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알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알라는 카메룬 최대 도시이자 주요 경제 중심지이며,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다. 1472년 포르투갈인에 의해 처음 유럽인에게 알려졌으며, 1884년 독일 보호령이 되었다. 이후 프랑스 식민지 시대를 거쳐 1960년 카메룬 독립 이후 경제 도시로 성장했다. 현재는 7개의 구로 나뉘며, 두알라어, 프랑스어, 영어가 사용된다. 열대 몬순 기후를 보이며, 두알라 국제공항과 항구를 통해 교통 및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알라 - 두알라 대학교
    1993년 카메룬 두알라에 설립된 두알라 대학교는 경제, 상업, 기술 교육, 의학, 예술, 법학 등 다양한 분야를 교육하는 공립 종합대학교로, 약 4만 명의 학생과 600명의 교직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제 프랑코포니 대학 기구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 두알라 - 케냐 항공 507편
    케냐 항공 507편은 2007년 5월 5일 카메룬 두알라 국제공항 이륙 직후 추락한 사고로, 조종 미숙, 자동 조종 장치 사용 미숙, 의사소통 부재 등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 카메룬의 도시 - 부에아
    부에아는 카메룬 산 동쪽 사면에 위치한 도시로, 독일과 영국령 카메룬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치안이 불안정하지만 부에아 대학교와 독일 식민지 시대 건축물이 남아있고 기술 허브 및 관광지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 카메룬의 도시 - 림베
    카메룬 남서부의 항구 도시 림베는 1858년 건설되어 영국과 독일의 지배를 받았으며 석유 산업과 관광 산업의 중심지로서 림베 야생 동물 센터, 림베 식물원 등의 명소가 있고 매년 림베 페스타크가 개최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두알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파노라마 전경
파노라마 전경
공식 명칭두알라
국가카메룬
지역리토랄 주
하위 행정 구역우오리
시장프리츠 은톤 은톤
면적923 km²
해발고도13 m
인구 (2015년 추정)5,066,000명
시간대서아프리카 시간(WAT)
UTC 오프셋+1
웹사이트두알라 공식 웹사이트
기후Am
기타 정보
면적 (도심)210 km²
인구 (2016년)2,948,464명
인구 밀도14,040명/km²
언어
공용어프랑스어

2. 역사

15세기 포르투갈 사람들이 이 지역에 도착했을 때, 워리 강 어귀는 '카마로에스 강'(Rio dos Camarões, 새우 강)으로 알려졌다. 1650년경에는 콩고에서 온 이민자들이 두알라어를 사용하는 마을을 형성했다. 18세기에는 대서양 노예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19세기 중반, 두알라는 데이도(디도), 아크와, 뇨, 히코리타운(오늘날 워리 강 건너편 보나베리)의 네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다.[2] 1884년 구스타프 나흐티갈이 두알라에 독일 국기를 꽂고 독일 보호령으로 선포하면서, 이 도시는 독일의 식민지가 되었다.[3] 이후 '카메룬 타운'(Cameroons Town)으로 불리다가 독일 카메룬의 수도인 '카메룬슈타트'(Kamerunstadt, "카메룬 도시")가 되었다. 1907년에는 원주민의 이름인 두아 알라 이자우(Njos)를 따 두알라(Douala)로 개명되었고,[7] 1919년에는 프랑스령 카메룬의 일부가 되었다. 한편, 많은 이자우(Njo) 원주민들은 포르투갈 시대에 나이지리아의 나이저 삼각주로 이주하기도 했다.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식민지 영토는 프랑스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프랑스는 두알라를 위임 통치하게 되었고, 현지 지도자들과 조약을 체결했다. 1940년부터 1946년까지는 카메룬의 수도였다.[5]

