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12개 팀이 참가하여 3라운드에 걸쳐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4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 팀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는 4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 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으며, 최종 라운드에서 승리한 엘살바도르가 본선에 진출했다. 엘살바도르는 아이티와의 최종 라운드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으며, 후안 라몬 마르티네스가 7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축구 전쟁
    축구 전쟁은 1969년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월드컵 예선 축구 경기 결과가 기폭제가 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이민, 경제적 불균형, 국경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막대한 피해와 함께 사회·정치적 후유증을 낳았으나, 국제 기구의 중재와 판결을 통해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갈등을 종식시켰다.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총 3라운드로 진행되어 이스라엘이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권은 냉전 시대 정치적 갈등이 축구에 영향을 미친 사례로 남아있다.
  •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199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199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23개 팀이 참가하여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진행되었으며, 멕시코가 본선에 직행하고 캐나다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 위해 카리브, 중앙 아메리카 지역 예선을 거쳐 최종 예선을 치렀다.
  •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197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197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197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하여 멕시코에서 개최되었고, 멕시코가 우승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197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FIFA 월드컵 예선 (CONCACAF)
연도1970년
기간1968년 10월 6일 – 1969년 10월 8일
참가 팀 수12
경기 수32
총 득점97
총 관중386,978
최다 득점자후안 라몬 마르티네스 (7골)
이전 대회1966년
다음 대회1973년

2. 예선 형식


  • '''1라운드''': 12개 팀이 3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1]
  • '''2라운드''':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승리 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1]
  • '''3라운드''': 2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최종 승리 팀이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

3. 참가국

다음 12개국이 197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 참가했다.[1] 쿠바는 참가가 거부되었다.[1]


4. 1라운드

1라운드는 1968년 10월 6일부터 1969년 2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총 4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이 준결승 라운드에 진출했다.

4. 1. 1조

경기승점
431072+57
style="text-align:left;" |421173+45
style="text-align:left;" |4004211-90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1align="left" |64301116+5
2align="left" |5421183+5
3align="left" |14013212−10


  • 1968년 10월 6일, 토론토: 캐나다 4 - 0 버뮤다
  • * 비그 (Tibor Vigh|티보 비그영어) (페널티킥)
  • * 자나타 (Sergio Zanatta|세르지오 자나타영어)
  • * 파파다키스 (Nick Papadakis|닉 파파다키스영어) (2골)
  • 1968년 10월 13일, 토론토: 캐나다 4 - 2 미국
  • * 캐나다 득점: 맥페이트 (Ralph McPate|랄프 맥페이트영어) (2골), 패터슨 (Norman Paterson|노먼 패터슨영어), 비그
  • * 미국 득점: 로이 (Willy Roy|윌리 로이영어), 스트리츨 (Siegfried Stritzl|지크프리트 스트리츨영어)
  • 1968년 10월 20일, 해밀턴: 버뮤다 0 - 0 캐나다
  • 1968년 10월 26일, 애틀랜타: 미국 1 - 0 캐나다
  • * 알브레히트 (Dietrich Albrecht|디트리히 알브레히트영어)
  • 1968년 11월 2일, 캔자스시티: 미국 6 - 2 버뮤다[2]
  • * 미국 득점: 밀라 (Peter Millar|피터 밀라영어) (3골), 베이커 (Jerry Baker|제리 베이커영어) (2골), 로이
  • * 버뮤다 득점: 트롯 (Winston Trott|윈스턴 트롯영어), 베스트 (Clyde Best|클라이드 베스트영어)
  • 1968년 11월 11일, 해밀턴: 버뮤다 0 - 2 미국
  • * 미국 득점: 스미스 (Rudolph Smith|루돌프 스미스영어) (자책골), 로이


'''미국'''이 준결승 라운드에 진출했다.

