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1년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는 대한민국과 버마가 공동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태국, 크메르 공화국이 속한 A조에서 대한민국은 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고, 버마, 인도네시아, 홍콩, 남베트남이 속한 B조에서는 버마가 1위를 차지했다. 준결승에서 대한민국은 인도네시아를, 버마는 말레이시아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결승전과 재경기 모두 0-0 무승부로 끝나 공동 우승으로 마무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 1983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983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는 대한축구협회 주관으로 대한민국 주요 도시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로, 12개 팀이 참가하여 [[PSV 에인트호번]]이 우승하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전두환 군사정권 시기에 국민적 자긍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 1988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988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는 88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한국 축구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축구 열기 고조에 기여하기 위해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로, 체코슬로바키아가 우승하고 대한민국 A팀이 3위를 차지했다. - 1971년 축구 - 1972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72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72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중부, 동부, 서부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태국, 크메르 공화국, 대한민국, 이라크, 쿠웨이트가 본선에 진출했다. - 1971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0-71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0-71는 스페인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FC 바르셀로나가 발렌시아 CF를 결승에서 이기고 우승했다. - 축구에 관한 - 부탄 축구 연맹
부탄 축구 연맹은 부탄의 축구 행정을 총괄하는 기구로, 1983년 설립되어 아시아 축구 연맹, 국제 축구 연맹, 남아시아 축구 연맹에 가입했으며,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등을 조직하고 2016년 AFC 유망 회원 협회 후보로 선정되었다. - 축구에 관한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일본인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아시안 게임 우승 및 올림픽 4강 진출, AFC U-23 아시안컵 우승 등 국제 대회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1971년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대통령컵 |
국가 | 대한민국 |
![]() | |
연도 | 1971년 |
기간 | 5월 2일 – 5월 15일 |
참가 팀 수 | 8개 팀 |
대회 결과 | |
우승 | 대한민국 (1회 우승) 버마 |
3위 | 인도네시아 |
4위 | 말레이시아 |
경기 수 | 17경기 |
총 득점 | 64골 |
최다 득점자 | 이스와디 이드리스 (7골) |
다음 대회 | |
다음 대회 | 1972년 |
2. 조별 예선
조별 예선은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A조에는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태국, 크메르 공화국(현 캄보디아)이 속해 있었으며, 대한민국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다. B조에는 Burma영어(현 미얀마), 인도네시아, 홍콩, 남베트남이 속했으며, 버마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다.
2. 1. A조
Group A영어는 1971년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의 A조 조별 리그 경기 결과를 담고 있다. A조에는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태국, 크메르 공화국(현 캄보디아)이 속해 있었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1]날짜 | 시간 (UTC+9)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득점 |
---|---|---|---|---|---|---|
1971년 5월 2일 | 15:00 | 대한민국 | 1 - 0 | 태국 | 동대문운동장, 서울 | 박이천 |
1971년 5월 3일 | 18:00 | 말레이시아 | 3 - 1 | 크메르 공화국 | 동대문운동장, 서울 | 아마드 , 살레 |
1971년 5월 5일 | 19:50 | 태국 | 4 - 3 | 크메르 공화국 | 동대문운동장, 서울 | |
1971년 5월 6일 | 19:50 | 대한민국 | 5 - 1 | 말레이시아 | 동대문운동장, 서울 | 정강지 , 박이천 , 김기복 , 정규풍 |
1971년 5월 8일 | 15:00 | 태국 | 1 - 4 | 말레이시아 | 동대문운동장, 서울 | |
