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0년 태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0년에는 총 24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평년보다 적었다. 9월에 6개로 가장 많은 태풍이 발생했고, 5월, 7월, 8월에도 각각 4개의 태풍이 발생했다. 주요 태풍으로는 카르멘, 돔, 엘렌, 조, 킴, 마지, 노리스, 오키드, 퍼시, 윈, 베티 등이 있었으며, 이들 태풍은 필리핀, 일본, 대만, 베트남 등지에 큰 피해를 입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80년 태풍
시즌 정보
기상 분지북서태평양
연도1980년
추적 지도image_file: 1980 Pacific typhoon season summary map.png
첫 번째 태풍 발생1980년 2월 12일
마지막 태풍 소멸1980년 12월 21일
가장 강력한 태풍 이름태풍 19호 (Wynne)
가장 강력한 태풍 풍속120 노트 (220 km/h)
가장 강력한 태풍 기압890 hPa
평균 풍속10 노트
총 열대 저기압44개
총 태풍24개
총 허리케인15개
총 강한 태풍2개 (비공식)
사망자493명
피해액1억 9500만 달러
이전/다음 시즌1978, 1979, 1980, 1981, 1982
관련 시즌1980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1980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1980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2. 1980년 태풍 발생 현황

1980년에는 총 24개의 태풍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평년 (26.7개)보다 적은 수치이다. 4월 5일에 제1호 태풍 카르멘이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총 24개의 태풍이 발생하였다.[1]

1980년 태풍 발생 빈도는 9월에 6개로 가장 많았으며, 5월과 7월, 8월에 각각 4개로 뒤를 이었다.

태풍의 연간 일본 상륙 횟수는 1회로, 상륙 횟수가 적은 해 순위에서 공동 6위를 기록했다.

1980년 태평양 태풍 시즌의 ACE 지수는 약 237.8 단위였다.[3]

1980년 시즌예측
중심지
열대
저기압
열대
폭풍
태풍
실제 활동:JMA242417[1]
실제 활동:JTWC282416[2]
실제 활동:PAGASA22알 수 없음알 수 없음[48]


2. 1. 월별 태풍 발생 개수

(누적)0
(0)0
(0)0
(0)1
(1)4
(5)1
(6)4
(10)2
(12)6
(18)4
(22)1
(23)1
(24)30년 평균[59]
1971년~2000년
(누적)0.5
(0.5)0.1
(0.6)0.4
(1.0)0.8
(1.8)1.0
(2.8)1.7
(4.5)4.0
(8.5)5.5
(14.0)5.0
(19.0)3.9
(22.9)2.5
(25.4)1.3
(26.7)


3. 주요 태풍

1980년에 발생한 태풍 중 주요 태풍들의 발생, 발달, 소멸 과정, 특징, 경로, 피해 상황 등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태풍 이름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0분 최대 풍속1분 최대 풍속
제1호 태풍 카르멘4월 5일4월 7일985 hPa60 노트60 노트
제2호 태풍 돔5월 11일5월 20일960 hPa85 노트90 노트
제3호 태풍 엘렌5월 13일5월 25일930 hPa105 노트110 노트
제5호 태풍 조지아5월 22일5월 24일980 hPa55 노트55 노트
제7호 태풍 루신7월 7일7월 11일980 hPa70 노트60 노트
제8호 태풍 조7월 18일7월 23일940 hPa85 노트105 노트
제9호 태풍 킴7월 21일7월 27일910 hPa100 노트130 노트
제11호 태풍 마지8월 8일8월 16일945 hPa90 노트110 노트
제12호 태풍 노리스8월 25일8월 28일945 hPa95 노트90 노트
제13호 태풍 오키드9월 7일9월 12일960 hPa70 노트85 노트
제14호 태풍 퍼시9월 14일9월 19일915 hPa100 노트125 노트
제19호 태풍 윈10월 3일10월 15일890 hPa120 노트150 노트
제21호 태풍 베티10월 29일11월 7일925 hPa100 노트125 노트

3. 1. 제1호 태풍 카르멘

1980년 태풍 제1호 태풍 카르멘은 4월 5일에 발생하여 4월 7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85hPa, 최대 풍속은 60노트였다.[5]

4월 2일, 날짜 변경선 동쪽의 적도 부근 해상에서 사이클론 왈리의 전조와 함께 열대 저기압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꾸준히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그날 늦게 카르멘은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 4월 5일 이 시스템이 날짜 변경선을 지나면서, JTWC는 이 시스템에 대한 첫 번째 경고를 발표했다.[5] 같은 날 늦게, JMA는 이 시스템을 열대 폭풍으로 지정했고, 몇 시간 후 JTWC는 이를 따라 ''카르멘''으로 명명했다. 이튿날 JTWC와 JMA는 카르멘이 지속적인 풍속 60노트에 도달하여 최대 세력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곧 카르멘은 꾸준히 약화되었고, 4월 7일 날짜 변경선 동쪽으로 이동한 후 JTWC와 JMA는 모두 이 시스템 추적을 중단했다.

