된 트램은 3개 노선이 운행 중이며[101], CMA CGM 타워에서 레 케이유(Les Caillols)까지 이어진다. 트램 건설과 함께 보행자 전용도로 정비와 가로수 식재 등 도시 재개발이 함께 이루어졌으며, 항구 도시의 특성을 살려 배를 모티브로 한 독특한 디자인의 차량이 특징이다.
광범위한 버스 네트워크가 마르세유 시내와 교외를 연결하며, 104개 노선에 633대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2007년 시의회는 "르 벨로(Le vélo)"라는 자전거 공유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 서비스는 30분 미만의 이용은 무료이다.[102]
구항(Old Port)의 양쪽 부두 사이를 오가는 무료 페리 서비스가 운행된다. 2011년부터는 구항과 푸앙트 루주(Pointe Rouge)를 잇는 유료 페리 셔틀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2013년 봄부터는 레스타크(L'Estaque)까지 노선이 확대될 예정이었다.[103] 또한 구항에서 프리울, 칼랑크(Calanques), 카시(Cassis)까지 가는 페리 및 보트 여행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9. 5. 해상 교통
역사적으로 마르세유의 경제는 프랑스 제국의 항구로서의 역할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와 같은 북아프리카 식민지들을 프랑스 본토와 연결했다. 구항은 프랑스 제2제정 기간 동안 마르세유-포스 항의 일부가 된 졸리에트 항(Port de la Joliette)에 의해 주요 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을 대체되었다. 현재 구항은 레스토랑, 사무실, 바, 호텔 등이 들어서 있으며 주로 전용 요트 정박지로 기능하고 있다. 1970년대 1973년 석유 위기 이후 쇠퇴를 겪었던 항구와 부두의 대부분은 최근 유럽 연합의 자금으로 재개발되었다.
마르세유에서는 어업이 여전히 중요하며, 마르세유의 식량 경제는 현지 어획량에 의존한다. 구항의 벨기에 부두(Quai des Belges)에서는 여전히 매일 수산 시장이 열린다.
마르세유와 그 지역의 경제는 여전히 프랑스 최대 항구이자 화물 중량 기준 유럽 5위 항구인 상업 항구(마르세유-포스 항, 구항 북쪽, 포쉬르메르 동쪽에 위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항구 활동과 관련된 일자리는 약 4만 5천 개이며, 지역 경제에 40억유로의 부가가치를 창출한다.[28] 연간 1억 톤의 화물이 항구를 통과하며, 그중 60%는 석유이다. 이는 프랑스와 지중해에서는 1위, 유럽에서는 3위에 해당한다. 그러나 2000년대 초, 끊임없는 파업과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컨테이너 운송량 증가가 억제되었다.[29] 이 항구는 1,062,408개의 TEU를 처리하며 유럽에서 컨테이너 운송량 20위권에 속하며, 새로운 인프라를 통해 이미 처리 용량이 200만 TEU로 증가했다.[30]
마르세유는 운하를 통해 론강과 연결되어 프랑스의 광범위한 수로망에 접근할 수 있다. 석유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파리 분지로 북쪽으로 운송된다. 이 도시는 또한 프랑스 최대의 정유 중심지 역할을 한다.

마르세유에는 페리 터미널인 '가르 마리팀(Gare Maritime)'이 있으며, 코르시카, 사르데냐, 알제리, 튀니지로 가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상 교통은 코르시카 리네아(Corsica Linea)社와 라 메리디오날(La Méridionale)社가 제공하는 정기 페리로 코르시카섬(Corse)과 연결되어 있다. 코르시카 리네아는 알제리(Algérie)와 튀니지(Tunisie)로 가는 국제 항로도 제공하고 있다.
10. 교육
엑스마르세유대학교를 구성했던 세 대학의 여러 학부가 마르세유에 위치해 있었다.
- 프로방스 대학교
- 지중해 대학교
- 폴 세잔 대학교
이 세 대학은 2012년에 엑스-마르세유 대학교로 재통합되었다.
또한 마르세유에는 다음과 같은 4개의 그랑제콜(grandes écoles)이 있다.
