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4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을 시작으로, FIFA 월드컵에서 3번의 8강 진출과 UEFA 유로 2020, 2024에서 8강에 오르는 등 국제 대회에서 꾸준한 성적을 거두었다. 1990년대 로이 호지슨 감독, 2000년대 쾨비 쿤 감독 시대를 거쳐 2021년부터는 무라트 야킨 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 B팀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 B팀은 스위스 국가대표팀의 2군으로, 1932년 룩셈부르크와의 경기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경기를 가졌으며, 스위스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 스위스포어아레나
스위스 루체른에 위치한 스위스포어아레나는 슈타디온 알멘트 자리에 건설된 축구 경기장으로,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개최 및 UEFA 여자 유로 2025 조별 리그 개최 예정이며, 지붕의 태양광 발전 설비로 전력 생산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에 기여한다. - 스위스 축구에 관한 - FC 샤프하우젠
FC 샤프하우젠은 1896년 창단된 스위스 축구 클럽으로, 1950-60년대 전성기를 누렸으며 스위스컵 준우승 2회, 2012-13 시즌 프로모션리그 우승 후 챌린지리그에 승격하여 현재 프라이알텐-아레나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스위스 축구에 관한 - FC 빌-비엔
FC 빌-비엔은 1947년 스위스 슈퍼리그 우승 경력이 있으며, 스위스 챌린지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현재는 라파엘 라드케 등을 포함한 선수 명단으로 운영되고 있다. - 축구에 관한 - 2010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은 아프리카 대륙 최초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어 스페인이 우승했으나, 부패 의혹과 개최국의 조별 리그 탈락, 자불라니와 부부젤라 소리 등 여러 화제를 낳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이미지 제고와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대회이다. - 축구에 관한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의해 운영되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2020년 유로 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스코틀랜드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웸블리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
별칭 | A-Team 'Nati' (국가대표팀) 'Rossocrociati' (적십자) |
협회 | 스위스 축구 협회 |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UEFA) |
감독 | 무라트 야킨 |
주장 | 그라니트 자카 |
최다 출장 선수 | 그라니트 자카 (135) |
최다 득점 선수 | 알렉산더 프라이 (42) |
FIFA 트리그램 | SUI |
FIFA 랭킹 | 19위 (2024년 4월 4일 기준) |
FIFA 최고 랭킹 | 3위 |
FIFA 최고 랭킹 날짜 | 1993년 8월 |
FIFA 최저 랭킹 | 83위 |
FIFA 최저 랭킹 날짜 | 1998년 12월 |
Elo 랭킹 | 21위 (2024년 6월 15일 기준) |
Elo 최고 랭킹 | 8위 |
Elo 최고 랭킹 날짜 | 2018년 6월 |
Elo 최저 랭킹 | 62위 |
Elo 최저 랭킹 날짜 | 1979년 10월 |
유니폼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sui24h pattern_b1: _sui24h pattern_ra1: _sui24h pattern_sh1: _sui24h pattern_so1: leftarm1: FF0000 body1: FF0000 rightarm1: FF0000 shorts1: A60014 socks1: FF00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sui24a pattern_b2: _sui24a pattern_ra2: _sui24a pattern_sh2: _sui24a pattern_so2: _sui24al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경기 정보 | |
첫 경기 | 프랑스 1–0 스위스 (1905년 2월 12일, 파리) |
최대 점수차 승리 | 스위스 9–0 리투아니아 (1924년 5월 25일, 파리) |
최대 점수차 패배 | 스위스 0–9 잉글랜드 (1909년 5월 20일, 바젤) 헝가리 9–0 스위스 (1911년 10월 29일, 부다페스트) |
월드컵 | |
월드컵 출전 횟수 | 12 |
월드컵 첫 출전 | 1934년 |
월드컵 최고 성적 | 8강 ( 1934년, 1938년, 1954년 ) |
유럽 선수권 대회 | |
유럽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 6 |
유럽 선수권 대회 첫 출전 | 1996년 |
유럽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8강 ( 2020년, 2024년 ) |
UEFA 네이션스 리그 | |
UEFA 네이션스 리그 결선 토너먼트 출전 횟수 | 1 |
UEFA 네이션스 리그 결선 토너먼트 첫 출전 | 2019년 |
UEFA 네이션스 리그 결선 토너먼트 최고 성적 | 4위 ( 2019년 ) |
