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마미오시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미오시마는 일본 열도에서 일곱 번째로 큰 섬으로, 가고시마현에 속하며, 류큐 문화권에 속한다. 일본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정착한 흔적이 있으며, 류큐 왕국과 일본의 지배를 거쳐,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점령을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다. 1974년 아마미 군도 준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17년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으로 확대되었다. 아마미토끼 등 고유종 동물이 서식하며, 2024년 몽구스 근절에 성공했다. 경제는 농업, 어업, 관광에 기반하며, 오시마 츠무기라는 고급 수공예 실크가 유명하다. 나제항과 아마미 공항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미 제도 - 요론섬
    요론섬은 아마미 제도 최남단에 위치한 산호섬으로, 류큐 왕국과 사쓰마 번의 지배를 거쳐 가고시마현에 편입되었으며, 아름다운 해안 경관과 오키나와 문화 유사성을 특징으로 관광과 농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다.
  • 아마미 제도 - 아마미 공항
    아마미 공항은 아마미오 섬에 위치한 공항으로, 1961년 개항 후 활주로 확장과 터미널 증축을 거쳐 현재 국내선 위주로 운항하며 여러 변화를 겪었다.
  • 가고시마현의 섬 - 사쓰난 제도
    사쓰난 제도는 규슈 남부 해상에 위치한 오스미 제도, 토카라 제도, 아마미 제도를 포함하는 섬들의 총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야쿠시마와 우주센터가 있는 타네가시마 등 다양한 섬들이 독특한 자연환경, 역사,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류큐 왕국과 사쓰마 번의 영향을 받고 미군 군정기를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으나, 아열대 기후와 풍부한 생물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교통 불편과 인구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 가고시마현의 섬 - 오스미 제도
    가고시마현의 화산섬들로 이루어진 오스미 제도는 타네가시마, 야쿠시마 등을 포함하며, 화약 전래지이자 우주센터가 위치한 곳으로, 자위대 기지 건설 및 세계유산 보호와 같은 사회적 이슈가 있는 지역이다.
아마미오시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원어 이름奄美大島
로마자 표기Amami Ōshima
오키나와어 표기우ー시마 (Uushima)
아마미어 표기우시마 (Ushima)
별칭우시마
위치태평양
군도아마미 제도
면적712.35 km²
해안선 길이461.1 km
최고봉유완다케
해발고도694m
국가일본
행정 구역 (현)가고시마 현
행정 구역 (군)오시마 군
최대 도시아마미시
최대 도시 인구44,561명
인구73,000명 (2013년)
민족 구성류큐 민족
일본 민족
지리
해역동중국해
최고봉 (일본어)湯湾岳
기타 정보
관련 링크나우루 공식 홈페이지

2. 역사

아마미오섬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세력의 영향을 받으며 독특한 역사를 형성해 왔다.

일본 구석기 시대의 석기,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 고분 시대의 토기 등 유물은 이 섬이 일본 본토와 지속적으로 교류했음을 보여준다.

1974년 2월, 섬 일부와 주변 바다를 포함하는 7861ha 지역이 아마미 군도 준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 지역에는 광대한 맹그로브 숲이 있다. 2017년에는 이전의 아마미 군도 준국립공원과 인접한 시정촌의 다른 육지 및 해역을 포함하는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이 설립되었다.

2. 1. 고대 ~ 중세

아마미오섬의 최초 정착 시기는 불확실하다. 일본 구석기 시대의 석기가 발견되었고,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 고분 시대의 토기 등 유물들은 일본과의 지속적인 접촉을 보여준다.

이 섬은 고대 일본 연대기인 『일본서기』 657년 기록에 언급되어 있다. 나라 시대와 초기 헤이안 시대에는 일본에서 당나라로 가는 사신들의 중간 기착지였다. 진주조개껍질은 일본으로 수출되는 중요한 품목이었다. 1571년부터 1611년까지 아마미오섬은 류큐 왕국의 일부였다. 류큐 왕국은 명나라의 속국이었기 때문에 섬의 지위도 바뀌었다.[3]

2. 2. 근세 ~ 근대

일본서기에 따르면, 657년에 아마미오섬에 대한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3][4]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 초기에는 일본에서 당나라로 가는 사신들이 이 섬을 중간 기착지로 이용했다. 진주조개껍질은 일본으로 수출되는 중요한 상품이었다.

1571년부터 1611년까지 아마미오섬은 류큐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류큐 왕국은 명나라의 속국이었기 때문에 섬의 지위도 이 영향을 받았다.

1609년 시마즈 가문의 사무라이들이 명나라의 권위에 도전하기 위해 섬을 침략했고, 1624년 도쿠가와 막부는 이를 시마즈 가문의 공식 영토로 인정했다. 시마즈 가문의 통치는 가혹하여 섬 주민들은 농노로 전락했고, 높은 세금을 내기 위해 사탕수수를 재배해야 했다. 이는 종종 기근으로 이어졌다. 사이고 다카모리는 1859년 아마미오섬으로 유배되어 2년간 머물렀으며, 그의 집은 현재 기념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아마미오섬은 오스미 국에 편입되었고, 나중에 가고시마 현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다른 아마미 제도와 함께 1953년까지 미국의 점령 하에 있다가 일본에 반환되었다.

2001년 12월에는 아마미오섬 근처에서 일본 해상보안청 함정과 무장한 북한 정찰선 사이에 아마미오섬 해전이 벌어졌다. 이 정찰선은 일본 배타적 경제 수역을 침범했으며, 6시간 동안의 대치 끝에 북한 선박이 침몰했다.[3][4]

2. 3. 현대

아마미오섬에 사람이 처음 정착한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일본 구석기 시대의 석기가 발견되었고,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 고분 시대의 토기 등 유물이 발견되어 일본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보여준다.