- 마르세유 중앙 공과대학교 (중앙 그랑제콜 소속)
- 정보 및 신기술 대학
- 고등과학공과대학
- 케지 경영대학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국립보건의학연구소(INSERM), 국립농업연구소(INRA)를 포함한 주요 프랑스 연구 기관들이 마르세유에 잘 자리 잡고 있다. 과학 연구는 루미니(Luminy) 등 도시 여러 곳에 집중되어 있는데, 루미니에는 발생생물학 연구소(IBDML), 면역학 연구소(CIML), 해양 과학 및 신경생물학 연구소(INMED)가 있다. 또한 CNRS 조제프 아이귀에 캠퍼스(분자 및 환경 미생물학 연구)와 티모네 병원 부지(의학 미생물학 연구)에도 연구소들이 있다. 마르세유는 개발도상국 관련 문제 연구를 지원하는 개발연구소(Institut de recherche pour le développement, IRD) 본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11. 국제 관계
마르세유는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 및 공식적인 협력 협정을 맺으며 활발한 국제 교류를 하고 있다.[110][111] 특히 자매결연을 맺은 도시들은 마라케시를 제외하면 대부분 항구 도시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110]
11. 1. 자매 도시
마르세유는 총 15개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이 중 마라케시를 제외한 모든 도시는 항구 도시이다.[110]국가 | 도시 | 결연 연도 |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 | 1958년 |
벨기에 | 안트베르펜 | 1958년 |
덴마크 | 코펜하겐 | 1958년 |
이탈리아 | 제노바 | 1958년 |
이스라엘 | 하이파 | 1958년 |
독일 | 함부르크 | 1958년 |
일본 | 고베 | 1961년 |
세네갈 | 다카르 | 1968년 |
우크라이나 | 오데사 | 1972년 |
그리스 | 피레아스 | 1984년 |
중국 | 상하이 | 1987년 |
튀니지 | 튀니스 | 1989년 |
모로코 | 마라케시 | 2004년 |
영국 | 글래스고 | 2006년 |
이탈리아 | 나폴리 | 2024년 |
11. 2. 협력 도시
마르세유는 전 세계 여러 도시와 공식적인 협력 협정 및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협력 도시'''[111]
마르세유는 다음 21개 도시와 공식적인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도시 | 국가 | 협정 연도 |
---|---|---|
아가디르 | 모로코 | 2003[111] |
알렉산드리아 | 이집트 | 1991[111] |
알제 | 알제리 | 1980[111] |
바마코 | 말리 | 1991[111] |
바르셀로나 | 스페인 | 1998[111] |
베이루트 | 레바논 | 2003[111] |
카사블랑카 | 모로코 | 1998[111] |
이스탄불 | 튀르키예 | 2003[111] |
로메 | 토고 | 1995[111] |
리옹 | 프랑스 | [111] |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1999[111] |
테살로니키 | 그리스 | [112] |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 | 2013[111] |
메크네스 | 모로코 | 1998[111] |
라바트 | 모로코 | 1989[111] |
티라나 | 알바니아 | 1991[111][113] |
트리폴리 | 리비아 | 1991[111] |
튀니스 | 튀니지 | 1998[111] |
바르나 | 불가리아 | 2007[111] |
예루살렘 서구 | 이스라엘 | 2006[111] |
예레반 | 아르메니아 | 1992[111][114][115] |
'''자매 도시'''
마르세유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도시 | 국가 | 자매결연 연도 |
---|---|---|
아비장 | 코트디부아르 | 1958 |
안트베르펜 | 벨기에 | 1958 |
코펜하겐 | 덴마크 | 1958 |
제노바 | 이탈리아 | 1958 |
하이파 | 이스라엘 | 1958 |
함부르크 | 독일 | 1958 |
고베 | 일본 | 1961 |
다카르 | 세네갈 | 1968 |
오데사 | 우크라이나 | 1972 |
피레우스 | 그리스 | 1984 |
상하이 | 중화인민공화국 | 1987 |
마라케시 | 모로코 | 2004 |
리마솔 | 키프로스 |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2-09-13
[2]
웹사이트
Comparateur de territoire - Unité urbaine 2020 de Marseille-Aix-en-Provence (00759)
https://www.insee.fr[...]