1960년 카메룬은 야운데를 수도로 하는 연방 공화국으로 독립했고, 두알라는 주요 경제 도시가 되었다. 1972년 연방 공화국은 일원 국가가 되었으며, 1980년대에는 자유화와 다당제를 위한 투쟁이 거세졌다. 1991년에는 '유령 도시 작전'(''ville morte'')이라 불리는 시민 불복종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6]

2. 1. 유럽인 도래와 노예 무역 (15세기 ~ 19세기)

이 지역을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들은 1472년경 포르투갈인들이었다. 당시 워리 강 어귀는 리우 도스 카마로에스(새우 강)로 알려져 있었다. 1650년까지 콩고에서 온 이민자들이 두알라어를 사용하는 마을을 형성했다. 18세기에는 대서양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다.

1826년[2] 두알라는 데이도(디도) 마을, 아크와 마을, 뇨 마을, 그리고 히코리타운(오늘날 워리 강 건너편에 위치한 보나베리) 마을과 같이 네 곳의 특정 위치에 있는 네 개의 다른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884년부터 1895년까지 이 도시는 독일의 보호령이었다.[3] 식민지 정책은 상업과 미개척 지역 탐험에 중점을 두었다. 1885년 알프레드 세이커는 영국 침례교회의 첫 번째 선교 사업을 조직했다. 같은 해에 카메룬으로 알려진 도시는 두알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02년 수도가 부에아로 옮겨질 때까지 이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

2. 2. 독일 식민지 시대 (1884년 ~ 1919년)

1884년 12월 21일, 카메룬(오늘날 두알라) 히코리타운 포격 당시 독일 코르벳 함선 올가호(SMS 올가)


1884년부터 1895년까지 두알라는 독일의 보호령이었다.[3] 독일은 식민지 정책으로 상업과 미개척 지역 탐험에 중점을 두었다. 1885년 알프레드 세이커는 영국 침례교회의 첫 번째 선교 사업을 조직했다. 같은 해에 카메룬으로 알려진 도시는 두알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02년 수도가 부에아로 옮겨질 때까지 이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

1907년 독일 식민지부가 설립되었고, 당시 두알라에는 23,000명의 시민이 있었다.[4]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식민지 영토는 프랑스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2. 3. 프랑스 식민지 시대 (1919년 ~ 1960년)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식민지 영토는 프랑스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프랑스는 두알라를 관리하는 위임 통치권을 받았으며, 현지 지도자들과 조약이 체결되었다.[4] 1940년부터 1946년까지 카메룬의 수도였다.[5] 1955년에는 인구가 10만 명이 넘었다.[4]

2. 4. 카메룬 독립 이후 (1960년 ~ 현재)

1960년 카메룬은 수도를 야운데에 두고 연방 공화국으로 독립했으며, 두알라는 주요 경제 도시가 되었다. 1972년 연방 공화국은 일원 국가가 되었다. 당시 두알라의 인구는 약 50만 명이었다.[4]

1980년대 카메룬에서는 자유화와 다당제를 위한 투쟁이 거세졌다. 1991년 5월부터 12월 사이에 두알라는 유령 도시 작전(''ville morte'')이라고 불리는 시민 불복종 운동의 중심지였다. 이 기간 동안 경제 활동이 중단되어 국가 통치를 불가능하게 만들고 정부가 다당제와 표현의 자유를 허용하도록 강제하기 위한 것이었다.[6]

파르쿠르 비타 호


카메룬 석유 저장 회사

3. 지리

우리 강 위의 다리


두알라는 카메룬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대서양 연안에 위치하며, 야운데에서 서쪽으로 약 약 209.21km 떨어져 있다. 이 도시는 우리 강 기슭에 위치하며, 양쪽은 보나베리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두알라는 기니 만에 접해 있다. 도시는 우리 강(Wouri) 어귀 양쪽 기슭에 펼쳐져 있으며, 좌안과 우안(보나베리)은 보나베리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 강에는 두 번째 다리(2e pont sur le Wouri)가 개통되어 있다.

