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태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1973년 태풍 목록
- 2.1. 태풍 발생 현황
- 2.2. 주요 태풍 상세 정보
- 2.2.1. 제1호 태풍 윌다 (Wilda)
- 2.2.2. 제2호 태풍 아니타 (Anita)
- 2.2.3. 제3호 태풍 빌리 (Billie)
- 2.2.4. 제4호 태풍 클라라 (Clara)
- 2.2.5. 제5호 태풍 도트 (Dot)
- 2.2.6. 제6호 태풍 엘렌 (Ellen)
- 2.2.7. 제7호 태풍 프랜 (Fran)
- 2.2.8. 제8호 태풍 조지아 (Georgia)
- 2.2.9. 제9호 태풍 호프 (Hope)
- 2.2.10. 제10호 태풍 아이리스 (Iris)
- 2.2.11. 제11호 태풍 조앤 (Joan)
- 2.2.12. 제12호 태풍 케이트 (Kate)
- 2.2.13. 제13호 태풍 루이즈 (Louise)
- 2.2.14. 제14호 태풍 마지 (Marge)
- 2.2.15. 제15호 태풍 노라 (Nora)
- 2.2.16. 제16호 태풍 오팔 (Opal)
- 2.2.17. 제17호 태풍 팻시 (Patsy)
- 2.2.18. 제18호 태풍 루스 (Ruth)
- 2.2.19. 제19호 태풍 세라 (Sarah)
- 2.2.20. 제20호 태풍 셀마 (Thelma)
- 2.2.21. 제21호 태풍 베라 (Vera)
- 3. 태풍 이름
- 4. 피해 기록
- 5. 같이 보기
- 참조
1. 개요
1973년 태풍은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21개의 열대 폭풍과 12개의 태풍을 포함하여 총 25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한 해이다. 이 해는 1951년, 1954년, 1975년, 1977년, 2003년, 2011년과 함께 태풍 발생 수가 적었던 해로 기록되었다. 1973년에는 태풍 윌다, 아니타, 빌리, 클라라, 돗, 엘렌, 프랜, 조지아, 호프, 아이리스, 조앤, 케이트, 루이즈, 마지, 노라, 오팔, 팻시, 루스, 세라, 셀마, 베라 등 21개의 태풍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1,011명 이상의 사망자와 700만 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자연재해 - 헤이마에이섬
헤이마에이섬은 아이슬란드 남부 해안에 위치한 섬으로, 1973년 엘드펠 화산 폭발로 섬 면적이 증가하고 마을이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으며, 약 4,500명이 거주하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1973년 태풍 | |
---|---|
시즌 정보 | |
관할 구역 | 서태평양 |
시작일 | 1973년 5월 12일 |
종료일 | 1973년 12월 27일 |
첫 번째 열대 폭풍 발생일 | 1973년 5월 12일 |
마지막 열대 폭풍 소멸일 | 1973년 12월 27일 |
통계 | |
총 열대 저기압 수 | 39개 |
총 열대 폭풍 수 | 21개 |
총 태풍 수 | 12개 |
강한 태풍 수 (비공식) | 3개 |
가장 강력한 태풍 | |
이름 | 노라 (Nora) |
최저 기압 | 875 hPa |
최대 풍속 | 160 노트 (295 km/h) |
피해 | |
사망자 | 1,011명 이상 |
피해액 | 7백만 미국 달러 (USD) |
관련 시즌 | |
이전 시즌 | 1971년, 1972년 |
다음 시즌 | 1974년, 1975년 |
다른 지역 시즌 | 1973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1973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1973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
기타 | |
![]() |
2. 1973년 태풍 목록
1973년에는 총 39개의 열대저기압이 발생했으며, 그 중 21개가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이 중 12개가 태풍 세력으로 발달했고, 3개는 슈퍼 태풍에 도달했다.[1]
이름 | 날짜 | 범주 | 풍속 | 기압 | 피해 지역 | 피해액 (USD) | 사망자 | 참고 |
---|---|---|---|---|---|---|---|---|
TD | 5월 12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8 hPa | 남중국해 | 없음 | 없음 | |
Wilda영어 (Atringtl) | 6월 28일~7월 6일 | 강한 열대 폭풍 | 110 km/h | 980 hPa | 필리핀, 중국 | 불명 | 불명 | |
Anita영어 | 7월 4일~10일 | 태풍 | 130 km/h | 980 hPa | 베트남, 태국 | 불명 | 불명 | |
Billie영어 (Biningtl) | 7월 11일~19일 | 태풍 | 240 km/h | 915 hPa | 필리핀, 류큐 열도, 중국 | 불명 | 불명 | |
Dot영어 | 7월 11일~21일 | 태풍 | 155 km/h | 975 hPa | 중국, 류큐 열도, 한반도 | 불명 | 1 | |
Clara영어 | 7월 12일~15일 | 강한 열대 폭풍 | 100 km/h | 985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Ellen영어 | 7월 16일~29일 | 태풍 | 195 km/h | 940 hPa | 일본 | 없음 | 없음 | |
TD | 7월 16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10 hPa | 마리아나 제도 | 없음 | 없음 | |
Fran영어 (Kuringtl) | 7월 23일~30일 | 열대 폭풍 | 75 km/h | 1000 hPa | 필리핀 | 없음 | 없음 | |
Georgia영어 | 8월 5일~15일 | 태풍 | 130 km/h | 980 hPa | 중국 | 불명 | 불명 | |
TD | 8월 5일~6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8 hPa | 필리핀 | 없음 | 없음 | |
Iris영어 (Dalingtl) | 8월 6일~21일 | 태풍 | 155 km/h | 970 hPa | 류큐 열도, 한반도 | 불명 | 불명 | |
Hope영어 | 8월 8일~13일 | 열대 폭풍 | 85 km/h | 1000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11W | 8월 10일~18일 | 열대 저기압 | 55 km/h | 1008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TD | 8월 16일~18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필리핀 | 없음 | 없음 | |
