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운동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대문운동장은 일제강점기인 1925년 건립된 종합운동장으로,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해 있었다. 경성운동장으로 시작하여 서울운동장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1985년 잠실종합운동장 개장 후 동대문운동장으로 최종 명칭이 변경되었다. 축구, 야구, 수영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대규모 행사, 집회 등이 열렸으며, 2008년 철거 후 동대문역사문화공원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가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동대문운동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동대문운동장 |
로마자 표기 | Dongdaemun undongjang |
한글 표기 | 동대문운동장 |
한자 표기 | 東大門運動場 |
위치 | 을지로7가, 중구, 서울, 대한민국 |
역사 | |
기공 | 1925년 5월 24일 |
개장 | 1925년 10월 15일 |
확장 | 1962년, 1966년, 1968년 |
폐장 | 2003년 |
철거 | 2008년 |
이전 명칭 | 경성운동장 서울운동장 |
운영 | |
운영 주체 |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
건축/공학 정보 | |
건축가 | 알 수 없음 |
구조 엔지니어 | 알 수 없음 |
설비 엔지니어 | 알 수 없음 |
시공사 | 알 수 없음 |
프로젝트 매니저 | 알 수 없음 |
주요 계약자 | 알 수 없음 |
건설 비용 | 알 수 없음 |
경기장 정보 | |
수용 인원 | 22,706명 |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트랙 | 400 m × 8 레인 |
사용 | |
주요 대회 | 1926년 전국체육대회 1927년 전국체육대회 1928년 전국체육대회 1929년 전국체육대회 1930년 전국체육대회 1931년 전국체육대회 1932년 전국체육대회 1968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75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 199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리그컵 K리그1 |
홈 경기장 | 일화 천마 (1989년–1995년) LG 치타스 (1990년–1995년) 유공 코끼리 (1991년–1995년) |
2. 역사
본래 동대문운동장 터의 일부는 조선시대 치안을 담당하던 하도감과 군사훈련을 담당하던 훈련도감이 있던 곳이다. 또 일부는 서울성곽이 있던 곳으로, 성곽을 통과하는 수문이던 이간수문도 있었는데, 2008년 동대문운동장 재개발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조선총독부는 1925년에 히로히토 일본 제국 황태자 결혼 기념 사업으로 경성운동장(京城運動場)을 건립했다. 1945년 해방 후 서울운동장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84년 서울종합운동장(현 잠실종합운동장)이 개장되면서 1985년 1월부터 동대문운동장으로 개칭되었다.[12][13] 1962년에는 기존 경기장들을 현대화하고 수영장, 배구 코트, 테니스 코트를 만들기 위한 추가 공사가 진행되었다. 1966년에는 야구장, 1968년에는 육상 경기장에 야간 스포츠 경기를 위한 조명 시설이 추가되었다. 철거 전에는 육상 경기장이 온갖 종류의 새 제품과 중고품을 파는 벼룩시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2. 1. 일제강점기 (1925년 ~ 1945년)
본래 동대문운동장 터의 일부는 조선시대 치안을 담당하던 하도감과 군사훈련을 담당하던 훈련도감이 있던 곳이다. 또 일부는 서울성곽이 있던 곳으로, 성곽을 통과하는 수문이던 이간수문도 있었는데, 2008년 동대문운동장 재개발 과정에서 발견되었다.조선총독부는 히로히토 일본 제국 황태자 결혼 기념 사업에 따라 경성부에 경성운동장(京城運動場)을 건립했다. 경성운동장은 훈련원 동쪽 광희문과 동대문 사이의 공원지에 해당하는 대지 22700평에 총공사비 155000원을 들여서 만든 동양 제일의 경기장이었다.[6] 경성부 토목과장인 이와시로(岩城)의 공사 지휘로 1925년 5월 24일 기공해서 동년 10월 15일에 개장식을 거행하였으며, 개장 당시 수용 인원은 25,800명이었다.[6] 또한 육상 경기장, 야구장, 수영장, 테니스장이 부속 건물로 건립되었다.
1925년 10월 15일에 '''경성운동장'''으로 개장된 이 경기장은 도시의 주요 스포츠 행사의 중심지였으며, 기림 경기장과 함께 1930년대 경성-평양 도시 대항 축구 토너먼트에서 사용된 두 경기장 중 하나였다.
이 경기장은 일본 식민지 통치의 종식을 기념하는 대규모 축제의 장소이기도 했다. 1945년 8월 15일, 한반도의 해방을 축하하기 위해 약 25만 명의 시민들이 이 장소에 모였다.[2]
2. 2. 해방 이후 (1945년 ~ 2008년)
1945년 해방 후 서울운동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59년에는 야구장이 재개장하였다. 동대문운동장은 운동경기와 함께 대규모 집회 등 한국 현대사의 큰 사건들이 있었던 곳이다. 1984년 서울종합운동장(현 잠실종합운동장)이 개장되면서 1985년 1월부터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2][13]이 경기장은 일본 식민지 통치의 종식을 기념하는 대규모 축제의 장소이기도 했다. 1945년 8월 15일, 한반도의 해방을 축하하기 위해 약 25만 명의 시민들이 이 장소에 모였다.[2]
1962년에는 기존 두 경기장을 현대화하고 수영장, 배구 코트, 테니스 코트를 만들기 위해 추가 공사가 진행되었다. 야구장에는 1966년에, 육상 경기장에는 1968년에 야간 스포츠 경기를 위한 조명 시설이 추가되었다.