INSEE
2022-04-08
[3]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 Marseille-Aix-en-Provence : Unité urbaine 2020 - Population municipale (historique depuis 1876)
https://statistiques[...]
2024-07-12
[4]
웹사이트
Comparateur de territoire - Aire d'attraction des villes 2020 de Marseille - Aix-en-Provence (003)
https://www.insee.fr[...]
INSEE
2022-04-08
[5]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 Marseille – Aix-en-Provence : Aire d'attraction des villes 2020 - Population municipale (historique depuis 1876)
https://statistiques[...]
2024-07-12
[6]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 Marseille : Commune - Population municipale (historique depuis 1876)
https://statistiques[...]
2024-07-12
[7]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 Métropole d'Aix-Marseille-Provence : Intercommunalité-Métropole - Population municipale (historique depuis 1876)
https://statistiques[...]
INSEE
2024-07-12
[8]
서적
Transalpine Gaul: the emergence of a Roman province
Brill Archive
[9]
서적
Concurrence entre les ports et les liaisons terrestres avec l'arrière-pays
2020-10-30
[10]
서적
Muslims and Jews in France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1-05
[11]
서적
Michelin Guide to Provence
[12]
문서
[13]
웹사이트
Marseille, France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2019-02-08
[14]
문서
1981–2010 averages
Météo France
[15]
웹사이트
France : top 20 des villes les plus ensoleillées
https://www.futura-s[...]
2023-04-29
[16]
웹사이트
Marignane (13)
https://donneespubli[...]
Meteo France
2022-07-14
[17]
웹사이트
Marseille, France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2019-07-02
[18]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the Standard WMO Climate Normal: The Key to Deriving Alternative Climate Normals
https://journals.am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9-02-08
[19]
웹사이트
Marseille–Obs (13)
https://donneespubli[...]
Meteo France
2018-03-10
[20]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la période 1981-2010 à Marseille Observatoire Longchamp
http://www.infoclima[...]
Infoclimat
2018-03-10
[21]
웹사이트
Marseille-Marignane (07650) - WMO Weather Station
ftp://ftp.atdd.noaa.[...]
NOAA
2019-02-04
[22]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la période 1981-2010 à Marseille Observatoire Longchamp
http://www.infoclima[...]
Infoclimat
2018-03-10
[23]
웹사이트
07650: Marseille / Marignane (France)
https://ogimet.com/c[...]
OGIMET
2021-12-30
[24]
서적
France in the World: A New Global History
[25]
웹사이트
France-Ottoman Ottoman History
https://ottoman.ahya[...]
2021-04-24
[26]
잡지
Les villes qui font bouger la France
http://www.lexpansio[...]
Roularta Media Group
2008-01-28
[27]
웹사이트
City statistics : Economy
https://stats.oecd.o[...]
2023-01-16
[28]
웹사이트
Record Container Year as Marseilles Fos Sets Vision for Future
http://www.marseille[...]
2013-03-08
[29]
웹사이트
Les ports français
http://www.ccomptes.[...]
2008-01-05
[30]
웹사이트
Marseille: Strategic Call for Arkas
http://www.portstrat[...]
Port Strategy
2013-03-12
[31]
웹사이트
Marseille Metropole Provence
http://www.marseille[...]
Marseille-provence.com
2010-02-01
[32]
웹사이트
Technopôles
http://www.marseille[...]
2013-03-12
[33]
웹사이트
Marseilles Euroméditerranée: Between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http://www.euromedit[...]
Établissement Public d'Aménagement Euroméditerranée
2003-03-08
[34]
웹사이트
Découvrir Marseille – Une ville de tourisme
http://www.marseille[...]
Marseille.fr
2013-05-05
[35]
웹사이트
Economie – Tourisme d'affaires et congrès
http://www.marseille[...]
Marseille.fr
2013-03-12
[36]
웹사이트
Foster Unveils Reflective Events Pavilion in Marseille
http://www.architect[...]
Architects Journal
2013-03-12
[37]
웹사이트
Jean-Claude Gaudin: Sénateur-Maire de Marseille
http://www.polytechn[...]
Polytechnique.fr
2010-02-01
[38]
뉴스
In Marseille, Rap Helps Keep the Peace
https://www.nytimes.[...]
