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카메룬의 야운데와 두알라에서 개최되었으며, 콩고가 결승전에서 말리를 3-2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예선을 통과한 8개 팀이 참가했으며, 콩고는 결승에서 말리를, 3,4위전에서는 카메룬이 자이르를 꺾었다. 대회 최우수 선수로는 장피에르 토코토가 선정되었고, 판타마디 케이타는 5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야운데의 스타드 옴니스포르와 두알라의 스타드 데 라 리유니피케이션에서 개최되었다.

야운데두알라
스타드 옴니스포르스타드 드 라 레위니피카시옹
옴니스포르 경기장
레위니피케이션 경기장


3. 예선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통과한 8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에티오피아는 처음으로 참가하지 않았다.

예선 통과 자격예선 통과 날짜이전 대회 참가 횟수
22x20px 카메룬개최국1 (1970)
22x20px 수단전 대회 우승국1970년 2월 16일4 (1957, 1959, 1963, '1970')
22x20px 모로코2라운드 승자1971년 4월 16일0 (첫 참가)
22x20px 토고2라운드 승자1971년 6월 20일0 (첫 참가)
22x20px 말리2라운드 승자1971년 6월 27일0 (첫 참가)
22x20px 콩고2라운드 승자1971년 7월 18일1 (1968)
22x20px 케냐2라운드 승자1971년 7월 18일0 (첫 참가)
22x20px 자이르2라운드 승자1971년 10월 27일3 (1965, 1968, 1970)



개최국인 카메룬과 전 대회 우승국인 수단을 제외하고, 모로코, 토고, 말리, 콩고, 케냐, 자이르가 예선을 통과했다. 예선에는 24개국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2단계 선발로 출전국을 결정했다.

3. 1. 본선 진출국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통과한 8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에티오피아는 처음으로 참가하지 않았다.

예선 통과 자격예선 통과 날짜이전 대회 참가 횟수
개최국1 (1970)
전 대회 우승국1970년 2월 16일4 (1957, 1959, 1963, '1970')
2라운드 승자1971년 4월 16일0 (첫 참가)
2라운드 승자1971년 6월 20일0 (첫 참가)
2라운드 승자1971년 6월 27일0 (첫 참가)
2라운드 승자1971년 7월 18일1 (1968)
2라운드 승자1971년 7월 18일0 (첫 참가)
2라운드 승자1971년 10월 27일3 (1965, 1968, 1970)



개최국인 카메룬과 전 대회 우승국인 수단을 제외하고, 모로코, 토고, 말리, 콩고, 케냐, 자이르가 예선을 통과했다. 예선에는 24개국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2단계 선발로 출전국을 결정했다.

4. 선수 명단


5. 조별 리그

녹색으로 칠해진 국가는 준결승 진출국을 나타낸다.

두 팀 이상이 조별 리그 경기 종료 후 승점이 동률일 경우, 최종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의 타이브레이커를 사용했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많은 골 득점

# 추첨

=== A조 ===

A조에서는 카메룬말리가 각각 2승 1무, 3무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케냐토고는 각각 2무 1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경기승점
카메룬/Cameroun프랑스어321052+35
말리/Mali프랑스어30305503
케냐/Kenya영어302134−12
토고/Togo프랑스어302146−22



카메룬은 1972년 2월 23일 케냐와의 첫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2월 26일 토고를 2-0으로 꺾었으며, 2월 28일 말리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말리는 1972년 2월 24일 토고와의 첫 경기에서 3-3 무승부를 거두었다. 2월 26일 케냐와 1-1, 2월 28일 카메룬과도 1-1로 비겼다.

케냐는 1972년 2월 23일 카메룬에 1-2로 패배했다. 2월 26일 말리와 1-1, 2월 28일 토고와도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토고는 1972년 2월 24일 말리와 3-3으로 비겼으나, 2월 26일 카메룬에 0-2로 패했다. 2월 28일 케냐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모든 경기는 야운데의 옴니스포 경기장에서 열렸다.

=== B조 ===

B조에서는 자이르, 콩고, 모로코, 수단이 맞붙었다. 자이르는 1승 2무(4득점 2실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콩고는 1승 1무 1패(5득점 5실점)를 기록했다. 모로코는 3무(3득점 3실점), 수단은 2무 1패(4득점 6실점)를 기록했다. 콩고와 모로코는 승점과 골득실이 같아 추첨으로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그 결과 콩고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972년 2월 25일, 레위니피케이션 스타디움 (두알라):
  • 콩고 1 – 1 모로코 (득점: 콩고 - 무킬라 (45분), 모로코 - 파라스 (34분))
  • 자이르 1 – 1 수단 (득점: 자이르 - 마얀가 (53분), 수단 - 하사부 엘-사기르 (55분))
  • 1972년 2월 27일, 레위니피케이션 스타디움 (두알라):
  • 모로코 1 – 1 수단 (득점: 모로코 - 파라스 (32분), 수단 - 압델-나디에프 (49분))
  • 자이르 2 – 0 콩고 (득점: 자이르 - 은'툼바 (16분, 59분))
  • 1972년 2월 29일, 레위니피케이션 스타디움 (두알라):
  • 모로코 1 – 1 자이르 (득점: 모로코 - 파라스 (36분), 자이르 - 마얀가 (3분))
  • 콩고 4 – 2 수단 (득점: 콩고 - 음보노 (8분, 55분), 음펠레 (32분), 바함불라 (46분), 수단 - 압델 와합 (37분), 와하바 (44분))


