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 코트디부아르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첫 경기를 치렀으며,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아쉽게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나,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역대 주요 선수로는 델뱅 은딩가, 티에비 비푸마 등이 있으며, 콩고 대표팀의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아이작 응가타가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공화국의 축구 - 콩고 축구 연맹
    콩고 축구 연맹은 1962년 설립되어 13명의 회장이 운영해 온 콩고 공화국의 축구 행정 총괄 기관으로, 설립 이전에는 자크 은딩가하트와 파파 오딘이 콩고 축구를 이끌었으며 여러 차례 위기를 겪었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CAF에 관한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CAF에 관한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콩고
별칭바 디아불루 야 음바키 (붉은 악마들)
FIFA 코드CGO
협회콩고 축구 연맹 (KNK)
하위 연맹UNIFFAC (중앙아프리카)
대륙 연맹CAF (아프리카)
감독이사크 은가타 (임시)
주장아무르 루수쿠
최다 출장 선수조나스 바함불라
델뱅 은딩가 (56)
최다 득점 선수티에비 비푸마 (16)
홈 경기장스타드 야 음반자 킹텔레
스타드 알퐁스 마셈바데바
유니폼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써드 유니폼
기록
첫 국제 경기프랑스령 콩고 5–1 카메룬
(중앙 콩고; 1954)
최대 점수차 승리11–0
(콩고; 1964년 3월 28일)
11–0
(리브르빌, 가봉; 1976년 7월 7일)
최대 점수차 패배8–1 }}
(안타나나리보, 마다가스카르; 1960년 4월 18일)
FIFA 랭킹
최고 FIFA 랭킹42
최고 FIFA 랭킹 날짜2015년 9월
최저 FIFA 랭킹144
최저 FIFA 랭킹 날짜2011년 9월
Elo 랭킹
최고 Elo 랭킹37
최고 Elo 랭킹 날짜1972년 7월
최저 Elo 랭킹133
최저 Elo 랭킹 날짜2011년 9월 4일
주요 대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첫 출전196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고 성적우승 (1972년)
요르단 국제 토너먼트 출전 횟수1
요르단 국제 토너먼트 첫 출전1992년
요르단 국제 토너먼트 최고 성적4위 (1992년)

2. 역사

콩고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 2월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4-2로 패하며 첫 경기를 치렀다.[2] 4월 13일에는 레위니옹 축구 국가대표팀을 4-1로 이기며 8강에 진출했다. 4월 15일 8강전에서는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을 3-2로 꺾었다. 4월 17일에는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에 5-4로 패했고, 4월 19일 3·4위전에서는 개최국 마다가스카르 축구 국가대표팀에 8-1로 패했다.

1963년 4월에는 세네갈에서 열린 '라미티에' 대회에 참가하여,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코트디부아르, 콩고 민주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타니 축구 국가대표팀과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4월 13일 튀니지에 2-0으로 패했지만, 다음 날 코트디부아르를 3-2로 이겼다. 4월 15일에는 이웃 나라 콩고 민주 공화국을 2-1로 이겼고, 이틀 후 모리타니를 11-0으로 대파했지만 다음 라운드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1965년 7월 콩고는 1965년 전아프리카 게임을 개최했고, 말리 축구 국가대표팀,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과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7월 18일 말리와 1-1로 비겼고, 다음 날 우간다를 2-1로 이겼다. 7월 21일 토고와 1-1로 비겼지만 준결승에 진출하여 7월 23일 코트디부아르를 1-0으로 꺾었다. 7월 25일 결승전에서 말리와 0-0으로 비겼지만, 코너킥 횟수에서 말리의 1개 대 10개로 우승을 차지했다.