4. 기후

두알라는 연중 온도가 비교적 일정한 열대몬순기후(쾨펜 기후 분류 Am)를 보이지만, 7월과 8월에는 다소 서늘하다. 두알라는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습하며, 연평균 기온은 27°C이고 평균 습도는 83%이다.[37][39] 두알라는 연중 강우량이 많으며, 연평균 약 3600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37] 가장 건조한 달은 12월로, 평균 27.5mm의 강수량을 보이며, 가장 습한 달은 8월로, 평균 약 687.5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3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32.232.832.532.131.429.928.127.729.029.830.931.730.7
평균 최저 기온 (°C)23.424.123.923.523.223.022.722.822.822.523.223.323.2
평균 강수량 (mm)34.2mm54.5mm155.2mm241.2mm276.2mm354.1mm681.4mm687.5mm561.2mm406.6mm123.1mm27.5mm3602.7mm
평균 강수일수 (≥ 0.1 mm)591518212327302624125215
평균 상대 습도 (%)80798081828587888684838283
평균 일조시간193.3179.1171.9176.5175.8123.172.053.290.8131.2162.1184.21713.2

[37] Meteo Climat (최고 기온 및 최저 기온)[38] 독일 기상청 (습도, 1957–1990),[39] NOAA (일조량, 1961–1990)[40]

5. 인구

'''두알라 인구 변천 (단위: 천 명)'''

연도1916192019241927193119331935193719391941
인구29.426.444.554.63752.656.579.469.876.7



연도19441947194919541956197619871991199920052015
인구73.8115.577.6192.4224.36378108841448.319072768.4



2005년 기준 19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두알라는 카메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두알라 시 인구는 주로 기독교인이며, 로마 가톨릭 두알라 대교구, 카메룬 복음주의 교회, 카메룬 장로교회, 카메룬 침례교 연합, 인티그리티 포 올, 풀 고스펠 미션 카메룬 등 여러 교파의 예배당이 있다.[22] 이슬람 사원도 있다.

두알라에서는 소규모 유대인 공동체가 유대교를 실천하기 시작했지만, 아직 회당은 없다.[23]

5. 1. 언어

카메룬에는 약 250개의 언어 또는 방언이 있다.[12] 현지 토착어는 도시 이름과 같은 두알라어이다. 프랑스어영어는 공용어이지만, 두알라는 주로 프랑코폰(francophone) 지역이다.

2014년 기준, 15세 이상 두알라 주민 중 63.7%가 프랑스어 읽기와 쓰기를 할 줄 알았고, 76.4%가 프랑스어를 말하고 이해할 줄 알았다.[13] 두알라시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반투어족에 속하는 두알라어가 사용된다. 카메룬의 공용어인 프랑스어, 영어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6. 도시 구조

두알라 시는 7개의 구(아크와, 바사, 보나베리, 보나프리소, 보난조, 데이도, 뉴벨)[14]로 나뉘며 120개가 넘는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알라의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아크와: 두알라의 상업 중심지이며, 보난조는 행정 중심지이다. "플라토 조스(Plateau Joss)"는 역사적으로 현재 아크와 구역을 지칭하는 이름이었다. 구의 이름은 두알라 혈통과 지역의 이름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아크와는 역사적으로 보나디봉(Bonadibong), 보나밀렌게(Bonamilengue), 보넬레케(Boneleke), 보날렘베(Bonalembe), 보네장(Bonejang), 보나무티(Bonamuti), 보나베콤보(Bonabekombo), 보나보이잔(Bonaboijan), 보나쿠아무앙(Bonakuamuang)으로 나뉘었는데, 접두사 "bona"는 "~의 후손"을 의미한다.