이 섬은 고대 일본 연대기인 일본서기의 657년 기록에 언급되어 있다. 나라 시대와 초기 헤이안 시대에는 일본에서 당나라로 가는 사신들의 중간 기착지였다. 진주조개껍질은 일본으로 수출되는 중요한 품목이었다. 1571년부터 1611년까지 아마미오섬은 류큐 왕국의 일부였다. 류큐 왕국은 명나라의 속국이었기 때문에 섬의 지위도 바뀌었다.

1609년 명나라의 권위에 맞서기 위해 시마즈 씨(Shimazu clan)의 사무라이들이 섬을 침략했고(류큐 침공), 1624년 도쿠가와 막부는 시마즈 씨의 공식적인 영토로 인정했다. 시마즈 씨의 통치는 가혹하여 섬 주민들은 농노로 전락하여 높은 세금을 충당하기 위해 사탕수수를 재배해야 했고, 이는 종종 기근으로 이어졌다. 사이고 다카모리는 1859년 아마미오섬으로 유배되어 2년간 머물렀고, 그의 집은 기념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아마미오섬은 오스미 국에 편입되었고, 나중에 가고시마 현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른 아마미 제도와 함께 1953년까지 미국이 점령했으며, 그 후 일본의 통치로 환원되었다.

1974년 2월부터 섬 일부와 주변 바다를 포함하는 7861ha 지역은 아마미 군도 준국립공원으로 보호되고 있다. 이 지역에는 광대한 맹그로브 숲도 있다.

2001년 12월에는 무장한 북한의 정찰선과 일본 해상보안청 함정 사이에 아마미오섬 근처에서 아마미오섬 해전이라 불리는 해전이 벌어졌다. 정찰선은 일본 배타적 경제 수역을 침범했다. 이는 6시간 동안의 대치 끝에 북한 선박이 침몰하는 것으로 끝났다.[3][4]

2017년에는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이 설립되었다. 이 공원은 이전의 아마미 군도 준국립공원과 인접한 시정촌의 다른 육지 및 해역을 포함한다.

3. 지리

아마미오섬 해안 지역


마넨자키(만엔곶) 근처에서 바라본 카테쓰 만


아마미오섬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의 맹그로브 숲


아마미오섬의 긴사쿠바루 원시림


아마미오섬(奄美大島)은 일본 열도에서 쿠릴 열도를 제외하고 7번째로 큰 섬이다. 규슈 남단에서 남쪽으로 약 380km, 오키나와현에서 북쪽으로 약 250km 떨어져 있으며, 서쪽은 동중국해, 동쪽은 태평양과 접한다.

바다거북이 산란하는 모래사장, ‘아마미 블루’라 불리는 투명한 푸른 바다와 원시림이 펼쳐져 있다. 대섬해협 연안, 호노호시 해안 등 주변 해역과 유완악 등 산지는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에 속한다. 남부에는 희귀 생물이 다양하며, 참다랑어 양식 출하량 일본 1위인 세토우치정에서는 참다랑어와 류큐멧돼지 요리도 맛볼 수 있다. 2021년 7월 26일, 도쿠노섬, 오키나와섬 북부 및 이리오모테섬과 함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면적은 712.35km²[9]로 도쿄 23구나 비와호보다 넓고, 혼슈 등 일본 본토 4개 섬을 제외하면 사도가섬 다음으로 일본에서 5번째로 크다[10](에토로후섬-쿠나시르섬-오키나와 본섬-사도가섬-아마미오섬). 북동쪽 끝 가사리자키에서 남쪽 후루니야까지 간선도로로 약 80km이며 자동차로 2시간 이상 걸린다. 아마미오섬 해안은 바닷물이 푸르고 투명하며 서핑에 적합한 파도가 있어 테비로 해안 등은 서퍼들에게 인기 있다.

3. 1. 산

산 이름높이
湯湾岳(유완다케)694.4m
小川岳(오고다케)528.1m
金川岳(카네곤다케)528m
タカバチ山(타카바치야마)485.2m
油井岳(유이다케)482.6m
滝ノ鼻山(타키노하나야마)482m
鳥ヶ峰(토리가미네)467.5m
松長山(마츠나가야마)455m
ヤクガチョボシ岳(야쿠가쵸보시다케)440.5m
冠岳(카무리다케)434.7m
キヤンマ山(키얀마야마)414.8m
高知山(고치야마)411m
戸倉山(토구라야마)410.9m



아마미오섬은 화산섬으로, 유완다케(由良岳)가 해발 694.4m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5] 섬 해안은 산호초로 둘러싸여 있으며, 마지막 빙하기 동안 일본에서 가장 북쪽에 있던 산호초 일부가 이 섬에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5]

3. 2. 주변 섬


  • '''다치가미지마(立神島)''' - 세토우치정(瀬戸内町) 니시고미(西古見) 앞바다. 준수몰 육계도(얕은 여울). 니시고미 삼련 다치가미가 있다.
  • '''유이코지마(油井小島)''' - 세토우치정(瀬戸内町) 유이(油井) 앞바다.
  • '''사키바라지마(崎原島)''' - 세토우치정(瀬戸内町) 이스(伊須) 앞바다.
  • '''스스모토리(須子茂離)''' - 세토우치정(瀬戸内町) 스스모(須子茂) 앞바다.
  • '''토비라지마(トビラ島)''' - 아마미시(奄美市) 사요정(佐用町) 이치(市) 앞바다.
  • '''다치가미(立神)''' - 아마미시(奄美市) 나세(名瀬) 아사히토(朝仁) 앞바다.
  • '''다치가미(立神)''' - 야마토무라(大和村) 이마자토(今里) 앞바다.

