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알바니아, 아이슬란드, 몰타를 제외한 29개 팀이 참가하여 8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2조에서는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가 승점 동률로 플레이오프를 통해 체코슬로바키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서독의 게르트 뮐러가 9골로 최다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축구 전쟁
축구 전쟁은 1969년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월드컵 예선 축구 경기 결과가 기폭제가 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이민, 경제적 불균형, 국경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막대한 피해와 함께 사회·정치적 후유증을 낳았으나, 국제 기구의 중재와 판결을 통해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갈등을 종식시켰다.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총 3라운드로 진행되어 이스라엘이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권은 냉전 시대 정치적 갈등이 축구에 영향을 미친 사례로 남아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 2위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진출팀을 가려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2003년 12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개최국 독일을 제외한 51개 팀이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적으로 1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197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UEFA) |
연도 | 1970년 |
날짜 | 1968년 5월 19일 - 1969년 12월 7일 |
참가 팀 수 | 29개국 |
연맹 | 1개 |
이전 대회 | 1966년 |
다음 대회 | 1974년 |
UEFA 선수권 대회 예선 | |
확장 | FIFA |
2. 조 편성 방식
알바니아는 FIFA에 의해 참가가 거부되었으며, 아이슬란드와 몰타는 참가를 하지 않았다. 나머지 29개 팀은 4개 팀으로 구성된 5개 조와 3개 팀으로 구성된 3개 조로 나뉘어 총 8개 조로 편성되었다. 8개 조의 조별 승자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197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조 추첨은 1968년 2월 1일 카사블랑카에서 진행되었다. 조 추첨 과정에서 참가팀들은 4개의 시드 그룹으로 나뉘어 8개의 예선 조로 배정되었다.
A 그룹 | B 그룹 | C 그룹 | D 그룹 |
---|---|---|---|
197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1조부터 8조까지 8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의 1위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3. 조별 리그
1조
1조에서는 루마니아가 3승 2무 1패, 승점 8점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각 경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조 ~ 8조2조부터 8조까지도 1조와 같은 방식으로 조별 리그가 진행되었으며, 각 조의 1위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각 조 1위 팀 및 경기 결과는 원본 텍스트에서 추출해야 함)
3. 1. 1조
'''루마니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날짜 | 경기 | 결과 |
---|---|---|
1968년 10월 12일 | 스위스 바젤 | 스위스 1 – 0 그리스 |
1968년 10월 27일 | 포르투갈 리스본 | 포르투갈 3 – 0 루마니아 |
1968년 11월 23일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2 – 0 스위스 |
1968년 12월 11일 | 그리스 피레아스 | 그리스 4 – 2 포르투갈 |
1969년 4월 16일 | 그리스 피레아스 | 그리스 2 – 2 루마니아 |
1969년 4월 16일 | 포르투갈 리스본 | 포르투갈 0 – 2 스위스 |
1969년 5월 4일 | 포르투갈 포르투 | 포르투갈 2 – 2 그리스 |
1969년 5월 14일 | 스위스 로잔 | 스위스 0 – 1 루마니아 |
1969년 10월 12일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1 – 0 포르투갈 |
1969년 10월 15일 | 그리스 테살로니키 | 그리스 4 – 1 스위스 |
1969년 11월 2일 | 스위스 베른 | 스위스 1 – 1 포르투갈 |
1969년 11월 16일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1 – 1 그리스 |
3. 2. 2조
2조는 루마니아, 그리스, 스위스, 포르투갈이 속해 있었다. 루마니아가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날짜 | 경기 | 결과 |
---|---|---|
1968년 10월 12일 | 바젤 | 스위스 1 – 0 그리스 |
1968년 10월 27일 | 리스본 | 포르투갈 3 – 0 루마니아 |
1968년 11월 23일 |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2 – 0 스위스 |
1968년 12월 11일 | 피레아스 | 그리스 4 – 2 포르투갈 |
1969년 4월 16일 | 피레아스 | 그리스 2 – 2 루마니아 |
1969년 4월 16일 | 리스본 | 포르투갈 0 – 2 스위스 |
1969년 5월 4일 | 포르투 | 포르투갈 2 – 2 그리스 |
1969년 5월 14일 | 로잔 | 스위스 0 – 1 루마니아 |
1969년 10월 12일 |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1 – 0 포르투갈 |
1969년 10월 15일 | 테살로니키 | 그리스 4 – 1 스위스 |
1969년 11월 2일 | 베른 | 스위스 1 – 1 포르투갈 |
1969년 11월 16일 |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1 – 1 그리스 |
3. 3. 3조
3조는 루마니아, 그리스, 스위스, 포르투갈이 속했다.- 1968년 10월 12일, 스위스는 바젤에서 그리스를 1-0으로 이겼다.