  • --
  • --
  • --
  • --
  • --
  • 발리: 보난조 행정 구역 근처에 위치한 주거 지역.
  • 베판다(Bépanda): 인구 밀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서아프리카와 카메룬 전역에서 온 많은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어 아마도 도시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일 것이다. 두알라 대학교와 카메룬 통신의 중요한 통신 센터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
  • 데이도: 도시 중앙 북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이다. 이 지역에는 "르 롱푸앵 데이도(Le Rond-Point Deïdo)"로 알려진 도시의 주요 교차로 중 하나와 도시의 상징인 "뉴주주(Njounjou)"("괴물")가 포함되어 있다.
  • 보나베리: 우리 강의 오른쪽 강둑에 위치해 있다. 주로 공업 지역이지만 점차 주거 및 상업 지역을 포함하는 혼합 지역이 되고 있다. 도시의 두 개의 유일한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부 영어권 지역으로 가는 주요 통로이기도 하다.
  • 보나프리소: 도시뿐 아니라 국가에서도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주거 지역이었지만, 상업 갤러리, 레스토랑, 상점 등을 포함하는 혼합 지역이 되었다.
  • 보난조: 많은 대형 행정기관, 대기업 및 은행 사무실이 있으며 도시의 다른 지역보다 높은 건물이 있는 행정 지역이다.
  • 보나무사디: 도시 북부에 위치한 주요 주거 지역이다. 처음에는 주거 지역이었지만, 최근 쇼핑몰, 슈퍼마켓,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등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목격했다.
  • 코토: 보나무사디 옆에 위치한 현대적인 주거 지역이다. 1980년대 초 카메룬 부동산 회사(SIC)의 주택 프로젝트로 개발되었으며, 현재 도시의 소규모이지만 증가하는 중산층과 상류층을 위한 주요 지역이다.
  • 뉴벨: 도시의 역사적인 지역이다. 20세기 초 독일인들이 조스 고원에서 토착 두알라 사람들을 몰아내면서 설립되었다. 그 이후로 전국 각지, 심지어 해외(주로 서아프리카)에서 도시로 이주해 온 사람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알려져 왔다. 현재는 매우 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열악한 환경이다. 도시의 주요 시장 두 곳(중앙 시장과 마르셰 엔콜로룬(Marché Nkololoun))이 이 지역에 있다.

  • --
  • --
  • --
  • 바사: 도시 동부에 위치한 광대한 지역이다. 로그바바(Logbaba), 엔도그파시(Ndogpassi), 시테 데 팔미에(Cité des Palmiers), PK 8 등 여러 지역(일부는 다른 지역보다 부유함)을 포함하는 혼합 지역이다. 또한 도시의 두 개의 주요 공업 지대 중 하나(다른 하나는 보나베리에 위치)가 포함되어 있다.

7. 건축

벨 왕궁


아크와 왕 박물관 앞 아크와 왕 동상


100주년 기념 사원


1896년, 독일 식민지 시대에 두알라의 최초 도시 계획이 개발되었다. 이 계획에는 병원, 총독 관저, 법원, 경찰서, 행정 건물, 항구 및 세관 건물(옛 베르만 라인 독신자 숙소 포함)이 포함되었다. 보나쿠아무앙 굴뚝도 이 시대에 지어졌다. 1904년에는 만데시 벨 빌라 건설이 시작되었고, 1905년에는 만가 엔둠베 벨 왕궁(라 파고드라고도 함)이 건설되었다. 1906년에는 그로스 두알라의 일반 계획이 수립되었다. 1914년에는 보난조에 거주하던 많은 인구가 뉴벨(뉴벨) 지역으로 이주했다.[15]

1925년부터 1930년 사이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는 상공회의소, 새로운 법원, 새로운 기차역, 벨 왕가 납골당, 가톨릭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이 건설되었다. 1930년에서 1955년 사이에는 건설이 집중되었고, 1955년에는 우리 강 위에 다리가 건설되었다. 1935년에는 아크와 왕가 묘소가, 1947년에는 100주년 기념 사원이 건설되었다. 1959년 새로운 도시 계획(도리안 계획)이 설계되었는데,[4] 다니엘 디우타-코토[4]에 따르면 이 계획은 여전히 두알라의 도시 개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60년 독립 이후 새로운 개발 및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다. 1998년에는 2015년을 전망하는 진단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2005년에는 새로운 개발 및 도시 계획이 설계되었고, 도로와 공공 하수도가 재정비 및 신설되었다. 같은 해에 사와 해변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1888년부터 두알라에서는 테라코타 벽돌이 생산되어 왔다.[4]