1967년 1월 11일 콩고는 최초로 아프리카가 아닌 팀과 경기를 치러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1-0으로 홈에서 이겼다. 1967년 2월 19일 콩고는 첫 196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위해 튀니지로 원정을 갔고, 1-1로 비겼다. 1967년 8월 2일에는 카메룬과의 예선 경기를 홈에서 치러 2-1로 승리하여 예선 조 1위로 첫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은 1968년 1월 에티오피아에서 열린 196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었고, 콩고는 이웃 나라 자이르 축구 국가대표팀,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과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1월 12일 자이르에 3-0으로 패했고, 이틀 후 세네갈에 2-1로 패했다. 1월 16일 가나에 3-1로 패하며 탈락했다.

콩고는 1968년 6월 16일 2년 연속으로 루마니아와의 친선 경기를 홈에서 치러 4-2로 승리했다. 1968년 7월 30일에는 최초로 남미 팀과 경기를 치러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에 2-0으로 홈에서 패했다.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콩고는 유일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다. 콩고는 준결승에서 개최국 카메룬을 1-0으로 이기고, 결승전에서 말리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대표팀에는 1970년대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활약한 콩고에서 가장 유명한 선수 중 한 명인 프랑수아 엠펠레가 있었다.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콩고는 본선 진출을 눈앞에 두었다. 그러나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콩고 민주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홈 경기에서 승리한 후, 마지막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0-1로 패하며 탈락했다.

2. 1. 초기 역사 (1960-1970)

콩고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 2월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4-2로 패하며 첫 경기를 치렀다.[2] 1963년 4월에는 세네갈에서 열린 '라미티에' 대회에 참가하여 튀니지, 코트디부아르, 콩고 민주 공화국, 모리타니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으나 다음 라운드에는 진출하지 못했다.[2]

1965년 7월, 콩고는 1965년 전아프리카 게임을 개최하여 결승전에서 말리와 0-0으로 비겼지만, 코너킥 횟수에서 앞서 우승을 차지했다.[2] 1967년 1월 11일에는 최초로 아프리카가 아닌 팀인 루마니아를 홈에서 1-0으로 꺾었다.[2] 같은 해, 콩고는 첫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자이르, 세네갈, 가나에 패하며 탈락했다.[2]

1968년에는 루마니아와 다시 친선 경기를 가져 4-2로 승리했고, 최초로 남미 팀인 브라질과 경기를 치러 2-0으로 패했다.[2]

2.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과 전성기 (1972-1978)

콩고 공화국은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사상 첫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맞았다.[2] 준결승전에서 개최국 카메룬을 1-0으로 꺾고, 결승전에서는 말리를 3-2로 제압하며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2] 이 당시 대표팀에는 1970년대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활약하며 콩고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프랑수아 엠펠레가 있었다.

이후 콩고는 197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4위를 기록했고, 1978년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2. 3. 침체와 부활의 노력 (1980-2010)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월드컵 및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번번이 탈락하거나 불참하는 등 침체기를 겪었다.[2] 1998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잠비아, 콩고 민주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상대로 홈 경기에서 승리하며 본선 진출에 근접했으나, 마지막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0-1로 패하며 아쉽게 탈락했다.[2]

2. 4. 최근 동향 (2010-현재)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콩고는 E조에 속해 있으며, 2024년 6월 11일 모로코와의 원정 경기에서 0-6으로 패했다.[3] 또한,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도 참가하고 있다.

최근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년'''

  • 3월 25일, 가봉과의 친선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6월 6일, 202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니제르에 0-3 몰수패를 당했다.[3]
  • 6월 11일, 202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모로코에 0-6으로 패배했다.[3]
  • 9월 5일,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남수단을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 9월 9일,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우간다에게 0-2로 패배했다.
  • 10월 11일,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게 0-5으로 패배했다.
  • 10월 15일,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11월 14일,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남수단에게 2-3으로 패배했다.
  • 11월 19일,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우간다에게 0-1로 패배했다.