경기승점
자이르/Zaïre프랑스어312042+24
콩고/République du Congo프랑스어31115503
모로코/Maroc프랑스어30303303
수단/Soudan프랑스어302146−22


5. 1. 순위 결정 방식

두 팀 이상이 조별 리그 경기 종료 후 승점이 동률일 경우, 최종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의 타이브레이커를 사용했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많은 골 득점

# 추첨

5. 2. A조

A조에서는 카메룬말리가 각각 2승 1무, 3무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케냐토고는 각각 2무 1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경기승점
카메룬/Cameroun프랑스어321052+35
말리/Mali프랑스어30305503
케냐/Kenya영어302134−12
토고/Togo프랑스어302146−22



카메룬은 1972년 2월 23일 케냐와의 첫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2월 26일 토고를 2-0으로 꺾었으며, 2월 28일 말리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말리는 1972년 2월 24일 토고와의 첫 경기에서 3-3 무승부를 거두었다. 2월 26일 케냐와 1-1, 2월 28일 카메룬과도 1-1로 비겼다.

케냐는 1972년 2월 23일 카메룬에 1-2로 패배했다. 2월 26일 말리와 1-1, 2월 28일 토고와도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토고는 1972년 2월 24일 말리와 3-3으로 비겼으나, 2월 26일 카메룬에 0-2로 패했다. 2월 28일 케냐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모든 경기는 야운데의 옴니스포 경기장에서 열렸다.

5. 3. B조

B조에서는 자이르, 콩고, 모로코, 수단이 맞붙었다. 자이르는 1승 2무(4득점 2실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콩고는 1승 1무 1패(5득점 5실점)를 기록했다. 모로코는 3무(3득점 3실점), 수단은 2무 1패(4득점 6실점)를 기록했다. 콩고와 모로코는 승점과 골득실이 같아 추첨으로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그 결과 콩고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972년 2월 25일, 레위니피케이션 스타디움 (두알라):
  • 콩고 1 – 1 모로코 (득점: 콩고 - 무킬라 (45분), 모로코 - 파라스 (34분))
  • 자이르 1 – 1 수단 (득점: 자이르 - 마얀가 (53분), 수단 - 하사부 엘-사기르 (55분))
  • 1972년 2월 27일, 레위니피케이션 스타디움 (두알라):
  • 모로코 1 – 1 수단 (득점: 모로코 - 파라스 (32분), 수단 - 압델-나디에프 (49분))
  • 자이르 2 – 0 콩고 (득점: 자이르 - 은'툼바 (16분, 59분))
  • 1972년 2월 29일, 레위니피케이션 스타디움 (두알라):
  • 모로코 1 – 1 자이르 (득점: 모로코 - 파라스 (36분), 자이르 - 마얀가 (3분))
  • 콩고 4 – 2 수단 (득점: 콩고 - 음보노 (8분, 55분), 음펠레 (32분), 바함불라 (46분), 수단 - 압델 와합 (37분), 와하바 (44분))


경기승점
자이르/Zaïre프랑스어312042+24
콩고/République du Congo프랑스어31115503
모로코/Maroc프랑스어30303303
수단/Soudan프랑스어302146−22


6. 결선 토너먼트

3월 2일 스타드 옴니스포르(야운데)에서 열린 카메룬과 콩고의 준결승전에서는 콩고가 밍가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스타드 데 라 리유니피케이션(두알라)에서 열린 자이르와 말리의 준결승전에서는 말리가 연장전 끝에 4-3으로 승리하였다. 자이르는 은툼바, 에테페, 응가세베가 득점하였고, 말리는 A. 트라오레, B. 투레, F. 케이타가 득점하였다.

1972년 3월 4일, 야운데의 스타드 옴니스포르에서 카메룬과 자이르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카메룬은 전반 4분 아코노의 페널티킥 골을 시작으로, 은동고, 오우오나, 무테, 은도가는가 연속골을 넣어 5-2로 승리했다. 자이르는 에테페와 마양가가 골을 넣었다. 심판은 가나의 조지 램프티가 맡았으며, 4,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1972년 3월 5일, 야운데의 스타드 옴니스포르에서 열린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콩고말리를 3-2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음보노가 2골을 넣고, 음펠레가 1골을 추가하여 콩고의 승리를 이끌었다. 말리는 디아키테와 M. 트라오레가 득점했다.

6. 1. 준결승전

1972년 3월 2일, 스타드 옴니스포르(야운데)에서 열린 카메룬과 콩고의 준결승전에서는 콩고가 밍가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스타드 데 라 리유니피케이션(두알라)에서 열린 자이르와 말리의 준결승전에서는 말리가 연장전 끝에 4-3으로 승리하였다. 자이르는 은툼바, 에테페, 응가세베가 득점하였고, 말리는 A. 트라오레, B. 투레, F. 케이타가 득점하였다.

