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이집트가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집트는 개최국 자격으로, 카메룬은 전 대회 우승국 자격으로 본선에 진출했고, 예선을 통과한 알제리, 잠비아, 코트디부아르, 세네갈, 모로코, 모잠비크를 포함한 8개 팀이 참가했다. 결승전에서 이집트는 카메룬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했으며, 로제 밀라(카메룬)가 4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카메룬과 이집트의 자동 진출 외에 알제리, 코트디부아르, 모로코, 모잠비크, 세네갈, 잠비아가 본선 진출을 확정짓기 위한 토너먼트였다. - 이집트의 축구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프리카 최초의 국가대표팀이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다 우승국으로, FIFA 월드컵 3회 진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하계 올림픽 등 여러 대회에 참가했으며, 모하메드 살라와 같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고 아흐메드 하산과 호삼 하산이 각각 최다 출전과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이집트의 축구 - 이집트 축구 협회
이집트 축구 협회는 이집트의 축구를 관할하는 단체로, 최근 국가대표팀 및 프로 리그에서 기독교인 선수 참여 부족 논란이 있으며, 콥트 연대 등은 FIFA와 IOC에 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연도 | 1986년 |
다른 이름 | كأس الأمم الأفريقية 1986 (아랍어) |
![]() | |
개최국 | 이집트 |
기간 | 3월 7일 – 3월 21일 |
참가 팀 수 | 8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2 |
우승팀 | 이집트 |
우승 횟수 | 3 |
준우승팀 | 카메룬 |
3위팀 | 코트디부아르 |
4위팀 | 모로코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31 |
최다 득점자 | 로제 밀라 (4골) |
최우수 선수 | 로제 밀라 |
이전 대회 | 1984년 |
다음 대회 | 1988년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이번 대회는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의 두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카이로 | 알렉산드리아 |
---|---|
카이로 국제 경기장 |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수용 인원: 90,000명 | 수용 인원: 15,000명 |
-- |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3. 예선
개최국 이집트와 이전 대회 우승국 카메룬을 제외한 6개 팀이 2라운드를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3. 1. 본선 진출국
8개의 본선 진출팀은 다음과 같다.
팀 | 진출 자격 | 진출 날짜 | 이전 대회 출전 기록 |
---|---|---|---|
مصرar 이집트 | 개최국 | (1962, 1963, 1970, 1974, 1976, 1980, 1984) | |
Cameroun프랑스어 카메룬 | 디펜딩 챔피언 | 1984년 3월 18일 | (1970, 1972, 1982, 1984) |
الجزائرar 알제리 | 2라운드 승자 | 1985년 8월 13일 | (1968, 1980, 1982, 1984) |
Zambia영어 잠비아 | 2라운드 승자 | 1985년 8월 18일 | (1974, 1978, 1982) |
Côte d'Ivoire프랑스어 코트디부아르 | 2라운드 승자 | 1985년 9월 1일 |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
Sénégal프랑스어 세네갈 | 2라운드 승자 | 1985년 9월 1일 | (1965, 1968) |
المغربar 모로코 | 2라운드 승자 | 1985년 9월 8일 | (1972, 1976, 1978, 1980) |
Moçambiquept 모잠비크 | 2라운드 승자 | 1985년 9월 15일 | (데뷔) |
4. 조별 예선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별 예선에서는 두 팀 이상이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순서로 순위를 결정했다.
# 모든 조별 경기에서의 득실차
# 모든 조별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 추첨
A조에서는 이집트와 코트디부아르가, B조에서는 카메룬과 모로코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4.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مصر|이집트ar | 3 | 2 | 0 | 1 | 4 | 1 | +3 | 4 |
Côte d'Ivoire|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 | 3 | 2 | 0 | 1 | 4 | 2 | +2 | 4 |
Sénégal|세네갈프랑스어 | 3 | 2 | 0 | 1 | 3 | 1 | +2 | 4 |
Moçambique|모잠비크pt | 3 | 0 | 0 | 3 | 0 | 7 | -7 | 0 |
- 1986년 3월 7일, 카이로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세네갈이 이집트를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코트디부아르는 모잠비크에 3-0 승리를 거두었다.
- 3월 10일에는 세네갈이 모잠비크를 2-0으로 이겼고, 이집트는 코트디부아르를 2-0으로 꺾었다.
- 3월 13일, 코트디부아르가 세네갈을 1-0으로 이겼고, 이집트는 모잠비크에 2-0 승리를 거두었다.
이집트와 코트디부아르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이 모두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이집트가 조 1위, 코트디부아르가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4. 2. B조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1986년 3월 8일 | 알제리 | 0 – 0 | 모로코 |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1986년 3월 8일 | 카메룬 | 3 – 2 | 잠비아 |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1986년 3월 11일 | 알제리 | 0 – 0 | 잠비아 |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1986년 3월 11일 | 카메룬 | 1 – 1 | 모로코 |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1986년 3월 14일 | 모로코 | 1 – 0 | 잠비아 |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1986년 3월 14일 | 카메룬 | 3 – 2 | 알제리 |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5. 결선 토너먼트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선 토너먼트는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다. 3월 17일 알렉산드리아와 카이로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카메룬과 이집트가 각각 코트디부아르와 모로코를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월 20일 카이로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코트디부아르가 모로코를 3: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3월 21일 카이로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이집트와 카메룬이 맞붙어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겼고, 승부차기 끝에 이집트가 5:4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일시 | 장소 | 팀 1 | 결과 | 팀 2 |
---|---|---|---|---|
3월 17일 | 알렉산드리아 | 카메룬 | 1:0 | 코트디부아르 |
3월 17일 | 카이로 | 이집트 | 1:0 | 모로코 |
3월 20일 | 카이로 | 코트디부아르 | 3:2 | 모로코 |
3월 21일 | 카이로 | 카메룬 | 0:0 (승부차기: 4:5) | 이집트 |
5. 1. 준결승전
1986년 3월 17일에 두 경기가 열렸다.
카메룬과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로제 밀라가 득점하여 1:0으로 카메룬이 승리했다. 이집트와 모로코의 경기는 아부자이드가 득점하여 1:0으로 이집트가 승리했다.
5. 2. 3·4위전
1986년 3월 20일, 카이로의 카이로 국제경기장에서 코트디부아르와 모로코의 경기가 열렸다. 코트디부아르는 벤 살라가 전반 8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카시-쿠아디오가 전반 38분과 후반 23분(페널티킥)에 추가 득점을 기록하며 3-2로 승리했다. 모로코는 리아티가 전반 44분에, 사힐이 후반 40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는 짐바브웨의 프랭크 발데마르카 심판이 맡았으며, 1,000명의 관중이 관람했다.5. 3. 결승전
1986년 3월 21일, 이집트와 카메룬은 카이로의 카이로 국제경기장에서 결승전을 치렀다. 이 경기는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이집트가 카메룬을 5-4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알리 벤나세르(튀니지 축구 협회)가 맡았으며, 95,000명 (또는 120,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승부차기에서 이집트는 예히아, 압델가니, 마유브, 셰하타, 카셈이 성공시키고, 압두는 실축했다. 카메룬은 음페데, 쿤데, 밀라, 아우두가 성공시키고, 음비다와 카나-비이익은 실축했다.
6. 우승
이집트
세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