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90년에 개최된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예선에는 30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8개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은 8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소련이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에서 다보르 슈케르와 안드리 시델니코프가 3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청소년 축구 - 199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9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AFC U-20 아시안컵의 전신으로, 대한민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대한민국과 시리아는 1991년 FIFA U-20 월드컵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 1990년 청소년 축구 - 199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199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되어 카타르가 우승했으며, 상위 3개 팀은 1991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얻었다. -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 200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0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스위스에서 개최되었으며, 체코가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 200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0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슬로바키아에서 개최되어 이탈리아가 우승했으며, 상위 4개 팀은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199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1990년 UEFA 유럽 U-21 챔피언십 |
개최 연도 | 1990년 |
개최 기간 | 3월 14일 ~ 10월 17일 |
참가 팀 수 | 30 |
경기 수 | 98 |
총 득점 | 235 |
총 관중 수 | 103414 |
이전 대회 | 1988 |
다음 대회 | 1992 |
결과 | |
우승 | (2번째 우승)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 선수 | 시델니코프 슈케르 (각 3골) |
최우수 선수 | 다보르 슈케르 |
2. 예선
199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는 30개 팀이 참가했다. 예선은 30개 팀을 8개 조(2개 조는 3개 팀, 6개 조는 4개 팀)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팀의 예선 조 배정은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을 기반으로 했으며, 일부 국가의 불참을 반영하여 몇 가지 변경 사항이 있었다.
- 1조와 2조는 동일한 국가로 구성되었다.
- 3조에는 아이슬란드가 포함되지 않았다(4조로 이동).
- 4조에는 웨일스가 포함되지 않았지만 아이슬란드가 포함되었다(3조에서 이동).
- 5조에는 키프로스가 포함되지 않았다(6조로 이동).
- 6조에는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및 몰타가 포함되지 않았지만 키프로스가 포함되었다(5조에서 이동).
- 7조에는 스위스가 포함되지 않았다(8조로 이동).
- 8조는 스위스 (7조에서 이동), 이탈리아 및 산마리노로 구성되었다(둘 다 월드컵 예선에 참가하지 않음).
예선 조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1조 | ||||||||
1 | 불가리아 | 6 | 5 | 0 | 1 | 16 | 4 | 10 |
2 | 루마니아 | 6 | 3 | 0 | 3 | 8 | 7 | 6 |
3 | 덴마크 | 6 | 2 | 1 | 3 | 9 | 14 | 5 |
4 | 그리스 | 6 | 1 | 1 | 4 | 3 | 11 | 3 |
- 불가리아 2–1 루마니아
- 그리스 2–2 덴마크
- 루마니아 2–0 그리스
- 덴마크 1–3 불가리아
- 불가리아 6–0 덴마크
- 그리스 1–0 루마니아
- 루마니아 2–1 불가리아
- 덴마크 3–0 그리스
- 불가리아 2–0 그리스
- 덴마크 1–2 루마니아
- 루마니아 1–2 덴마크
- 그리스 0–2 불가리아
불가리아 조 1위로 본선 진출
- 폴란드 0–0 알바니아
- 잉글랜드 1–1 스웨덴
- 알바니아 0–2 스웨덴
- 알바니아 1–2 잉글랜드
- 잉글랜드 2–0 알바니아
- 스웨덴 4–0 폴란드
- 잉글랜드 2–1 폴란드
- 스웨덴 1–0 잉글랜드
- 스웨덴 1–0 알바니아
- 폴란드 1–3 잉글랜드
- 폴란드 1–1 스웨덴
- 알바니아 0–1 폴란드
스웨덴 조 1위로 본선 진출
예선 조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3조 | ||||||||
1 | 소련 | 6 | 4 | 1 | 1 | 12 | 5 | 9 |
2 | 동독 | 6 | 3 | 1 | 2 | 8 | 6 | 7 |
3 | 오스트리아 | 6 | 1 | 2 | 3 | 6 | 8 | 4 |
4 | 튀르키예 | 6 | 1 | 2 | 3 | 4 | 11 | 4 |
- 소련 2–2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3–0 튀르키예
- 튀르키예 3–2 동독