4. 2. 2조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아이티421195+45
과테말라412153+24
트리니다드 토바고4112410-63

4. 3. 3조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엘살바도르4301105+56
수리남4202109+14
네덜란드령 안틸레스410339-62



엘살바도르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4. 4. 4조

경기승점
미국4301116+56
캐나다421183+55
버뮤다4013212-101

5. 2라운드

2라운드에서는 아이티미국, 온두라스엘살바도르가 각각 맞붙었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아이티3 - 0미국2 - 01 - 0
온두라스1 - 3엘살바도르1 - 00 - 3



아이티와 미국의 경기는 1969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예선을 겸했다. 1969년 4월 20일 포르토프랭스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아이티가 조제프 오바스와 기 생빌의 득점으로 2-0으로 승리했다.[6] 1969년 5월 11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기 생빌이 결승골을 넣어 아이티가 1-0으로 승리했다. 합계 3-0으로 아이티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엘살바도르는 온두라스와의 두 경기에서 1승 1패를 기록, 승점이 같아져 1969년 6월 27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5. 1. 1조 (아이티 대 미국)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1align="left"|2210131+2
1align="left"|2210113−2



엘살바도르는 1969년 6월 8일에 온두라스 테구시갈파에서 열린 경기에서 온두라스에 1-0으로 승리했다.[6][7] 이 경기에서 온두라스의 레너드 웰스가 89분에 득점했다. 1969년 6월 15일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엘살바도르가 온두라스를 3-0으로 꺾었다. 엘살바도르의 후안 라몬 마르티네스가 27분(페널티킥)과 41분에 득점했고, 엘머 아세베도가 29분에 추가 득점을 기록했다.

5. 2. 2조 (엘살바도르 대 온두라스)

1969년 6월 27일, 엘살바도르온두라스는 승점이 같아 최종 라운드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렀다.[1]

엘살바도르득점온두라스
마르티네스
로드리게스
3 – 2
(연장전)
고메스



이 경기에서 엘살바도르연장전 끝에 3-2로 승리하여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1] 이 경기는 축구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1]

6. 최종 라운드 (엘살바도르 대 아이티)

아이티와 엘살바도르의 최종 라운드 경기는 1969년 9월 21일과 9월 28일에 진행되었다. 1차전은 아이티 포르토프랭스에서 열렸으며, 엘살바도르가 2-1로 승리했다. 엘살바도르는 아세베도가 43분, 로드리게스가 62분에 득점했고, 아이티는 오바스가 59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10,415명이었고, 주심은 멕시코의 야마사키였다.[8]

2차전은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에서 열렸으며, 아이티가 3-0으로 승리했다. 아이티는 데지르가 20분, 프랑수아가 40분, 바르텔레미가 44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6,403명이었고, 주심은 멕시코의 엘리잘데였다.[8]

두 팀은 1승 1패, 합계 4-2(득실차 +2)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아이티가 득점에서 앞서 최종 라운드를 통과하였다.[8]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1=align="left"|2210142+2
1=align="left"|2210124−2


7. 축구 전쟁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는 승점이 같아 최종 라운드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중립 지역에서 플레이오프 경기를 가졌다. 이 경기들은 축구 전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1]

날짜팀 1점수팀 2경기장관중심판
1969년 6월 27일엘살바도르3–2
(연장전)
온두라스멕시코 시티, 멕시코15,326아벨 아길라르 엘리잘데 (멕시코)
colspan="7" |



'''엘살바도르'''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1]

8. 본선 진출국

진출 자격진출 날짜FIFA 월드컵 출전 횟수
멕시코개최국1964년 10월 8일4회 (1930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엘살바도르3라운드 우승팀1969년 10월 8일0회 (첫 출전)