올림픽 | |
올림픽 메달 | 대회: 올림픽 축구 메달: 은메달 (1924년 파리) |
2. 역사
스위스는 1924년 하계 올림픽 결승전에서 우루과이에 0-3으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7] 1934년 FIFA 월드컵을 시작으로 1938년 FIFA 월드컵,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8강에 진출했으나, 각각 체코, 헝가리, 오스트리아에 패했다.[8][9][10][11][12][14][15][16][17] 1950년, 1962년, 1966년 월드컵 본선에도 진출했지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3][18][19]
1992년 로이 호지슨 감독 부임 후 스위스는 1993년 8월 FIFA 랭킹 3위를 기록했고,[20][21] 199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여 16강에 올랐으나 스페인에 패했다.[22][31] UEFA 유로 1996 본선에도 처음 진출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32][33][34]
UEFA 유로 2004 예선에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지만,[39] B조에서 크로아티아와 비기고 잉글랜드와 프랑스에 패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40][41][42][43] 요한 볼란텐은 프랑스전에서 득점하며 웨인 루니를 제치고 유로 대회 최연소 득점 기록을 세웠다.[44]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터키를 꺾고 본선에 진출,[45] G조에서 프랑스와 비기고 토고와 대한민국을 꺾으며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46][47][48] 그러나 16강에서 우크라이나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49]
오스트리아와 공동 개최한 UEFA 유로 2008에서는 A조에서 체코와 터키에 패하고 포르투갈을 이겼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50][3][51][4][52]
2010년 FIFA 월드컵 첫 경기에서 스페인을 꺾었지만,[53] 칠레에 패하고 온두라스와 비기면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54][55][56][57]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59]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16강에 진출했지만, 아르헨티나에 패했다.[70][71][72] UEFA 유로 2016에서는 16강에 진출했지만, 폴란드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79][80][81]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9승 1패를 기록하고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에 진출,[92][82][91][93] 조별 리그를 통과했으나 16강에서 스웨덴에 패했다.[107] UEFA 유로 2020에서는 16강에서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110][111] 8강에서 스페인에 승부차기로 패했다.[112]
2021년 무라트 야킨 감독 부임 후,[113] 2022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이탈리아를 제치고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114] G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으나, 포르투갈에 패했다.[115] UEFA 유로 2024 예선에서는 루마니아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했다.[116] 유로 2024 본선에서 조 2위로 16강에 진출, 이탈리아를 꺾고 8강에 진출했다.[117]
2. 1. 1924–1966: 초창기와 월드컵 개최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스위스는 결승전에서 우루과이에 0-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7] 월드컵에 처음 출전한 1934년 대회에서는 16강전에서 네덜란드를 3-2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지만, 체코슬로바키아에 패하며 탈락했다.[8][9] 1938년 대회에서도 16강전에서 독일을 재경기 끝에 4-2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지만, 헝가리에 0-2로 패하며 탈락했다.[10][11][12]1950년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브라질, 유고슬라비아, 멕시코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개막전에서 유고슬라비아에 0-4로 패하고, 두 번째 경기에서 브라질과 2-2로 비겼으며,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 멕시코를 2-1로 이겼다. 결과적으로 조 3위를 기록했다.[13] 1946년 7월 22일, 스위스는 룩셈부르크 시티에서 열린 투표에서 1954년 월드컵 개최권을 단독으로 획득했다.[14]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잉글랜드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했다. 이탈리아를 이기고 잉글랜드에 패했지만,[15] 이탈리아와의 조별 재경기에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다.[16] 그러나 8강에서 오스트리아에 5-7로 패하며 탈락했다.[17]