2010-05-12
[39]
웹사이트
Mairies d'Arrondissements
http://www.marseille[...]
2007-11-16
[40]
문서
Marseille
[41]
서적
Histoire de la population française. Vol. 4: De 1914 à nos jours
https://books.google[...]
Quadrige /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89
[42]
웹사이트
Des villages de Cassini aux communes d'aujourd'hui
http://cassini.ehess[...]
2022-04-09
[43]
서적
Histoire de la population française. Vol. 4: De 1914 à nos jours
https://books.google[...]
Quadrige /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89
[44]
웹사이트
Individus localisés au canton-ou-ville en 2019 -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 Fichiers détail
https://www.insee.fr[...]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es (INSEE)
2023-02-19
[45]
웹사이트
Étrangers - Immigrés en 2019 : Aire d'attraction des villes 2020 de Marseille - Aix-en-Provence (003) : IMG1B - Pays de naissance détaillé - Sexe : Ensemble
https://www.insee.fr[...]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es (INSEE)
2023-01-16
[46]
논문
[47]
웹사이트
Local0631EN:Quality0667EN
http://www.eurofound[...]
2009-07-08
[48]
웹사이트
Les Vietnamiens a Marseille
http://newvietart.ne[...]
[49]
웹사이트
Citizenship and integration: Marseille, model of integration?
http://histgeo.ac-ai[...]
2023-11-13
[50]
웹사이트
Diverse Marseille Spared in French Riots
https://www.npr.org/[...]
NPR
2010-02-01
[51]
웹사이트
Les concentrations ethniques en France
http://www.societe-d[...]
2007
[52]
웹사이트
Insee – Population – Les immigrés récemment arrivés en France – Une immigration de plus en plus européenne
http://www.insee.fr/[...]
[53]
웹사이트
IMG1B - Population immigrée par sexe, âge et pays de naissance en 2019 - Commune de Marseille (13055)
https://www.insee.fr[...]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es (INSEE)
2023-02-21
[54]
웹사이트
Archdiocese of Marseille
http://www.catholic-[...]
Catholic hierarchy
2020-01-01
[55]
서적
The Burdens of Brotherhood: Jews and Muslims from North Africa to France
Harva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The European Culture Area: A Systematic Geograph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57]
웹사이트
Marseille Espérance. All different, all Marseilles, Part II
http://www.diplomati[...]
France Diplomatie
2010-04-10
[58]
웹사이트
Marseille Culture
https://web.archive.[...]
Marseillecityofculture.eu
2013-05-05
[59]
웹사이트
History of library
https://www.bmvr.mar[...]
[60]
웹사이트
Pierre Bertas
http://worldcat.org/[...]
[61]
간행물
Euro-Mediterranean Marseille: Redefining State Cultural Policy in an Era of Transnational Governance
2009
[62]
서적
Migrations, identités, et territoires à Marseille.Migrations, identités, et territoires à Marseille
Hamattan
[63]
간행물
Marseille's Melting Pot
2012-03
[64]
뉴스
Long Integrated, Marseille Is Spared. Southern Port Was Largely Quiet as Riots Raged in Other French Cities
2005-10-27
[65]
웹사이트
Marseille Provence 2013: European Capital of Culture
http://www.marseille[...]
[66]
학술지
European Capitals of Culture and Everyday Cultural Diversity: A Comparison of Liverpool (UK) and Marseilles (France).
2010
[67]
서적
The Culture of Cities.
Blackwell
[68]
웹사이트
11 millions de visiteurs pour la capitale européenne de la culture
http://www.ccimp.com[...]
2015-04-20
[69]
서적
European Cities and Towns
Oxford
[70]
뉴스
Marseille, the Secret Capital of France
2013-10-04
[71]
웹사이트
Armenian trade networks
http://ieg-ego.eu/en[...]
[72]
서적
Cartes à jouer & tarots de Marseille: La donation Camoin
https://books.google[...]
Alors Hors Du Temps
[null]
서적
Tarot, jeu et magie
Bibliothèque nationale
[73]
웹사이트
Opera in Genoa, Nice, Marseille, Montpellier, Barcelona
http://www.capsurope[...]
