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4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4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에서 열린 대회에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아이스하키, 루지,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스피드 스케이팅 등 다양한 종목에 걸쳐 선수들을 파견했다. 안톤 슈타이너는 알파인 스키 남자 활강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오스트리아 선수단 유일의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아이스하키에서는 B조에 속해 체코슬로바키아, 캐나다, 핀란드, 미국, 노르웨이와 경기를 치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4년 오스트리아 - 1984년 동계 패럴림픽
    1984년 동계 패럴림픽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21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아이스슬레지,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오스트리아가 금메달 34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1984년 오스트리아 - 1984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1984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하여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 1948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1948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스키,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투루데 요훔=바이저가 알파인 스키 여자 복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 1928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1928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금메달 1개와 은메달 3개로 종합 9위를 기록했으며, 특히 카를 셰퍼의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금메달과 빌리 뵈르싱 봅슬레이 팀, 멜라니 메테르니히, 프리드리히 그라프의 은메달 획득이 두드러졌다.
  • 1984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1984년 동계 올림픽 몽골 선수단
    1984년 동계 올림픽에 몽골은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 참가했으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의 도핑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고,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는 강알트수흐 간바트가 남자 1000m와 1500m에 출전했다.
  • 1984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1984년 동계 올림픽 뉴질랜드 선수단
    1984년 동계 올림픽 뉴질랜드 선수단은 알파인 스키 종목에 출전하여 남자부와 여자부 선수들이 활강, 대회전, 회전 경기에 참여했다.
1984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기본 정보
NOCAUT
NOC 명칭오스트리아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오스트리아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독일어)
대회 정보
대회동계 올림픽
연도1984
개최지사라예보
참가 정보
참가 선수65명 (남자 58명, 여자 7명)
종목9개
기수프란츠 클라머(알파인 스키)
성적
순위17위
금메달0개
은메달0개
동메달1개
총 메달 수1개
올림픽 참가 역사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자동 계산
관련 정보
관련 대회1906년 중간 올림픽

2. 메달리스트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안톤 슈타이너알파인 스키남자 활강2월 16일



이번 대회에서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금메달과 은메달 없이 동메달 1개에 그쳐 역대 최저 성적을 기록했다. 오스트리아가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것은 1928년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 이후 56년 만이다.

2. 1. 알파인 스키

1984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에서 메달을 획득한 유일한 오스트리아 선수는 안톤 슈타이너 (동메달)였다.

;남자

}

|11

|-

|프란츠 클라머

|colspan="4"|

|

|10

|-

|헬무트 횔프레너

|colspan="4"|

|

|5

|-

|안톤 슈타이너

|colspan="4"|

|

|

|-

|한스 엔

|rowspan="4"|대회전

|DNF

|–

|–

|–

|DNF

|–

|-

|안톤 슈타이너

|DNF

|–

|–

|–

|DNF

|–

|-

|후베르트 슈트롤츠

|

|6

|

|8

|

|6

|-

|프란츠 그루버

|

|3

|

|4

|

|4

|-

|안톤 슈타이너

|rowspan="4"|회전

|DSQ

|–

|–

|–

|DSQ

|–

|-

|프란츠 그루버

|DSQ

|–

|–

|–

|DSQ

|–

|-

|후베르트 슈트롤츠

|DNF

|–

|–

|–

|DNF

|–

|-

|한스 엔

|54.05

|22

|DNF

|–

|DNF

|–

|}

;여자

선수종목1차 레이스2차 레이스합계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에르빈 레쉬활강colspan="4"|{{cvt|1:47.06|}
}

|13

|-

|베로니카 슈탈마이어-발린거

|colspan="4"|

|

|10

|-

|엘리자베스 키르츨러

|colspan="4"|

|

|9

|-

|레아 쇨크너

|colspan="4"|

|

|8

|-

|엘리자베스 키르츨러

|rowspan="4"|대회전

|DNF

|–

|–

|–

|DNF

|–

|-

|실비아 에더

|

|39

|

|34

|

|34

|-

|로스비타 슈타이너

|

|29

|

|28

|

|27

|-

|아니 크론비클러

|

|19

|

|12

|

|14

|-

|베로니카 슈탈마이어-발린거

|rowspan="4"|회전

|DNF

|–

|–

|–

|DNF

|–

|-

|레아 쇨크너

|DNF

|–

|–

|–

|DNF

|–

|-

|로스비타 슈타이너

|49.22

|7

|48.62

|5

|

|4

|-

|아니 크론비클러

|48.84

|3

|49.21

|12

|

|8

|}

선수종목1차 레이스2차 레이스합계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실비아 에더활강colspan="4"|{{cvt|1:14.97|}
메달선수종목세부 종목
--안톤 슈타이너알파인 스키남자 활강