아마미 군도(요코아테지마 부근에 표시된 점선 이남, 사츠난 제도(薩南諸島) 남부)

4. 기후

아마미오시마의 기후는 매우 더운 여름과 온화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로 분류된다. 장마는 5월부터 9월까지 지속된다. 이 섬은 빈번한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11][12]

연간 일조 시간이 일본에서 가장 짧다. 특히 겨울에는 흐린 날이 많고, 칸히자쿠라가 피는 1월-2월에는 이슬비가 계속되는 날이 많다. 1901년2월 12일에는 강설이 기록되었으며, 2016년1월 24일에도 115년 만에 강설이 기록되었다.

태풍의 통과가 많아 매년 산사태나 농작물 피해 등이 발생하며, 2010년10월에는 기록적인 폭우가 섬을 덮쳐 3명이 사망했다(2010년 10월 18일부터 21일까지 아마미 지방의 폭우).

5. 자연

아마미오시마는 일본에서 독특한 자연환경을 가진 섬으로, 다양한 희귀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바다거북이 산란을 위해 찾아오는 모래사장과 ‘아마미 블루’라고 불리는 투명하고 푸른 바다, 그리고 원시림 같은 울창한 숲이 펼쳐져 있다.

섬에는 아마미토끼, 류큐산솔새 등 희귀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고유종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현재 아마미오시마와 도쿠노시마에서만 발견된다. 아마미토끼는 고대 아시아 계통을 대표하는 동물로 '살아있는 화석'이라고도 불린다.

주요 신야 계곡


대섬해협 연안, 호노호시 해안 등 주변 해역과 유완악 등 산지는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의 일부를 이룬다. 특히 섬 남부의 자연은 풍요로워 희귀 생물도 다양하게 볼 수 있다. 2021년 7월 26일에는 풍부한 동식물의 다양성을 인정받아 도쿠노시마, 오키나와섬 북부 및 이리오모테섬과 함께 일본 국내 5번째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 1. 생태계

아마미토끼와 류큐산솔새를 포함한 여러 희귀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고유종 동물들이 아마미오시마에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현재 아마미오시마와 토쿠노시마에서만 발견된다. 아마미토끼는 다른 지역에서는 사라진 고대 아시아 계통을 대표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6]

이 섬에는 류큐 제도 전역에서 발견되는 독사인 하부도 서식한다. 하부를 죽이기 위해 몽구스가 도입되었지만, 몽구스 개체 수 증가가 아마미토끼와 다른 고유종의 감소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또 다른 문제가 되었다. 2000년까지 몽구스 개체 수가 1만 마리에 달하자 당국은 근절 캠페인을 시작하여 2024년까지 섬에서 몽구스를 완전히 근절했다.[6]

최근 몇 년 동안 겨울철에는 혹등고래를 보기 위한 고래 관광이 주요 관광 명소가 되었다.[7] 또한 모든 고래 종 중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북태평양쇠돌고래가 이 섬 주변에 반복적으로 나타났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1901년 이후로 세 번의 목격, 한 번의 포획, 한 번의 좌초 등 다섯 건의 기록이 있으며, 2014년 기준으로 아마미는 지난 110년 동안 이 종이 확인된 동중국해 유일의 장소이다. 또한 20세기 이후 겨울철 꾸준히 출현이 확인된 전 세계 두 곳 중 하나이며(다른 한 곳은 보닌 제도이다), 세토 해협에서 참돌고래가 발견되어 국내 최초로 확인되었다. 다른 종으로는 고래(브라이드고래, 향유고래)류, 소형 고래류 또는 돌고래류(가짜범고래, 회색돌고래, 얼룩돌고래) 등이 있다. 멸종되기 전에는 흰긴수염고래와 밍크고래와 같은 많은 대형 고래들이 계절적으로 이동했다.

이 섬은 듀공의 분포 북쪽 한계선을 나타내며, 20세기 내내 그리고 21세기에 걸쳐 간헐적으로 목격되었다.

아마미오시마는 일본에서 바다거북의 산란이 목격된 유일한 곳이다.