- 동독 0–0 튀르키예
- 소련 1–0 동독
- 튀르키예 0–3 소련
- 동독 2–0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0–2 소련
- 동독 3–2 소련
- 튀르키예 1–1 오스트리아
- 소련 2–0 튀르키예
- 오스트리아 0–1 동독
소련 조 1위로 본선 진출
- 핀란드 0–3 서독
- 아이슬란드 1–1 네덜란드
- 핀란드 2–1 아이슬란드
- 서독 2–0 네덜란드
- 네덜란드 0–1 서독
- 핀란드 1–1 네덜란드
- 아이슬란드 1–1 서독
- 아이슬란드 4–0 핀란드
- 서독 2–0 핀란드
- 네덜란드 2–3 아이슬란드
- 서독 1–1 아이슬란드
- 네덜란드 2–1 핀란드
서독 조 1위로 본선 진출
- 노르웨이 1–1 스코틀랜드
- 프랑스 2–0 노르웨이
- 스코틀랜드 0–2 유고슬라비아
- 유고슬라비아 2–2 프랑스
- 스코틀랜드 2–3 프랑스
- 프랑스 0–1 유고슬라비아
- 노르웨이 0–1 유고슬라비아
- 유고슬라비아 4–1 스코틀랜드
- 노르웨이 1–1 프랑스
- 유고슬라비아 0–1 노르웨이
- 프랑스 3–1 스코틀랜드
- 스코틀랜드 2–0 노르웨이
유고슬라비아 조 1위로 본선 진출
스페인 조 1위로 본선 진출
예선 조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7조 | ||||||||
1 | 체코슬로바키아 | 6 | 3 | 2 | 1 | 10 | 5 | 8 |
2 | 벨기에 | 6 | 2 | 4 | 0 | 7 | 3 | 8 |
3 | 포르투갈 | 6 | 2 | 2 | 2 | 6 | 6 | 6 |
4 | 룩셈부르크 | 6 | 0 | 2 | 4 | 1 | 10 | 2 |
- 체코슬로바키아 0–3 벨기에
- 포르투갈 1–1 벨기에
- 체코슬로바키아 4–0 룩셈부르크
- 포르투갈 1–0 룩셈부르크
- 벨기에 1–1 체코슬로바키아
- 룩셈부르크 0–0 벨기에
- 벨기에 1–1 포르투갈
- 체코슬로바키아 1–0 포르투갈
- 룩셈부르크 0–3 포르투갈
- 벨기에 1–0 룩셈부르크
- 포르투갈 0–3 체코슬로바키아
- 룩셈부르크 1–1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조 1위로 본선 진출
이탈리아 조 1위로 본선 진출
{| class="wikitable sortable"
|-
! scope="col"| 국가 !! scope="col"| 진출 자격 !! scope="col"| 이전 대회 출전 기록'''1'''
|-
| 불가리아 || 1조 우승|| 1회 (1978)
|-
| 스웨덴 || 2조 우승|| 1회 (1986)
|-
| 소련 || 3조 우승|| 2회 ('''1980''', 1982)
|-
| 서독|| 4조 우승|| 1회 (1982)
|-
| 유고슬라비아 || 5조 우승|| 3회 (1978, 1980, 1984)
|-
| 스페인 || 6조 우승|| 4회 (1982, 1984, '''1986''', 1988)
|-
|체코슬로바키아|| 7조 우승|| 3회 (1978, 1980, 1988)
|-
| 이탈리아 || 8조 우승|| 6회 (1978, 1980, 1982,
3. 본선 (8강 토너먼트)
199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소련, 스웨덴이 각각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준결승전에서는 유고슬라비아가 이탈리아를 상대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결승전에 진출했고, 소련은 스웨덴을 꺾고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에서는 소련이 유고슬라비아를 1, 2차전 합계 7 – 3으로 크게 이기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3. 1. 8강전
199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8강전은 1990년 3월 14일과 3월 28일에 1, 2차전 형식으로 진행되었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이탈리아 | 3 – 2 | 스페인 | 3 – 1 | 1 – 0 |
유고슬라비아 | 3 – 0 | 불가리아 | 2 – 0 | 1 – 0 |
소련 | 3 – 2 | 서독 | 1 – 1 | 2 – 1 (연장) |
스웨덴 | 6 – 1 | 체코슬로바키아 | 2 – 1 | 4 – 0 |
- 이탈리아가 합계 3 – 2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 유고슬라비아가 합계 3 – 0으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 소련이 합계 3 – 2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 스웨덴이 합계 6 – 1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3. 2. 준결승전
유고슬라비아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1990년 4월 25일, 자그레브의 스타디온 막시미르에서 열렸으며, 0 – 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이 경기의 주심은 서독의 베르너 푀클러였다.같은 날, 스웨덴과 소련의 경기는 벡셰의 베렌스발렌에서 열렸으며, 1 – 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스웨덴의 안데르손이 70분에 득점하였고, 소련의 샬리모프가 72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벨기에의 기 후탈스였다.[1]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의 2차전 경기는 1990년 5월 9일, 파르마의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에서 열렸으며, 2 – 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이탈리아의 시모네가 24분에, 유고슬라비아의 주키치가 58분에 자책골을 기록했다. 유고슬라비아의 슈케르는 17분에, 보반은 61분에 득점하였다. 주심은 오스트리아의 하인츠 홀츠만이었다.