3. 종목별 경기 결과

이번 대회에서 오스트리아는 금메달과 은메달 없이 동메달 1개에 그쳐 역대 최저 성적을 기록했다. 오스트리아 선수단이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없이 대회를 마친 것은 1928년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 이후 56년 만이다.

3. 1. 알파인 스키

1984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에서 오스트리아는 안톤 슈타이너가 유일하게 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

|11

|-

|프란츠 클라머

|colspan="4"|

|

|10

|-

|헬무트 횔프레너

|colspan="4"|

|

|5

|-

|안톤 슈타이너

|colspan="4"|

|

|

|-

|한스 엔

|rowspan="4"|대회전

|DNF

|–

|–

|–

|DNF

|–

|-

|안톤 슈타이너

|DNF

|–

|–

|–

|DNF

|–

|-

|후베르트 슈트롤츠

|

|6

|

|8

|

|6

|-

|프란츠 그루버

|

|3

|

|4

|

|4

|-

|안톤 슈타이너

|rowspan="4"|회전

|DSQ

|–

|–

|–

|DSQ

|–

|-

|프란츠 그루버

|DSQ

|–

|–

|–

|DSQ

|–

|-

|후베르트 슈트롤츠

|DNF

|–

|–

|–

|DNF

|–

|-

|한스 엔

|54.05

|22

|DNF

|–

|DNF

|–

|}

;여자

선수종목1차 레이스2차 레이스합계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에르빈 레쉬활강colspan="4"|{{cvt|1:47.06|}
}

|13

|-

|베로니카 슈탈마이어-발린거

|colspan="4"|

|

|10

|-

|엘리자베스 키르츨러

|colspan="4"|

|

|9

|-

|레아 쇨크너

|colspan="4"|

|

|8

|-

|엘리자베스 키르츨러

|rowspan="4"|대회전

|DNF

|–

|–

|–

|DNF

|–

|-

|실비아 에더

|

|39

|

|34

|

|34

|-

|로스비타 슈타이너

|

|29

|

|28

|

|27

|-

|아니 크론비클러

|

|19

|

|12

|

|14

|-

|베로니카 슈탈마이어-발린거

|rowspan="4"|회전

|DNF

|–

|–

|–

|DNF

|–

|-

|레아 쇨크너

|DNF

|–

|–

|–

|DNF

|–

|-

|로스비타 슈타이너

|49.22

|7

|48.62

|5

|

|4

|-

|아니 크론비클러

|48.84

|3

|49.21

|12

|

|8

|}

3. 2. 바이애슬론

;남자

선수종목1차 레이스2차 레이스합계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실비아 에더활강colspan="4"|{{cvt|1:14.97|}
종목선수실패 횟수1시간순위
10km 스프린트발터 횔535:02.639
루돌프 호른434:46.036
알프레트 에더233:17.922
20km루돌프 호른1'15:10.881'23:10.836
알프레트 에더1'16:52.661'22:52.634
프란츠 슐러1'16:23.051'21:23.030
4 x 7.5km 계주경기
루돌프 호른, 발터 횔, 프란츠 슐러, 알프레트 에더11'43:28.18



표적을 맞히지 못할 경우 150m의 페널티 루프를 돌아야 했다.

표적을 맞히지 못할 경우 1분이 추가되었다.

3. 3. 봅슬레이

썰매선수종목1차 시기순위2차 시기순위3차 시기순위4차 시기순위합계순위
AUT-1발터 델레 카르트, 한스 린트너2인승52.611053.011352.331252.64143:30.5912
AUT-2페터 키나스트, 크리스티안 마르크2인승52.791352.971152.421452.47123:30.6513
AUT-1발터 델레 카르트, 귄터 크리스펠, 페르디난트 그뢰싱, 한스 린트너4인승50.60751.141151.19951.28103:24.2110
AUT-2페터 키나스트, 프란츠 지글, 게르하르트 레들, 크리스티안 마르크4인승50.831151.271351.291251.2483:24.6311


3. 4.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란츠 가터만
페터 유리치
알로이스 슈타들로버2'04:39.011


3. 5. 아이스하키

오스트리아는 아이스하키 종목 B조에 속해 1승 4패, 승점 2점으로 조 5위를 차지했다.