Joan영어 (Elangtl) | 8월 18일~22일 | 열대 폭풍 | 85 km/h | 990 hPa | 필리핀, 타이완, 중국 | 없음 | 없음 | |
TD | 8월 20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996 hPa | 타이완 | 없음 | 없음 | |
Kate영어 (Goringtl) | 8월 20일~26일 | 강한 열대 폭풍 | 110 km/h | 975 hPa | 필리핀, 남중국, 베트남 | 불명 | 불명 | |
TD | 8월 24일~28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2 hPa | 타이완, 류큐 열도, 중국 | 없음 | 없음 | |
14W | 8월 28일~9월 3일 | 열대 저기압 | 55 km/h | 1002 hPa | 남중국, 베트남 | 없음 | 없음 | |
Louise영어 (Hulingtl) | 8월 30일~9월 6일 | 태풍 | 140 km/h | 975 hPa | 필리핀, 남중국 | 불명 | 불명 | |
TD | 9월 4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18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lang (Ibiangtl) | 9월 10일~15일 | 태풍 | 150 km/h | 965 hPa | 필리핀, 남중국 | 불명 | 903 | |
TD | 9월 20일~21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8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lang (Lumingtl) | 10월 1일~10일 | 태풍 | 295 km/h | 875 hPa | 필리핀, 남중국 | 200만달러 | 40 | |
Opal영어 | 10월 3일~8일 | 태풍 | 140 km/h | 970 hPa |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 불명 | 불명 | |
Patsy영어 (Milingtl) | 10월 5일~15일 | 태풍 | 260 km/h | 895 hPa | 필리핀, 베트남 | 불명 | 불명 | |
TD | 10월 10일~12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Ruth영어 (Narsingtl) | 10월 11일~19일 | 태풍 | 165 km/h | 960 hPa | 캐롤라인 제도, 필리핀, 남중국 | 500만달러 | 27 | |
TD | 10월 13일~15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베트남 | 없음 | 없음 | |
TD | 10월 17일~18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마리아나 제도 | 없음 | 없음 | |
TD | 10월 17일~20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TD | 10월 27일~11월 1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팔라우 | 없음 | 없음 | |
TD | 10월 31일~11월 3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6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Sarah영어 | 11월 9일~12일 | 강한 열대 폭풍 | 100 km/h | 985 hPa |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 불명 | 불명 | |
Thelma영어 | 11월 13일~18일 | 강한 열대 폭풍 | 100 km/h | 990 hPa | 필리핀, 베트남, 태국 | 불명 | 불명 | |
Vera영어 (Opengtl) | 11월 18일~26일 | 강한 열대 폭풍 | 95 km/h | 990 hPa | 필리핀 | 불명 | 불명 | |
TD | 12월 25일~26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6 hPa | 말레이시아 | 없음 | 없음 | |
TD | 12월 26일~27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필리핀 | 없음 | 없음 |
아래는 발생한 태풍들의 상세 정보이다.
- '''제1호 태풍 윌다 (Wilda)'''
Wilda영어는 필리핀 동쪽에서 발생한 기압골로 형성되었다. 6월 30일 루손섬에 상륙하면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했고, 북서쪽으로 이동했다. 7월 1일 남중국해에 진입하면서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7월 3일 중국 남부에 상륙했다. 윌다의 잔해는 며칠 후 내륙에서 소멸되었다.
- '''제2호 태풍 아니타 (Anita)'''
Anita영어는 7월 4일부터 7월 10일까지 활동한 태풍으로, 베트남과 태국에 영향을 주었다.
- '''제3호 태풍 빌리 (Billie)'''
Billie영어는 7월 12일 필리핀 동쪽에서 발생하여 14일과 15일에 시속 150mph의 슈퍼 태풍으로 빠르게 발달했다. 동해 상에 형성된 고기압 능선으로 인해 북서쪽으로 이동했고, 18일에는 열대 폭풍으로, 19일에는 중국 북동부를 통과하면서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20일에 소멸되었다.
- '''제4호 태풍 클라라 (Clara)'''
Clara영어는 7월 12일부터 7월 15일까지 활동한 열대 폭풍이다. 발생 지역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았다.[1]
- '''제5호 태풍 도트 (Dot)'''
태풍 돗(Dot)은 7월 11일에 발생하여 7월 21일에 소멸하였다. 중국, 류큐 열도,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홍콩에서 지속적인 폭풍으로 1명의 사망자를 냈다.[2]
- '''제6호 태풍 엘렌 (Ellen)'''
태풍 Ellen영어은 7월 16일 오키노토리시마 부근에서 발생하였다.[3] 7월 17일까지 태풍의 순환이 닫혔으며,[4] 다음 날 JST 0900시(0000 UTC)에 JMA는 엘렌을 열대 폭풍으로 격상시켰다.[5]
태풍 엘렌의 이동 경로는 느리고 변덕스러웠다. 이로 인해 시코쿠와 큐슈는 7월 23일부터 7월 26일까지 폭우를 겪었다. 1973년 7월, 일본의 다른 지역은 가뭄으로 고통받았지만, 시코쿠 남부와 큐슈 동부의 월 강수량은 증가했다.[6]
- '''제7호 태풍 프랜 (Fran)'''
Fran영어 (Kuringtl)은 7월 23일부터 7월 30일까지 활동했으며, 필리핀에 영향을 주었다.
