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6년 태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6년에는 서태평양에서 총 25개의 열대 폭풍이 발생했으며, 이 중 14개가 태풍으로 발달했다. 1월부터 12월까지 다양한 시기에 걸쳐 발생했으며, 4개의 태풍은 초대형 태풍으로 성장했다. 주요 태풍으로는 캐시, 마리, 올가, 파멜라, 루비, 샐리, 테레사, 빌리, 프란, 루이스 등이 있으며, 이들은 필리핀, 일본, 괌, 중국, 대만, 홍콩 등지에 큰 피해를 입혔다. 특히 태풍 프란은 일본에서 169명의 사망자를 내고 6억 6천만 달러의 재산 피해를, 태풍 올가는 374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등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자연재해 - 1976년 지진
    1976년에는 탕산 대지진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지진 발생으로 인해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으며, 각 지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976년 지진 관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76년 태풍
시즌 정보
활동 기간 시작1976년 1월 27일
활동 기간 종료1976년 12월 30일
해역북서태평양
통계
총 열대저기압51개
총 열대 폭풍25개
총 태풍15개
강한 태풍4개 (비공식)
사망자650명 이상
피해액11억 6200만 달러 이상
가장 강력한 태풍
이름루이스 (Louise)
최저 기압895hPa
최대 풍속140kt (1분 평균)
관련 시즌
이전 시즌1975
다음 시즌1977
기타 시즌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1976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1976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1976
태풍 경로
1976년 태풍 시즌 경로
1976년 태풍 시즌 경로

2. 1976년 태풍 목록

1976년 서태평양에서는 25개의 열대 폭풍이 발생했으며, 이 중 14개가 태풍으로 발달했고, 4개는 초대형 태풍으로 성장했다.[1]

다음은 1976년 국제 날짜 변경선 서쪽과 적도 북쪽의 북서 태평양에서 발생한 모든 폭풍을 나열한 표이다.

이름날짜최대 강도피해 지역피해액
(USD)
사망자
등급풍속
캐시1월 27일 – 2월 2일태풍155km/h캐롤라인 제도없음없음
아시앙1월 28일 – 2월 1일열대 저기압55km/h필리핀없음없음
TD2월 1일 – 5일열대 저기압미정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비링2월 8일 – 11일열대 저기압55km/h필리핀없음없음
로나2월 27일 – 3월 1일열대 폭풍65km/h캐롤라인 제도없음없음
마리 (콘싱)4월 2일 – 14일태풍215km/h팔라우없음없음
낸시4월 25일 – 5월 2일강한 열대 폭풍100km/h없음없음없음
올가 (디당)5월 11일 – 27일태풍185km/h필리핀, 류큐 열도미상374
파멜라5월 14일 – 27일태풍240km/h캐롤라인 제도, 마리아나 제도5억달러11
TD5월 14일 – 15일열대 저기압미정팔라우없음없음
글로링6월 14일 – 21일열대 저기압55km/h필리핀, 류큐 열도없음없음
TD6월 16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루비 (후아닝)6월 21일 – 7월 4일태풍220km/h필리핀, 타이완, 류큐 열도미상16
TD6월 21일 – 22일열대 저기압미정남중국해없음없음
샐리6월 23일 – 7월 3일태풍215km/h캐롤라인 제도없음없음
테레사7월 9일 – 21일태풍250km/h마리아나 제도, 일본미상3
TD7월 17일 – 18일열대 저기압미정캐롤라인 제도없음없음
TD7월 18일 – 21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바이올렛 (루싱)7월 19일 – 27일강한 열대 폭풍100km/h남중국해없음2
윌다7월 21일 – 24일강한 열대 폭풍85km/h일본없음없음
아니타 (마링)7월 21일 – 27일태풍120km/h일본미상없음
TD7월 24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TD7월 26일 – 27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TD7월 30일 – 8월 2일열대 저기압미정류큐 열도없음없음
TD7월 30일 – 8월 1일열대 저기압미정류큐 열도, 타이완없음없음
빌리 (니탕)8월 1일 – 12일태풍120km/h타이완, 류큐 열도, 동중국해260만달러48
TD8월 1일 – 2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클라라8월 2일 – 7일강한 열대 폭풍75km/h남중국해미상미상
TD8월 2일 – 3일열대 저기압미정남중국해없음없음
닷 (오양)8월 17일 – 23일열대 폭풍95km/h일본, 동중국해, 대한민국없음없음
엘렌 (파링)8월 20일 – 25일열대 폭풍85km/h필리핀, 남중국해미상27
TD8월 31일 – 9월 2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프란9월 3일 – 14일태풍240km/h마리아나 제도, 일본6.6억달러169
조지아9월 8일 – 16일열대 폭풍75km/h캐롤라인 제도없음없음
TD9월 9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아이리스 (토양)9월 13일 – 10월 1일태풍140km/h필리핀, 남중국해미상미상
호프9월 13일 – 18일태풍130km/h없음없음없음
세니앙9월 13일 – 14일열대 저기압45km/h없음없음없음
TD9월 17일 – 18일열대 저기압미정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조안9월 18일 – 24일태풍130km/h없음없음없음
TD9월 19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TD9월 26일열대 저기압미정류큐 열도없음없음
TD9월 29일 – 10월 1일열대 저기압미정없음없음없음
운당9월 29일 – 10월 2일열대 저기압45km/h류큐 열도없음없음
루이스 (웰프링)10월 28일 – 11월 8일태풍260km/h캐롤라인 제도, 필리핀없음없음
마지 (요닝)11월 4일 – 11일태풍110km/h캐롤라인 제도, 류큐 열도없음없음
TD11월 21일열대 저기압미정캐롤라인 제도없음없음
TD11월 28일 − 30일열대 저기압미정필리핀없음없음
노라 (아링)12월 2일 – 7일강한 열대 폭풍85km/h필리핀미상미상
오팔 (바랑)12월 7일 – 10일열대 폭풍65km/h캐롤라인 제도없음없음
카양12월 28일 – 30일열대 저기압45km/h필리핀미상미상