- 1968년 10월 27일, 포르투갈은 리스본에서 루마니아를 3-0으로 이겼다.
- 1968년 11월 23일, 루마니아는 부쿠레슈티에서 스위스를 2-0으로 이겼다.
- 1968년 12월 11일, 그리스는 피레아스에서 포르투갈을 4-2로 이겼다.
- 1969년 4월 16일, 그리스와 루마니아는 피레아스에서 2-2로 비겼다.
- 1969년 4월 16일, 포르투갈은 리스본에서 스위스에 0-2로 졌다.
- 1969년 5월 4일, 포르투갈과 그리스는 포르투에서 2-2로 비겼다.
- 1969년 5월 14일, 스위스는 로잔에서 루마니아에 0-1로 졌다.
- 1969년 10월 12일, 루마니아는 부쿠레슈티에서 포르투갈을 1-0으로 이겼다.
- 1969년 10월 15일, 그리스는 테살로니키에서 스위스를 4-1로 이겼다.
- 1969년 11월 2일, 스위스와 포르투갈은 베른에서 1-1로 비겼다.
- 1969년 11월 16일, 루마니아와 그리스는 부쿠레슈티에서 1-1로 비겼다.
루마니아가 3승 2무 1패, 승점 8점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3. 4. 4조
- 1968년 10월 12일, 바젤: 스위스 1 – 0 그리스
- 1968년 10월 27일, 리스본: 포르투갈 3 – 0 루마니아
- 1968년 11월 23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2 – 0 스위스
- 1968년 12월 11일, 피레아스: 그리스 4 – 2 포르투갈
- 1969년 4월 16일, 피레아스: 그리스 2 – 2 루마니아
- 1969년 4월 16일, 리스본: 포르투갈 0 – 2 스위스
- 1969년 5월 4일, 포르투: 포르투갈 2 – 2 그리스
- 1969년 5월 14일, 로잔: 스위스 0 – 1 루마니아
- 1969년 10월 12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0 포르투갈
- 1969년 10월 15일, 테살로니키: 그리스 4 – 1 스위스
- 1969년 11월 2일, 베른: 스위스 1 – 1 포르투갈
- 1969년 11월 16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1 그리스
'''루마니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3. 5. 5조
- 1968년 10월 12일, 바젤: 스위스 1 – 0 그리스
- 1968년 10월 27일, 리스본: 포르투갈 3 – 0 루마니아
- 1968년 11월 23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2 – 0 스위스
- 1968년 12월 11일, 피레아스: 그리스 4 – 2 포르투갈
- 1969년 4월 16일, 피레아스: 그리스 2 – 2 루마니아
- 1969년 4월 16일, 리스본: 포르투갈 0 – 2 스위스
- 1969년 5월 4일, 포르투: 포르투갈 2 – 2 그리스
- 1969년 5월 14일, 로잔: 스위스 0 – 1 루마니아
- 1969년 10월 12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0 포르투갈
- 1969년 10월 15일, 테살로니키: 그리스 4 – 1 스위스
- 1969년 11월 2일, 베른: 스위스 1 – 1 포르투갈
- 1969년 11월 16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1 그리스
'''루마니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3. 6. 6조
- 1968년 10월 12일, 바젤: 스위스 1 - 0 그리스
- 1968년 10월 27일, 리스본: 포르투갈 3 - 0 루마니아
- 1968년 11월 23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2 - 0 스위스
- 1968년 12월 11일, 피레아스: 그리스 4 - 2 포르투갈
- 1969년 4월 16일, 피레아스: 그리스 2 - 2 루마니아
- 1969년 4월 16일, 리스본: 포르투갈 0 - 2 스위스
- 1969년 5월 4일, 포르투: 포르투갈 2 - 2 그리스
- 1969년 5월 14일, 로잔: 스위스 0 - 1 루마니아