- '''제8호 태풍 조지아 (Georgia)'''
Georgia영어는 8월 5일부터 8월 15일까지 활동한 태풍으로 중국에 영향을 주었다.
- '''제9호 태풍 호프 (Hope)'''
Hope영어는 8월 8일에 발생하여 8월 13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발생 이후 소멸할 때까지 육지에 상륙하지 않고 바다에서만 활동했다.
- '''제10호 태풍 아이리스 (Iris)'''
태풍 Iris영어[1]는 8월 6일에 발생하여 8월 21일에 소멸하였고, 류큐 열도와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다.[1]
1973년 당시 대한민국은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 체제 하에 있었으며, 경제 개발과 더불어 자연재해 대응 능력 강화에 힘쓰고 있었다. 태풍 Iris영어로 대한민국은 피해를 보았고, 정부의 대응과 복구 노력이 뒤따랐다.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야당들은 정부의 재해 대응을 비판하며, 체계적인 재해 예방 및 복구 시스템 구축을 촉구했다.
- '''제11호 태풍 조앤 (Joan)'''
태풍 조앤(Joan)은 8월 18일에 발생하여 8월 22일에 소멸한 열대폭풍이다. 필리핀, 타이완, 중국에 영향을 미쳤으나, 피해는 알려지지 않았다.[1]
- '''제12호 태풍 케이트 (Kate)'''
Kate영어 (Goringtl)는 8월 20일에 발생하여 8월 26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필리핀, 남중국, 베트남에 영향을 주었다.[1]
- '''제13호 태풍 루이즈 (Louise)'''
Louise영어는 8월 30일에 발생하여 9월 6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필리핀, 남중국에 영향을 주었다.
- '''제14호 태풍 마지 (Marge)'''

태풍 마지는 9월 10일에 발생하여 9월 15일에 소멸하였다. 필리핀과 남중국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하이난에서 903명의 사망자를 내는 큰 피해를 입혔다.[7] 하이난 충하이 자지 타운에서는 마지가 상륙했을 때 937.8hPa의 최저 중심 기압이 기록되었다.[7] 마지는 9월 14일 늦게 베트남 탐 디엡 산맥 (닌빈 및 탄호아 성 경계)에 상륙하여 북베트남에 폭우와 홍수를 일으켰다.[7][8]
- '''제15호 태풍 노라 (Nora)'''
'''태풍 노라'''(Nora영어)는 10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활동했으며, 필리핀, 남중국에 영향을 미쳤다. 최저 기압은 875 hPa로, 당시 관측 사상 가장 강력한 태풍 중 하나였다.[2]
10월 1일, 필리핀 동쪽에서 몬순 골의 영향으로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다. 약한 조향류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이동했으며, 유리한 조건으로 인해 10월 2일에 열대 폭풍, 10월 3일에 태풍으로 발달했다. 노라는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했으며, 10월 5일과 6일에 시속 185마일(295 km/h)의 초대형 태풍으로 급격히 세력을 확장했다. 당시 최저 중심 기압은 875 hPa였으며, 이는 당시 기록상 최저 기압이자 현재 공동 9위에 해당한다.[2]
태풍은 북서쪽으로 향하면서 약화되어, 10월 7일에는 시속 115마일(185 km/h)의 태풍으로 필리핀 북동부 루손섬에 상륙했다. 노라는 계속 북서쪽으로 이동하며 세력이 약해져, 10월 10일에는 중국 남동부에 상륙하면서 소형 태풍으로 약화되었다. 이 태풍으로 인해 18명이 사망했고, 200만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2]
태풍 노라는 중심 기압 875hPa를 기록하여, 당시 1958년 가노가와 태풍(877hPa)을 넘어 최저 기압 세계 기록을 세웠다. 이후 1979년 태풍 20호가 870hPa를 기록하면서 이 기록은 갱신되었지만, 현재도 1975년 태풍 20호와 함께 역대 최저 기압 기록 공동 2위를 유지하고 있다.[2]
순위 | 명칭 | 국제명 | 중심 기압 (hPa) | 관측 연월일 | 관측 지점 |
---|---|---|---|---|---|
1 | 1979년 태풍 20호 | Tip영어 | 870 | 1979년 10월 12일 | 오키노토리시마 남동쪽 |
2 | 1973년 태풍 15호 | Nora영어 | 875 | 1973년 10월 6일 | 필리핀 동쪽 |
1975년 태풍 20호 | June영어 | 1975년 11월 19일 | 마리아나 제도 근해 | ||
4 | 가노가와 태풍 | Ida영어 | 877 | 1958년 9월 24일 | 오키노토리시마 부근 |
5 | 1966년 태풍 4호 | Kit영어 | 880 | 1966년 6월 26일 | 미나미다이토 섬 남쪽 |
1978년 태풍 26호 | Rita영어 | 1978년 10월 25일 | 필리핀 동쪽 | ||
1984년 태풍 22호 | Vanessa영어 | 1984년 10월 26일 | |||
8 | 1953년 태풍 7호 | Nina영어 | 885 | 1953년 8월 13일 | 필리핀 동쪽 |
1959년 태풍 9호 | Joan영어 | 1959년 8월 29일 | 미야코 섬 남쪽 | ||
1971년 태풍 35호 | Irma영어 | 1971년 11월 12일 | 필리핀 동쪽 | ||
1983년 태풍 10호 | Forrest영어 | 1983년 9월 23일 | 오키노토리시마 남쪽 | ||
2010년 태풍 13호 | Megi영어 | 2010년 10월 17일 | 필리핀 동쪽 |
- '''제16호 태풍 오팔 (Opal)'''
태풍 Opal영어은 10월 3일에 발생하여 10월 8일에 소멸하였다. 태풍 Opal영어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에 영향을 미쳤다.