철거 전 육상 경기장은 온갖 종류의 새 제품과 중고품을 파는 벼룩시장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57년 동안 활발하게 운영되어 온 대규모 동대문 쇼핑 지구의 일부를 형성했다.
2. 3. 철거와 이후 (2008년 ~ 현재)
2007년 12월 18일 동대문야구장부터 철거를 시작하여[18] 2008년 5월 14일 '굿바이 동대문운동장' 행사를 진행하고 동대문운동장 축구장이 철거작업에 들어갔다.[19] 운동장 터에서 조선 시대의 치성과 이간수문이 발굴되어 화제가 되었다.[20]동대문운동장의 역사성을 감안해 주경기장 동쪽 관중석 뒷편에 있던 조명탑은 철거하지 않고 보존하고 있으며, 주경기장의 성화대도 철거 과정에서 떼낸 뒤 공원 내부에 전시하고 있다. 영상, 사진, 소품들을 정리하여 전시하고 있는 동대문운동장 기념관도 운영하고 있다. 이후 2009년 5월 21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개장하였으며, 2014년 3월 21일에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개장했다.[21]
3. 시설
1925년 개장한 동대문야구장은 1959년 8월 재개장되었으며, 2007년 11월 마지막 경기를 끝으로 철거되었다. 1982년 한국 프로 야구의 첫 경기가 이 곳에서 열렸다. 1938년 개장한 동대문수영장은 1993년 폐쇄되었다.
1926년부터 실제 경기가 개최된 동대문운동장 주경기장은 축구와 육상을 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었으며, 주로 축구 경기에 많이 사용되어 동대문축구장으로 더 많이 불렸다. 2003년 3월 1일부로 폐쇄되었으며, 2008년 5월 14일 '굿바이 동대문축구장' 행사를 끝으로 철거되었다.
2009년 10월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개장과 함께 동대문운동장 기념관이 개관하였고, 2014년 3월 21일에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개장했다.[5][21]
3. 1. 주경기장 (축구장)
동대문운동장 주경기장은 축구와 육상을 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1926년부터 실제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주로 축구 경기에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동대문축구장으로 많이 불리었다. 2003년 3월 1일부로 폐쇄되었으며, 그 후 주차장 시설과 동대문 풍물시장이 축구장 필드 자리에 들어섰다.[14] 2007년 8월 22일 신설동으로 이사하였고 2008년 4월 30일 완전히 이전되었다. 2008년 5월 14일 굿바이 동대문축구장 행사가 열렸고 이후 철거가 시작되었다.198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건설될 때까지 서울의 주요 스포츠 행사 중심지였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었으며, 2000년 미얀마와의 마지막 국제 경기가 열릴 때까지 1990년대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30,000석 규모의 주 경기장에서는 1988년 하계 올림픽 8강전을 포함한 몇몇 축구 경기가 열렸으며, 국제 축구 대회인 코리아컵의 많은 경기가 개최되었다.[3]
경평축구대항전을 비롯하여 한국 프로축구 수퍼리그의 역사적인 원년 출범 경기를 비롯해서 일화 천마(현 성남 FC), LG 치타스(현 FC 서울), 유공 코끼리(현 제주 유나이티드 FC)가 1989 시즌부터 1995 시즌까지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였다.[15] 1996년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으로 서울 연고 프로축구단들이 지방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후에는 K리그의 중립 경기와 특정 리그컵 경기들이 벌어졌으나 2000년 10월 22일 성남 일화 천마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리그컵(아디다스컵) 결승전 경기를 마지막으로 프로축구 경기는 더 이상 열리지 않았다.
잠실올림픽주경기장이 개장하기 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으로 수많은 A매치가 열려 한때 한국 축구의 성지로 불리기도 했으며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와 1988년 하계 올림픽 당시 브라질 대 아르헨티나의 8강전을 비롯한 국제축구대회들의 경기들이 개최되었다.
K리그 개막전이 개최되면서 1호골을 비롯한 각종 경기 1호 기록을 가진 경기장이며, 대한민국 프로축구 최초의 동일 연고지 구단간의 경기를 일컫는 지역 더비가 개최된 경기장, 대한민국 축구 최초의 서포터스 클럽인 유공 코끼리 팬클럽이 생긴 경기장이기도 하다.
한편, 1996년 연고지를 천안-안양으로 각각 이전한 일화, LG는 당시 홈구장으로 쓰인 천안오룡경기장, 안양종합운동장에 야간조명시설이 없어 그 해에 대부분 동대문운동장에서 홈경기를 치뤘으며 안양종합운동장은 1997년 5월 야간조명이 설치됐고,[16] 일화는 1996년 연고지를 천안으로 옮기면서 홈구장으로 사용한 천안오룡경기장에 조명시설이 없어 야간경기가 불가피한 혹서기에 접어들자[17] 1999년 동대문운동장에서 4번 홈경기를 치렀다.