Capsuropera.com
2009-05-05
[74]
웹사이트
Schmap Marseille Sights & Attractions – 6th arrond
http://www.schmap.co[...]
Schmap.com
2009-05-05
[75]
웹사이트
Actualités
http://opera.marseil[...]
[76]
웹사이트
Marseille 2013
http://www.europride[...]
2013-06-28
[77]
웹사이트
March 2013 Newsletter
http://www.fidmarsei[...]
FIDMarseille
2013-03-12
[78]
웹사이트
octobre, 2012 – Dock des Suds : festivals, concerts de musique et location de salles à Marseille
http://www.dock-des-[...]
Dock des Suds
2013-03-12
[79]
뉴스
In Marseille, Rap Helps Keep the Peac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7-12-20
[null]
서적
Popular music in France from chanson to techno: culture, identity, and society
Ashgate Publishing
[80]
서적
Michelin Guide Vert -Côte dAzur
Michelin
[81]
웹사이트
History and traditional recipe of bouillabaisse
http://www.marseille[...]
[82]
서적
French Provincial Cooking
Penguin Classics
[83]
서적
Real Stew
https://archive.org/[...]
Harvard Common Press
[84]
서적
Cuisines des pays de France
Éditions du Chêne
[85]
서적
A Considerable Town
https://archive.org/[...]
Knopf
[86]
서적
The Food of France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87]
뉴스
Pass the Pastis
http://www.francetod[...]
France Today
2003-06-05
[88]
서적
Lulu's Provenc̜al Table: the exuberant food and wine from Domaine Tempier Vineyard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Publishers
[89]
웹사이트
The Highlights
http://www.marseille[...]
[90]
웹사이트
Présentation du CiPM
http://www.cipmarsei[...]
[91]
웹사이트
Christmas Time
http://www.marseille[...]
[92]
웹사이트
MuCEM and J4
http://www.marseille[...]
2015-04-02
[93]
웹사이트
Between the sky and the sea
http://www.villa-med[...]
2015-04-02
[94]
웹사이트
Regards de Provence Museum
http://www.museerega[...]
[95]
웹사이트
Opening of the Château Borély, Musée des Arts Décoratifs, de la Faïence et de la Mode
http://www.mp2013.fr[...]
2013-06-01
[96]
웹사이트
Musée d'Art Contemporain de Marseille
http://www.saatchiga[...]
Saatchi Gallery
2013-05-05
[97]
웹사이트
The Docks
http://www.marseille[...]
2015-05-27
[98]
웹사이트
The Beaches
http://www.marseille[...]
2015-05-27
[99]
웹사이트
Origins of the Calanques National Park
http://www.calanques[...]
2015-05-27
[100]
웹사이트
Marseille-Provence bat tous les records avec 8,3 millions de passagers en 2012
http://www.tourmag.c[...]
Tourmag.com
2013-03-12
[101]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Marseille tramway
http://www.le-tram.f[...]
Le-tram.fr
2010-02-01
[102]
웹사이트
Website for Le vélo
http://www.levelo-mp[...]
Levelo-mpm.fr
2010-02-01
[103]
웹사이트
Se déplacer – Navettes maritimes
http://www.marseille[...]
Marseille.fr
2004-09-26
[104]
웹사이트
Boules : Marseille capitale mondiale de la pétanque en 2012
http://www.laprovenc[...]
La Provence
2008-12-14
[105]
웹사이트
Sailing to Success
http://www.newsweek.[...]
2006-07-03
[106]
웹사이트
Scotto Opérettes Marseillaises Accord 4762107; Classical CD Reviews – November 2006 MusicWeb-International
http://www.musicweb-[...]
Musicweb-international.com
2009-05-05
[107]
저널
Darius Milhaud, Compositeur de Musique
http://www.cairn.inf[...]
[108]
서적
Ma Vie heureuse
Zurfluh
[109]
웹사이트
Jewish Australian kayaker Jessica Fox takes silver medal
http://www.jta.org/2[...]
2012-08-05
[110]
웹사이트
Marseille open on the world
http://www.marseille[...]
Marseille
2019-11-14
[111]
웹사이트
Accords de coopération
http://www.marseille[...]