- '''제17호 태풍 팻시 (Patsy)'''
Patsy영어는 10월 5일에 발생하여 10월 15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필리핀과 베트남에 영향을 주었다.
- '''제18호 태풍 루스 (Ruth)'''
Ruth영어는 10월 11일에 발생하여 10월 19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1973년 10월 15일, 태풍 루스가 루손섬을 통과하면서 27명이 사망하고 500만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루스는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19일에 하이난섬과 베트남 꽝닌성에 각각 상륙했다.
- '''제19호 태풍 세라 (Sarah)'''
1973년 태풍 19호 세라는 11월 9일에 발생하여 11월 12일에 소멸하였다. 태풍 세라는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에 영향을 주었다.[1] 11월 12일 벵골만에 1973년 북인도양 사이클론의 열대 폭풍 13(13B)가 나타났다.[1]
- '''제20호 태풍 셀마 (Thelma)'''
Thelma영어는 1973년 11월 13일에 발생하여 11월 18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필리핀, 베트남, 태국에 영향을 주었다.

- '''제21호 태풍 베라 (Vera)'''
Vera영어는 1973년 11월 18일에 발생하여 11월 26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태풍 베라는 필리핀에 영향을 주었다. 1973년 11월 20일 비사야 제도에 상륙했을 때 강력한 열대 저기압 중 하나였지만, 태풍 단계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열대 폭풍 베라(Opengtl)은 약 340만 명에게 영향을 미쳤다.
2. 1. 태풍 발생 현황
1973년에는 총 39개의 열대저기압이 발생했으며, 그 중 21개가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12개의 폭풍이 태풍 세력으로 발달했으며, 이 중 3개는 슈퍼 태풍의 세력에 도달했다.[1]
다음은 1973년 발생한 태풍의 목록이다.
이름 | 날짜 | 범주 | 풍속 | 기압 | 피해 지역 | 피해액 (USD) | 사망자 | 참고 |
---|---|---|---|---|---|---|---|---|
TD | 5월 12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8 hPa | 남중국해 | 없음 | 없음 | |
Wilda (Atring) | 6월 28일~7월 6일 | 강한 열대 폭풍 | 110 km/h | 980 hPa | 필리핀, 중국 | 불명 | 불명 | |
Anita | 7월 4일~10일 | 태풍 | 130 km/h | 980 hPa | 베트남, 태국 | 불명 | 불명 | |
Billie (Bining) | 7월 11일~19일 | 태풍 | 240 km/h | 915 hPa | 필리핀, 류큐 열도, 중국 | 불명 | 불명 | |
Dot | 7월 11일~21일 | 태풍 | 155 km/h | 975 hPa | 중국, 류큐 열도, 한반도 | 불명 | 1 | |
Clara | 7월 12일~15일 | 강한 열대 폭풍 | 100 km/h | 985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Ellen | 7월 16일~29일 | 태풍 | 195 km/h | 940 hPa | 일본 | 없음 | 없음 | |
TD | 7월 16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10 hPa | 마리아나 제도 | 없음 | 없음 | |
Fran (Kuring) | 7월 23일~30일 | 열대 폭풍 | 75 km/h | 1000 hPa | 필리핀 | 없음 | 없음 | |
Georgia | 8월 5일~15일 | 태풍 | 130 km/h | 980 hPa | 중국 | 불명 | 불명 | |
TD | 8월 5일~6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8 hPa | 필리핀 | 없음 | 없음 | |
Iris (Daling) | 8월 6일~21일 | 태풍 | 155 km/h | 970 hPa | 류큐 열도, 한반도 | 불명 | 불명 | |
Hope | 8월 8일~13일 | 열대 폭풍 | 85 km/h | 1000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11W | 8월 10일~18일 | 열대 저기압 | 55 km/h | 1008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TD | 8월 16일~18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필리핀 | 없음 | 없음 | |
Joan (Elang) | 8월 18일~22일 | 열대 폭풍 | 85 km/h | 990 hPa | 필리핀, 타이완, 중국 | 없음 | 없음 | |
TD | 8월 20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996 hPa | 타이완 | 없음 | 없음 | |
Kate (Goring) | 8월 20일~26일 | 강한 열대 폭풍 | 110 km/h | 975 hPa | 필리핀, 남중국, 베트남 | 불명 | 불명 | |
TD | 8월 24일~28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2 hPa | 타이완, 류큐 열도, 중국 | 없음 | 없음 | |
14W | 8월 28일~9월 3일 | 열대 저기압 | 55 km/h | 1002 hPa | 남중국, 베트남 | 없음 | 없음 | |
Louise (Huling) | 8월 30일~9월 6일 | 태풍 | 140 km/h | 975 hPa | 필리핀, 남중국 | 불명 | 불명 | |
TD | 9월 4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18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Marge (Ibiang) | 9월 10일~15일 | 태풍 | 150 km/h | 965 hPa | 필리핀, 남중국 | 불명 | 903 | |