3. 2. 제2호 태풍 돔

5월 5일, 약한 열대성 교란이 적도 부근의 저기압대에서 발달하기 시작했다. 이후 3일 동안 캐롤라인 제도를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발달의 조짐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6] 5월 7일, 일본 기상청(JMA)은 이 교란을 열대성 저기압으로 지정했다.[7] 다음 날, 대류 활동의 증가로 JTWC는 괌 남쪽에 위치한 이 시스템에 TCFA를 발령했다. 순환이 꾸준히 조직되면서 JTWC는 이 시스템을 열대성 저기압으로 격상시켰다.[6] 이틀 후, 이 저기압은 필리핀 기상구역(PAR)으로 진입했고,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및 천문 서비스 관리청(PAGASA)은 이 저기압을 ''디탕''으로 명명했다.[48] 강한 연직 시어에도 불구하고, 이 저기압은 몇 시간 후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여 JTWC에 의해 ''돔''으로 명명되었다.[6] 풍속 시어가 완화된 후, 5월 11일, JTWC는 돔이 태풍으로 발달했다고 발표했고, JMA는 다음 날 이에 따랐다.[6][7] 얼마 지나지 않아 돔은 루손의 산악 지형으로 인해 약화되기 시작하여 5월 14일에 열대 폭풍으로 변했다. 그러나 돔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다음 날, 다시 태풍으로 재발달했다.[6]

이 두 번째 정점을 지난 후, 차가운 해수면 온도(SST)와 불리한 대기 조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 시스템은 꾸준히 약화되었고, 반시계 방향 루프를 그린 후, 5월 18일 돔은 열대 폭풍으로 약화되었다. 다음 날, JTWC는 돔에 대한 마지막 권고를 발표하며 돔이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선언했다.[6] PAGASA는 5월 21일까지 이 시스템을 추적했는데,[48] 이 날 돔의 잔해와 약화된 엘렌이 일본 남쪽의 온대 저기압을 향해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6] 돔과 엘렌의 잔해는 같은 날 이 사이클론과 합쳐졌고,[6] 이로 인해 JMA는 몇 시간 후 돔에 대한 감시를 최종적으로 중단했다.[7]

디탕이 필리핀으로 이동함에 따라 PAGASA는 카탄두아네스, 카마리네스 노르테, 카마리네스 수르, 아우로라, 키리노, 카가얀, 마운틴 주, 누에바 비즈카야, 이푸가오, 바타네스, 아브라에 공공 폭풍 경보 신호(PSWS) #3을 발령했다. 루손 동부 지역에서는 폭우와 강풍이 관측되었다.[8] 이 태풍으로 인해 바기오5월 15일에 730.3mm의 강우량을 기록했다.[9] 최소 4개 주에서 담배 작물 피해를 입었다.[10] 총 3,696채의 가옥이 디탕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11]

3. 3. 제3호 태풍 엘렌

'''1980년 제3호 태풍 엘렌'''은 5월 13일에 발생하여 5월 25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30hPa, 최대 풍속 105노트를 기록했다.[14] 일본에 영향을 주어 산사태 및 가옥 침수 피해를 야기했다.

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0분 최대 풍속1분 최대 풍속
5월 13일5월 25일930 hPa105 노트110 노트


3. 4. 제8호 태풍 조

'''1980년 제8호 태풍 조'''(Joe)는 7월 18일에 발생하여 7월 23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은 85노트였다. Joe영어는 필리핀과 베트남에 상륙하여 351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3. 5. 제9호 태풍 킴

1980년 제9호 태풍 킴(Kim영어)은 7월 21일에 발생하여 7월 27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10hPa, 최대 풍속은 100노트(10분 평균)였다. 킴은 필리핀에 상륙하여 41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3. 6. 제11호 태풍 마지

'''1980년 태풍 11호·13W'''영어는 1980년 8월 8일에 발생하여 8월 16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45hPa, 최대 풍속 90노트를 기록했다.