1962년 월드컵에서는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세 경기 모두 패했다. 칠레에 1-3, 서독에 1-2, 이탈리아에 0-3으로 패했다.[18] 1966년 월드컵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는 세 경기 모두 패하며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서독에 0-5, 스페인에 1-2, 아르헨티나에 0-2로 패했다.[19]
2. 2. 1992–1996: 로이 호지슨 시대
1992년, 스위스는 잉글랜드 출신 로이 호지슨 감독을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했다. 당시 스위스는 1966년 이후로 어떤 메이저 대회에도 진출하지 못했다.[20] 호지슨 감독의 지휘 아래 스위스는 1993년 8월 피파 랭킹 3위에 올랐는데, 이는 현재까지도 스위스의 최고 랭킹으로 남아 있다.[21]호지슨 감독은 스위스를 1994년 FIFA 월드컵으로 이끌었는데, 예선 조에서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코틀랜드와 같은 강팀들과 경쟁하며 단 한 경기만 패했다.[22] 스위스는 이탈리아와의 홈 경기에서 승리했고, 원정 경기에서는 2-0으로 앞서 나가다 2-2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스코틀랜드와의 경기에서는 홈에서 3-1로 승리하고 원정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4점을 획득했다.[23][24][25] 포르투갈과의 경기에서는 홈에서 1-1 무승부를 거두었고, 포르투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패하며 예선에서 유일한 패배를 기록했다.[26][27]
1994년 6월 18일 개최국 미국과의 개막전은 폰티악 실버돔(Pontiac Silverdome), 디트로이트에서 실내 경기장에서 열렸고, 두 팀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28] 다음 경기에서 루마니아를 4-1로 이겼고, 마지막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서는 2-0으로 패했다.[29][30]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위스는 조별 리그를 통과했지만, 스페인에 3-0으로 패하며 탈락했다.[31]
2. 3. 2000–2008: 쾨비 쿤 시대
UEFA 유로 1996 예선에서 스위스는 터키에 한 번(1-2) 패했을 뿐, 조 1위를 차지하며 잉글랜드에서 개최된 본선에 진출했다.[32][33] A조에 편성되었으나,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34] 개막전에서는 개최국 잉글랜드와 1-1 무승부를 기록했고,[35] 두 번째 경기에서는 네덜란드에 0-2로 패했으며, 마지막 조별리그 경기에서는 스코틀랜드에 0-1로 패했다.[36][37]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스위스는 조 4위를 기록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3승(핀란드 3-2, 헝가리 1-0, 아제르바이잔 5-0), 1무(헝가리 1-1), 3패(노르웨이에게 홈에서 0-1, 원정에서 0-5 패배, 아제르바이잔에게 0-1 패배)를 기록했다.[38]
UEFA 유로 2004 예선에서는 러시아, 아일랜드, 알바니아, 조지아와 같은 조에 속해 조 1위를 차지했다.[39] 21점을 획득하며 포르투갈에서 열린 본선에 진출, B조에 전 대회 우승팀 프랑스, 잉글랜드, 크로아티아와 함께 편성되었다. 크로아티아와의 첫 경기는 0-0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다음 경기에서 잉글랜드에 0-3으로 패했다.[40][41] 프랑스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도 1-3으로 패하며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42][43] 이 대회에서 스위스의 유일한 득점은 요한 폰란텐이 기록했는데, 그는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동점골을 넣으며 유로 대회 최연소 득점자 기록을 세웠다. 불과 나흘 전 웨인 루니가 세운 기록을 세 달이나 앞당긴 것이었다.[44]
스위스는 터키를 원정 다득점으로 꺾고 이스탄불에서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1994년 이후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것이다.[45] 본선에서는 G조에 전 세계 챔피언 프랑스, 2002년 월드컵 4위 대한민국, 그리고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토고와 함께 편성되었다. 첫 경기에서 스위스는 강력한 프랑스와 지네딘 지단을 상대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46] 두 번째 경기에서는 토고를 2-0으로 꺾었고, 대한민국과 승점 4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지만, 득점 수에서 열세였기 때문에 마지막 경기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했다.[47] 마지막 경기에서 대한민국을 2-0으로 이기며 조 1위를 차지하고 아시아 대표를 탈락시켰다.[48] 16강전에서는 우크라이나와 맞붙었지만,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이 경기는 월드컵 역사상 최악의 경기로 평가받고 있다.[49] 그러나 스위스는 단 한 골도 실점하지 않고 탈락한 유일한 팀이었다.