TD | 9월 20일~21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8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Nora (Luming) | 10월 1일~10일 | 태풍 | 295 km/h | 875 hPa | 필리핀, 남중국 | 200만달러 | 40 | |
Opal | 10월 3일~8일 | 태풍 | 140 km/h | 970 hPa |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 불명 | 불명 | |
Patsy (Miling) | 10월 5일~15일 | 태풍 | 260 km/h | 895 hPa | 필리핀, 베트남 | 불명 | 불명 | |
TD | 10월 10일~12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Ruth (Narsing) | 10월 11일~19일 | 태풍 | 165 km/h | 960 hPa | 캐롤라인 제도, 필리핀, 남중국 | 500만달러 | 27 | |
TD | 10월 13일~15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베트남 | 없음 | 없음 | |
TD | 10월 17일~18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마리아나 제도 | 없음 | 없음 | |
TD | 10월 17일~20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TD | 10월 27일~11월 1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팔라우 | 없음 | 없음 | |
TD | 10월 31일~11월 3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6 hPa | 없음 | 없음 | 없음 | |
Sarah | 11월 9일~12일 | 강한 열대 폭풍 | 100 km/h | 985 hPa |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 불명 | 불명 | |
Thelma | 11월 13일~18일 | 강한 열대 폭풍 | 100 km/h | 990 hPa | 필리핀, 베트남, 태국 | 불명 | 불명 | |
Vera (Openg) | 11월 18일~26일 | 강한 열대 폭풍 | 95 km/h | 990 hPa | 필리핀 | 불명 | 불명 | |
TD | 12월 25일~26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6 hPa | 말레이시아 | 없음 | 없음 | |
TD | 12월 26일~27일 | 열대 저기압 | 불명 | 1000 hPa | 필리핀 | 없음 | 없음 |
2. 2. 주요 태풍 상세 정보
태풍 번호 | 이름 | 발생일 | 소멸일 | 최저 기압(hPa) | 최대 풍속(m/s) | 비고 |
---|---|---|---|---|---|---|
1 | 윌다(Wilda) | 6월 28일 | 7월 6일 | 980 | 31 | |
2 | 아니타(Anita) | 7월 4일 | 7월 10일 | 980 | 36 | |
3 | 빌리(Billie) | 7월 11일 | 7월 19일 | 915 | 67 | |
4 | 클라라(Clara) | 7월 12일 | 7월 15일 | 985 | 28 | |
5 | 도트(Dot) | 7월 11일 | 7월 21일 | 975 | 43 | |
6 | 엘렌(Ellen) | 7월 16일 | 7월 29일 | 940 | 54 | |
7 | 프란(Fran) | 7월 23일 | 7월 30일 | 1000 | 21 | |
8 | 조지아(Georgia) | 8월 5일 | 8월 15일 | 980 | 36 | |
9 | 호프(Hope) | 8월 8일 | 8월 13일 | 1000 | 23 | |
10 | 아이리스(Iris) | 8월 6일 | 8월 21일 | 970 | 43 | |
11 | 조안(Joan) | 8월 18일 | 8월 22일 | 990 | 23 | |
12 | 케이트(Kate) | 8월 20일 | 8월 26일 | 975 | 31 | |
13 | 루이즈(Louise) | 8월 30일 | 9월 6일 | 975 | 39 | |
14 | 마지(Marge) | 9월 10일 | 9월 15일 | 960 | 41 | |
15 | 노라(Nora) | 10월 1일 | 10월 10일 | 875 | 82 | |
16 | 오팔(Opal) | 10월 3일 | 10월 8일 | 970 | 39 | |
17 | 팻시(Patsy) | 10월 5일 | 10월 15일 | 895 | 72 | |
18 | 루스(Ruth) | 10월 11일 | 10월 19일 | 960 | 46 | |
19 | 세라(Sarah) | 11월 9일 | 11월 12일 | 985 | 28 | |
20 | 셀마(Thelma) | 11월 13일 | 11월 18일 | 990 | 28 | |
21 | 베라(Vera) | 11월 18일 | 11월 26일 | 990 | 26 |
1973년에는 총 21개의 태풍이 발생했으며, 각 태풍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위 표와 같다. 발생 순서대로 각 태풍의 이름,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최대 풍속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태풍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태풍의 상세 정보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2. 2. 1. 제1호 태풍 윌다 (Wilda)
열대 폭풍 윌다는 필리핀 동쪽에서 발생한 기압골로 형성되었다. 6월 30일 루손 섬에 상륙하면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했고, 북서쪽으로 이동했다. 7월 1일 남중국해에 진입하면서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7월 3일 중국 남부에 상륙했다. 윌다의 잔해는 며칠 후 내륙에서 소멸되었다.
2. 2. 2. 제2호 태풍 아니타 (Anita)
Anita영어는 1973년 7월 4일부터 7월 10일까지 활동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은 980 hPa, 최대 풍속은 130 km/h였다. 베트남과 태국에 영향을 주었으나, 자세한 피해 상황은 알려지지 않았다.
