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결선 투표제로 치러졌으며, 현직 대통령인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과 사회당의 프랑수아 미테랑이 주요 후보로 경쟁했다. 1차 투표에서 지스카르 데스탱이 1위를 차지했으나, 결선 투표에서 미테랑이 승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미테랑의 승리는 지스카르 데스탱의 스캔들, 경제 정책 실패, 우파 진영의 분열, 그리고 좌파의 전략적 연합 등에 기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4월 - STS-1
    STS-1은 1981년 컬럼비아 우주왕복선이 존 영 선장과 로버트 크리펜 조종사의 지휘 하에 발사되어 우주왕복선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고 지구로 안전하게 귀환하는 임무를 수행,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 1981년 5월 - 1981년 칸 영화제
    1981년 칸 영화제는 자크 드레이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안제이 바이다 감독의 《강철 사나이》가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주목할 만한 시선, 비경쟁 부문, 단편 영화 경쟁 부문 등 다양한 섹션과 국제비평가주간, 감독 주간 등의 병행 부문도 함께 진행된 영화제이다.
  • 1981년 선거 - 1981년 프랑스 총선
    1981년 프랑스 총선은 프랑수아 미테랑의 대통령 당선 이후 치러졌으며, 사회당이 원내 제1당이 되어 프랑스 제5공화국에서 좌우 정권 교체가 처음으로 일어난 선거이다.
  • 1981년 선거 - 1981년 동독 총선거
    1981년 동독 총선거는 1981년에 치러진 인민의회 선거로, 높은 투표율 속에 독일 통일사회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얻었다.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선거 정보
국가프랑스
선거 유형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1974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74년
다음 선거1988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88년
선거일1981년 4월 26일 (1차 투표)
후보 정보
프랑수아 미테랑 1981년 4월 사진
프랑수아 미테랑
후보프랑수아 미테랑
정당사회당
득표수15,708,262
득표율51.76%
1차 득표수7,505,960
1차 득표율25.86%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1978년 사진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후보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정당프랑스 민주연합
득표수14,642,306
득표율48.24%
1차 득표수8,222,432
1차 득표율28.33%
자크 시라크 미국 방문 사진
자크 시라크
후보자크 시라크
정당RPR
1차 득표수5,225,846
1차 득표율18.00%
조르주 마르셰
조르주 마르셰
후보조르주 마르셰
정당PCF
1차 득표수4,456,922
1차 득표율15.35%
브리스 랄롱드
브리스 랄롱드
후보브리스 라롱드
정당에콜로지스트
1차 득표수1,126,254
1차 득표율3.88%
아를레트 라기예 200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유세
아를레트 라기예
후보아를레트 라기예
정당LO
1차 득표수668,057
1차 득표율2.30%
지도 정보
도별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결과 지도
도별 결선 투표 결과
범례#4169E1 #FF69B4
투표율 정보
투표율 (1차)81.09%
투표율 (결선)85.85%
선거 결과
대통령 당선인프랑수아 미테랑
당선 정당사회당
이전 대통령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이전 대통령 소속 정당프랑스 민주연합

2. 선거 제도

1차 투표일1981년 4월 26일2차 투표일1981년 5월 10일



이러한 선거 제도는 1차 투표에서는 좌우파 내부의 다양한 정치 세력 간 경쟁을 유도하지만, 2차 투표에서는 좌우 양 진영의 결집과 양극화를 가져오는 특징이 있다. 이는 후보들에게 각 투표 단계에 맞는 선거 전략을 요구했다. 1차 투표에서는 자신의 경쟁력을 부각하면서도, 같은 진영 내 다른 후보의 지지층을 결선 투표에서 흡수해야 하므로 상대방을 지나치게 공격하지 않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 반면, 결선 투표에서는 진영 내 완전한 단결을 통해 중도층과 극단 지지층 모두를 아우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3. 주요 후보

지난 선거와 달리, 1978년 좌파 연합 결렬 이후 공산당은 이번 선거에서 독자 후보를 내세웠다. 총 10명의 후보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후보정당비고
프랑스어한국어
Valéry Giscard d'Estaing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프랑스 민주 연합 UDF현직 대통령
François Mitterrand프랑수아 미테랑사회당 PS당 제1서기
Jacques Chirac자크 시라크공화국 연합 RPR파리 시장
Georges Marchais조르주 마르셰프랑스 공산당 PCF서기장
Brice Lalonde브리스 라롱드생태주의자 운동 MEP환경 운동가
Arlette Laguiller아를레트 라기예노동자 투쟁 LO
Michel Crépeau미셸 크레포좌익 급진 운동 MRG
Michel Debré미셸 드브레공화국 연합 계열총리
Marie-France Garaud마리 프랑스 가로공화국 연합 계열
Huguette Bouchardeau위게트 부샤도통일 사회당 PSU


4. 선거 배경

프랑스 대통령의 7년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실시된 선거이다. 1981년 5월 10일 치러진 결선 투표 결과, 사회당 제1서기 프랑수아 미테랑이 현직 대통령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을 꺾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 결과는 1958년 샤를 드 골에 의해 수립된 제5공화국 체제 하에서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으로 3대에 걸쳐 이어진 보수 정권에 종지부를 찍는 중요한 정치적 전환점이 되었다.