스위스는 오스트리아와 함께 UEFA 유로 2008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50] A조에 포르투갈, 터키, 체코와 함께 편성되었다.[3] 개막전에서는 체코에 0-1로 패했고, 이어 터키에 1-2로 패했다.[51][4] 세 번째 경기에서는 포르투갈을 2-0으로 꺾었고, 포르투갈은 패배에도 불구하고 조 1위를 확정지었다.[52]
2. 4. 2008–2014: 오트마어 히츠펠트 시대
2010년 FIFA 월드컵 첫 경기에서 스위스는 젤손 페르난데스의 골로 스페인을 1-0으로 꺾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53] 두 번째 경기에서는 칠레와의 경기에서 75분에 마크 곤살레스가 득점하며 월드컵 경기에서 559분간 이어졌던 무실점 기록이 깨졌다. 이는 이탈리아가 가지고 있던 기록보다 9분 앞선 것이었다.[54][55][56] 스위스는 온두라스와 마지막 조별리그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거두며 조별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57]
스위스는 UEFA 유로 2012에 진출하지 못했다. 10년 만에 처음으로 대회에 출전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잉글랜드, 몬테네그로, 웨일스, 불가리아가 포함된 예선 조에서 3위를 기록했다.[59] 스위스의 예선 초기 성적은 좋지 않았다. 첫 경기에서 잉글랜드에 1-3으로 패했는데, 이 경기에서 셰르단 샤키리가 국가대표팀 데뷔골을 넣었다. 이어 몬테네그로에 1-0으로 패했다.[60][61] 그 후 스위스는 웨일스를 4-1로 이겼지만, 불가리아(0-0)와 잉글랜드(2-2)와 연속으로 비겼다.[62][63][64] 셰르단 샤키리의 해트트릭으로 불가리아를 3-1로 이기면서 스위스의 본선 진출 희망이 되살아났다.[65] 그러나 웨일스에 2-0으로 패배(레토 치글러가 퇴장당함)하고 몬테네그로가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동점골을 넣어 2-2 무승부를 거두면서 스위스의 본선 진출은 좌절되었다.[66][67] 마지막 경기에서 스위스는 몬테네그로를 2-0으로 이겼다.[68] 예선 기간 스위스의 최다 득점자는 4골을 기록한 셰르단 샤키리였다.[69]
브라질에서 열린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조별리그에서 프랑스, 온두라스, 에콰도르와 같은 조에 속했다.[70] 스위스는 온두라스를 셰르단 샤키리의 해트트릭으로 3-0으로 이기면서 16강에 진출했다. 아르헨티나와의 16강전에서는 앙헬 디 마리아에게 118분에 실점하며 1-0으로 패했다.[71][72]
2. 5. 2016–2021: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시대
UEFA 유로 2016에서 스위스는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16강에 진출했으나, 폴란드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79][80][81] 스위스는 알바니아, 루마니아, 프랑스와 함께 A조에 편성되었는데,[73] 첫 경기에서 알바니아를 1-0으로 이겼고,[74] 루마니아와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75] 프랑스와의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는데, 이 경기에서 몇몇 스위스 선수들의 유니폼이 찢어지고 공이 터지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76][77][78]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스위스는 포르투갈, 헝가리, 페로 제도, 라트비아, 안도라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92] 스위스는 유로 2016 우승팀 포르투갈을 2-0으로 꺾는 등[82] 9승 1패의 좋은 성적으로 조 2위를 기록,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에 진출했다.[91][92][93] 본선에서 스위스는 브라질, 세르비아, 코스타리카와 함께 E조에 편성되어[99] 조별 리그를 통과했으나, 16강에서 스웨덴에 1-0으로 패했다.[107] 세르비아와의 경기에서 샤키리와 자카 등 알바니아계 선수들이 골을 넣은 후 알바니아 국장을 상징하는 세리머니를 펼쳐 논란이 되기도 했다.[102][103][104][105]
UEFA 유로 2020에서는 16강에서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110][111] 8강에서 스페인에 승부차기로 패했다.[112] 스위스는 이탈리아, 웨일스, 터키와 함께 A조에 속해 조 3위를 기록했지만,[110] 3위 팀 중 상위권에 들어 16강에 진출했다.