3. 주요 대회 기록

3. 1. FIFA 월드컵

콩고 공화국은 현재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6][7]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참가는 FIFA로부터 거절당했고, 1970년 FIFA 월드컵에는 불참했다. 이후 예선에 꾸준히 참가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그나마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1차 예선과 2차 예선을 통과하여 3승 2무 1패, E조 2위라는 콩고 공화국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개최국 / 년결과개최국 / 년결과
1930프랑스령이었기 때문에 참가할 수 없었음 1982불참
1934 1986
1938 1990
1950 1994예선 탈락
1954 1998
1958 2002
1962예선 참가 시점에 FIFA 비회원이었기 때문에 참가할 수 없었음 2006
1966불참 2010
1970 2014
1974예선 탈락 2018
1978 2022
총계출전 0회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콩고 공화국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7번 출전했다.[8] 1972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74년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했다.[8] 또한, 1992년 대회2015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8]

} 2029

|-

!총계

!우승 1회

!34회 중 7회 참가

!26

!7

!8

!11

!27

!37

|}

3. 3. 아프리카 경기 대회

올아프리카 게임 축구에는 4번 출전하여 1965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중앙아프리카 경기 대회에는 3번 출전하여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CEMAC컵에서는 9번의 대회 중 2번의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고 UDEAC컵에서도 7번의 대회 중 1번의 우승과 2번의 준우승을 차지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57프랑스(France) 소속
1959
콩고 공화국(Congo-Brazzaville)로 참가
1962CAF 비회원국
1963
1965
1968조별 리그7위300328
''콩고 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the Congo)'''로 참가
1970불참
1972우승1위531195
19744위4위5212710
1976예선 탈락
1978조별 리그7위301214
1980예선 탈락
1982
1984
1986
1988
1990불참
콩고 공화국(Republic of the Congo)로 참가
19928강5위302123
1994예선 탈락
1996
1998
2000조별 리그11위302101
2002예선 탈락
2004
2006
2008
2010
2012
2013
20158강5위421166
2017예선 탈락
2019
2021
2023
2025
2027미정
{{flagicon|}
아프리카 경기 대회 기록
년도결과경기 수득점실점
1965년금메달5311115
1973년6위310258
총계2/484131613



15px
'''금메달 (1회)''': 1965년

3. 4. 기타 국제 대회

올아프리카 게임 축구에는 4번 출전했고 이 중 1965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중앙아프리카 경기 대회에는 3번 출전하여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목에 걸었으며 CEMAC컵에서는 9번의 대회 중 2번의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UDEAC컵에서도 7번의 대회 중 1번의 우승과 2번의 준우승을 차지했다.

4. 선수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 14일과 19일에 각각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남수단과 우간다와의 경기를 위해 소집된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4]

'''2024년 11월 19일 우간다와의 경기 후 기록된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이다.'''