4. 1. 정치적 배경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프랑스 제5공화국 수립 이후 장기간 이어진 우파 정권의 변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선거였다. 샤를 드 골, 조르주 퐁피두를 거쳐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으로 이어지는 보수 통치가 23년간 지속되고 있었다. 당시 현직 대통령이었던 지스카르 데스탱은 임기 말 여러 정치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전례 없는 경제적 어려움과 함께, 개혁 추진에 필요한 정치 시스템의 경직성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었다.

특히 1970년대 후반 도입된 결선 투표제와 과반수 득표 요건은 선거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제도는 1차 투표에서는 각 진영 내부의 분열을 심화시키고, 2차 투표(결선 투표)에서는 좌우 양극화를 유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후보는 1차 투표에서 같은 진영의 다른 후보를 완전히 비판하기 어려운 전략적 딜레마에 놓였다. 2차 투표에서의 단일화를 염두에 두어야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파 진영의 분열은 지스카르 데스탱에게 결정적인 약점으로 작용했다. 지스카르 데스탱의 프랑스 민주연합(UDF)과 자크 시라크가 이끄는 신골주의 공화국연합(RPR)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시라크는 1차 투표에서 탈락한 후 개인적으로는 지스카르 데스탱에게 투표하겠다고 밝혔지만,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결선 투표에서 지스카르 데스탱을 지지하라고 명확히 권고하는 것을 거부했다. 이는 사실상 중도 우파의 단일 후보로서 지스카르 데스탱을 지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 좌파 진영은 분열 상황을 오히려 유리하게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회당(PS)과 공산당(PCF)의 분열은 일부 유권자들이 공산당과의 연대에 대한 부담 없이 사회당 후보인 프랑수아 미테랑에게 투표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사회당은 약 20%에 달하는 공산당 지지표 일부를 흡수하면서 세력을 확장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치적 배경 속에서 치러진 선거 결과, 프랑수아 미테랑이 승리하며 23년간 지속된 보수 정권 시대의 막을 내리게 되었다.

5. 선거 결과

1981년 4월 26일에 실시된 1차 투표에서는 총 10명의 후보가 경쟁했으며, 현직 대통령인 프랑스 민주연합(UDF) 소속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후보와 사회당(PS) 소속 프랑수아 미테랑 후보가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하여 결선 투표에 진출했다. 공화국연합(RPR)의 자크 시라크 후보와 프랑스 공산당(PCF)의 조르주 마르셰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지 않아 상위 두 후보가 결선에서 다시 맞붙게 되었다.

5월 10일에 실시된 결선 투표 결과, 프랑수아 미테랑 후보가 51.7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48.24%를 얻은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후보를 누르고 프랑스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는 약 100만 표 차이의 승리였다.

미테랑 후보의 승리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우선, 현직 대통령이었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은 재임 기간 중 불거진 여러 스캔들(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보카사 1세로부터 고가의 다이아몬드를 선물 받았다는 의혹, 측근이 연루된 정치인 암살 계획을 묵인했다는 의혹 등)로 인해 도덕성에 타격을 입었다. 또한, 당시 프랑스 사회가 겪고 있던 높은 인플레이션과 실업 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처가 미흡하다는 국민적 불만도 지스카르 데스탱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한편, 전통적으로 20% 이상의 득표율을 보여왔던 프랑스 공산당은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지지하는 등 친소련적인 입장을 강화하면서 유권자들의 반감을 샀고, 이 선거에서 15%대의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좌파 지지층 일부가 미테랑에게 결집하는 결과를 낳았다.

미테랑의 당선은 1958년 샤를 드 골에 의해 프랑스 제5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23년 만에 처음으로 이루어진 좌파로의 정권 교체라는 점에서 프랑스 정치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으로 이어져 온 보수 우파 정권의 시대가 막을 내렸음을 의미했다.

대통령으로 당선된 미테랑은 5월 21일 공식 취임식을 가졌다. 그는 피에르 모루아를 총리로 임명하여 새 정부를 구성했으며, 곧이어 5월 23일에는 프랑스 국민 의회를 해산하고 6월에 조기 총선(1981년 프랑스 총선)을 실시하여 정치적 기반을 다졌다.