3. 7. 제12호 태풍 노리스

NORRIS영어는 8월 23일에 발생하여 8월 31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45hPa, 최대 풍속 95노트를 기록했다. 대만에 상륙하여 2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24]

3. 8. 제13호 태풍 오키드

1980년 제13호 태풍 오키드는 9월 4일에 발생하여 9월 16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60hPa, 최대 풍속 70노트를 기록했다.[7] 일본에 상륙하여 53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고, 대한민국에도 영향을 주어 3명의 사망자와 100명 이상의 어부 실종자를 발생시켰다.

3. 9. 제14호 태풍 퍼시

'''1980년 제14호 태풍 퍼시'''는 9월 13일에 발생하여 9월 19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15hPa, 최대 풍속 100노트를 기록했다.[7] 대만에 상륙하여 7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3. 10. 제19호 태풍 윈

'''1980년 제19호 태풍 윈'''은 10월 3일에 발생하여 10월 15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890hPa, 최대 풍속 120노트를 기록했다. 1980년 태풍 중 가장 강력한 태풍이었다.[7]

3. 11. 제21호 태풍 베티

'''제21호 태풍 베티(Betty)'''는 1980년 10월 29일에 발생하여 11월 7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은 100|노트영어였다.[7] 태풍 베티는 필리핀에 상륙하여 101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4. 기타 태풍

1980년 기타 태풍
이름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0분 최대 풍속1분 최대 풍속위성 사진이동 경로
오키드9월 4일9월 16일960 hPa70 kt85 kt----
루스9월 12일9월 17일980 hPa55 kt65 kt----
스페리9월 14일9월 24일975 hPa65 kt65 kt----
셀마9월 25일10월 3일975 hPa55 kt55 kt----
버넌9월 27일10월 5일935 hPa95 kt105 kt----
10월 3일10월 16일890 hPa120 kt150 kt----
알렉스10월 10일10월 14일998 hPa35 kt35 kt----
베티10월 28일11월 8일925 hPa100 kt125 kt----
캐리10월 28일11월 3일996 hPa45 kt35 kt----
다이나11월 21일11월 27일950 hPa90 kt100 kt----
에드12월 15일12월 21일990 hPa45 kt50 kt----



9월 11일, 남중국해의 몬순 골에 자리 잡은 몬순 저기압이 발달하기 시작했다.[39] 9월 12일 초, 일본 기상청(JMA)은 이 시스템을 열대 저기압으로 지정했고,[7] 얼마 지나지 않아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도 열대 저기압으로 격상시켰다.[39] 그날 늦게, JTWC는 열대 저기압이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여 루스(Ruth)로 명명되었다고 발표했다.[39]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몇 시간 후 루스는 하이난섬에 상륙했고,[39] 9월 15일 초, 통킹만으로 진입하면서 세력이 약화되어 최소 열대 폭풍이 되었다.[39]

약한 사이클론이 이동하면서 29°C였던 통킹만의 따뜻한 물은 루스가 크게 강화될 수 있게 했다.[39] 그 결과, JTWC에 따르면 루스는 급격한 강화를 겪었다.[39] 그러나 JMA는 루스가 당시 10분 최대 풍속 55kn로 최대 강도에 도달했다고 밝혔다.[7] 9월 16일 초, 루스는 최대 강도로 탄호아, 베트남 남부에 상륙했다.[39] 급격히 약화되면서, 몇 시간 후 JTWC는 루스가 소멸되었다고 주장하며 추적을 중단했다.[39] JMA는 9월 17일까지 약화되는 루스를 계속 추적했으며,[7] 잔해는 다음 날 빌라우타웅 산맥에서 소멸되었다.[39]

베트남에서는 거의 50만 명의 사람들이 집을 잃었고 106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39] 탄호아 성을 강타한 최악의 태풍으로, 2022년 ''GeoHazards''의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부터 2018년까지 루스는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은 농작물 피해를 야기한 열대 저기압이었다고 한다.[41] 수만 채의 건물이 침수되었고, 총 164명이 루스로 인해 사망했다.[42]