2. 6. 2021–현재: 무라트 야킨 시대
2021년 8월 9일, 무라트 야킨이 스위스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했다.[113] 2022 월드컵 예선에서 스위스는 C조에서 이탈리아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며 2022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114] 월드컵 본선 G조에서 2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으나, 포르투갈에 1-6으로 패했다.[115] 2023년에는 예선에서 루마니아, 이스라엘, 벨라루스, 코소보, 안도라와 경기를 치러 루마니아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116]유로 2024 본선에서 스위스는 5점으로 조 2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스위스는 디펜딩 챔피언인 이탈리아를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역사상 두 번째로 8강에 진출했다.[117]
3. 국제 대회 기록
스위스는 FIFA 월드컵,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올림픽, UEFA 네이션스리그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FIFA 월드컵스위스는 FIFA 월드컵 본선에 12번 출전하여 1934년, 1938년, 1954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특히 안방에서 열린 1954년 FIFA 월드컵 8강전에서는 오스트리아와 7-5의 난타전을 벌였는데, 이는 역대 월드컵 최다 득점 경기로 기록되어 있다.[17]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4경기 무실점이라는 기록을 세웠으나, 16강에서 우크라이나와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125]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스위스는 UEFA 유로 1996을 시작으로 총 6번의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했다. UEFA 유로 2008은 오스트리아와 공동 개최하며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UEFA 유로 2020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8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27]
올림픽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스위스는 결승전에서 우루과이에 0-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7]
UEFA 네이션스리그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A에서 스위스는 벨기에, 아이슬란드와 같은 조에 속해 3승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며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포르투갈에 패하고, 3·4위전에서 잉글랜드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1]
3. 1. FIFA 월드컵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불참 | ||||||||
1934년 | 8강 | 7위 | 2 | 1 | 0 | 1 | 5 | 5 | 3 |
1938년 | 8강 | 7위 | 3 | 1 | 1 | 1 | 5 | 5 | 4 |
1950년 | 조별리그 | 6위 | 3 | 1 | 1 | 1 | 4 | 6 | 4 |
1954년 | 8강 | 8위 | 4 | 2 | 0 | 2 | 11 | 11 | 6 |
1958년 | 예선 탈락 | ||||||||
1962년 | 조별리그 | 16위 | 3 | 0 | 0 | 3 | 2 | 8 | 0 |
1966년 | 조별리그 | 16위 | 3 | 0 | 0 | 3 | 1 | 9 | 0 |
1970년 | 예선 탈락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16강 | 16위 | 4 | 1 | 1 | 2 | 5 | 7 | 4 |
1998년 | 예선 탈락 | ||||||||
2002년 | |||||||||
2006년 | 16강 | 10위 | 4 | 2 | 2 | 0 | 4 | 0 | 8 |
2010년 | 조별 리그 | 19위 | 3 | 1 | 1 | 1 | 1 | 1 | 4 |
2014년 | 16강 | 11위 | 4 | 2 | 0 | 2 | 7 | 7 | 6 |
2018년 | 16강 | 14위 | 4 | 1 | 2 | 1 | 5 | 5 | 5 |
2022년 | 16강 | 12위 | 4 | 2 | 0 | 2 | 5 | 9 | 6 |
2026년 | 미정 | ||||||||
2030년 | 미정 | ||||||||
2034년 | 미정 | ||||||||
합계 | 12회 진출(12/22) | 8강(3회) | 41 | 14 | 8 | 19 | 55 | 73 | 47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8위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불참 | ||||||||
1934년 | 2 | 1 | 1 | 0 | 4 | 2 | 4 | ||