2. 1. 태풍 캐시 (Kathy)

태풍 캐시는 1등급 태풍으로, 발생 기간 동안 해상에 머물렀다.[1] 1월 26일에 발생하여 2월 2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80노트, 최저 기압은 965hPa이었다.

2. 2. 열대저기압 아시앙 (Asiang)

열대저기압 아시앙(Asiang)은 필리핀 기상청(PAGASA)에서 명명한 열대저기압으로, 1976년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활동했다.[1]

2. 3. 열대저기압 비링 (Biring)

열대저기압 비링(Biring)은 PAGASA에서 명명한 열대저기압이다. 1976년 2월 8일부터 2월 11일까지 활동했다.[1]

2. 4. 열대폭풍 로나 (Lorna)

로나는 1976년 2월 27일에 발생하여 3월 1일에 소멸한 열대폭풍으로, 최대 풍속은 65km/h였다.[1]

2. 5. 태풍 마리 (Marie)

태풍 마리는 4등급 태풍으로, 필리핀에 영향을 주었지만 대부분 해상에 머물렀다. 중심 최저 기압은 930hPa이었다.[1] 4월 3일에 발생하여 4월 15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115노트였다.

2. 6. 강한 열대폭풍 낸시 (Nancy)

강한 열대폭풍 낸시(Nancy)는 1976년 4월 25일에 발생하여 5월 2일에 소멸하였다.[1] 낸시는 해상에서 소멸한 강한 열대폭풍이다.

2. 7. 태풍 올가 (Olga)

태풍 올가는 1976년 5월 11일부터 5월 27일까지 활동했으며, 최성기 세력은 3등급이었다.[1] 태풍 올가는 필리핀에 상륙하여 374명의 사망자를 냈고, 영화 ''지옥의 묵시록'' 촬영에도 영향을 미쳤다.

2. 8. 태풍 파멜라 (Pamela)

태풍 파멜라는 4등급 슈퍼 태풍으로 괌에 상륙하여 5억달러의 피해를 입혔다.[1] 괌에서는 1명이 사망했지만, 트루크(축)에서는 10명이 사망했다. 1976년 5월 15일에 발생하여 5월 28일에 소멸하였다.
태풍 파멜라

2. 9. 열대저기압 글로링 (Gloring)

열대저기압 글로링(Gloring)은 PAGASA에서 명명한 열대저기압이다. 1976년 6월 14일부터 6월 21일까지 활동했다.[1]

2. 10. 태풍 루비 (Ruby)

태풍 루비는 1976년 6월 23일에 발생하여 7월 4일에 소멸하였다. 루손섬에 상륙한 후 일본 남쪽 해상에서 220km/h의 풍속으로 최성기를 맞은 4등급 태풍이었다.[1] 이 태풍으로 16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2. 11. 태풍 샐리 (Sally)

태풍 샐리는 1976년에 발생한 8번째 태풍이다. 6월 24일부터 7월 5일까지 활동했으며, 육지에 영향을 주지 않은 4등급 태풍이었다.[1]
태풍 샐리

2. 12. 태풍 테레즈 (Therese)

태풍 테레즈는 4등급 슈퍼 태풍으로, 일본 남서부에 상륙하여 3명의 사망자를 냈다.[2] 1976년 7월 9일부터 7월 21일까지 활동하였다.