5. 2. 식물

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지에는 스다지이[13]가 우점하는 아열대 상록활엽수림이 펼쳐져 있으며, 일부에는 원시림도 있다. 높이 10m 이상에 달하는 목본성 양치식물인 히카게헤고는 저지대의 계곡에서부터 안개가 자주 끼는 산지에서는 양지바른 곳에서도 자라고 있으며, 거대한 잎의 쿠와즈이모와 함께 남쪽 섬다운 경관을 이룬다. 임도 주변에는 아마시바, 사쿠라츠츠지, 이주, 쿠치나시, 콘론카, 노보탄, 하시칸보쿠, 사키시마후요우, 야마히요도리, 츠와부키의 꽃과 시마우리카에데, 이누이와의 단풍, 하제노키의 단풍이 눈에 띈다. 해발 600m 부근 이상은 운무림이 되어, 나무줄기와 가지가 이끼와 양치류 등 착생식물로 덮여 있다. 숲 속을 흐르는 하천의 상류와 중류에는 히메타무라소우, 사이고쿠혼구우시다, 아마믹사아지사이, 아마미산쇼우소우, 아마미아와고케, 아마미카타바미, 코케탄포포, 아마미덴다 등의 계류식물이 자란다. 저지대에는 가주마루, 아코우, 비로우가 자라며, 해안 근처의 숲에는 오오하마보우, 오오바기, 아카테츠, 하마비와 등 외에 특히 소테츠와 이토바쇼우가 과거에 식재된 적이 있어 군락을 이루는 곳도 있다. 모래사장에는 아단, 쿠사토베라, 몬파노키 등의 나무와 기다치하마구루마, 하마유우, 시마아자미, 구운바이히루가오 등의 초본이 눈에 띄지만, 현재는 남서 제도의 다른 섬들과 마찬가지로 과거 방사 방조를 위해 조림된 외래종 모쿠마오우가 탈출하여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그 외에도 농지 주변이나 도로변에는 긴네무와 센다구사류, 아메리카하마구루마 등의 외래 식물도 만연하고 있다. 아마미시 주요우쵸우에는 일본에서 이리오모테섬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맹그로브림(약 71km2)이 있으며, 여름밤에 하룻밤만 피었다 지는 사가리바나도 볼 수 있다.

5. 3. 동물

아마미오시마는 아마미토끼, 류큐산솔새 등 희귀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고유종 동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아마미토끼는 고대 아시아 계통을 대표하는 동물로 '살아있는 화석'이라고도 불린다. 이 섬에는 류큐 제도 전역에서 발견되는 독사인 하부도 서식한다.[6]

하부를 퇴치하기 위해 몽구스가 도입되었으나, 몽구스 개체 수 증가는 오히려 아마미토끼를 포함한 고유종의 감소를 초래했다. 2000년에는 몽구스 개체 수가 1만 마리에 달했으나, 당국의 노력으로 2024년에는 섬에서 몽구스가 완전히 근절되었다.[6]

최근에는 겨울철 혹등고래를 관찰하는 고래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7] 이 섬 주변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한 북태평양쇠돌고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아마미는 지난 110년 동안 동중국해에서 이 종이 확인된 유일한 장소이며, 세토 해협에서는 참돌고래가 발견되어 국내 최초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브라이드, 향유 등 다양한 고래와 돌고래를 관찰할 수 있다. 멸종 이전에는 흰긴수염고래와 밍크고래와 같은 대형 고래들도 계절에 따라 이동했다.

이 섬은 듀공 분포의 북쪽 한계선이며, 일본에서 바다거북 산란이 목격된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숲에는 아마미검은토끼(アマミノクロウサギ), 류큐멧돼지(リュウキュウイノシシ), 아마미가시토끼(アマミトゲネズミ) 등 고유 포유류가 서식한다. 들염소(ノヤギ)와 들고양이(ノネコ) 등 외래종 문제는 섬 생태계에 위협이 되고 있다.[14] 1980년대 이후 흰줄무늬몽구스(フイリマングース)는 2018년에 거의 근절되었고, 2024년 9월에는 멸종 선언이 발표되었다.[15]

포유류 외에도 큰산솔새(オオトラツグミ), 아마미산솔새(アマミヤマシギ), 류큐녹색뱀(リュウキュウアオヘビ) 등 고유종이 서식한다. 하부(Protobothrops flavoviridis)는 숲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이다.[17] 계류에는 아마미이시카와개구리(アマミイシカワガエル), 아마미하나사키개구리(アマミハナサキガエル) 등 고유종이 서식한다.

과거 연못, 습지, 논 등이 사라지면서 남쪽미꾸리(ミナミメダカ), 뱀장어(タウナギ) 등 정수 환경에 사는 수생 생물이 멸종 위기에 처했다.[18][19][20]

아마미오시마는 토쿠노시마(徳之島) 등과 함께 세계자연유산(世界自然遺産)으로 선정되었다.
천연기념물 (국가 지정)

  • 아마미검은토끼(アマミノクロウサギ) (특별 천연기념물)
  • 류큐딱따구리(ルリカケス) (가고시마현 조)
  • 오스톤큰붉은딱따구리(オーストンオオアカゲラ) (멸종위기종 IB류)
  • 큰산솔새(オオトラツグミ) (멸종위기종 II류)
  • 붉은가슴산솔새(アカヒゲ) (멸종위기종 II류)
  • 까마귀비둘기(カラスバト) (준멸종위기종)
  • 게(オカヤドカリ) (준멸종위기종)
  • 아마미가시토끼(アマミトゲネズミ) (멸종위기종 IB류)
  • 케나가네즈미(ケナガネズミ) (멸종위기종 IB류)
  • 듀공(ジュゴン) (멸종위기종 IA류)
  • 야마토 해변의 오키나와흰참나무(オキナワウラジロガシ) 숲 (야마토무라 야마토 해변)

가고시마현 지정 천연기념물

  • 두꺼비도롱뇽(イボイモリ) (멸종위기종 I류)
  • 아마미이시카와개구리(アマミイシカワガエル) (멸종위기종 I류)
  • 오톤개구리(オットンガエル) (멸종위기종 I류)
  • 아마미하나사키개구리(アマミハナサキガエル) (멸종위기종 II류)


최근 혹등고래(ザトウクジラ)가 회복되면서 고래 관광(ホエールウォッチング)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22] 긴수염고래(ニタリクジラ), 향유고래(マッコウクジラ) 등도 관찰 가능하다.
멸종위기종

  • 혹등고래(セミクジラ)
  • 남방큰돌고래(ミナミハンドウイルカ)
  • 붉은바다거북(オサガメ) (일본에서 유일하게 산란 행동 확인)[25]