9. 득점 선수

순위선수국가득점
1후안 라몬 마르티네스El Salvador|엘살바도르es7
2가이 생-빌Haïti|아이티프랑스어4
2워런 아치볼드Trinidad and Tobago|트리니다드 토바고영어4
4가이 프랑수아Haïti|아이티프랑스어3
4조셉 오브스Haïti|아이티프랑스어3
4피터 밀러United States|미국영어3
4윌리 로이United States|미국영어3
8랄프 맥페이트Canada|캐나다영어2
8닉 파파다키스Canada|캐나다영어2
8티보르 비그Canada|캐나다영어2
8에두아르도 차바리아Costa Rica|코스타리카es2
8엘머 아세베도El Salvador|엘살바도르es2
8빅토르 마누엘 아수카르El Salvador|엘살바도르es2
8후안 프란시스코 바라자El Salvador|엘살바도르es2
8호엘 에스트라다El Salvador|엘살바도르es2
8호세 킨타니야El Salvador|엘살바도르es2
8위그 기욤Haïti|아이티프랑스어2
8리고베르토 고메스Honduras|온두라스es2
8도날도 로살레스Honduras|온두라스es2
8폴 루벤 코르테Nederlands-Guyana|네덜란드령 기아나nl2
8쥘 라가도Nederlands-Guyana|네덜란드령 기아나nl2
8루드 스훈호번Nederlands-Guyana|네덜란드령 기아나nl2
8로이 바넨부르크Nederlands-Guyana|네덜란드령 기아나nl2
8제리 베이커United States|미국영어2
25클라이드 베스트Bermuda|버뮤다영어1
25윈스턴 트로트Bermuda|버뮤다영어1
25노먼 패터슨Canada|캐나다영어1
25세르지오 자나타Canada|캐나다영어1
25레오넬 에르난데스Costa Rica|코스타리카es1
25에드가 누녜스Costa Rica|코스타리카es1
25로이 사엔스Costa Rica|코스타리카es1
25월포드 본스Costa Rica|코스타리카es1
25마리오 베가Costa Rica|코스타리카es1
25마우리시오 에르네스토 곤잘레스El Salvador|엘살바도르es1
25마우리시오 알론소 로드리게스El Salvador|엘살바도르es1
25에드가르 곤잘레스Guatemala|과테말라es1
25넬슨 멜가르Guatemala|과테말라es1
25데이비드 스토크스Guatemala|과테말라es1
25클로드 바르텔레미Haïti|아이티프랑스어1
25장-클로드 데지르Haïti|아이티프랑스어1
25레놀 생-쉬린Haïti|아이티프랑스어1
25필리프 보르베Haïti|아이티프랑스어1
25호세 카르도나Honduras|온두라스es1
25라파엘 딕Honduras|온두라스es1
25레이날도 메히아Honduras|온두라스es1
25마르코 안토니오 멘도사Honduras|온두라스es1
25호세 우르키아Honduras|온두라스es1
25레오나르드 웰스Honduras|온두라스es1
25라스셀스 던클리Jamaica|자메이카영어1
25에반 웰시Jamaica|자메이카영어1
25바우터 브로케Nederlandse Antillen|네덜란드령 안틸레스nl1
25안토니오 마르티나Nederlandse Antillen|네덜란드령 안틸레스nl1
25엘시오 마르티나Nederlandse Antillen|네덜란드령 안틸레스nl1
25스튜어트 오스트후이젠Nederlands-Guyana|네덜란드령 기아나nl1
25에드윈 샬Nederlands-Guyana|네덜란드령 기아나nl1
25디트리히 알브레히트United States|미국영어1
25지크프리트 슈트리츨United States|미국영어1



'''자책골'''


  • Bermuda|버뮤다영어 루돌프 스미스 (미국전)
  • Trinidad and Tobago|트리니다드 토바고영어 타이론 드 라 바스티드 (과테말라전)
  • Trinidad and Tobago|트리니다드 토바고영어 셀윈 머렌 (과테말라전)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IFA World Cup Preliminary Competition (by year) http://www.fifa.com/[...] FIFA 2010-06-10
[2] 웹사이트 Cann own goal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Mullings (79' and 85') and Chavarría (89') https://www.nacion.c[...]
[4] 웹사이트 Chavarría (3'), Núñez (9') and Elizondo (51') https://www.nacion.c[...]
[5] 웹사이트 El Balon Cuscatleco - cm70 https://www.elbalonc[...]
[6] 웹사이트 Selección de fútbol de Honduras - La Guerra del Fútbol https://selecciondef[...]
[7] 웹사이트 El Balon Cuscatleco - cm70 serie2 https://www.elbalonc[...]
[8] 웹사이트 El Balon Cuscatleco - cm70 serie3 https://www.elbalo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