1938년 | 1 | 1 | 0 | 0 | 2 | 1 | 3 | ||
1950년 | 2 | 2 | 0 | 0 | 8 | 4 | 6 | ||
1954년 | 자동참가(개최국) | ||||||||
1958년 | 4 | 0 | 1 | 3 | 6 | 11 | 1 | ||
1962년 | 5 | 4 | 0 | 1 | 11 | 10 | 12 | ||
1966년 | 6 | 4 | 1 | 1 | 7 | 3 | 13 | ||
1970년 | 6 | 2 | 1 | 3 | 5 | 8 | 7 | ||
1974년 | 6 | 2 | 2 | 2 | 2 | 4 | 8 | ||
1978년 | 4 | 1 | 0 | 3 | 3 | 5 | 3 | ||
1982년 | 8 | 2 | 3 | 3 | 9 | 12 | 9 | ||
1986년 | 8 | 2 | 4 | 2 | 5 | 10 | 10 | ||
1990년 | 8 | 2 | 1 | 5 | 10 | 14 | 7 | ||
1994년 | 10 | 6 | 3 | 1 | 23 | 6 | 21 | ||
1998년 | 8 | 3 | 1 | 4 | 11 | 12 | 10 | ||
2002년 | 10 | 4 | 2 | 4 | 18 | 12 | 14 | ||
2006년 | 12 | 5 | 6 | 1 | 22 | 11 | 21 | ||
2010년 | 10 | 6 | 3 | 1 | 18 | 8 | 21 | ||
2014년 | 10 | 7 | 3 | 0 | 17 | 6 | 24 | ||
2018년 | 12 | 10 | 1 | 1 | 24 | 7 | 31 | ||
2022년 | 8 | 5 | 3 | 0 | 15 | 2 | 18 | ||
합계 | 140 | 68 | 37 | 35 | 220 | 150 | 243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26위 (유럽 13위) |
스위스는 FIFA 월드컵 본선에 12번 출전하여 1934년, 1938년, 1954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129] 특히 안방에서 열린 1954년 대회 8강에서는 오스트리아에게 5-7로 패하며 역대 월드컵 최다 득점 경기라는 기록을 남겼다.[17]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16강에서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탈락했지만, 무실점 탈락 및 최초의 승부차기 전원 실패라는 유례없는 기록을 세웠다.[129]
1994년 FIFA 월드컵에서는 28년 만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여 16강에 올랐으나, 스페인에게 0-3으로 패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예선 2조에서 그리스, 라트비아, 이스라엘을 제치고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2014년 FIFA 월드컵, 2018년 FIFA 월드컵,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모두 16강에 진출했다.
3. 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기록 | width=1% rowspan=22| | 예선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대표팀 명단 | ||||||||||||||
1960년 | 불참 | 불참 | |||||||||||||||
1964년 | 예선 탈락 | 2 | 0 | 1 | 1 | 2 | 4 | ||||||||||
1968년 | 6 | 2 | 1 | 3 | 17 | 13 | |||||||||||
1972년 | 6 | 4 | 1 | 1 | 12 | 5 | |||||||||||
1976년 | 6 | 1 | 1 | 4 | 5 | 10 | |||||||||||
1980년 | 8 | 2 | 0 | 6 | 7 | 18 | |||||||||||
1984년 | 6 | 2 | 2 | 2 | 7 | 9 | |||||||||||
1988년 | 8 | 1 | 5 | 2 | 9 | 9 | |||||||||||
1992년 | 8 | 4 | 2 | 2 | 19 | 7 | |||||||||||
1996년 | 조별 리그 | 13위 | 3 | 0 | 1 | 2 | 1 | 4 | 명단 | 8 | 5 | 2 | 1 | 15 | 7 | ||
2000년 | 예선 탈락 | 8 | 4 | 2 | 2 | 9 | 5 | ||||||||||
2004년 | 조별 리그 | 15위 | 3 | 0 | 1 | 2 | 1 | 6 | 명단 | 8 | 4 | 3 | 1 | 15 | 11 | ||
2008년 | 9위 | 3 | 1 | 0 | 2 | 3 | 3 | 명단 |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 | ||||||||
2012년 | 예선 탈락 | 8 | 3 | 2 | 3 | 12 | 10 | ||||||||||
2016년 | 16강 | 11위 | 4 | 1 | 3 | 0 | 3 | 2 | 명단 | 10 | 7 | 0 | 3 | 24 | 8 | ||
2020년 | 8강 | 7위 | 5 | 1 | 3 | 1 | 8 | 9 | 명단 | 8 | 5 | 2 | 1 | 19 | 6 | ||
2024년 | 6위 | 5 | 2 | 3 | 0 | 8 | 4 | 명단 | 10 | 4 | 5 | 1 | 22 | 11 | |||
2028년 | 미정 | 미정 | |||||||||||||||
2032년 | |||||||||||||||||
합계 | 8강 | 6/17 | 23 | 5 | 11 | 7 | 24 | 28 | — | 110 | 48 | 29 | 33 | 194 | 133 |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합니다.''