- 1969년 10월 12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0 포르투갈
- 1969년 10월 15일, 테살로니키: 그리스 4 - 1 스위스
- 1969년 11월 2일, 베른: 스위스 1 - 1 포르투갈
- 1969년 11월 16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1 그리스
'''루마니아'''가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3. 7. 7조
- 1968년 10월 12일, 바젤: 스위스 1 – 0 그리스
- 1968년 10월 27일, 리스본: 포르투갈 3 – 0 루마니아
- 1968년 11월 23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2 – 0 스위스
- 1968년 12월 11일, 피레아스: 그리스 4 – 2 포르투갈
- 1969년 4월 16일, 피레아스: 그리스 2 – 2 루마니아
- 1969년 4월 16일, 리스본: 포르투갈 0 – 2 스위스
- 1969년 5월 4일, 포르투: 포르투갈 2 – 2 그리스
- 1969년 5월 14일, 로잔: 스위스 0 – 1 루마니아
- 1969년 10월 12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0 포르투갈
- 1969년 10월 15일, 테살로니키: 그리스 4 – 1 스위스
- 1969년 11월 2일, 베른: 스위스 1 – 1 포르투갈
- 1969년 11월 16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1 그리스
'''루마니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3. 8. 8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România|루마니아ro | 6 | 3 | 2 | 1 | 7 | 6 | +1 | 8 |
Ελλάς|그리스el | 6 | 2 | 3 | 1 | 13 | 9 | +4 | 7 |
Schweiz|스위스de | 6 | 2 | 1 | 3 | 5 | 8 | -3 | 5 |
Portugal|포르투갈pt | 6 | 1 | 2 | 3 | 8 | 10 | -2 | 4 |
- 1968년 10월 12일, 스위스 바젤: 스위스 1 – 0 그리스
- 1968년 10월 27일, 포르투갈 리스본: 포르투갈 3 – 0 루마니아
- 1968년 11월 23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2 – 0 스위스
- 1968년 12월 11일, 그리스 피레아스: 그리스 4 – 2 포르투갈
- 1969년 4월 16일, 그리스 피레아스: 그리스 2 – 2 루마니아
- 1969년 4월 16일, 포르투갈 리스본: 포르투갈 0 – 2 스위스
- 1969년 5월 4일, 포르투갈 포르투: 포르투갈 2 – 2 그리스
- 1969년 5월 14일, 스위스 로잔: 스위스 0 – 1 루마니아
- 1969년 10월 12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0 포르투갈
- 1969년 10월 15일, 그리스 테살로니키: 그리스 4 – 1 스위스
- 1969년 11월 2일, 스위스 베른: 스위스 1 – 1 포르투갈
- 1969년 11월 16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1 그리스
'''루마니아'''가 합계 3승 2무 1패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4. 플레이오프 (2조)
체코슬로바키아와 헝가리는 승점이 같아 월드컵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중립 구장에서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체코슬로바키아가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월드컵에 진출했다.
5. 본선 진출팀
6. 득점 선수
'''197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의 득점자는 다음과 같다.
