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5년 CONCACAF 챔피언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5년 CONCACAF 챔피언스컵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주최로 열린 클럽 대항전이다. 멕시코의 아틀레티코 에스파뇰이 결승에서 수리남의 SV 트란스발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는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지역 예선을 거쳐 결선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각 지역 예선에서 여러 팀들이 경쟁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5년 축구 - 1975년 코파 아메리카
1975년 코파 아메리카는 페루가 콜롬비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1967년 우승팀 우루과이를 포함한 10개 팀이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우승팀을 가렸다. - 1975년 축구 - 197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7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20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 준결승, 결승 토너먼트를 거쳐 인데펜디엔테가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 CONCACAF 챔피언스컵 시즌 - 2021년 CONCACAF 챔피언스리그
2021년 CONCACAF 챔피언스리그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주관으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북중미 최고의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코로나19로 일정 조정이 있었으며 몬테레이가 우승했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CONCACAF 챔피언스컵 시즌 - 1989년 CONCACAF 챔피언스컵
1989년 CONCACAF 챔피언스컵은 UNAM 데 푸마스가 FC 피나르델리오를 꺾고 우승한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클럽 대항전이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1975년 CONCACAF 챔피언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CONCACAF 챔피언스컵 |
기타 명칭 | 코파 데 캄페오네스 CONCACAF |
개최 연도 | 1975년 |
개최 기간 | 1975년 7월 5일 – 1976년 5월 9일 |
참가 팀 수 | 17개 클럽 (10개국) |
경기 수 | 22 |
득점 총합 | 56 |
결과 | |
우승 |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1번째 우승) |
준우승 | 트란스발 |
통계 | |
대회 역사 | |
이전 대회 | 1974 |
다음 대회 | 1976 |
2. 북아메리카 지역 예선
2. 1. 1라운드
몬테레이가 세르비안 화이트 이글스를 합계 3-1로 이겼다. 1차전은 몬테레이가 2-0으로 승리했고, 2차전은 1-1 무승부였다.2. 2. 2라운드
아틀레티코 에스파뇰이 몬테레이를 합계 2-1로 꺾고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1차전은 1975년 9월 28일 멕시코 푸에블라의 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에서 열렸으며, 라미레스가 페널티킥으로 득점하고 곤잘레스가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2차전은 1975년 10월 9일 산니콜라스데로스가르자의 에스타디오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열렸으며, 우르비나가 득점하여 아틀레티코 에스파뇰이 1-0으로 승리했다.3. 중앙아메리카 지역 예선
3. 1. 1라운드
1975년 CONCACAF 챔피언스컵 1라운드에서는 여러 중미 국가 클럽들이 경기를 펼쳤다. 코스타리카의 에레디아노는 온두라스의 모타과를 합계 3-2로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첫 경기는 1975년 5월 4일 온두라스 테구시갈파의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에서 열렸으며, 모타과가 2-1로 승리했다. 5월 15일 코스타리카 에레디아의 에스타디오 엘라디오 로사발 코르데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에레디아노가 2-0으로 승리하며 합계에서 앞섰다.같은 코스타리카의 사프리사는 온두라스의 레알 에스파냐를 합계 4-3으로 이겼다. 6월 8일 코스타리카 산 후안 데 티바스의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야마에서 열린 1차전에서 사프리사가 4-1로 크게 이겼고, 6월 15일 온두라스 산 페드로 술라의 에스타디오 프란시스코 모라산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레알 에스파냐가 2-0으로 이겼으나, 최종 합계에서 사프리사가 앞섰다.
과테말라의 무니시팔은 엘살바도르의 네고시오스 인테르나시오날레스를 합계 2-1로 제압했다. 6월 29일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의 에스타디오 플로르 블랑카에서 열린 1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났고, 7월 6일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의 에스타디오 도르테오 구아무치 플로레스에서 열린 2차전에서 무니시팔이 2-1로 승리했다.
과테말라의 아우로라는 엘살바도르의 플라텐세와 합계 4-4로 비겼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7월 6일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의 에스타디오 플로르 블랑카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플라텐세가 4-3으로 이겼고, 7월 9일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의 에스타디오 델 에헤르시토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아우로라가 1-0으로 승리했다.
결과적으로 에레디아노, 사프리사, 무니시팔, 아우로라가 2라운드에 진출했다.