참조

[1]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Typhoon List for the 1980 Season http://agora.ex.nii.[...] KITAMOTO Asanobu,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2024-07-22
[2]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3] 간행물 Northwest Pacific Ocean Historical Tropical Cyclone Statistics https://tropical.atm[...] Colorado State University
[4] 웹사이트 Glossary of NHC Terms https://www.nhc.noaa[...] 2024-01-31
[5]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6]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7] 간행물 RSMC Best Track Data – 1980–1989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7-20
[8] 간행물 10750966_03.pdf https://openjicarepo[...]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24-08-16
[9] 간행물 Examination of Intense Climate-Related Disasters in Asia-Pacific https://pidswebs.pid[...]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al Studies 2024-08-16
[10] 논문 September 1980 https://www.ijmet.or[...] The Artetech Publishing Co. 1980-09
[11] 웹사이트 DESTRUCTIVE TYPHOONS 1970-2003 http://www.baseporta[...] 2024-01-26
[12]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13]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14]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15] 간행물 Meteorological Results 1980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2024-07-15
[16]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17] 간행물 Meteorological Results 1980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2024-07-15
[18]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19] 간행물 Meteorological Results 1980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2024-07-15
[20] 웹사이트 DESTRUCTIVE TYPHOONS 1970-2003 http://baseportal.co[...] 2024-01-26
[21] 간행물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1980 http://www.usno.navy[...] United States Navy, United States Air Force 2017-05-30
[22] 간행물 Disaster History: Significant Data on Major Disasters Worldwide, 1900–Present http://pdf.usaid.gov[...]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1993-08
[23] 뉴스 Report 188 Chinese Die In Typhoon 1980-07-27
[24] 간행물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1980 http://www.usno.navy[...] United States Navy, United States Air Force 2017-05-30
[25] 뉴스 Typhoon Kim Batters Islands With 115-Mile-An-Hour Winds 1980-07-25
[26] 뉴스 Second Typhoon In Week Hits Philippines 1980-07-25
[27] 뉴스 Storm Heads For Southern China 1980-07-26
[28] 간행물 Disaster History: Significant Data on Major Disasters Worldwide, 1900–Present http://pdf.usaid.gov[...]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1993-08
[29] 간행물 Meteorological Results: 1984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2017-05-30
[30]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31]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32]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33] 논문 November 1980 https://www.ijmet.or[...] The Artetech Publishing Co. 1980-11
[34]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1981
[35] 뉴스 EARTHWEEK: A DIARY OF THE PLANET http://nla.gov.au/nl[...] 2021-03-20
[36] 뉴스 IN BRIEF http://nla.gov.au/nl[...] 1980-09-12
[37] 웹사이트 Derbyshire https://shipwrecklog[...] 2021-03-20
[38] 웹사이트 Derbyshire Sinking http://www.north-cou[...] 2001-08-13
[39]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4-07-15
[40] 간행물 Meteorological Results 1980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2024-07-15
[41] 논문 Statistics on Typhoon Intensity and Rice Damage in Vietnam and the Philippines MDPI
[42] 서적 Britannica book of the year. 1981. [Events of 1980]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1981
[43]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4-07-15
[44]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4-07-15
[45]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4-07-15
[46] 웹사이트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47]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4-07-15
[48] 간행물 PAGASA Tropical Cyclone Names 1963–1988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17-06-05
[49] 웹사이트 DESTRUCTIVE TYPHOONS 1970-2003 http://baseportal.co[...] 2024-01-26
[50] 웹사이트 1980 Tropical Depression UNNAMED (1980181N10130) https://ncics.org/ib[...] North Carolina Institute for Climate Studies 2024-07-21
[51]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4-07-23
[52] 간행물 1980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4-07-23
[53] 간행물 Meteorological Results 1980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2024-07-15
[54] 웹사이트 1980 Tropical Depression UNNAMED (1980240N17119) https://ncics.org/ib[...] North Carolina Institute for Climate Studies 2024-07-31
[55] 웹사이트 1980 Tropical Depression UNNAMED (1980243N09134) https://ncics.org/ib[...] North Carolina Institute for Climate Studies 2024-07-21
[56] 웹사이트 1980 Tropical Depression UNNAMED (1980248N11114) https://ncics.org/ib[...] North Carolina Institute for Climate Studies 2024-08-13
[57] 웹사이트 デジタル台風:1980年シーズンの台風履歴 http://agora.ex.nii.[...] 2020-06-06
[58] 웹사이트 気象庁|台風経路図1980年 https://www.data.jma[...] 2020-06-06
[59] 웹사이트 국가태풍센터 자료실 - 내습빈도 http://www.kma.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