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에는 총 21개의 태풍이 발생했으며, 이는 평년보다 적은 수치이다. 이 해에는 3월부터 12월까지 태풍이 발생했으며, 9월과 10월에 각각 5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가장 활발한 시기를 보였다. 주요 태풍으로는 류큐 열도에 큰 피해를 입힌 베이브, 필리핀에 큰 피해를 입힌 킴, 대만에 25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베라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77년 태풍 - 태풍 베이브 (1977년) 태풍 베이브 (1977년)는 1977년 9월에 발생하여 일본 류큐 열도와 중국 상하이를 강타하고, 오키노에라부섬에서 최저 기압을 기록했으며, 일본, 중국, 한국에 피해를 입힌 슈퍼 태풍이었다.
1977년 태풍
1977년 태평양 태풍 시즌
1977년 태평양 태풍 시즌 요약 경로
시즌 정보
관할 구역
북서태평양
시작일
1977년 1월 10일
종료일
1978년 1월 3일
가장 강력한 태풍
베이브
최저 기압
905 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110 노트 (205 km/h)
평균 풍속
10 노트
총 열대 저기압
54개
총 태풍
19개
총 허리케인
11개
총 강한 태풍 (비공식)
3개
사망자
235명 이상
피해액
2,300만 달러 이상
관련 시즌
1975, 1976, 1977, 1978, 1979
대서양 시즌
1977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동태평양 시즌
1977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북인도양 시즌
1977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2. 발생 현황
1977년에는 총 21개의 태풍이 발생했으며, 이는 1971년부터 2000년까지의 평균 발생 수보다 적은 수치이다.[1] 1977년은 태풍 발생 수가 적은 해 순위에서 2011년, 2003년, 1975년, 1973년, 1954년, 1951년과 함께 공동 5위를 기록했다.[1]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1977년에 발생한 열대 저기압에 대해 독자적인 이름을 부여했다.[1]
3. 주요 태풍
1977년에 발생한 주요 태풍은 다음과 같다.
태풍 베이브 (Babe): 1977년 9월에 발생하여 류큐 열도를 강타, 23명의 사망자와 2300만달러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1]
태풍 킴 (Kim): 1977년 11월 필리핀 북부에 상륙한 슈퍼 태풍으로, 폭우와 홍수로 55명이 사망하고 호텔 화재로 47명이 추가로 사망하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1]
태풍 셀마 (Thelma): 1977년 7월에 발생하여 대만에서 30명의 사망자를 냈다.[2]
태풍 다이나 (Dinah): 1977년 9월에 발생하여 필리핀과 베트남에 영향을 미쳤으며, 54명이 사망했다.[1]
3. 1. 태풍 베이브 (Babe)
1977년 9월에 발생한 태풍 베이브는 류큐 열도를 강타하여 23명의 사망자와 2300만달러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1] 9월 2일에 발생하여 9월 12일에 소멸하였다.[1] 최저 기압은 905 hPa, 10분 최대 풍속은 110 노트, 1분 최대 풍속은 130 노트였다.[1] 최대 크기(직경)는 1500 km에 달했다.[1]
3. 2. 태풍 킴 (Kim)
태풍 킴(Typhoon Kim)은 1977년 11월 13일 필리핀 북부에 상륙한 시속 약 241.40km의 슈퍼 태풍이었다. 태풍의 폭우로 인해 발생한 급작스런 홍수로 55명이 사망했고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폭풍이 몰아치는 동안 호텔 상층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추가로 47명이 사망했다.[1]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최대 크기(직경)
사망자
1977년 11월 7일
1977년 11월 16일
920 hPa
110 kn
130 kn
1100km
102명
3. 3. 태풍 셀마 (Thelma)
태풍 셀마는 1977년 7월 21일에 발생하여 7월 26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50 hPa, 10분 최대 풍속 70 kt, 1분 최대 풍속 85 kt를 기록했다. 직경은 560 km였다. 이 태풍으로 인해 대만에서 30명이 사망했다.[2]
태풍 셀마
3. 4. 태풍 다이나 (Dinah)
태풍 다이나(Dinah)는 9월 15일에 발생하여 9월 24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은 965 hPa, 10분 최대 풍속은 초속 70 m였다.[1] 이 태풍으로 54명이 사망했다.[1] 필리핀과 베트남에 영향을 미쳤다.
