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으로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일본이 참가하여 오스트레일리아가 1위를 차지하며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로디지아, 이스라엘과 뉴질랜드가 경기를 치렀으며, 이스라엘과 오스트레일리아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에서 이스라엘이 오스트레일리아를 2-1로 꺾고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축구 전쟁
축구 전쟁은 1969년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월드컵 예선 축구 경기 결과가 기폭제가 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이민, 경제적 불균형, 국경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막대한 피해와 함께 사회·정치적 후유증을 낳았으나, 국제 기구의 중재와 판결을 통해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갈등을 종식시켰다.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197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총 12개 팀 중 쿠바의 불참 속에 3라운드에 걸쳐 진행되어 엘살바도르가 본선에 진출, 개최국 멕시코와 함께 CONCACAF 대표로 월드컵에 참가했다. -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21개 팀이 참가하여 2라운드에 걸쳐 진행되었고, 최종 라운드 1위 팀인 이란이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총 11개국이 참가하여 1차, 2차(2012년 OFC 네이션스컵 겸함), 3차 예선을 거쳐 최종 1위 팀이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4위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방식으로, 2011년 11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개최 연도 | 1969년 |
개최 기간 | 1969년 9월 28일 – 12월 14일 |
참가 국가 수 | 7개국 |
경기 수 | 13경기 |
총 득점 | 32골 |
총 관중 수 | 181,511명 |
최다 득점자 | 톰 맥콜 (4골) |
이전 대회 | 196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다음 대회 |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예선 | |
참가국 | 대한민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로디지아 이스라엘 뉴질랜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권) |
1조 | |
경기 결과 | 오스트레일리아 3 - 1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1 - 1 대한민국 대한민국 2 - 0 일본 대한민국 1 - 2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1 - 4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2 - 2 대한민국 |
최종 순위 | 1위: 오스트레일리아 (8점) 2위: 대한민국 (4점) 3위: 일본 (0점) |
2조 | |
경기 결과 | 로디지아 1 - 1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1 - 0 뉴질랜드 뉴질랜드 1 - 3 로디지아 오스트레일리아 1 - 0 로디지아 뉴질랜드 0 - 2 이스라엘 로디지아 2 - 0 뉴질랜드 |
기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최종 순위 | 1위: 이스라엘 (8점) 2위: 오스트레일리아 (5점) 3위: 로디지아 (4점) 4위: 뉴질랜드 (3점) |
2. 1차 예선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은 1969년 10월에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일본이 참가하여 서로 두 번씩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 오스트레일리아가 2승 2무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대한민국은 1승 2무 1패, 일본은 2무 2패를 기록했다.[6]
2. 1. 경기 결과
1969년 10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1차 예선 모든 경기가 열렸다.[6]
- 10월 10일: 오스트레일리아 3-1 일본[6]
- 10월 12일: 대한민국 2-2 일본[6]
- 10월 14일: 대한민국 1-2 오스트레일리아[6]
- 10월 16일: 오스트레일리아 1-1 일본[6]
- 10월 18일: 대한민국 2-0 일본[6]
- 10월 20일: 대한민국 1-1 오스트레일리아[6]
오스트레일리아는 2승 2무(승점 6)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1승 2무 1패(승점 4)로 2위, 일본은 2무 2패(승점 2)로 3위를 기록했다.
2. 1. 1. 대한민국 경기 결과
대한민국은 1969년 10월 12일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 김기복, 박수일의 득점에 힘입어 2-2 무승부를 기록했다.[6] 10월 14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경기에서는 이의우가 득점했지만 1-2로 패배했다.[6]10월 18일 일본과의 2차전에서는 정강지의 연속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6] 10월 20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2차전에서는 박수일이 득점하여 1-1 무승부를 기록했다.[6]
날짜 | 상대 | 결과 | 득점 | 경기장 |
---|---|---|---|---|
1969년 10월 12일 | 일본 | 2 – 2 | 김기복, 박수일 | 동대문운동장 |
1969년 10월 14일 | 오스트레일리아 | 1 – 2 | 이의우 | 동대문운동장 |
1969년 10월 18일 | 일본 | 2 – 0 | 정강지 (2골) | 동대문운동장 |
1969년 10월 20일 | 오스트레일리아 | 1 – 1 | 박수일 | 동대문운동장 |
2차 예선은 4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팀은 서로 두 번씩 경기를 치러 각 조의 승자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3. 2차 예선
1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로디지아가 두 번의 경기에서 모두 무승부를 기록하여, 모잠비크 마푸투에서 플레이오프를 통해 오스트레일리아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2조에서는 이스라엘이 뉴질랜드를 상대로 두 경기 모두 승리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하여 기권했다.[3][4]
3. 1. 1조
오스트레일리아와 로디지아(현 짐바브웨)가 맞붙었으며, 두 경기 모두 무승부로 끝났다. 중립 지역인 모잠비크 마푸투에서 열린 플레이오프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로디지아를 3-1로 꺾고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1]
- 1969년 11월 23일, 모잠비크 로렌수마르케스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로디지아는 챌머스의 득점에 힘입어, 오스트레일리아는 맥콜의 득점으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1]
- 1969년 11월 27일, 모잠비크 로렌수마르케스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양 팀 모두 득점 없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
두 경기 합계 1-1로 동률을 이루어, 최종 예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플레이오프가 개최되었다.
- 1969년 11월 29일, 모잠비크 로렌수마르케스에서 열린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로디지아의 챌머스가 득점하였으나, 오스트레일리아는 워런, 러더퍼드의 득점과 상대팀의 자책골에 힘입어 3-1로 승리했다.[1]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3. 2. 2조
'''2조'''는 이스라엘, 뉴질랜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속해 있었다. 이스라엘은 뉴질랜드와의 두 경기에서 모두 승리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하여 기권했다.[3][4]4. 최종 예선
이스라엘과 오스트레일리아가 최종 예선에서 맞붙었다. 1969년 12월 4일 라마트간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이스라엘이 1-0으로 승리했다.[1] 1969년 12월 14일 시드니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2] 합계 2-1로 이스라엘이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3]
5. 결과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통과하여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팀은 이스라엘이다. 이는 이스라엘의 유일한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이다.
6. 의의 및 평가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이 유일하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대회이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밀려 2차 예선 진출에 실패, 월드컵 본선 진출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기권은 정치적인 이유로 스포츠 경기에 불참한 사례로, 당시 냉전 시대의 긴장감을 반영한다.[1]
참조
[1]
문서
All matches were played on neutral ground due to the boycott of Rhodesia.
[2]
문서
Both matches were played in Israel.
[3]
웹사이트
preliminaries 1970
https://web.archive.[...]
[4]
뉴스
North Korea Ousted
https://www.newspape[...]
The Miami Herald
2023-07-20
[5]
문서
ローデシアのボイコットにより、2試合とも中立地で開催された。
[6]
문서
2試合ともイスラエルで開催された。
[7]
웹사이트
1970 FIFA World Cup Mexico
http://www.fifa.com/[...]
2015-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