선수 | 골 |
---|---|
게르트 뮐러 | 9 |
루이지 리바, 브와지미에시 루반스키 | 7 |
요한 데브린트, 페렌츠 베네, 카지미에시 데이나, 콜린 스타인, 오베 킨드발 | 6 |
에리히 호프, 오딜롱 폴레니스, 요제프 아다메츠 | 5 |
헬무트 레들,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흐리스토 보네프, 안제이 야로시크, 드라간 자이치 | 4 |
카롤 요클, 올레 쇠렌센, 아르토 톨사, 에르베 레벨리, 바실리스 보티노스, 요르고스 시데리스, 안탈 두나이, 올라 디브바드-올센, 에우제비우, 플로레아 드미트라케, 앨런 길젠, 호세 에울로히오 가라테, 볼프강 오베라트, 바히딘 무세미치, 슬라벤 잠바타 | 3 |
빌프리트 퓌, 딘코 데르멘지예프, 블라디미르 하가라, 라디슬라프 쿠나, 안드레이 크바슈냐크, 볼프람 뢰베, 에베르하르트 포겔, 토미 린드홀름, 장클로드 브라스, 요르고스 데데스, 러요시 코치슈, 돈 기번스, 산드로 마촐라, 요니 레오나르, 테오 팔플라츠, 테리 하킨, 자신투 산투스, 바비 머독, 카키 아사티아니, 볼로디미르 문티안, 기비 노디아, 아만시오 아마로, 보 라르손, 프리츠 큔즐리, 조르주 빌레미에, 헬무트 할러, 요십 부칼, 메토디예 스파소브스키 | 2 |
빌헬름 크로이츠, 헬무트 시베르, 아우구스트 스타렉, 레옹 셈멜링, 디미터 페네프, 디미터 야키모프, 파니코스 에프티미아디스, 니코스 칸칠리에리스, 두샨 카바트, 프란티셰크 베셀리, 벤트 옌센, 울리크 르 페브르, 올레 마드센, 헤닝 프렌젤, 한스위르겐 크라이셰, 페터 로크, 투로 플링크, 장 조르카에프, 미미스 도마조스, 코스타스 엘레프테라키스, 요르고스 쿠다스, 미미스 파파이오아누, 플로리안 알베르트, 야노시 파르카스, 러슬로 파제카시, 졸탄 할모시, 러요시 푸슈카시, 러요시 슈치, 에이먼 로저스, 안젤로 도멩기니, 요시 키르첸스, 폴 필리프, 요한 크라위프, 디크 판 데이크, 빌럼 판 하네헴, 빔 얀센, 자크 로그게빈, 비체 베엔스트라, 헨크 베리, 조지 베스트, 윌리엄 캠벨, 데릭 두건, 에릭 맥모디, 지미 니콜슨, 오드 이베르센, 브로니스와프 불라, 예지 빌림, 호세 아우구스투 데 알메이다, 자신투 조앙, 페르난두 페르스, 에메리흐 뎀브로브스키, 니콜라에 도브린, 플라비우스 도미데, 빌리 브렘너, 토미 젬멜, 에디 그레이, 윌리 헨더슨, 지미 존스톤, 데니스 로, 빌리 맥닐, 아나톨리 비쇼베츠, 비탈리 흐멜니츠키, 후안 마누엘 아센시, 미겔 앙헬 부스틸로, 피리, 호아킨 시에라, 마누엘 벨라스케스, 레이프 에릭손, 오베 그란, 롤란드 그리프, 외르얀 페르손, 르네피에르 캉탱, 에데르 콘자, 오균 알트파르마크, 마이크 잉글랜드, 데이비드 파월, 존 토샥, 클라우스 피히텔, 지크프리트 헬트, 호르스트디터 회트게스, 라인하르트 리부다, 막스 로렌츠, 루돌프 벨린, 이비차 오심, 미로슬라프 파블로비치, 데니얄 피리치, 에딘 스프레초 | 1 |
6. 1. 주요 득점 선수
선수 | 골 |
---|---|
게르트 뮐러 | 9 |
루이지 리바 | 7 |
브와지미에시 루반스키 | 7 |
요한 데브린트 | 6 |
페렌츠 베네 | 6 |
카지미에시 데이나 | 6 |
콜린 스타인 | 6 |
오베 킨드발 | 6 |
에리히 호프 | 5 |
오딜롱 폴레니스 | 5 |
요제프 아다메츠 | 5 |
헬무트 레들 | 4 |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 4 |
흐리스토 보네프 | 4 |
안제이 야로시크 | 4 |
드라간 자이치 | 4 |
카롤 요클 | 3 |
올레 쇠렌센 | 3 |
아르토 톨사 | 3 |
에르베 레벨리 | 3 |
바실리스 보티노스 | 3 |