3. 2. 야구장
1925년 개장되어 주로 동대문야구장으로 불렸으며 1959년 8월 재개장되었다. 2007년 11월 마지막 경기를 끝냈다. 1982년 한국 프로 야구의 첫 경기가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렸다.3. 3. 수영장
1938년 개장되어 주로 동대문수영장으로 불렸으며 1993년 폐쇄되었다.3. 4. 동대문운동장 기념관
2007년 12월 18일 동대문야구장부터 철거를 시작하여[18] 2008년 5월 14일 '굿바이 동대문운동장' 행사를 진행하고 동대문운동장 축구장이 철거되었다.[19] 이 과정에서 운동장 터에서 조선 시대의 치성과 이간수문이 발굴되어 화제가 되었다.[20]동대문운동장의 역사성을 고려하여 주경기장 동쪽 관중석 뒤편에 있던 조명탑과 주경기장의 성화대는 철거하지 않고 보존하여 공원 내부에 전시하고 있다. 또한 영상, 사진, 소품들을 정리하여 전시하고 있는 동대문운동장 기념관을 2009년 10월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개장과 함께 개관하였다.[5] 이후 2014년 3월 21일에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개장했다.[21]
4. 주요 경기 및 행사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건설될 때까지 동대문운동장은 서울의 주요 스포츠 행사 중심지였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었으며, 2000년 미얀마와의 마지막 국제 경기가 열릴 때까지 1990년대에도 계속 사용되었다.[3]
30,000석 규모의 주 경기장에서는 1988년 하계 올림픽 8강전을 포함한 몇몇 축구 경기가 열렸으며, 국제 축구 대회인 코리아컵의 많은 경기가 개최되었다.[3]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축구 리그인 K리그의 첫 경기는 1983년 5월 8일 육상 경기장에서 열렸다. 일화 천마(현재 성남 FC), LG 치타스(현재 FC 서울), 유공 코끼리(현재 제주 유나이티드 FC)는 1995년까지 이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지만, K리그의 지방 분산 정책에 따라 1996년에 현재의 경기장으로 이전했다.
1982년 한국 프로 야구의 첫 경기가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렸다.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서울 올림픽의 축구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서울월드컵경기장과 잠실종합운동장의 완공 등으로 사용 빈도가 감소하여, 2007년 11월의 고별 행사를 마지막으로 완전 폐쇄되었다.
5. 교통
서울교통공사 2호선, 4호선, 5호선 동대문운동장역 (운동장 폐지 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 변경) 1번 출구 바로 앞에 있었다.
참조
[1]
뉴스
경성운동장 사용규정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25-10-17
[2]
웹사이트
Daum encyclopedia entry on Dongdaemun stadium
https://web.archive.[...]
2007-07-22
[3]
간행물
1988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s://web.archive.[...]
[4]
Youtube
동대문운동장 자리에 들어서는 건물 홍보 영상(서울시)
http://kr.youtube.co[...]
[5]
웹사이트
東大門歴史文化公園
http://www.konest.co[...]
Konest
2011-11-07
[6]
서적
동대문역사문화공원부지 발굴조사 동대문운동장 유적1
서울특별시·재단법인 중원문화재연구소
[7]
백과사전
동대문운동장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8]
백과사전
동대문운동장
http://www.doopedia.[...]
두산
[9]
웹인용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연혁
http://stadium.seoul[...]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10]
뉴스
"[K-리그 꿈의구장]제 1탄 동대문 운동장①"
https://sports.news.[...]
한국프로축구연맹
2005-10-19
[11]
뉴스
https://sports.news.[...]
[12]
뉴스
국립경기장 이름 확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01-17
[13]
문서
서울 토박이의 사대문 안 기억
서울시사편차위원회
[14]
뉴스
시민 곁을 떠나는 동대문운동장 (축구장)
http://www.newswave.[...]
YTN
2007-12-18
[15]
뉴스
K리그 꿈의 구장 제1탄 동대문 운동장
http://sports.news.n[...]
한국프로축구연맹
2005-11-03
[16]
뉴스
프로스펙스컵축구- LG, 올 15경기 無勝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7-05-22
[17]
뉴스
프로축구 천안 일화, `유랑극단' 신세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9-06-24
[18]
뉴스
동대문운동장 오늘부터 철거
http://www.ytn.co.kr[...]
YTN
2007-12-18
[19]
뉴스
"'굿바이 동대문 운동장' 프로축구 마지막골 서정원 회고"
https://blog.naver.c[...]
스포츠서울
2008-05-14
[20]
웹사이트
‘갑자기 귀해진 땅 밑’어찌 지키나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08-12-31
[21]
Youtube
동대문운동장 자리에 들어서는 건물 홍보 영상(서울시)
http://kr.youtub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