5. 4. 자연 보호

바다거북(ウミガメ일본어)이 산란을 위해 찾아오는 모래사장, ‘アマミブルー일본어’라고도 불리는 투명도 높은 푸른 바다와 원시림(原生林일본어) 같은 울창한 숲이 펼쳐져 있다. 대섬해협(大島海峡일본어) 연안, 호노호시 해안(ホノホシ海岸일본어) 등 주변 해역과 유완악(湯湾岳일본어) 등 산지는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의 일부를 이룬다. 특히 남부의 자연은 풍요로워 희귀 생물도 다양하게 볼 수 있으며, 참다랑어(クロマグロ일본어) 양식 출하량 일본 1위인 세토우치정(瀬戸内町일본어)에서는 참다랑어와 류큐멧돼지(リュウキュウイノシシ일본어) 요리(奄美料理일본어) 등도 맛볼 수 있다. 2021년 7월 26일, 풍부한 동식물의 다양성(多様性일본어)을 인정받아 도쿠노시마, 오키나와섬 북부 및 이리오모테섬과 함께 국내 5번째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17년, 기존의 아마미 군도 국정공원보다 육지 부분을 대폭 확장하여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이 지정되었다.[26] 야마토무라에는 방문자 센터로서 아마미 야생동물 보호센터가 있다.[27] 2021년에는 국립공원의 특별보호지구와 제1종 특별지역의 대부분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2022년에 아마미오시마 세계유산센터가 개설되었다.[28]

6. 문화

아마미오시마섬 특유의 형태를 가진 고쿠라(高床倉庫). 이 건물은 에도 시대에 지어진 것이지만, 우켄촌에서 전시용으로 이축되어 고가네이시의 에도도쿄타테모노엔에 현재 남아 있다.


아마미오시마를 포함한 아마미군도는 다이토군도를 제외한 오키나와현과 함께 류큐 문화권을 구성한다. 아마미어는 류큐어의 일부이며, 기본적인 어휘와 표현 등 공통점이 많다. 일본어 화자와의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이들은 국제적으로는 독립된 언어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지만, 동계의 어휘, 조어표준어를 가진다는 점 등으로 일본어 방언으로 보는 연구자도 있다.

아마미오시마섬의 문화는 오키나와현보다 규슈 이북에 가까운 부분도 적지 않아 중간적인 성격을 띤다. 독자적인 문화를 기반으로 시대에 따라 규슈 이북이나 오키나와 본섬 이남, 그리고 중국 대륙이나 동남아시아 등의 영향도 받아왔다. 섬을 대표하는 생산품인 흑설탕과 오시마쓰무기, 흑돼지는 중국 대륙 쪽에서 전래되었고, 소주(아마미 흑설탕 소주)와 치진(일본에서는 아마미군도 등 극히 한정된 지역에만 남아 있는 クサビ 묶음 ), 고쿠라(高床倉庫)는 동남아시아 쪽에서 전래되었다고도 한다.

1185년단노우라 전투에서 패하여 흘러들어온 헤이케의 낙인들에 의해 본토의 문화가 전해지고, 몇몇 성채와 구스크가 축조되었다는 전승도 남아 있다. 헤이케와 관련된 아리모리 신사, 유키모리 신사가 있는 한편, 남쪽 이웃인 카케로마섬에서는 헤이케 시게모리를 모시는 다이툰 신사에 중요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쇼로온 시바야(諸鈍芝居)가 전해지고 있다.

섬 안에는 각 마을마다 여러 개의 신사가 있지만, 불교 사찰은 매우 적다. 하지만 대부분의 신사는 에도 시대(사쓰마 번 통치 시대) 무렵 류큐 신토御嶽에서 이전하여 설립된 비교적 새로운 것이며, 다카치호 신사 등에서는 사쓰마와 공통되는 유월등 행사가 거행된다.

그 외에, 섬 북부를 중심으로 가톨릭 교회가 많이 보이며, 메이지 이후에 설립되었다. 1892년 3월부터 프랑스인 신부에 의해 아마미오시마에서 가톨릭 선교가 시작되었다. 인구 대비 가톨릭 신자의 비율이 국내에서도 신자가 많다고 알려진 나가사키현 이상이라고 한다. 시성 조사 중인 도밍고스 나카무라 초하치 신부라는 해외로 건너간 최초의 일본인 선교사가 1923년 브라질로 이주하기 전에 아마미오시마에서 포교를 담당하여 활약했다.[29]

현재의 많은 묘 형태는 일본 본토와 같으며, 오키나와현의 거북등무덤은 볼 수 없다. 하지만 「시오마 토후루 묘군」(가사리)에 대표되는 토후루나 무야라고 불리는 거북등무덤의 전 시대 형식의 묘소가 존재한다(풍장 등 남서 제도의 묘제의 북쪽 한계라고 한다). 이것은 융기 산호초가 형성하는 절벽에 옆구멍을 파고, 풍장하거나 厨子甕(추자옹) 등에 유골을 넣어 보관하는 것이다. 융기한 사구에 십수 기의 횡혈묘가 있으며, 400년 전에 건설된 이후 그 모두가 거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으며, 그중 9기가 현역 로 사용되고 있다. 공적 행사를 주관하는 노로는 사라졌지만, 무녀무당과 비교되는 유타에 의한 민속 신앙은 남아 있다.