출판물 ''건축물 연작''[4]은 두알라 건축의 유산과 재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독립 이후 두알라의 건물과 건축의 특징을 제시한다. 이 건물들에는 카지노, 쇼룸 라 므블러리, 전시장 카미-토요타, 카메룬 연합 은행, 임므블 홀란도, 침례교회, 임므블 빅토리아, CA-SCB 본부, 에스파스 두알아트, 오렌지 플래그십이 있다. 디카 아크와 무칸다 궁전은 1990년에 지어졌다.

8. 문화


  • 두알라 해양 박물관: 두알라의 풍부한 해양 역사를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건물은 배 모양을 하고 있지만, 박물관은 건물의 400m2만 차지하고 있으며, 보난조 행정 구역에 위치해 있다.[1]
  • 두알아트: 1991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자 아트센터, 미술관이다.[2]
  • 라 누벨 리베르테: 조셉 프랜시스 수메녜의 작품으로 2007년에 제막된 12미터 높이의 조각품이다. 두알라의 주요 로터리에 위치한 재활용 자재로 만들어진 영구적인 기념 조각상으로, 높이 12미터에 날개 길이 5미터이다.[3]
  • 성 베드로 성 바울 대성당[4]
  • 센테니얼 사원[5]

9. 교육

카메룬의 대부분의 대도시와 마찬가지로 두알라에는 여러 개의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가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사립학교의 수가 급증했다. 인구의 상당 부분, 주로 초등학교 졸업장이 있는 사람들 또는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규모 비공식 교육 부문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교육은 옷 제조, 제빵, 건설, 보안, 자동차 수리와 같은 부문에서 흔하다. 이러한 비공식 부문 출신 개인들은 Ndokoti, Bepanda, Village, Logbaba와 같은 지역에서 가장 눈에 띄게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두알라시는 두알라 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의 본거지이다.[24] 또한 여러 직업 학교가 있으며, 그 중 가장 유명한 곳은 두알라 해양 연구소이다. 두알라는 CAE 옥스퍼드 항공 아카데미 두알라라는 항공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 두알라 대학교: 1977년 설립된 국립 종합대학교[35]
  • CAE 옥스퍼드 항공 아카데미 두알라: 캐나다 기업 CAE가 소유 및 운영하는 항공학교.

10. 교통

두알라 기차역인 베센게 역


두알라 국제공항


두알라 항구


두알라는 철도를 통해 야운데(Yaoundé), 응가운데레(Ngaoundéré), 쿰바(Kumba), 응콩삼바(Nkongsamba)와 연결되어 있다. 두알라는 카메룬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상당히 발달된 도로망을 갖추고 있으나, 수년간의 방치와 부패로 인해 도시의 많은 도로가 훼손되었다. 최근에는 특히 낙후된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도로를 개보수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많은 국내외 투자에도 불구하고, 횡령과 부패로 인해 도로 상태는 여전히 열악하다.[25]

두알라에는 BRT 네트워크가 계획되어 있으며, 처음 3개 노선은 2024년에서 2025년 사이에 개통될 예정이다.

두알라 국제공항(Douala International Airport)은 도시 동부에 위치해 있다. 파리(Paris), 브뤼셀(Brussels), 이스탄불(Istanbul)을 포함한 여러 유럽 도시로 직항편이 있다. 지역 및 대륙 간 목적지로는 아비장(Abidjan), 브라자빌(Brazzaville), 다카르(Dakar),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 킨샤사(Kinshasa), 라고스(Lagos), 말라보(Malabo), 나이로비(Nairobi)가 있다. 이 공항은 중앙아프리카 경제통화 공동체(CEMAC) 지역에서 가장 바쁜 공항이며 카메룬의 국영 항공사인 카메이르코(Camairco)의 허브 공항이다. 열악한 교통 체계와 노후된 시설로 인해 공항은 개보수가 시급하다.