3. 2. 2라운드
코스타리카의 데포르티보 사프리사가 에레디아노를 합계 3-2로 이기고 3라운드에 진출했다. 1차전은 1975년 9월 4일 산후안 데 티바스의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에서 열렸으며, 오디르 자크의 두 골에 힘입어 사프리사가 2-0으로 승리했다. 2차전은 1975년 9월 11일 에레디아의 에스타디오 엘라디오 로사발 코르데로에서 열렸으며, 에레디아노가 조니 알바라도와 라파엘 앙헬 카마초의 골로 2-1로 승리했으나, 합계에서 앞선 사프리사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과테말라의 무니시팔은 아우로라와의 경기에서 합계 2-2를 기록한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며 3라운드에 진출했다. 1차전은 1975년 9월 14일 과테말라 시티의 에스타디오 도로테오 구아무치 플로레스에서 열렸으며, 무니시팔이 펠리페 안토니오 카리아스의 두 골로 2-1로 승리했다. 2차전은 1975년 9월 17일 같은 장소에서 열렸으며, 아우로라가 1-0으로 승리하여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3. 3. 3라운드
1975년 10월 5일 코스타리카 산호세의 코스타리카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사프리사와 무니시팔의 1차전 경기에서 사프리사의 오디르 자크와 헤라르도 솔라노, 무니시팔의 레오나르도 맥니시와 훌리오 세사르 앤더슨이 득점하며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1975년 10월 12일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의 도로테오 구아무치 플로레스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양 팀이 득점 없이 비겼다. 합계 2-2, 승부차기 결과 6-5로 사프리사가 승리하여 CONCACAF 결선 시리즈로 진출하였다.4. 카리브해 지역 예선
도미니카 공화국의 안체 몬테카를로, 아이티의 RC 아이시앵, 수리남의 로빈후드는 기권하거나 실격 처리되었다.
=== 1라운드 ===
트란스발(수리남)은 비올레트(아이티)가 기권함에 따라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산토스(자메이카)는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도미니카 공화국)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으로부터 임금 문제와 관련된 징계를 받아 실격 처리되면서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레이싱 아이티(아이티)와 로빈후드(수리남)의 경기는 합계 3-3으로 끝났으나, 승부차기 끝에 로빈후드가 승리했다.
트란스발과 비올레트의 경기에서, 2차전은 70분에 4-0으로 중단되었고, 비올레트는 출전 자격이 없는 선수를 기용하여 실격 처리되었다.
=== 2라운드 ===
수리남의 트란스발이 자메이카의 산토스를 합계 5-1 (4-1, 1-0)로 이겼다. 수리남의 로빈후드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몬테카를로가 실격 처리되면서 부전승으로 3라운드에 진출했다. 몬테카를로는 도미니카 공화국이 CONCACAF 회비를 지불하지 못하여 실격 처리되었다.
=== 3라운드 ===
트란스발이 로빈후드를 합계 1-0으로 이기고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1차전은 트란스발의 1-0 승리, 2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났다.
4. 1. 1라운드
트란스발(수리남)은 비올레트(아이티)가 기권함에 따라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산토스(자메이카)는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도미니카 공화국)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으로부터 임금 문제와 관련된 징계를 받아 실격 처리되면서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레이싱 아이티(아이티)와 로빈후드(수리남)의 경기는 합계 3-3으로 끝났으나, 승부차기 끝에 로빈후드가 승리했다.
트란스발과 비올레트의 경기에서, 2차전은 70분에 4-0으로 중단되었고, 비올레트는 출전 자격이 없는 선수를 기용하여 실격 처리되었다.
4. 2. 2라운드
수리남의 트란스발이 자메이카의 산토스를 합계 5-1 (4-1, 1-0)로 이겼다. 수리남의 로빈후드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몬테카를로가 실격 처리되면서 부전승으로 3라운드에 진출했다. 몬테카를로는 도미니카 공화국이 CONCACAF 회비를 지불하지 못하여 실격 처리되었다.4. 3. 3라운드
트란스발이 로빈후드를 합계 1-0으로 이기고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1차전은 트란스발의 1-0 승리, 2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났다.5. 결선 라운드
5. 1. 준결승전
멕시코의 아틀레티코 에스파뇰이 코스타리카의 사프리사를 합계 4-2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1차전과 2차전 모두 아틀레티코 에스파뇰이 사프리사를 상대로 각각 2-1, 2-1 승리를 거두었다. 두 경기 모두 코스타리카 산후안 데 티바스의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야마에서 진행되었다.5. 2. 결승전
멕시코의 아틀레티코 에스파뇰이 수리남의 트란스발을 합계 5-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차전은 1976년 3월 7일에, 2차전은 3월 9일에 진행되었으며, 두 경기 모두 파라마리보의 국립 경기장에서 열렸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트란스발 | 1-5 |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 0-3 | 1-2 |
1차전에서는 아틀레티코 에스파뇰이 보르볼라, 로드리게스, 우르비나의 득점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2차전에서는 아틀레티코 에스파뇰이 라미레스와 이소르디아의 득점으로 2-1 승리를 거두었고, 트란스발은 바넨부르크가 득점했다.
6. 우승
1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