6. 1. 언어

아마미어의 두 방언인 북오시마 방언과 남오시마 방언은 아마미오시마에서 사용된다. 이들 방언은 류큐어족에 속한다.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2005년을 기준으로 북오시마 방언 화자는 약 1만 명, 남오시마 방언 화자는 약 1,800명이었다. 이들 방언은 현재 섬의 고령 주민들이 주로 사용하며, 젊은 세대 대부분은 일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오시마 방언을 포함한 아마미어는 유네스코에 의해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

이 지역에서는 아마미오시마 수화라는 마을 수화도 사용되고 있다.

아마미군도는 다이토군도를 제외한 오키나와현과 함께 류큐 문화권을 구성한다. 아마미어는 류큐어의 일부이며, 기본적인 어휘와 표현 등 공통점이 많다. 일본어 화자와의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이들은 국제적으로는 독립된 언어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지만, 동계의 어휘, 조어표준어를 가진다는 점 등으로 일본어 방언으로 보는 연구자도 있다.

6. 2. 음악

아마미오시마섬을 포함한 아마미군도의 마을(시마)마다 다른 민요는 시마우타라고 불린다. 노래를 많이 알고 아마미 방언으로 즉흥적으로 노래하는 데 능숙한 가수를 가수라고 한다. 오키나와 민요와 마찬가지로 삼선이 사용되지만, , 음색이 오키나와와 달리 더 높고, 장식음을 많이 사용한 연주가 이루어진다. 아마미오시마에서는 삼현(しゃみせん)이나 뱀가죽현(じゃみせん)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고, 류큐 음계가 아니라 규슈 이북의 민요와 같은 민요 음계(요나누키 음계)가 사용된다. 8월춤 노래나 신사 의례를 위한 신가가 아닌, 일상의 오락으로서의 시마우타(나구사미우타)는 삼선 반주로 실내에서 불려지며, 즉흥적으로 서사, 서정의 가사가 붙여진다. 문자화되지 않아 옛날 일들도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왔으며, 노동요로서의 시마우타도 있다. 나세 번화가 등에는 시마우타를 들으면서 아마미 요리를 먹을 수 있는 음식점도 여러 곳 있다.

6. 3. 전통 공예

섬의 전통 공예로는 주로 기모노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고급 수공예 실크인 오시마 명주(大島紬) 생산이 있다. 오시마 명주는 페르시아 카펫, 고블랭 태피스트리와 함께 세계 3대 직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8] 진흙으로 염색하여 특유의 검은색을 낸다.

6. 4. 음식

아마미군도는 류큐 문화권에 속하며, 향토 음식으로 아마미 요리가 있다. 아마미 요리는 지역 해산물, 채소, 흑돼지, 닭고기, 염소고기, 소면 등에 덩어리 된장, 소철된장, 단맛이 나는 간장, 초된장, 흑설탕 등을 넣어 만든다. 아마미 흑설탕 소주, 유산균발효식품인 미키 등 독특한 음료도 즐겨 마신다. 나세 번화가 등에는 시마우타(섬 노래)를 들으면서 아마미 요리를 먹을 수 있는 음식점도 여러 곳 있다. 서교룡이 유배되었을 때 만난 아이카나와의 인연으로 그 이름을 딴 과자도 있다.

6. 5. 종교

섬 안에는 각 마을마다 여러 개의 신사가 있지만, 불교 사찰은 매우 적다. 하지만 대부분의 신사는 에도 시대(사쓰마 번 통치 시대) 무렵 류큐 신토御嶽에서 이전하여 설립된 비교적 새로운 것이며, 다카치호 신사 등에서는 사쓰마와 공통되는 유월등 행사가 거행된다.

그 외에, 섬 북부를 중심으로 가톨릭 교회가 많이 보이며, 메이지 이후에 설립되었다. 1892년 3월부터 프랑스인 신부에 의해 아마미오시마에서 가톨릭 선교가 시작되었다. 인구 대비 가톨릭 신자의 비율이 국내에서도 신자가 많다고 알려진 나가사키현 이상이라고 한다. 시성 조사 중인 도밍고스 나카무라 초하치 신부라는 해외로 건너간 최초의 일본인 선교사가 1923년 브라질로 이주하기 전에 아마미오시마에서 포교를 담당하여 활약했다.[29]

현재의 많은 묘 형태는 일본 본토와 같으며, 오키나와현의 거북등무덤은 볼 수 없다. 하지만 「시오마 토후루 묘군」(가사리)에 대표되는 토후루나 무야라고 불리는 거북등무덤의 전 시대 형식의 묘소가 존재한다(풍장 등 남서 제도의 묘제의 북쪽 한계라고 한다). 이것은 융기 산호초가 형성하는 절벽에 옆구멍을 파고, 풍장하거나 厨子甕(추자옹) 등에 유골을 넣어 보관하는 것이다. 융기한 사구에 십수 기의 횡혈묘가 있으며, 400년 전에 건설된 이후 그 모두가 거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으며, 그중 9기가 현역 로 사용되고 있다. 공적 행사를 주관하는 노로는 사라졌지만, 무녀무당과 비교되는 유타에 의한 민속 신앙은 남아 있다.

7. 행정

(1980년)1980년
(쇼와 55년)1990년
(헤이세이 2년)2000년
(헤이세이 12년)2010년
(헤이세이 22년)2015년
(헤이세이 27년)자치체
(현재)주요 촌--나세 도시권
59,676명아마미 도시권
53,964명아마미 도시권
50,492명아마미시가사리 정--나세 시나세 도시권
49,021명나세 도시권
54,524명류쿄 정-류쿄 정야마토 촌-야마토 촌우켄 촌-----우켄 촌세토우치 정-----세토우치 정


아마미오시마의 5개 시정촌

8. 경제

아마미오시마의 경제는 농업, 어업, 쇼추(焼酎) 증류, 관광 산업을 기반으로 한다.