포지션선수생년월일출전 경기 수득점 수소속팀비고
GK트레이 비말린2001년 1월 28일40플뤼리 91프랑스
GK마를리 프린스 에리티에1999년 4월 10일10페로니켈리 74코소보
GK첼시 보나제비2006년 5월 18일00CARA 브라자빌콩고 공화국
GK데이비드 오푼자1998년 4월 3일00셀레스테콩고 민주 공화국
DF라이언 비둥가 (Ryan Bidounga)|라이언 비둥가]] || 1997년 4월 29일 || 10 || 0 || CSKA 1948 || 불가리아
DF브라이언 파시 (Bryan Passi)|브라이언 파시]] || 1997년 8월 5일 || 10 || 0 || 마프라 || 포르투갈
DF모건 포아티 (Morgan Poaty)|모건 포아티]] || 1997년 7월 15일 || 10 || 0 || 로잔-스포르 || 스위스
DF라마릭 에투 (Ramaric Etou)|라마릭 에투]] || 1995년 5월 25일 || 7 || 0 || 딜라 고리 || 조지아
DF루아 파리엘 (Loïs Fauriel)|루아 파리엘]] || 2002년 7월 17일 || 3 || 0 || 도크사 카토코피아스 || 키프로스
DF크리스트 마코소 (Christ Makosso)|크리스트 마코소]] || 2004년 5월 9일 || 3 || 0 || 소쇼 || 프랑스
DF자나르드 벨로드 엠바 (Janard Berlohd Mbemba)|자나르드 벨로드 엠바]] || 2002년 3월 6일 || 3 || 0 || 디아블르 누아르 || 콩고 공화국
MF하비 오세테 (Harvy Ossété)|하비 오세테]] || 1999년 8월 18일 || 31 || 0 || 생트엘로이 루푸포 || 콩고 민주 공화국
MF머베일 앤도키트 (Merveil Ndockyt)|머베일 앤도키트]] || 1998년 7월 20일 || 27 || 1 || 고리차 || 크로아티아
MF가이우스 마쿠타 (Gaius Makouta)|가이우스 마쿠타]] || 1997년 7월 25일 || 24 || 2 || 보아비스타 || 포르투갈
MF프레드 뎀비 (Fred Dembi)|프레드 뎀비]] || 1995년 2월 21일 || 12 || 1 || 레드 스타 || 프랑스
MF샹드렐 마산가 (Chandrel Massanga)|샹드렐 마산가]] || 1999년 8월 17일 || 12 || 1 || 하타이스포르 || 튀르키예
MF놀란 엠바 (Nolan Mbemba)|놀란 엠바]] || 1995년 2월 19일 || 10 || 0 || 그르노블 || 프랑스
MF글리드 오탕가 (Glid Otanga)|글리드 오탕가]] || 2000년 8월 14일 || 1 || 0 || 알 카라이티야트 || 카타르
FW프레스티지 음붕구 (Prestige Mboungou)|프레스티지 음붕구]] || 2000년 7월 10일 || 31 || 2 || TSC || 세르비아
FW실베르 갱볼라 (Silvère Ganvoula)|실베르 갱볼라]] || 1996년 6월 29일 || 24 || 6 || 영 보이즈 || 스위스
FW몬스 바수아미나 (Mons Bassouamina)|몬스 바수아미나]] || 1998년 5월 28일 || 13 || 2 || 포 || 프랑스
FW얀 마벨라 (Yann Mabella)|얀 마벨라]] || 1996년 2월 22일 || 8 || 0 || RFCU 유니온 || 룩셈부르크
FW크리스토퍼 이바이 (Christopher Ibayi)|크리스토퍼 이바이]] || 1995년 7월 18일 || 3 || 2 || 루앙 || 프랑스
FW제이슨 바함불라 (Jason Bahamboula)|제이슨 바함불라]] || 2001년 6월 15일 || 2 || 0 || 발미에라 || 라트비아
FW아르샹주 빙츠카 (Archange Bintsouka)|아르샹주 빙츠카]] || 2002년 10월 25일 || 2 || 0 || 파르티자니 || 알바니아
FW엘리 안주오노 (Elie Andzouono)|엘리 안주오노]] || 2002년 1월 2일 || 1 || 0 || 디아블르 누아르 || 콩고 공화국
FW베니 남보카 (Beni Namboka)|베니 남보카]] || 미상 || 1 || 0 || 셀레스테 || 콩고 민주 공화국