2. 2. 3. 제3호 태풍 빌리 (Billie)
1973년 7월 12일 필리핀 동쪽에서 발생한 열대 폭풍 빌리(Billie)는 14일과 15일에 시속 150mph의 슈퍼 태풍으로 빠르게 발달했다. 빌리는 북쪽으로 이동하며 다음 3일 동안 강도가 변동했다. 동해 상에 형성된 고기압 능선으로 인해 빌리는 북서쪽으로 이동했고, 그곳에서 크게 약화되어 18일에는 열대 폭풍으로, 19일에는 중국 북동부를 통과하면서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 폭풍은 20일에 소멸되었다.발생일 | 7월 11일 |
---|---|
소멸일 | 7월 19일 |
최저 기압 | 915 hPa |
최대 풍속 | 240km/h |
피해 지역 | 필리핀, 류큐 열도, 중국 |
2. 2. 4. 제4호 태풍 클라라 (Clara)
Clara영어는 1973년 7월 12일부터 7월 15일까지 활동한 열대 폭풍이다. 최대 풍속은 55 노트(100 km/h, 65 mph)였고, 최저 기압은 985 hPa(29.09 inHg)였다. 이 태풍은 발생 지역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았다.발생 및 소멸 | 1973년 7월 12일 ~ 7월 15일 |
---|---|
최대 풍속 | 55 노트 (100 km/h, 65 mph) |
최저 기압 | 985 hPa (29.09 inHg) |
2. 2. 5. 제5호 태풍 도트 (Dot)
태풍 돗(Dot)은 1973년 7월 11일에 발생하여 7월 21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75 hPa, 최대 풍속은 155km/h였다.[2]태풍 돗은 중국, 류큐 열도,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홍콩에서 지속적인 폭풍으로 1명의 사망자를 냈다.[2]
발생일 | 7월 11일 |
---|---|
소멸일 | 7월 21일 |
최저 기압 | 975 hPa |
최대 풍속 | 155km/h |
피해 지역 | 중국, 류큐 열도, 한반도 |
사망자 | 1명 |
2. 2. 6. 제6호 태풍 엘렌 (Ellen)
태풍 엘렌(Typhoon Ellen)은 1973년 7월 16일 오키노토리시마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이다.[3] 7월 17일까지 태풍의 순환이 닫혔으며,[4] 다음 날 JST 0900시(0000 UTC)에 JMA는 엘렌을 열대 폭풍으로 격상시켰다.[5]태풍 엘렌의 이동 경로는 느리고 변덕스러웠다. 이로 인해 시코쿠와 큐슈는 7월 23일부터 7월 26일까지 폭우를 겪었다. 1973년 7월, 일본의 다른 지역은 가뭄으로 고통받았지만, 시코쿠 남부와 큐슈 동부의 월 강수량은 증가했다.[6]
2. 2. 7. 제7호 태풍 프랜 (Fran)
Fran영어 (Kuringtl)은 1973년 7월 23일부터 7월 30일까지 활동했으며, 필리핀에 영향을 주었다. 최저 기압은 1000 hPa, 최대 풍속은 75km/h였다.발생 및 소멸 날짜 | 7월 23일 - 7월 30일 |
---|---|
최저 기압 | 1000 hPa |
최대 풍속 | 75km/h |
피해 지역 | 필리핀 |
2. 2. 8. 제8호 태풍 조지아 (Georgia)
Georgia영어는 1973년 8월 5일부터 8월 15일까지 활동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80 hPa, 최대 풍속은 130 km/h였다. 태풍 조지아는 중국에 영향을 주었다.항목 | 내용 |
---|---|
발생 및 소멸 | 8월 5일 ~ 8월 15일 |
최저 기압 | 980 hPa |
최대 풍속 | 130 km/h |
영향 지역 | 중국 |
2. 2. 9. 제9호 태풍 호프 (Hope)
Hope영어는 1973년 8월 8일에 발생하여 8월 13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1000 hPa, 최대 풍속은 85km/h였다. 태풍 호프는 발생 이후 소멸할 때까지 육지에 상륙하지 않고 바다에서만 활동했다.2. 2. 10. 제10호 태풍 아이리스 (Iris)
태풍 Iris영어[1]는 1973년 8월 6일에 발생하여 8월 21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70 hPa, 최대 풍속 155 km/h였다. Iris영어는 류큐 열도와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다.[1]1973년 당시 대한민국은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 체제 하에 있었으며, 경제 개발과 더불어 자연재해 대응 능력 강화에 힘쓰고 있었다. 태풍 Iris영어로 대한민국은 피해를 보았고, 정부의 대응과 복구 노력이 뒤따랐다.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야당들은 정부의 재해 대응을 비판하며, 체계적인 재해 예방 및 복구 시스템 구축을 촉구했다.
항목 | 내용 |
---|---|
발생 및 소멸 | 1973년 8월 6일 발생, 8월 21일 소멸 |
최저 기압 | 970 hPa |
최대 풍속 | 155 km/h |
영향 지역 | 류큐 열도, 한반도 |
2. 2. 11. 제11호 태풍 조앤 (Joan)
태풍 조앤(Joan)은 8월 18일에 발생하여 8월 22일에 소멸한 열대폭풍이다. 최저 기압은 990 hPa, 최대 풍속은 85km/h였다. 필리핀, 타이완, 중국에 영향을 미쳤으나, 피해는 알려지지 않았다.[1]2. 2. 12. 제12호 태풍 케이트 (Kate)
Kate (Goring)영어는 8월 20일에 발생하여 8월 26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75 hPa, 최대 풍속은 110km/h였다. 필리핀, 남중국, 베트남에 영향을 주었다.[1]2. 2. 13. 제13호 태풍 루이즈 (Louise)
Louise영어는 1973년 8월 30일에 발생하여 9월 6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75 hPa, 최대 풍속은 140km/h였다. 필리핀, 남중국에 영향을 주었다.발생 및 소멸 | 1973년 8월 30일 ~ 9월 6일 |
---|---|
최저 기압 | 975 hPa |
최대 풍속 | 140km/h |
피해 지역 | 필리핀, 남중국 |
2. 2. 14. 제14호 태풍 마지 (Marge)
태풍 마지는 9월 10일에 발생하여 9월 15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60hPa, 최대 풍속은 150km/h였다.[7] 마지는 필리핀과 남중국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하이난에서 903명의 사망자를 내는 큰 피해를 입혔다.[7] 하이난 충하이 자지 타운에서는 마지가 상륙했을 때 937.8hPa의 최저 중심 기압이 기록되었다.[7] 마지는 9월 14일 늦게 베트남 탐 디엡 산맥 (닌빈 및 탄호아 성 경계)에 상륙하여 북베트남에 폭우와 홍수를 일으켰다.[7][8]