요르고스 시데리스 | 3 |
안탈 두나이 | 3 |
올라 디브바드-올센 | 3 |
에우제비우 | 3 |
플로레아 드미트라케 | 3 |
앨런 길젠 | 3 |
호세 에울로히오 가라테 | 3 |
볼프강 오베라트 | 3 |
바히딘 무세미치 | 3 |
슬라벤 잠바타 | 3 |
빌프리트 퓌 | 2 |
딘코 데르멘지예프 | 2 |
블라디미르 하가라 | 2 |
라디슬라프 쿠나 | 2 |
안드레이 크바슈냐크 | 2 |
볼프람 뢰베 | 2 |
에베르하르트 포겔 | 2 |
토미 린드홀름 | 2 |
장클로드 브라스 | 2 |
요르고스 데데스 | 2 |
러요시 코치슈 | 2 |
돈 기번스 | 2 |
산드로 마촐라 | 2 |
요니 레오나르 | 2 |
테오 팔플라츠 | 2 |
테리 하킨 | 2 |
자신투 산투스 | 2 |
바비 머독 | 2 |
카키 아사티아니 | 2 |
볼로디미르 문티안 | 2 |
기비 노디아 | 2 |
아만시오 아마로 | 2 |
보 라르손 | 2 |
프리츠 큔즐리 | 2 |
조르주 빌레미에 | 2 |
헬무트 할러 | 2 |
요십 부칼 | 2 |
메토디예 스파소브스키 | 2 |
빌헬름 크로이츠 | 1 |
헬무트 시베르 | 1 |
아우구스트 스타렉 | 1 |
레옹 셈멜링 | 1 |
디미터 페네프 | 1 |
디미터 야키모프 | 1 |
파니코스 에프티미아디스 | 1 |
니코스 칸칠리에리스 | 1 |
두샨 카바트 | 1 |
프란티셰크 베셀리 | 1 |
벤트 옌센 | 1 |
울리크 르 페브르 | 1 |
올레 마드센 | 1 |
헤닝 프렌젤 | 1 |
한스위르겐 크라이셰 | 1 |
페터 로크 | 1 |
투로 플링크 | 1 |
장 조르카에프 | 1 |
미미스 도마조스 | 1 |
코스타스 엘레프테라키스 | 1 |
요르고스 쿠다스 | 1 |
미미스 파파이오아누 | 1 |
플로리안 알베르트 | 1 |
야노시 파르카스 | 1 |
러슬로 파제카시 | 1 |
졸탄 할모시 | 1 |
러요시 푸슈카시 | 1 |
러요시 슈치 | 1 |
에이먼 로저스 | 1 |
안젤로 도멩기니 | 1 |
요시 키르첸스 | 1 |
폴 필리프 | 1 |
요한 크라위프 | 1 |
디크 판 데이크 | 1 |
빌럼 판 하네헴 | 1 |
빔 얀센 | 1 |
자크 로그게빈 | 1 |
비체 베엔스트라 | 1 |
헨크 베리 | 1 |
조지 베스트 | 1 |
윌리엄 캠벨 | 1 |
데릭 두건 | 1 |
에릭 맥모디 | 1 |
지미 니콜슨 | 1 |
오드 이베르센 | 1 |
브로니스와프 불라 | 1 |
예지 빌림 | 1 |
호세 아우구스투 데 알메이다 | 1 |
자신투 조앙 | 1 |
페르난두 페르스 | 1 |
에메리흐 뎀브로브스키 | 1 |
니콜라에 도브린 | 1 |
플라비우스 도미데 | 1 |
빌리 브렘너 | 1 |
토미 젬멜 | 1 |
에디 그레이 | 1 |
윌리 헨더슨 | 1 |
지미 존스톤 | 1 |
데니스 로 | 1 |
빌리 맥닐 | 1 |
아나톨리 비쇼베츠 | 1 |
비탈리 흐멜니츠키 | 1 |
후안 마누엘 아센시 | 1 |
미겔 앙헬 부스틸로 | 1 |
피리 | 1 |
호아킨 시에라 | 1 |
마누엘 벨라스케스 | 1 |
레이프 에릭손 | 1 |
오베 그란 | 1 |
롤란드 그리프 | 1 |
외르얀 페르손 | 1 |
르네피에르 캉탱 | 1 |
에데르 콘자 | 1 |
오균 알트파르마크 | 1 |
마이크 잉글랜드 | 1 |
데이비드 파월 | 1 |
존 토샥 | 1 |
클라우스 피히텔 | 1 |
지크프리트 헬트 | 1 |
호르스트디터 회트게스 | 1 |
라인하르트 리부다 | 1 |
막스 로렌츠 | 1 |
루돌프 벨린 | 1 |
이비차 오심 | 1 |
미로슬라프 파블로비치 | 1 |
데니얄 피리치 | 1 |
에딘 스프레초 | 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