지난 12개월 동안 콩고 공화국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선수생년월일출전 경기 수득점 수소속팀비고
GK크리스토퍼 마푸비(Christoffer Mafoumbi)1994년 3월 3일380플로리아나 FC(Floriana F.C.)몰타v. , 2024년 10월 11일
GK파벨 앤질라(Pavelh Ndzila)1995년 1월 12일210APR FC(APR F.C.)르완다v. , 2024년 9월 9일
GK오웬-세자르 마팀부(Owen-Césaire Matimbou)2002년 6월 19일20US 오를레앙(US Orléans)프랑스v. , 2024년 9월 9일
GK멜빈 징가(Melvin Zinga)2002년 3월 16일00앙제 SCO(Angers SCO)프랑스v. , 2024년 9월 9일
GK멜빈 두니아마(Melvin Douniama)2003년 2월 26일00파리 FC B프랑스v. , 2024년 6월 12일
GK크리스토프 밤바(Cristophe Wamba)2003년 9월 16일00에투알 뒤 콩고(Étoile du Congo)콩고 공화국v. , 2024년 6월 12일
DF요안 안주아나(Yhoan Andzouana)1996년 12월 13일140FC DAC 1904 두나이스카 스트레다(FC DAC 1904 Dunajská Streda)슬로바키아, 2024년 11월 14일 PRE}}
DF프란시스 엔자바(Francis Nzaba)2002년 7월 17일30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İstanbul Başakşehir F.K.)튀르키예v. , 2024년 9월 9일
DF케빈 무앙가(Kévin Mouanga)2000년 7월 24일00FC 안네시(FC Annecy)프랑스v. , 2024년 9월 9일
DF라비 추카(Ravy Tsouka)1994년 12월 23일200AEL 리마솔(AEL Limassol)키프로스v. , 2024년 6월 12일
DF블라디스-에머슨 일로이-아이예(Vladis-Emmerson Illoy-Ayyet)/블라디스 일로이(Vladis Illoy)1995년 10월 7일31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FC Ural Yekaterinburg)러시아v. , 2024년 6월 12일
DF루익 아이나(Loick Ayina)2003년 4월 20일00로스 카운티 FC(Ross County F.C.)스코틀랜드v. , 2024년 6월 12일
DF마크 맘파시(Mark Mampassi)2003년 3월 12일00KV 코르트르이크(K.V. Kortrijk)벨기에v. , 2024년 6월 12일
DF어빙 보타카(Erving Botaka)1998년 11월 5일00아르세날 툴라(Arsenal Tula)러시아v. , 2024년 3월 26일
DF브라이언 페레이라(Brayann Pereira)2003년 5월 21일00NEC 네이메헌(NEC Nijmegen)네덜란드v. , 2024년 3월 26일
MF라비에르 오탕가(Raviere Otanga)2000년 8월 14일30아크라 하츠 오브 오크 SC(Accra Hearts of Oak S.C.)가나v. , 2024년 10월 11일
MF앙투안 마쿰부(Antoine Makoumbou)1998년 7월 18일191칼리아리 칼초(Cagliari Calcio)이탈리아v. , 2024년 10월 11일 PRE
MF브루날러진 에투(Brunallergene Etou)1994년 1월 1일10피츠버그 리버하운즈 SC(Pittsburgh Riverhounds SC)미국v. , 2024년 9월 9일
MF윌 혼더마크(Will Hondermarck)2000년 11월 21일10노샘프턴 타운 FC(Northampton Town F.C.)잉글랜드v. , 2024년 9월 9일
MF래비 젠질룰라(Rabby Nzingoula)2005년 11월 25일00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아카데미(RC Strasbourg Alsace Academy)프랑스v. , 2024년 9월 9일
MF듀렐 아부누(Durel Avounou)1997년 9월 25일230CFR 클루지(CFR Cluj)루마니아v. , 2024년 6월 12일
MF초무 리키비(Tsomou Likibi)1987년 1월 24일21인터 클럽 브라자빌(Inter Club Brazzaville)콩고 공화국v. , 2024년 6월 12일
MF딜런 바함불라(Dylan Bahamboula)1995년 5월 22일120부사이틴 클럽(Busaiteen Club)바레인v. , 2024년 3월 26일
FW조스나 루렌도(Josna Loulendo)2004년 1월 15일20알 아인 FC(Al Ain FC)아랍에미리트v. , 2024년 10월 11일
FW프린스 이바라(Prince Ibara)1996년 2월 7일214USM 켄셸라(USM Khenchela)알제리v. , 2024년 9월 9일
FW베니 마쿠아나(Béni Makouana)1999년 9월 28일150FC 폴리샤 지토미르(FC Polissya Zhytomyr)우크라이나v. , 2024년 9월 9일
FW가브리엘 샤르팡티에(Gabriel Charpentier)1999년 5월 17일31파르마 칼초 1913(Parma Calcio 1913)이탈리아v. , 2024년 9월 9일
FW알랭 이피엘레(Alain Ipiélé)1997년 8월 20일10FC 마르티그(FC Martigues)프랑스v. , 2024년 6월 12일
FW이노 로엠바(Inno Loemba)2004년 8월 4일10AS 오토호(AS Otoho)콩고 공화국v. , 2024년 6월 12일