2. 2. 15. 제15호 태풍 노라 (Nora)
'''태풍 노라'''(Nora)는 1973년 10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활동했으며, 필리핀, 남중국에 영향을 미쳤다. 최저 기압은 875 hPa로, 당시 관측 사상 가장 강력한 태풍 중 하나였다.[2]10월 1일, 필리핀 동쪽에서 몬순 골의 영향으로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다. 약한 조향류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이동했으며, 유리한 조건으로 인해 10월 2일에 열대 폭풍, 10월 3일에 태풍으로 발달했다. 노라는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했으며, 10월 5일과 6일에 시속 185마일(295 km/h)의 초대형 태풍으로 급격히 세력을 확장했다. 당시 최저 중심 기압은 875 hPa였으며, 이는 당시 기록상 최저 기압이자 현재 공동 9위에 해당한다.[2]
태풍은 북서쪽으로 향하면서 약화되어, 10월 7일에는 시속 115마일(185 km/h)의 태풍으로 필리핀 북동부 루손섬에 상륙했다. 노라는 계속 북서쪽으로 이동하며 세력이 약해져, 10월 10일에는 중국 남동부에 상륙하면서 소형 태풍으로 약화되었다. 이 태풍으로 인해 18명이 사망했고, 200만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2]
태풍 노라는 중심 기압 875hPa를 기록하여, 당시 1958년 가노가와 태풍(877hPa)을 넘어 최저 기압 세계 기록을 세웠다. 이후 1979년 태풍 20호가 870hPa를 기록하면서 이 기록은 갱신되었지만, 현재도 1975년 태풍 20호와 함께 역대 최저 기압 기록 공동 2위를 유지하고 있다.[2]
순위 | 명칭 | 국제명 | 중심 기압 (hPa) | 관측 연월일 | 관측 지점 |
---|---|---|---|---|---|
1 | 1979년 태풍 20호 | Tip | 870 | 1979년 10월 12일 | 오키노토리시마 남동쪽 |
2 | 1973년 태풍 15호 | Nora | 875 | 1973년 10월 6일 | 필리핀 동쪽 |
1975년 태풍 20호 | June | 1975년 11월 19일 | 마리아나 제도 근해 | ||
4 | 가노가와 태풍 | Ida | 877 | 1958년 9월 24일 | 오키노토리시마 부근 |
5 | 1966년 태풍 4호 | Kit | 880 | 1966년 6월 26일 | 미나미다이토 섬 남쪽 |
1978년 태풍 26호 | Rita | 1978년 10월 25일 | 필리핀 동쪽 | ||
1984년 태풍 22호 | Vanessa | 1984년 10월 26일 | |||
8 | 1953년 태풍 7호 | Nina | 885 | 1953년 8월 13일 | 필리핀 동쪽 |
1959년 태풍 9호 | Joan | 1959년 8월 29일 | 미야코 섬 남쪽 | ||
1971년 태풍 35호 | Irma | 1971년 11월 12일 | 필리핀 동쪽 | ||
1983년 태풍 10호 | Forrest | 1983년 9월 23일 | 오키노토리시마 남쪽 | ||
2010년 태풍 13호 | Megi | 2010년 10월 17일 | 필리핀 동쪽 |
2. 2. 16. 제16호 태풍 오팔 (Opal)
태풍 Opal영어은 10월 3일에 발생하여 10월 8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70 hPa, 최대 풍속은 140km/h였다. 태풍 Opal영어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에 영향을 미쳤다.2. 2. 17. 제17호 태풍 팻시 (Patsy)
Patsy영어는 1973년 10월 5일에 발생하여 10월 15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은 895 hPa, 최대 풍속은 260km/h였다. 태풍 팻시는 필리핀과 베트남에 영향을 주었다.
2. 2. 18. 제18호 태풍 루스 (Ruth)
Ruth영어는 10월 11일에 발생하여 10월 19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60 hPa, 최대 풍속 165 km/h (105 mph)를 기록했다. 2등급 태풍으로 분류되었다. 태풍 루스(나싱)는 캐롤라인 제도, 필리핀, 남중국에 영향을 주었다. 1973년 10월 15일, 태풍 루스가 루손섬을 통과하면서 27명이 사망하고 500만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루스는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19일에 하이난섬과 베트남 꽝닌성에 각각 상륙했다.2. 2. 19. 제19호 태풍 세라 (Sarah)
1973년 태풍 19호 세라는 11월 9일에 발생하여 11월 12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85 hPa, 최대 풍속은 100km/h였다. 태풍 세라는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에 영향을 주었다.[1] 11월 12일 벵골 만에 1973년 북인도양 사이클론의 열대 폭풍 13(13B)가 나타났다.[1]발생일 | 11월 9일 |
---|---|
소멸일 | 11월 12일 |
최저 기압 | 985 hPa |
최대 풍속 | 100km/h |
영향을 받은 지역 |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
2. 2. 20. 제20호 태풍 셀마 (Thelma)
Thelma영어는 1973년 11월 13일에 발생하여 11월 18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90 hPa, 최대 풍속은 100km/h였다. 강한 열대폭풍 등급이었으며 필리핀, 베트남, 태국에 영향을 주었다.2. 2. 21. 제21호 태풍 베라 (Vera)
Vera영어는 1973년 11월 18일에 발생하여 11월 26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90 hPa, 최대 풍속은 95km/h였다. 태풍 베라는 필리핀에 영향을 주었다. 1973년 11월 20일 비사야 제도에 상륙했을 때 강력한 열대 저기압 중 하나였지만, 태풍 단계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열대 폭풍 베라(오펭)은 약 340만 명에게 영향을 미쳤다.발생 및 소멸 | 1973년 11월 18일 ~ 11월 26일 |
---|---|
최저 기압 | 990 hPa |
최대 풍속 | 95km/h |
영향 지역 | 필리핀 |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1973년 서태평양의 열대 저기압에 이름을 붙였다. 첫 번째 태풍은 윌다(Wilda), 마지막 태풍은 베라(Vera)로 명명되었다.