[112]
웹사이트
Twinnings
http://www.kedke.gr/[...]
[113]
웹사이트
Twinning Cities: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tirana.go[...]
[114]
웹사이트
Yerevan – Twin Towns & Sister Cities
http://www.yerevan.a[...]
[115]
웹사이트
http://www.yerevan.a[...]
[116]
웹사이트
Μασσαλία
https://en.wiktionar[...]
Wiktionary
2022-10-13
[117]
서적
古代ギリシア 11の都市が語る歴史
白水社
[118]
뉴스
警官が検問中に少年を射殺、抗議集団と警察が衝突 パリ近郊
https://www.cnn.co.j[...]
CNN
2023-06-28
[119]
뉴스
フランス南部マルセイユで衝突と催涙ガス 警察による少年射殺に抗議続く
https://www.bbc.com/[...]
読売新聞
2023-07-02
[120]
뉴스
15歳少年、50回刺され生きたまま焼殺 仏マルセイユ
https://www.afpbb.co[...]
AFP
2024-10-07
[121]
웹사이트
Weather Information for Marseille
http://www.worldweat[...]
2010-08
[122]
웹사이트
Meteo France - Marseille
http://www.worldweat[...]
2010-08
[123]
웹사이트
Marseille - Notice Communale
http://cassini.ehess[...]
[124]
웹사이트
Insee - Statistiques locales
http://www.statistiq[...]
[125]
웹사이트
Insee -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ues
http://www.insee.fr
[126]
서적
宗教戦争
白水社
[127]
웹사이트
INSEE - Commune : Marseille - 13055 - Population totale par sexe, âge, type d'activité et situation quant à l'immigration
http://www.recenseme[...]
2008
[128]
웹사이트
Les voisins des jeunes d'origine étrangère en France
http://www.erudit.or[...]
2008
[129]
저널
Les jeunes d'origine étrangère
[130]
웹사이트
Les concentrations ethniques en France
http://www.societe-d[...]
[131]
서적
地球の歩き方 2020-2021 南仏 プロヴァンス コート・ダジュール&モナコ
ダイヤモンド社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132]
서적
産業の驚異
[133]
서적
Marseille
https://books.google[...]
Fayard
2016-05-16
[134]
웹인용
Béziers est bien la ville la plus ancienne de France
https://www.midilibr[...]
Midi libre
2018-04-12
[135]
저널
Les Grecs de Marseille dans la deuxième moitié du XIXs
https://www.persee.f[...]
[136]
웹사이트
Marseille : le port pèse 43500 emplois, en hausse de 5 % en quatre ans
http://www.lemarin.f[...]
[137]
웹인용
Marseille n'est plus le premier port de Méditerranée
https://www.actu-tra[...]
2014-02-04
[138]
웹인용
Ports maritimes européens à l'horizon 2030 : les défis à venir
http://europa.eu/rap[...]
[139]
웹인용
Drac paca - Protections au titre des monuments historiques
http://www.culture.g[...]
프랑스 문화부
2014-08-08
[140]
웹인용
Marseille devient le 7ème hub mondial
https://datacenter-m[...]
dcmag.fr
2022-01-18
[141]
웹인용
Marseille, l'un des derniers hubs côtiers d'interconnexion Télécom et de contenus digitaux établis en Europe
https://www.interxio[...]
2021-11-09
[142]
웹인용
Échanges numériques : comment la France tire son épingle du jeu
https://www.journald[...]
2021-11-09
[143]
웹인용
Marseille Géographie
https://www.provence[...]
2019-03-05
[144]
법령
Décret n° 2012-507 du 18 avril 2012 créant le Parc national des Calanques
[145]
웹사이트
Les sites de plongée à Marseille
http://www.plongee-l[...]
2011-07-15
[146]
웹인용
Marignane (13)
https://donneespubli[...]
프랑스 기상청
2022-07-14
[147]
논문
Marseille avant Marseille. La fréquentation préhistorique du site.
2006-07-08 # Assuming July-August means sometime in July
[148]
웹인용
신석기 시대 유물 관련 기사
https://web.archive.[...]
2016-02-04
[149]
서적
반 룬의 지리학
도서출판 아이필드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