4. 2. 주요 선수

'''마뇰레케 비시키'''[5], 델뱅 은딩가, 프랭스 오니앙게 등은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주요 선수들이다. 티에비 비푸마는 2014년부터 현재까지 41경기에서 16골을 넣어 콩고 대표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델뱅 은딩가는 콩고 대표팀에서 56경기에 출전한 최다 출전 선수 중 한 명이다.


조나스 바함불라는 1969년부터 1982년까지 56경기에 출전하여 13골을 기록했으며, 델뱅 은딩가 또한 56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하며 공동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티에비 비푸마는 콩고 대표팀 최다 득점자이다.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득점활동 기간
1조나스 바함불라56131969–1982
델뱅 은딩가5612008–2021
3데스탱 마키타5512001–2013
4바렐 무코5112004–2018
5마뇰레케 비시키4502012–2021
6오스카르 에볼로4422000–2013
7프랭스 오니앙게4382008–2019
8티에비 비푸마41162014–현재
프랑시스 응강가4132008–2017
10브리스 삼바3801990–2001
크리스토퍼 마푸엠비3802012–현재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경기당 득점율활동 기간
1티에비 비푸마16410.392014년~현재
2조나스 바함불라13560.231969년~1982년
3프랑수아 엠펠레12290.411971년~1978년
4폴 무킬라11310.351970년~1978년
5앙제스 응가피10330.31984년~1993년
페레보리 도레10370.272010년~2017년
7장 자크 놈바8350.231974년~1992년
프랭스 오니앙게8430.192008년~2019년
9카데르 비딤부5130.382014년~현재
기 엠벤자5210.242017년~현재
롤프 크리스텔 기에 미엔5250.21996년~2008년
실베르 갱볼라5270.192014년~현재
하르디 빙기라5290.172013년~현재
파브리스 온다마5370.142006년~2017년



이 외에도 크리스토퍼 쌈바, 뤼시앵 오베이 등이 콩고 공화국 대표팀에서 활약했다.

5. 감독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들은 다음과 같다.


  • 폴 에본지바토 (1962–1964, 1965–1970)
  • 바실리 소콜로프 (1964–1965)
  • 아돌프 비반줄루 (1970–1973)
  • 로베르트 누디 (1973–1974)
  • 치체로네 마놀라체/Cicerone Manolachero (1974–1976)
  • 조란 리스티치 (1984)
  • 이봉 구종 (1986–1987)
  • 노엘 민가 (1992–1993, 2001)
  • 다비드 메미 (1997–1998, 1999–2000)
  • 알랭 네스토르 응구인다 (1998–1999, 2002)
  • 카밀 응가코소 (2000, 2011)
  • 가스통 탕가나 (2001, 2005–2006, 2007–2008)
  • 우겐 몰도반 (2001–2002)
  • 클로드 안드레 (2002–2003)
  • 타신 자바리 (2002–2003)
  • 장-폴 베르나르 (2003)
  • 미셸 이달고 (2004)
  • 크리스티앙 레타르 (2004–2005)
  • 노엘 토시 (2006–2007)
  • 이비차 토도로프 (2008–2010)
  • 로베르 코르푸 (2010–2011)
  • 장-기 월렘 (2011–2012)
  • 카멜 자부르 (2012–13)
  • 클로드 르 로이 (2013–15)
  • 피에르 르샹트르 (2016)
  • 바르텔레미 엔가트소노 (2016–17)
  • 세바스티앵 미뉴 (2017–18)
  • 바우두 피유 (2018–2021)
  • 폴 풋 (2021–2023)
  • 아이작 엔가타 (2023-현재)