항구(seaport)는 8.5m의 흘수를 가지고 있다.

11. 경제

두알라는 아프리카에서 석유 자원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뛰어난 농업 조건을 갖추고 있어 아프리카에서 가장 좋은 경제력을 가진 도시 중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개발도상국들과 마찬가지로 과도한 공무원 수와 홍수, 토네이도, 폭풍과 같은 악천후로 인한 사업상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에도 직면해 있다.

주요 경제 지표는 다음과 같다.

지표
GDP422억달러 (2006년 추산)
GDP 성장률4.1% (2006년 추산)
수출 파트너비중
스페인17.3%
이탈리아13.8%
프랑스9.5%
대한민국8.1%
영국8.1%
네덜란드7.9%
벨기에4.9%
미국4.3%



수입 파트너비중
프랑스21%
나이지리아15%
벨기에6.3%
중국5.6%
미국5.1%
태국4.5%
독일4.2%



Mboppi 시장


카메룬에서 상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도시이다. 두알라 국제공항항구가 있어 교통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차드로부터의 수송 중계지이기도 하다.

11. 1. 빈곤 문제

Douala|두알라프랑스어카메룬의 경제 중심지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주민들이 빈곤선 이하의 삶을 살고 있다. 최근 자료에 따르면 인구의 약 30%가 빈곤층에 속한다.[26] 농촌 지역의 경우 이 비율이 두 배에 달하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두알라의 인구 때문에 빈곤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카메룬 농촌 지역 주민들은 자급자족을 통해 생활비를 줄일 수 있는 반면, 두알라 시민들은 항구 도시에 거주하면서 금전적 이득을 얻을 기회가 많지 않아 불리한 입장에 놓여 있다.[26]

12. 스포츠

두알라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는 유니온 두알라가 있다.