이 외에도,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에서는 총 54개의 열대 저기압을 감지했으며, 그 중 20개가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11개의 폭풍이 태풍 강도에 도달했고, 이 중 3개가 초대형 태풍 강도에 도달했다.[1]
5. 영향 및 피해
1977년 서태평양에서는 총 54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이 중 20개가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 11개의 폭풍이 태풍 강도에 도달했고, 그 중 3개는 매우 강력한 태풍이었다.[1]
태풍 베이브 (Babe): 9월 초 발생하여 류큐 열도를 강타, 1,000채 이상의 가옥을 파괴하고 7,000채 가까이 피해를 입혔다. 아마미오시마에서 1명이 사망하고, 일본 전역에서 77명이 부상당했다.[3] 총 2300만달러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4] 해상에서는 100척 이상의 선박이 피해를 입었고, 파나마 선박에서는 13명이 사망했다.[5] 중국에서는 24,000채 이상의 가옥이 파괴되고 9명이 사망했다.[6]
태풍 디나 (Dinah): 9월 중순 필리핀 북동쪽에서 발생하여 루손에 폭우와 홍수를 일으켜 54명이 사망하고 11명이 실종되었다.[7]
태풍 아이비 (Ivy): 10월 말 마셜 제도와 필리핀에 영향을 미쳐 특히 필리핀에서 심각한 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했다.
태풍 킴 (Kim): 11월 초 필리핀 북부에 상륙하여 55명이 사망하고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다. 호텔 화재로 인해 추가로 47명이 사망했다.[2]
태풍 루시 (Lucy): 11월 말 발생하여 필리핀 일부 지역에 폭우와 강풍을 몰고 와 상당한 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했다.
태풍 메리 (Mary): 12월 말 발생하여 마셜 제도와 필리핀에 영향을 미쳐 특히 필리핀에서 상당한 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했다.
이 외에도 열대 폭풍 완다, 강한 열대 폭풍 에이미, 강한 열대 폭풍 프레다 등이 타이완 등에 영향을 주어 국지적인 홍수와 재산 피해를 입혔다.
1977년 11월 13일, 태풍 킴이 시속 150마일의 슈퍼 태풍으로 필리핀 북부에 상륙했다. 이 태풍으로 인해 폭우와 급작스러운 홍수가 발생하여 55명이 사망하고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다.[2] 폭풍이 부는 동안 호텔 상층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추가로 47명이 사망했다.[2]
태풍 루시(월딩)는 필리핀에 직접 상륙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지역에 폭우와 강풍을 몰고 와 상당한 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했다.[4] 태풍 메리(예옝) 또한 필리핀에 상당한 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했다.[5]
필리핀에 미친 영향으로 인해,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천문청(PAGASA)는 ''Unding''이라는 이름을 퇴출시키고 1981년에 ''Unsing''으로 대체했다.[7] 그러나 ''Unding''은 이후 2004년에 다시 사용되었지만, 루손에 미친 영향으로 인해 PAGASA는 다시 이 이름을 퇴출시켰다.[7]
5. 2. 일본 (류큐 열도)
태풍 베이브는 1977年台風第9号|1977년 태풍 제9호일본어라고도 불리며, 류큐 열도에 피해를 입혔다. 이 태풍으로 23명이 사망하고, 2300만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1]
5. 3. 대만
1977년 태풍 베라는 7월 27일에 발생하여 8월 2일에 소멸하였다. 최저기압 925hPa, 10분 최대풍속 110kt, 1분 최대풍속 110kt, 최대 크기(직경) 590km를 기록했다. 태풍 베라로 인해 대만에서 25명이 사망했다.[1]
5. 4. 기타 국가
(빈 내용)
6. 같이 보기
합동태풍경보센터(Joint Typhoon Warning Center)에서는 1977년 서태평양 열대 저기압에 이름을 붙였는데, 그 해 첫 번째 태풍은 Patsy, 마지막 태풍은 Mary였다.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천문청(PAGASA)은 자체 명명 체계를 사용하여 관할 구역 내 열대 저기압에 이름을 부여한다. PAGASA는 관할 구역 내에서 발생하거나 이동하는 모든 열대 저기압에 이름을 붙인다. 해당 연도에 이름 목록이 부족하면 보조 목록에서 이름을 가져오며, 이 중 처음 6개는 매년 시즌 시작 전에 발표된다. 이 목록에서 은퇴하지 않은 이름은 1981년에 다시 사용되며, 1973년에 사용된 목록과 동일하다. PAGASA는 "ng"로 끝나는 필리핀 여성 이름(A, B, K, D 등)으로 시작하는 필리핀어 알파벳을 사용하는 자체 명명 체계를 사용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