6. 2. 3·4위전

1972년 3월 4일, 야운데의 스타드 옴니스포르에서 카메룬과 자이르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카메룬은 전반 4분 아코노의 페널티킥 골을 시작으로, 은동고, 오우오나, 무테, 은도가는가 연속골을 넣어 5-2로 승리했다. 자이르는 에테페와 마양가가 골을 넣었다. 심판은 가나의 조지 램프티가 맡았으며, 4,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6. 3. 결승전

1972년 3월 5일, 야운데의 스타드 옴니스포르에서 열린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콩고말리를 3-2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음보노가 2골을 넣고, 음펠레가 1골을 추가하여 콩고의 승리를 이끌었다. 말리는 디아키테와 M. 트라오레가 득점했다.

7. 우승

'''콩고'''
'''첫 번째 우승'''

1972년 3월 5일 옴니스포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콩고는 말리를 3-2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음보노가 두 골을 넣었고, 음펠레가 한 골을 추가했다.

8.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콩고531197+27
2말리5131111105
3카메룬5311105+57
4자이르5122911-24
5모로코30303303
6케냐302134-12
7토고302146-22
7수단302146-22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결승전에서 말리를 3-2로 이긴 콩고가 우승을 차지했다.

9. 득점 선수

16경기에서 53골이 나왔다.


  • 5골
  • *: 판타마디 케이타/Fantamady Keita프랑스어 (말리)

  • 3골
  • *: 아흐메드 파라스/Ahmed Farasar (모로코)
  • *: 에드몽 아페티 카올로/Edmond Apéti Kaolo프랑스어 (토고)
  • *: 마양가 마쿠/Mayanga Maku프랑스어 (자이르)
  • *: 장 칼랄라 은툼바/Jean Kalala N'Tumba프랑스어 (자이르)

  • 2골
  • *: 장-밥티스트 은도가/Jean-Baptiste N'Dogha프랑스어 (카메룬)
  • *: 폴-가스통 은동고/Paul-Gaston N'Dongo프랑스어 (카메룬)
  • *: 프랑수아 음펠레/François M'Pelé프랑스어 (콩고 공화국)
  • *: 바코 투레/Bako Touré프랑스어 (말리)
  • *: 카코코 에테페/Kakoko Etepé프랑스어 (자이르)

  • 1골
  • *: 장 폴 아코노/Jean Paul Akono프랑스어 (카메룬)
  • *: 시모 에마뉘엘 음베/Simon Emmanuel M'Pessy프랑스어 (카메룬)
  • *: 프랑수아 은둠베/François N'Doumbé프랑스어 (카메룬)
  • *: 조제프 예그바 마야/Joseph Yegba Maya프랑스어 (카메룬)
  • *: 필리프 미셸 무테/Philippe Michel Mouthe프랑스어 (카메룬)
  • *: 노르베르 오우오나/Norbert Owona프랑스어 (카메룬)
  • *: 조나스 바함불라/Jonas Bahamboula프랑스어 (콩고 공화국)
  • *: 노엘 비린디 민가/Noël Birindi Minga프랑스어 (콩고 공화국)
  • *: 폴 무킬라/Paul Moukila프랑스어 (콩고 공화국)
  • *: 다니엘 아루디 니코데무스/Daniel Arudi Nicodemus영어 (케냐)
  • *: 조나단 니바/Jonathan Niva영어 (케냐)
  • *: 피터 "펠레" 오우마/Peter Ouma영어 (케냐)
  • *: 아다마 트라오레/Adama Traoré프랑스어 (말리)
  • *: 바카리 트라오레/Bakari Traoré프랑스어 (말리)
  • *: 무사 디아키테/Moussa Diakité프랑스어 (말리)
  • *: 무사 트라오레/Moussa Traoré프랑스어 (말리)
  • *: 부샤라 압델-나디에프/Bushara Abdel-Nadiefar (수단)
  • *: 카말 압델 와하브/Kamal Abdel Wahabar (수단)
  • *: 하사부 엘-사기르/Hasabu El-Sagheerar (수단)
  • *: 아흐메드 부샤라 와흐바/Ahmed Bushara Wahbaar (수단)
  • *: 코비 아데/Kovi Adé프랑스어 (토고)
  • *: 개리 응아세베/Gary Ngassebe프랑스어 (자이르)

10. 팀 오브 더 토너먼트

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알랄 벤 카수모하메드 엘-시르 압달라[1], 브왕가 치멘[1], 폴 렝[1], 부제마 벤크리프[1]마얀가 마쿠[1], 노엘 밍가-치빈다[1], 폴-가스통 응동고[1], 장-피에르 토코토[1]카코코 에테페[1], 프랑수아 음펠레[1]


  • 최우수 선수: 장피에르 토코토/Jean-Pierre Tokoto프랑스어(카메룬)[1]
  • 득점왕 (4골): 판타마디 케이타(말리)[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