2. 13. 강한 열대폭풍 바이올렛 (Violet)

강한 열대폭풍 바이올렛은 1976년 7월 19일부터 7월 27일까지 활동했으며, 홍콩과 하이난 섬에 영향을 주어 2명이 사망했다.[1] 1분 최대 풍속은 55mph였고, 중심 기압은 985밀리바였다.

2. 14. 강한 열대폭풍 윌다 (Wilda)

강한 열대폭풍 윌다는 1976년 7월 21일부터 7월 24일까지 활동했으며, 일본에 상륙했다.[1] 1분 최대 풍속은 45노트, 최저 기압은 985hPa였다.

2. 15. 태풍 아니타 (Anita)

태풍 아니타는 1976년 7월 21일부터 27일까지 활동한 1등급 태풍이다.[1] 7월 23일에 발생하여 7월 25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65knots , 최저 기압은 980 hPa을 기록했다.

2. 16. 태풍 빌리 (Billie)

태풍에 의한 피해


'''1976년 제13호 태풍 빌리'''는 대만과 중국에 영향을 주어 48명의 사망자를 낸 4등급 태풍이다.[1] 대한민국에도 영향을 미쳐 어선 침몰 및 익사 사고가 발생했다.

2. 17. 강한 열대폭풍 클라라 (Clara)

강한 열대폭풍 클라라(Clara)는 1976년에 발생한 14번째 태풍으로, 중국에 상륙했다.[1] 8월 2일부터 8월 7일까지 활동했다.

2. 18. 열대폭풍 닷 (Dot)

열대폭풍 닷은 1976년 8월 17일부터 8월 23일까지 활동했으며, 중국, 일본, 대한민국에 영향을 주었다.[1] 1976년 태풍 제15호이다.

발생일소멸일1분 최대 풍속중심 기압
8월 19일8월 21일50 kn990 hPa


2. 19. 열대폭풍 엘렌 (Ellen)

열대폭풍 엘렌은 8월 20일부터 8월 25일까지 활동했으며, 홍콩에 상륙하여 27명의 사망자를 냈다.[1] 1976년 제16호 태풍 엘렌은 8월 21일에 발생하여 8월 24일에 소멸했다. 최대 풍속은 45노트, 최저 기압은 992hPa였다.

2. 20. 태풍 프란 (Fran)

태풍 프란은 일본에 상륙하여 169명의 사망자를 내고 6.6억달러의 재산 피해를 일으킨 4등급 슈퍼 태풍이다.[1] 대한민국에도 많은 비를 뿌려 큰 피해를 입혔다.

1976년 9월 7일 태풍 프란

2. 21. 열대폭풍 조지아 (Georgia)

Tropical Storm Georgia영어는 1976년 9월 9일에 발생하여 9월 16일까지 활동했으며, 해상에서 소멸하였다.[1] 1분 평균 최대 풍속은 40노트, 최저 기압은 990hPa을 기록했다.
1976년 9월 15일의 열대폭풍 조지아

2. 22. 태풍 호프 (Hope)

태풍 호프는 해상에서 소멸한 1등급 태풍이다.[1] 9월 13일에 발생하여 9월 18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65 hPa, 1분 최대 풍속은 70kn였다.

태풍 호프

2. 23. 열대저기압 세니앙 (Seniang)

열대저기압 세니앙(Seniang)은 필리핀 필리핀 기상청(PAGASA)에서 명명한 열대저기압이다. 1976년 9월 13일부터 9월 14일까지 활동했다.[1]

2. 24. 태풍 아이리스 (Iris)

태풍 아이리스는 남중국해를 거쳐 중국 남부에 상륙한 1등급 태풍이다.[1] 9월 15일에 발생하여 9월 22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75knots, 최저 기압은 975 hPa이었다.