8. 1. 산업

아마미오시마의 경제는 농업, 어업, 쇼추(焼酎) 증류를 기반으로 한다. 좋은 기후 덕분에 벼는 1년에 두 번 농사를 지을 수 있다.[8] 계절 관광도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섬의 전통 공예로는 고급 수공예 실크인 오시마츠무기(大島紬) 생산이 있다. 오시마츠무기는 기모노를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되며, 페르시아 카펫, 고블랭 태피스트리와 함께 세계 3대 직물 중 하나로 꼽힌다.[8] 오시마츠무기는 진흙으로 염색하여 특유의 검은색을 낸다.

각 산업별 매출액이 큰 것은 매년 태풍 피해 등으로 수요가 끊이지 않는 토목공사업이나 건설업이다.

농업은 사탕수수, 고구마 생산이 주를 이루며, 탱자, 폰칸, 자두, 패션프루트, 망고, 용과 등의 과일 재배도 활발하다. 벼는 이모작이 가능하지만, 감산정책에 따라 경제작물로 전환되면서 제사용을 제외하고는 거의 벼농사를 짓지 않고 있다.

어업은 참다랑어, 부시리, 진주, 도화새우, 도다리, 모즈쿠 등의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남부의 세토우치정(오오시마 해협)에는 킨키대학의 수산연구소 실험장이 있는데, 이곳은 세계 최초로(2002년에 와카야마현의 키이오오시마에서) 참다랑어 완전 양식에 성공한 곳이다. 이 연구소에서 양식된 참다랑어는 킨다이 참다랑어라고 불린다. 와카야마현에서 양식하는 것보다 성장이 빠르기 때문에 다른 기업의 양식도 합쳐 양식 참다랑어 출하액은 세토우치정이 일본 제일이다.

제조업은 소규모 공장이 대부분이지만, 가사리정에는 사탕수수에서 원당을 제조하는 후쿠쿠제당이 있다.

아마미군도(구마모토 국세국 오오시마 세무서 관할 구역)에서만 제조가 허용되는 아마미 흑설탕 소주가 특산품으로 제조되고 있다. 전통 공예인 본고장 아마미 오오시마 츠무기는 일본옷용 천으로 매우 높이 평가되지만, 일본옷을 입는 습관이 줄어들고, 섬내 업체가 한국 등에서 생산을 지도하고 장려하면서 한국산이나 중국산 수입 츠무기에 밀리고 있다. 한때 업계에서 3000억 이상이었던 매출이 현재는 30분의 1 이하로 떨어졌다.

관광업으로는 아마미 파크, 다나카 이치무라 미술관 외에 중부의 산악 지대에 있는 킨자쿠하라 원생림 트레킹, 남부의 아마미시 스미요마치의 맹그로브 숲 카누 관광, 남부 세토우치정의 산호초 등이 유명하다. 세토우치정내 오오시마 해협에서는 씨 카약도 성행하고 있으며, 매년 여름에는 아마미 씨 카약 마라톤 in 가케로마가 개최되고 있다.[30] 아마미시 가사리정 등에서는 모터 패러글라이딩을 이용한 관광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탠드업 패들보드를 즐길 수 있는 곳도 있다.

오오시마에 본점을 두는 금융기관으로는 아마미 오오시마 신용금고, 아마미 신용조합 2곳이 있다.

8. 2. 관광

아마미오시마는 좋은 기후 덕분에 일 년에 두 번 벼농사를 지을 수 있어 계절 관광은 아마미오시마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섬의 전통 공예로는 주로 기모노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고급 수공예 실크인 오시마츠무기(大島紬) 생산이 있다. 오시마츠무기는 페르시아 카펫, 고블랭 태피스트리와 함께 세계 3대 직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8] 오시마츠무기는 진흙으로 염색하여 특유의 검은색을 낸다.

바다거북(ウミガメ)이 산란을 위해 찾아오는 모래사장, ‘아마미 블루(アマミブルー)’라고도 불리는 투명도 높은 푸른 바다와 원시림(原生林) 같은 울창한 숲이 펼쳐져 있다. 오시마 해협(大島海峡) 연안, 호노호시 해안(ホノホシ海岸) 등 주변 해역과 유완악(湯湾岳) 등 산지는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奄美群島国立公園)의 일부를 이룬다. 특히 남부의 자연은 풍요로워 희귀 생물도 다양하게 볼 수 있으며, 참다랑어(クロマグロ) 양식 출하량 일본 1위인 세토우치정(瀬戸内町)에서는 참다랑어와 류큐멧돼지(リュウキュウイノシシ) 요리(奄美料理|아마미 요리일본어) 등도 맛볼 수 있다. 2021년 7월 26일, 풍부한 동식물의 다양성(多様性)을 인정받아 도쿠노섬(徳之島), 오키나와섬(沖縄島) 북부 및 이리오모테섬(西表島)과 함께 국내 5번째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9. 교통

가고시마현 아마미시 나제 항


아마미 공항 활주로 전경


가고시마현 아마미시에 위치한 나제 항은 주요 지역 해운 및 페리 중심지이다. 섬 북쪽 끝에는 아마미 공항이 있으며, 섬에는 버스 노선과 도로가 있다.