경기득점실점승점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550038710
Canada|캐나다영어541024108
Suomi|핀란드fi522127195
United States|미국영어512216174
Österreich|오스트리아de514013372
Norge|노르웨이no504115431



오스트리아는 핀란드에 4-3, 캐나다에 8-1, 체코슬로바키아에 13-0, 미국에 7-3으로 패배하였으나, 노르웨이를 6-5로 이겼다.

참가 선수는 다음과 같다.

참가 선수
헬무트 코렌, 헤르베르트 푀크, 베르나르트 후츠, 에드 레블러, 프리츠 간스터, 주세페 미온, 헬무트 페트리크, 요한 프리츠, 켈리 그린뱅크, 콘라트 도른, 쿠노 세쿨릭, 쿠르트 하란드, 레오폴트 시베크, 마르틴 플라처, 미하엘 루드먼, 페터 라플, 릭 커닝햄, 루돌프 쾨니히, 토마스 치얀


3. 5. 1. B조

B조에 속한 오스트리아는 5경기를 치러 1승 4패, 승점 2점을 기록하며 조 5위를 차지했다. 핀란드에 4-3으로 패했고, 캐나다에 8-1로 패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에 13-0으로 크게 패했다. 미국에게도 7-3으로 졌지만, 노르웨이를 6-5로 꺾고 1승을 기록했다.

경기득점실점승점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550038710
Canada|캐나다영어541024108
Suomi|핀란드fi522127195
United States|미국영어512216174
Österreich|오스트리아de514013372
Norge|노르웨이no504115431



참가 선수
헬무트 코렌, 헤르베르트 푀크, 베르나르트 후츠, 에드 레블러, 프리츠 간스터, 주세페 미온, 헬무트 페트리크, 요한 프리츠, 켈리 그린뱅크, 콘라트 도른, 쿠노 세쿨릭, 쿠르트 하란드, 레오폴트 시베크, 마르틴 플라처, 미하엘 루드먼, 페터 라플, 릭 커닝햄, 루돌프 쾨니히, 토마스 치얀


3. 6. 루지

프란츠 빌헬머42.013441.88931:23.9024귄터 레메러
프란츠 레히트너42.188741.94551:24.1335



;여자

선수1차 시기2차 시기3차 시기4차 시기총 합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안네프리드 굘너42.437642.6431042.219942.074102:49.3737


3. 7. 노르딕 복합

클라우스 슐첸바허는 개인 종목에 출전했다. 스키 점프에서 1차 78.5m, 2차 90.0m를 기록하여 204.0점으로 7위를 차지했다. 크로스컨트리에서는 49분 48.2초의 기록으로 190.570점을 얻어 14위에 올랐다. 총점 394.570점으로 최종 9위를 기록했다.

선수종목1차 거리2차 거리점수순위시간점수순위점수순위
클라우스 슐첸바허개인78.590.0204.0749:48.2190.57014394.5709


3. 8. 스키 점프

선수종목1차 시기2차 시기총점
거리점수거리점수점수순위
아르민 코글러노멀힐72.074.774.078.4153.152
에른스트 베토리84.597.272.576.0173.236
한스 발너83.097.879.088.9186.724
안드레아스 펠더84.099.987.0105.7205.66
한스 발너라지힐94.080.3100.093.2173.524
안드레아스 펠더94.080.899.589.5170.328
만프레트 슈타이너96.085.684.063.8149.441
아르민 코글러106.0103.199.592.5195.66


3. 9.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선수시간순위
500m미하엘 하드시에프40.5232
1000m크리스티안 에밍거1:20.9833
미하엘 하드시에프1:19.0522
1500m크리스티안 에밍거2:03.1828
미하엘 하드시에프2:02.0620
베르너 예거2:01.0315
5000m하인츠 슈타인베르거7:32.7220
미하엘 하드시에프7:25.0713
베르너 예거7:18.618
10,000m하인츠 슈타인베르거15:18.1919
베르너 예거15:07.5912
미하엘 하드시에프14:53.7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