태풍 아이리스

2. 25. 태풍 조안 (Joan)

태풍 조안(Joan)은 1등급 태풍으로, 해상에서 소멸하였다.[1] 9월 20일에 발생하여 9월 25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65 hPa, 최대 풍속은 70kn이었다.

2. 26. 태풍 루이스 (Louise)

태풍 루이스는 1976년에 발생한 22번째 태풍으로, 그 해 가장 강력했던 5등급 슈퍼 태풍이었다.[1] 이 태풍은 필리핀과 일본에 경미한 피해를 입혔다.

2. 27. 태풍 마지 (Marge)

태풍 마지는 1976년 11월 4일부터 11월 11일까지 활동했으며, 강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1] 1976년 태풍 제23호(23W, 유닌)로도 불린다.

2. 28. 강한 열대폭풍 노라 (Nora)

강한 열대폭풍 노라(Nora)는 1976년에 발생한 24번째 태풍으로, 필리핀을 스쳐 지나갔다.[1] 12월 2일부터 12월 7일까지 활동하였다.

2. 29. 열대폭풍 오팔 (Opal)

열대폭풍 오팔(Opal)은 1976년에 발생한 약한 열대폭풍이다. 12월 7일부터 12월 10일까지 활동했다.[1]

'''1976년 25호 태풍・25W・바시안'''
발생일12월 9일
소멸일12월 10일
1분 최대 풍속35mph
최저 기압996 hPa


2. 30. 열대저기압 카양 (Kayang)

열대저기압 카양(Kayang)은 필리핀 PAGASA에서 명명한 열대저기압이다.[1] 1976년 12월 28일부터 12월 30일까지 활동하였다.

3. 태풍 이름

1976년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의 이름은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에서 지정하였다. 그 해에는 총 25개의 열대폭풍이 발생했으며, 이 중 14개가 태풍으로 발달했다. 1976년 첫 번째 태풍은 '캐시(Kathy)'였고, 마지막 태풍은 '오팔(Opal)'이었다.[1]

이름명명 국가기타
캐시(Kathy)미국1W
로나(Lorna)미국2W
마리(Marie)미국3W
낸시(Nancy)미국4W
올가(Olga)미국5W
파멜라(Pamela)미국6W
루비(Ruby)미국7W
샐리(Sally)미국8W
테레즈(Therese)미국9W
바이올렛(Violet)미국10W
윌다(Wilda)미국11W
아니타(Anita)미국12W
빌리(Billie)미국13W
클라라(Clara)미국14W
도트(Dot)미국15W
엘렌(Ellen)미국16W
프란(Fran)미국17W
조지아(Georgia)미국18W
호프(Hope)미국19W
아이리스(Iris)미국20W
조안(Joan)미국21W
루이스(Louise)미국23W
마지(Marge)미국24W
노라(Nora)미국25W
오팔(Opal)미국26W



중앙 태평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케이트(Kate)는 당시 정책에 따라 서태평양 이름을 사용했다.

3. 1. 필리핀식 이름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천문청(PAGASA)은 필리핀 관할 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에 대해 자체적인 명명 체계를 사용한다. PAGASA는 관할 구역 내에서 발생하거나 이동해 오는 모든 열대 저기압에 이름을 부여한다. 해당 연도에 이름 목록이 부족할 경우, 보조 목록에서 이름을 가져오며, 매년 시즌 시작 전에 처음 6개가 발표된다. 이 목록은 1972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며, 1980년에 다시 사용될 예정이다. PAGASA는 필리핀어 알파벳에 따라 "ng"로 끝나는 필리핀 여성 이름(A, B, K, D 등)을 사용한다.

아시앙비링콘싱디당에뎅
글로링후아닝이상루싱마링
니탕오상파링레밍세니앙
토양언상웰프링요닝
보조 목록
아링
바시앙카양


4. 월별 태풍 발생 수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11022244511225

[1]

참조

[1] 웹사이트 1976 ATCR TABLE OF CONTENTS https://web.archive.[...] 2015-10-28
[2] 웹사이트 Historic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07-12-17
[3] 웹사이트 Meteorological Results 1976. Part III - Tropical Cyclone Summaries https://www.hko.gov.[...] Hong Kong Observatory 2024-03-28
[4] 웹사이트 デジタル台風:1976年シーズンの台風履歴 http://agora.ex.nii.[...] 2020-06-09
[5] 웹사이트 気象庁|台風経路図1976年 https://www.data.jma[...] 2020-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