9. 1. 항공

섬 북쪽 끝에 위치한 아마미 공항은 도쿄, 오사카, 나하, 후쿠오카, 가고시마와 연결되며, 다른 아마미 제도로 가는 국내선 항공편도 있다.[31]

아마미공항 - 아마미시(구 가사리정)

일본항공(JAL)이 대부분의 발착편을 차지하지만, 스카이마크(SKY)와 피치항공(APJ)도 본 공항을 발착하는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31] 스카이마크는 가고시마 공항과의 노선만 운항하지만, 가고시마에서 하네다 공항·주부 국제공항·고베 공항으로 가는 운항편과 연결된다.

9. 2. 해상

※아마미 군도 내 기항지는 기항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도쿄 항로는 2014년, 한신 항로는 2017년을 기하여 여객 취급 종료(RO-RO선 전환, 도쿄 항로는 아마미 기항도 병행하여 휴지).

9. 3. 도로

'''국도'''

'''주요 지방도'''

'''도로 휴게소'''

'''터널'''

( ) 안은 개통 연도와 연장(1000m 이상만)

아미코지 터널(2015년, 4243m), 신와세 터널(2001년, 2435m), 미야코자키 터널(2022년, 2316m), 미타로 터널(1989년, 2017m), 와코 터널(2005년, 1822m), 아사토 터널(1993년, 1725m), 나가세 터널(2006년, 1432m), 오가미야마 터널(2029년 예정, 1225m), 케진 터널(1998년, 1212m), 야쿠카츠 터널(2007년, 1133m), 카츠우라 터널(2010년, 1122m), 지조 터널(1995년, 1065m), 혼차 터널(1984년, 1055m)

참조

[1] 서적 Okinawa-go Jiten Okurasho Insatsu Kyoku
[2] 서적 Amami Hogen Bunrui Jiten Jokan Kasama Shoin
[3] 웹사이트 Japan announces sunken boat was N. Korean spy ship http://findarticles.[...] 2002-10-07
[4] 뉴스 Japan says 'spy ship' fired rockets http://news.bbc.co.u[...] 2001-12-25
[5] 논문 Submerged reefal deposits near a present-day northern limit of coral reef formation in the northern Ryukyu Island Arc, northwestern Pacific Ocean: Submerged reefal deposits in the Ryukyus 2011-09
[6] 웹사이트 Japanese island eradicates rabbit-killing mongoose https://www.france24[...] 2024-09-04
[7] 웹사이트 Amami whale and dolphin association http://amamiwhale.ji[...] 2014-05-28
[8] 웹사이트 About Ooshima Tsumugimura|Ooshima Tsumugi Mura http://www.tumugi.co[...]
[9] 웹사이트 平成27年全国都道府県市区町村別面積調 島面積 http://www.gsi.go.jp[...] 국토지리원 2015-10-01
[10] 서적 平成19年 理科年表 国立天文台
[11] 뉴스 115年ぶり名瀬で雪/昼から3度、測候所観測 https://www.nankainn[...] 2016-01-25
[12] 뉴스 奄美市で115年ぶりの雪 http://373news.com/m[...] 2016-01-24
[13] 논문 奄美大島のスダジイ林について https://doi.org/10.1[...] 森林立地学会
[14] 서적 好物は希少哺乳類
[15] 보도자료 令和3年度奄美大島におけるマングース防除事業の実施結果について(お知らせ) https://kyushu.env.g[...] 環境省沖縄奄美自然環境事務所 2022-09-01
[16] 논문 奄美群島固有種アマミノクロウサギによる農作物被害の調査報告
[17] 서적 日本産ヘビ類の食性に関する文献調査
[18] 뉴스 伊仙町に新種ドジョウ 福岡の研究者、中島さん発表 体長は成体で8~9センチ 「生物多様性を裏付ける存在」 https://www.nankainn[...] 2022-07-03
[19] 서적 危機におちいる奄美群島の止水性水生昆虫たち
[20] 보고서 危機的状況にある奄美・琉球の里地棲希少水生昆虫類に関する実効的な保全・生息地再生技術の開発 https://www.erca.go.[...]
[21] 보고서 ジュゴンと藻場の広域的調査 平成13~17年度結果概要 https://www.env.go.j[...] 環境省
[22] 웹사이트 奄美クジラ・イルカ協会 https://amamiwhale.j[...] 奄美クジラ・イルカ協会
[23] 논문 奄美大島近海における鯨類の記録 https://cir.nii.ac.j[...] 국립과학박물관
[24] 웹사이트 ウミガメ保護ハンドブック https://www.env.go.j[...] 環境省
[25] 웹사이트 恐竜時代の生き残り・オサガメが産卵する奄美の海岸調査を実施 https://www.nacsj.or[...] 日本自然保護協会 2017-07-14
[26] 웹사이트 奄美群島国立公園 https://www.env.go.j[...]
[27] 웹사이트 奄美野生生物保護センター https://kyushu.env.g[...]
[28] 웹사이트 奄美大島世界遺産センター https://amami-whcc.j[...]
[29] 서적 『ドミンゴス中村長八神父:ブラジル日本移民の使徒』 聖母の騎士社 2007-11
[30] 웹사이트 奄美シーカヤックマラソンIN加計呂麻大会 https://sk-amami.com[...] 奄美シーカヤックマラソンIN加計呂麻大会事務局
[31] 보도자료 JALグループ、2022年度国内線基本便数計画を決定 https://press.jal.co[...] 日本航空 2022-01-18
[32] 웹사이트 バービーが奄美大島で実感した身体と心の変化 https://www.tbsradio[...] TBSラジオ 2021-11-06
[33] 서적 헤이세이 19년 이료연표 일본 국립천문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