5. 1. 1차 투표 결과

파란색: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UDF)
분홍색: 프랑수아 미테랑 (PS)
하늘색: 자크 시라크 (RPR)
빨간색: 조르주 마르셰 (PCF)]]

1981년 4월 26일에 실시된 1차 투표 결과, 총 10명의 후보가 경쟁했다. 현직 대통령인 프랑스 민주연합(UDF)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후보가 28.3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사회당(PS)의 프랑수아 미테랑 후보가 25.85%로 2위를 기록하며 결선 투표에 진출했다. 공화국연합(RPR)의 자크 시라크 후보는 18.00%, 프랑스 공산당(PCF)의 조르주 마르셰 후보는 15.35%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프랑스 공산당의 조르주 마르셰 후보는 이전 선거들에 비해 낮은 15.35%의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지지하는 등 친소련 노선을 강화한 것에 대한 유권자들의 반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 후보자별 득표 결과 ===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1차 투표 후보자별 득표 결과 (1981년 4월 26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프랑스 민주연합 (UDF)8,222,43228.32%
프랑수아 미테랑사회당 (PS)7,505,96025.85%
자크 시라크공화국연합 (RPR)5,225,84818.00%
조르주 마르셰프랑스 공산당 (PCF)4,456,92215.35%
브리스 랄롱드환경정치운동 (MEP)1,126,2543.88%
아를레트 라기예르노동자 투쟁 (LO)668,0572.30%
미셸 크레포좌익급진당 (PRG)642,8472.21%
미셸 드브레기타 우파 (DVD)481,8211.66%
마리-프랑스 가로기타 우파 (DVD)386,6231.33%
위게트 보샤도통합사회당 (PSU)321,3531.11%
합계29,038,117100.00%



=== 투표율 ===

1차 투표 상세 정보 (1981년 4월 26일)
항목수치비율 (%)
등록 유권자 수36,398,859100.00%
투표자 수29,516,08281.09%
기권자 수6,882,77718.91%
유효표 수29,038,11798.38% (투표자 대비)
무효/기권표 수477,9651.62% (투표자 대비)



출처:

5. 2. 결선 투표 결과

결선 투표 지역별 최다 득표 후보 분포. 프랑수아 미테랑 (분홍색),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파란색)


1981년 5월 10일에 치러진 결선 투표 결과, 사회당프랑수아 미테랑 후보가 51.76% (15,708,262표)를 득표하여 48.24% (14,642,306표)를 얻은 프랑스 민주연합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미테랑 후보는 약 100만 표 차이로 승리했다.

결선 투표 후보자별 득표 결과
후보자명정당득표수득표율당락
프랑수아 미테랑사회당 (PS)15,708,26251.76%당선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프랑스 민주연합 (UDF)14,642,30648.24%낙선
합계30,350,568100%


6. 미테랑 승리의 요인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프랑수아 미테랑이 승리한 데에는 몇 가지 중요한 요인이 작용했다.

무엇보다 당시 집권 세력이었던 우파 진영의 분열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이 속한 프랑스 민주연합(UDF)과 자크 시라크가 이끄는 신골주의 공화국 연합(RPR)은 주요 경쟁 파벌이었는데, 이들 간의 갈등은 지스카르 데스탱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시라크는 1차 투표에서 패배한 뒤, 공식적으로는 결선에서 지스카르 데스탱에게 투표하겠다고 밝혔으나,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지스카르 데스탱을 지지하라고 적극적으로 권유하지는 않았다. 이는 사실상 시라크가 지스카르 데스탱을 중도 우파의 단일 후보로 지지하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 좌파 진영은 분열된 상황을 오히려 전략적으로 활용했다. 당시 좌파는 사회당과 공산당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러한 경쟁 구도가 유권자들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덜 강경한 사회당에 표를 주는 것을 더 편안하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미테랑은 사회당 지지층은 물론, 약 20%에 달하는 공산당 지지표까지 상당 부분 흡수하며 세력을 넓힐 수 있었다.

이러한 우파의 분열과 좌파의 효과적인 전략이 맞물리면서, 5월 10일 실시된 결선 투표에서 사회당의 프랑수아 미테랑 후보가 현직 대통령이었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을 누르고 승리했다. 이 선거 결과는 1958년 샤를 드 골에 의해 수립된 프랑스 제5공화국 체제 하에서 조르주 퐁피두, 지스카르 데스탱으로 이어져 온 23년간의 보수 정권 시대를 마감하는 중요한 정치적 전환점이 되었다.

7. 선거의 영향

이 선거 결과, 사회당의 프랑수아 미테랑이 현직 대통령이었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로써 1958년 샤를 드 골에 의해 수립된 프랑스 제5공화국 체제 하에서 조르주 퐁피두, 지스카르 데스탱으로 3대에 걸쳐 23년간 이어져 온 보수 우파 정권의 시대가 끝나고, 제5공화국 역사상 처음으로 좌파 정권이 들어서게 되는 중요한 정치적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참조

[1] 뉴스 Mitterrand Beats Giscard; Socialist Victory Reverses Trend of 23 Years in France https://www.nytimes.[...] 2010-11-05
[2] 웹인용 Historique des élections présidentielles » 1981 http://www.tns-sofre[...] 2013-10-24
[3] 서적 Quid 2004 Robert Laffont
[4] 뉴스 Mitterrand Beats Giscard; Socialist Victory Reverses Trend of 23 Years In France http://www.nytimes.c[...] 2010-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