3. 태풍 이름
사용된 이름 Anita 2W Billie 4W Clara 3W Dot 5W Ellen 6W Fran 7W Georgia 8W Hope 9W Iris 10W Joan 12W Kate 13W Louise 15W Marge 16W Nora 17W Opal 18W Patsy 19W Ruth 20W Sarah 21W Thelma 22W Vera 23W Wilda 1W
필리핀 대기 지구 물리 천문청(PAGASA)은 관할 지역 내 열대 저기압에 자체 명명 방식을 사용한다. PAGASA는 관할 지역 내에서 발생하거나 이동하는 모든 열대 저기압에 이름을 지정한다. 해당 연도 이름 목록이 부족하면 보조 목록에서 이름을 가져오며, 그중 처음 10개는 매년 해당 계절 시작 전에 발표된다. 이 목록은 1969년 시즌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PAGASA는 필리핀 문자를 시작으로 "ng"로 끝나는 필리핀 여성 이름을 사용한다(A, B, K, D 등).사용된 이름 아트링 비닝 쿠링 달링 엘랑 고링 훌링 이비앙 루밍 밀링 나르싱 오펭 보조 목록
4. 피해 기록
이름 최대 풍속 최저 기압 피해 지역 피해액 (USD) 사망자 Wilda (Atring) 110 km/h (70 mph) 980 hPa (28.94 inHg) 필리핀, 중국 불명 불명 Anita 130 km/h (80 mph) 980 hPa (28.94 inHg) 베트남, 태국 불명 불명 Billie (Bining) 240 km/h (150 mph) 915 hPa (27.02 inHg) 필리핀, 류큐 열도, 중국 불명 불명 Dot 155 km/h (100 mph) 975 hPa (28.79 inHg) 중국, 류큐 열도, 한반도 불명 1 Georgia 130 km/h (80 mph) 980 hPa (28.94 inHg) 중국 불명 불명 Iris (Daling) 155 km/h (100 mph) 970 hPa (28.64 inHg) 류큐 열도, 한반도 불명 불명 Kate (Goring) 110 km/h (70 mph) 975 hPa (28.79 inHg) 필리핀, 남중국, 베트남 불명 불명 Louise (Huling) 140 km/h (85 mph) 975 hPa (28.79 inHg) 필리핀, 남중국 불명 불명 Marge (Ibiang) 150 km/h (90 mph) 965 hPa (28.50 inHg) 필리핀, 남중국 불명 903 Nora (Luming) 295 km/h (185 mph) 875 hPa (25.84 inHg) 필리핀, 남중국 200만달러 40 Opal 140 km/h (85 mph) 970 hPa (28.64 inHg)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불명 불명 Patsy (Miling) 260 km/h (160 mph) 895 hPa (26.43 inHg) 필리핀, 베트남 불명 불명 Ruth (Narsing) 165 km/h (105 mph) 960 hPa (28.35 inHg) 캐롤라인 제도, 필리핀, 남중국 500만달러 27 Sarah 100 km/h (65 mph) 985 hPa (29.09 inHg)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불명 불명 Thelma 100 km/h (65 mph) 990 hPa (29.23 inHg) 필리핀, 베트남, 태국 불명 불명 Vera (Openg) 95 km/h (60 mph) 990 hPa (29.23 inHg) 필리핀 불명 불명
1973년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위와 같으며, 피해액은 모두 1973년 USD 기준이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1973 ATCR TABLE OF CONTENTS
https://web.archive.[...]
2009-12-25
[2]
웹사이트
Historic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07-12-17
[3]
웹사이트
1973 Typhoon Ellen (1973197N20136)
https://www.ncdc.noa[...]
International Best Track Archive for Climate Stewardship
2024-05-29
[4]
간행물
1973 Annual Typhoon Report
https://apps.dtic.mi[...]
Fleet Weather Central/[[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4-06-10
[5]
웹사이트
台風経路図 昭和48年(1973年)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6-14
[6]
웹사이트
昭和48年7・8つきの高温・少雨 昭和48年(1973年) 6月~9月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6-10
[7]
IBTrACS
1973 Super Typhoon MARGE (1973253N14129)
https://ncics.org/ib[...]
[8]
Vietnam Journalist of Hydro and Meteorology
TÌNH HÌNH KTTV VÀ ẢNH HƯỞNG CỦA NÓ ĐẾN SẢN XUẤT NÔNG NGHIỆP 10 NĂM QUA (1971-1980)
http://tapchikttv.vn[...]
[9]
웹사이트
Worst natural disasters in the Philippines
http://www.rappler.c[...]
Rappler
2016-03-02
[10]
웹사이트
デジタル台風:1973年シーズンの台風履歴
http://agora.ex.nii.[...]
2020-06-11
[11]
웹사이트
気象庁|台風経路図1973年
https://www.data.jma[...]
2020-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