13. 자매 도시

두알라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4. 저명한 출신 인물


  • 이브라힘 아마두(1993년–), 축구 선수
  • 프랭크 앙공(2002년–), 축구 선수
  • 파트릭 보드리(1946년–), 두 번째 프랑스 우주비행사이자 아프리카 국가 출신 최초의 우주비행사
  • 클레망 안투안 바예마(1988년–), 카메룬 출신 프로 축구 선수
  • 프랑시스 베베(1929년–2002년), 작가
  • 베베 자하라 베넷(1980년–), 드랙퀸
  • 헴리 부움(1973년–), 작가
  • 장-알랭 부몽송(1979년–), 축구 선수
  • 루이스 브로디(1892년–1951년), 독일 배우
  • 마누 디방고(1933년–2020년), 세계적인 재즈, 민족 재즈 음악가, 색소폰 연주자 겸 가수
  • 세드릭 둠베(1992년–), 킥복서 겸 종합격투기 선수
  • 허먼 두자마포(1980년–), 축구 선수
  • 앙젤 에툰디 에삼바(1962년–), 사진작가
  • 사무엘 에투(1981년–), 축구 선수
  • 카레이스 폿소(2010년–), 가수
  • 케니 카지(1988년생), 사우디아라비아 농구 리그 농구 선수[27]
  • 알바인 카마하, UCLA 교수 겸 물리학자
  • 아눅 에메 타캄 켄모(1979년–), 축구 선수
  • 크리스티안 콜로코(2000년–), 농구 선수
  • 나르시스 무엘레 콤비(1962년–), 작가 겸 정치인
  • 마카 코토(1961년–), 캐나다 정치인
  • 가이 쿠에무(1970년–), 발명가 겸 항공 우주 공학자
  • 바비 캄와(2000년–), 축구 선수
  • 자크 쿠오-무쿠리(1909년-2002년), 작가 겸 외교관
  • 테레즈 쿠오-무쿠리(1938년–), 페미니스트 겸 작가
  • 베로니크 망(1984년–), 육상 선수
  • 마크 키봉 음밤바(1988년–), 축구 선수
  • 크리스티안 응안(1983년–), 기업가, 사업가 겸 금융인
  • 폴-조르주 엔텝(1992년–), 축구 선수
  • 쁘띠 페(1967년–), 가수, 무용수, 작가
  • 장-피에르 디콩게 피파(1940년–), 영화감독
  • 파스칼 시아캄(1994년–), 농구 선수 - 2019 NBA 챔피언
  • 피에르 워메(1979년–), 축구 선수
  • 카를로스 타캄(1980년–), 프로 권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Cameroon: Region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 서적 Notes from Richard Mother Jackson R.-P. Bouchaud 1948, 1952
[3] 웹사이트 Douala https://www.britanni[...] 2019-07-07
[4] 서적 Suites architecturales: Kinshasa, Douala, Dakar Association VAA 2010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Cameroon Rowman & Littlefield 2019
[6] 서적 Le Journalisme du Carton Rouge Editions l'Etincelle d'Afrique 2003
[7] 웹사이트 Cameroon and the German Lake Chad Railway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7-02-16
[8]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Douala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06-13
[9] 웹사이트 Station Douala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3
[10] 웹사이트 Klimatafel von Douala (Duala), Observatorium / Kameru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6-13
[11] 웹사이트 Doual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06-13
[12] 논문 The Language Situation in Cameroon 2007
[13] 서적 La langue française dans le monde Éditions Nathan 2014
[14] 서적 Encyclopedia of Twentieth Century African History Routledge 2002
[15] 서적 Douala, un siècle en images L'Harmattan 1989
[16] 기타 French national archives, Section Outre-mer and Département des Estampes; Documentation Français, Photothèque Afrique; Archives des Pères du Saint-Esprit; Archives des Missions des Églises Évangeliques; Agence France Press.
[17] 기타 Archives of Mission 21
[18] 기타 Welwirtschafsvelten; Deutsch Afrika Linien
[19] 기타 Staatliche Archivverwaltung
[20] 기타 Archive Photo Prunet
[21] 기타 Goethe Institut
[22]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2010
[23] 웹사이트 A SYNOPSIS OF THE JEWS OF SUB-SAHARAN AFRICA https://www.africans[...] Sub-Saharan African Synagogues 2023-03-16
[24] 법률 Presidential act n° 93/030 1993-01-19
[25] 웹사이트 Douala tram project poised to launch https://www.metro-re[...] 2019-02-15
[26] 웹사이트 Cameroon http://www.nationsen[...] 2016-11-12
[27] 웹사이트 Al Ahli inks Kenny Kadji https://www.afrobask[...] 2023-09-18
[28]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Douala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06-13
[29] 웹사이트 Station Douala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3
[30] 웹사이트 Klimatafel von Douala (Duala), Observatorium / Kameru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6-13
[31] 웹사이트 Doual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06-13
[32] 웹사이트 Douala tram project poised to launch https://www.railwayg[...]
[33] 웹사이트 中央アフリカ共和国・国道3号線舗装計画(外務省ホームページ) https://www.mofa.go.[...]
[34] 뉴스 カメルーン沖で商船2隻襲撃、中国とウクライナの船員計17人拉致される https://www.afpbb.co[...]
[35] 법률 Presidential act n° 93/030 1993-01-19
[36] 웹사이트 Antoinette Nana Djimou http://www.asics.fr/[...] ASICS France 2014-10-04
[37] 웹인용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Douala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06-13
[38] 웹인용 Station Douala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3
[39] 웹인용 Klimatafel von Douala (Duala), Observatorium / Kameru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6-13
[40] 웹인용 Doual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6-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