:''** 빨간색 테두리는 개최국을 나타냅니다.''
스위스는 UEFA 유로 1996 본선을 시작으로 총 6번의 유로 대회 본선에 진출했다. UEFA 유로 2008은 오스트리아와 공동 개최하며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 UEFA 유로 1996: 잉글랜드와 1-1 무승부, 네덜란드에 0-2 패, 스코틀랜드에 0-1 패배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35][36][37]
- UEFA 유로 2004: 크로아티아와 0-0 무승부, 잉글랜드에 0-3 패, 프랑스에 1-3 패배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40][41][42] 요한 폰란텐은 프랑스전에서 득점하며 웨인 루니의 기록을 깨고 유로 대회 최연소 득점자가 되었다.[44]
- UEFA 유로 2008: 공동 개최국으로 자동 진출, 체코에 0-1 패, 터키에 1-2 패, 포르투갈에 2-0 승리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51][4][52]
- UEFA 유로 2016: 알바니아에 1-0 승, 루마니아와 1-1 무승부, 프랑스와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폴란드에 승부차기 끝에 패배했다.[74][75][79]
- UEFA 유로 2020: 웨일스와 1-1 무승부, 이탈리아에 0-3 패, 터키에 3-1 승리를 기록하며 조 3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스페인에 승부차기 끝에 패배했다.[110][111][112]
- UEFA 유로 2024: 헝가리에 3-1 승, 스코틀랜드와 1-1 무, 독일과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이탈리아에 0-2로 패배하며 8강 진출에 실패했다.
UEFA 유로 2020 최종 엔트리 명단 (2021년 5월 30일 발표)
포지션 | 선수명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경기 수 | 득점 | 소속 클럽 |
---|---|---|---|---|---|
GK | 얀 좀머 | 61 | 0 |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 | |
GK | 이본 무보고 | 3 | 0 | PSV 아인트호벤 | |
GK | 요나스 오믈린 | 2 | 0 | 몽펠리에 | |
DF | 리카르도 로드리게스 | 80 | 9 | 토리노 | |
DF | 파비안 샤르 | 59 | 8 | 뉴캐슬 유나이티드 | |
DF | 마누엘 아칸지 | 29 | 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DF | 니코 엘베디 | 26 | 1 |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 | |
DF | 실뱅 비드머 | 16 | 1 | 바젤 | |
DF | 로리스 베니토 | 12 | 1 | 보르도 | |
DF | 케빈 음바부 | 11 | 0 | 볼프스부르크 | |
DF | 에라이 쩰머트 | 5 | 0 | 바젤 | |
DF | 베치르 오메라기치 | 3 | 0 | 취리히 | |
DF | 조르당 로통바 | 1 | 0 | 니스 | |
MF | 그라니트 자카 | 93 | 12 | 아스널 | |
MF | 제르단 샤키리 | 90 | 23 | 리버풀 | |
MF | 슈테판 츠버 | 36 | 8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
MF | 데니스 자카리아 | 32 | 3 |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 | |
MF | 레모 프뢰이러 | 28 | 3 | 아탈란타 | |
MF | 에지미우손 페르난데스 | 21 | 1 | 마인츠 05 | |
MF | 지브릴 소우 | 15 | 0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
FW | 하리스 세페로비치 | 74 | 21 | 벤피카 | |
FW | 아드미르 메흐메디 | 73 | 10 | 볼프스부르크 | |
FW | 브레엘 음보모 | 43 | 5 |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 | |
FW | 마리오 가브라노비치 | 29 | 11 | 디나모 자그레브 | |
FW | 루벤 바르가스 | 11 | 2 | 아우크스부르크 | |
FW | 크리스티안 파스나흐트 | 7 | 1 | 영 보이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