직책이름
감독아이작 응가타(Isaac Ngata)
수석 코치무아즈 마뷴자(Moïse Mavundza), 앙리 응간가(Henri Nganga)
골키퍼 코치제랄드 엠반다카(Gérald Mbandaka)
피트니스 코치포르모즈 킴부타(Formose Kimbuta)
경기 분석관프랑수아 엠팡가(François Mpanga)
의료진스테판 마뷴구 박사(Dr. Stéphane Mavungu), 제르베 츠빈다 박사(Dr. Gervais Tchibinda)
물리치료사오렐리앵 킴펨베(Aurélien Kimpembe), 모리스 무붕구(Maurice Mvoungou), 로익 킴벨라(Loïc Kimbela), 제롬 츠카(Jérôme Tchuka)
팀 코디네이터에르베 응골로(Hervé Ngolo)
기술 감독막심 엔자시(Maxime Nzassi)


5. 1. 역대 감독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들은 다음과 같다.

  • 폴 에본지바토 (1962–1964, 1965–1970)
  • 바실리 소콜로프 (1964–1965)
  • 아돌프 비반줄루 (1970–1973)
  • 로베르트 누디 (1973–1974)
  • 치체로네 마놀라체 (1974–1976)
  • 조란 리스티치 (1984)
  • 이봉 구종 (1986–1987)
  • 노엘 민가 (1992–1993, 2001)
  • 다비드 메미 (1997–1998, 1999–2000)
  • 알랭 네스토르 응구인다 (1998–1999, 2002)
  • 카밀 응가코소 (2000, 2011)
  • 가스통 탕가나 (2001, 2005–2006, 2007–2008)
  • 우겐 몰도반 (2001–2002)
  • 클로드 안드레 (2002–2003)
  • 타신 자바리 (2002–2003)
  • 장-폴 베르나르 (2003)
  • 미셸 이달고 (2004)
  • 크리스티앙 레타르 (2004–2005)
  • 노엘 토시 (2006–2007)
  • 이비차 토도로프 (2008–2010)
  • 로베르 코르푸 (2010–2011)
  • 장-기 월렘 (2011–2012)
  • 카멜 자부르 (2012–13)
  • 클로드 르 로이 (2013–15)
  • 피에르 르샹트르 (2016)
  • 바르텔레미 엔가트소노 (2016–17)
  • 세바스티앵 미뉴 (2017–18)
  • 바우두 피유 (2018–2021)
  • 폴 풋 (2021–2023)
  • 아이작 엔가타 (2023-현재)

5. 2. 코칭 스태프

직책이름
감독아이작 응가타(Isaac Ngata)
수석 코치무아즈 마뷴자(Moïse Mavundza), 앙리 응간가(Henri Nganga)
골키퍼 코치제랄드 엠반다카(Gérald Mbandaka)
피트니스 코치포르모즈 킴부타(Formose Kimbuta)
경기 분석관프랑수아 엠팡가(François Mpanga)
의료진스테판 마뷴구 박사(Dr. Stéphane Mavungu), 제르베 츠빈다 박사(Dr. Gervais Tchibinda)
물리치료사오렐리앵 킴펨베(Aurélien Kimpembe), 모리스 무붕구(Maurice Mvoungou), 로익 킴벨라(Loïc Kimbela), 제롬 츠카(Jérôme Tchuka)
팀 코디네이터에르베 응골로(Hervé Ngolo)
기술 감독막심 엔자시(Maxime Nzassi)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http://www.elorating[...] 2023-04-06
[2] 웹사이트 Congo (Brazzaville)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Rec. Sport 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3-12-23
[3] 웹사이트 Congo withdraws from its match with Niger in World Cup qualifiers https://nan.media/en[...] 2024-06-05
[4] 웹사이트 https://www.facebook[...]
[5] 웹사이트 Congo-Brazzaville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6] 문서 콩고 공화국 축구협회 창설 이전
[7] 문서 콩고 공화국 축구협회 창설 이전
[8]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