1971년 5월 9일 | 16:50 | 대한민국 | 2 - 0 | 크메르 공화국 | 동대문운동장, 서울 | 이회택 |
2. 2. B조
Burma영어(현 미얀마), 인도네시아,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남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이 B조에 속했다.[1] 버마는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1]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Burma영어 | 3 | 3 | 0 | 0 | 7 | 1 | +6 | 6 |
2 | Indonesiaid | 3 | 2 | 0 | 1 | 12 | 5 | +7 | 4 |
3 | 香港중국어 | 3 | 1 | 0 | 2 | 3 | 4 | -1 | 2 |
4 | Việt Nam Cộng hòavi | 3 | 0 | 0 | 3 | 1 | 13 | -12 | 0 |
경기일 | 장소 | 팀 1 | 점수 | 팀 2 | 비고 |
---|---|---|---|---|---|
1971년 5월 2일 | 동대문운동장(서울) | Indonesiaid | 9 - 1 | Việt Nam Cộng hòavi | |
1971년 5월 3일 | 동대문운동장(서울) | Burma영어 | 2 - 0 | 香港중국어 | |
1971년 5월 5일 | 동대문운동장(서울) | 香港중국어 | 1 - 2 | Indonesiaid | 香港중국어 득점: ? goal|85영어 Indonesiaid 득점: 주내리(goal|2영어), 카디르(goal|65영어) |
1971년 5월 6일 | 동대문운동장(서울) | Việt Nam Cộng hòavi | 0 - 2 | Burma영어 | |
1971년 5월 8일 | 동대문운동장(서울) | Burma영어 | 3 - 1 | Indonesiaid | Burma영어 득점: 마웅 마웅 틴(pen.|57영어), 탄 소에(goal|75영어), 윈 마웅(goal|87영어) Indonesiaid 득점: 카디르(pen.|11영어) |
1971년 5월 9일 | 동대문운동장(서울) | 香港중국어 | 2 - 0 | Việt Nam Cộng hòavi |
토너먼트는 준결승,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5월 11일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인도네시아를 3-0으로, 버마(현 미얀마)가 말레이시아를 6-1로 꺾고 각각 결승에 진출했다.[1] 5월 13일 열린 3-4위전에서는 인도네시아가 말레이시아를 4-2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1] 5월 13일과 5월 15일(재경기)에 걸쳐 열린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과 버마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0-0 무승부를 기록,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1]
3. 토너먼트
3. 1. 준결승
5월 11일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인도네시아를 3-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 같은 날, 버마는 말레이시아를 6-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 2. 3-4위전
1971년 5월 13일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3-4위전에서 인도네시아가 말레이시아를 4: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3. 3. 결승
Burma|버마영어와의 결승전은 1971년 5월 13일에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렸으며, 0:0 무승부로 끝났다.[1] 재경기는 1971년 5월 15일에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렸고,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또다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결국 대한민국과 버마는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4. 우승
1971년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는 대한민국과 버마가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1] 두 팀 모두 첫 번째 우승이었다.[1]
5.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버마 | 6 | 4 | 2 | 0 | 13 | 2 | +11 | 10 |
1 | 대한민국 | 6 | 4 | 2 | 0 | 11 | 1 | +10 | 10 |
3 | 인도네시아 | 5 | 3 | 0 | 2 | 16 | 10 | +6 | 6 |
4 | 말레이시아 | 5 | 2 | 0 | 3 | 11 | 17 | -6 | 4 |
5 | 홍콩 | 3 | 1 | 0 | 2 | 3 | 4 | -1 | 2 |
6 | 태국 | 3 | 1 | 0 | 2 | 5 | 8 | -3 | 2 |
7 | 크메르 공화국 | 3 | 0 | 0 | 3 | 4 | 9 | -5 | 0 |
8 | 남베트남 | 3 | 0 | 0 | 3 | 1 | 13 | -12 | 0 |
-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 4위전의 경기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 *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 * 16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 * 32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17위에서 최저 32위이다.
- * 연장전으로 끝난 경기는 연장전에서 승리한 팀의 승리로 기록되며, 연장전에 의한 득점은 총 득점에 삽입한다.
- * 승부차기로 끝난 경기는 무승부에 포함되며, 승부차기에 의한 득점은 총 득점에 산입하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