소련과 스웨덴의 2차전 경기는 1990년 5월 9일, 심페로폴의 로코모티프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2 – 0으로 소련이 승리하였다. 소련의 콜리바노프가 27분에, 키리야코프가 47분에 득점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프랑스의 제라르 비게였다.
3. 3. 결승전
сборная СССР по футболу (до 21 года)|소련 U-21 축구 국가대표팀ru과 Fudbalska reprezentacija Jugoslavije U-21|유고슬라비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sh이 199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맞붙었다. 결승전은 1, 2차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1차전은 1990년 9월 5일 사라예보의 아심 페르하토비치 하세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프랑스의 제라르 비게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경기 결과는 소련이 유고슬라비아에 4 – 2로 승리하였다. 소련의 시델니코프가 9분과 49분, 체르니쇼프가 42분, 도브로볼스키가 84분에 득점하였고, 유고슬라비아의 슈케르가 21분, 야르니가 64분에 득점하였다.[1]
2차전은 1990년 10월 17일 심페로폴의 로코모티프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이탈리아의 피에트로 델리아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경기 결과는 소련이 유고슬라비아에 3 – 1로 승리하였다. 소련의 도브로볼스키가 10분, 모스토보이가 46분, 칸첼스키스가 76분에 득점하였고, 유고슬라비아의 복시치가 80분에 득점하였다.
1, 2차전 합계 결과 소련이 7 – 3으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4. 결과
국가 | 진출 자격 | 이전 대회 출전 기록1 |
---|---|---|
불가리아 | 1조 우승 | 1회 (1978) |
스웨덴 | 2조 우승 | 1회 (1986) |
소련 | 3조 우승 | 2회 (1980, 1982) |
독일 | 4조 우승 | 1회 (1982) |
유고슬라비아 | 5조 우승 | 3회 (1978, 1980, 1984) |
스페인 | 6조 우승 | 4회 (1982, 1984, 1986, 1988) |
체코슬로바키아 | 7조 우승 | 3회 (1978, 1980, 1988) |
이탈리아 | 8조 우승 | 6회 (1978, 1980, 1982, 1984, 1986, 1988) |
1 '''굵게''' 표시된 해는 우승을 의미함
5. 주요 선수
득점 | 선수 |
---|---|
3골 | Davor Šuker|다보르 슈케르sh (유고슬라비아) |
3골 | Андрей Сидельников|안드리 시델니코프ru (소련) |
2골 | Giovanni Stroppa|조반니 스트로파it (이탈리아) |
2골 | Kennet Andersson|케네트 안데르손sv (스웨덴) |
2골 | Tomas Brolin|토마스 브롤린sv (스웨덴) |
2골 | Ulrik Jansson|울리크 얀손sv (스웨덴) |
2골 | Игорь Шалимов|이고르 샬리모프ru (소련) |
2골 | Игорь Добровольский|이고르 도브로볼스키ru (소련) |
2골 | Alen Bokšić|알렌 복시치hr (유고슬라비아) |
1골 | Horst Siegl|호르스트 지글de (체코슬로바키아) |
1골 | Christian Hochstätter|크리스티안 호흐슈테터de (서독) |
1골 | Pierluigi Casiraghi|피에르루이지 카시라기it (이탈리아) |
1골 | Marco Simone|마르코 시모네it (이탈리아) |
1골 | Fernando Hierro|페르난도 이에로es (스페인) |
1골 | Ricardo Mendiguren|리카르도 멘디구렌es (스페인) |
1골 | Stefan Rehn|스테판 렌sv (스웨덴) |
1골 | Дмитрий Чугунов|드미트리 추구노프ru (소련) |
1골 | Игорь Колыванов|이고르 콜리바노프ru (소련) |
1골 | Андрей Канчельскис|안드레이 칸첼스키스ru (소련) |
1골 | Сергей Кирьяков|세르게이 키르야코프ru (소련) |
1골 | Александр Мостовой|알렉산드르 모스토보이ru (소련) |
1골 | Zvone Boban|즈보니미르 보반hr (유고슬라비아) |
1골 | Robert Jarni|로베르트 야르니hr (유고슬라비아) |
1골 | Robert Prosinečki|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hr (유고슬라비아) |
자책골 | Андрей Баль|안드리 발ru (소련, 서독과의 경기) |
자책골 | Мирослав Ђукић|미로슬라프 듀키치sr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와의 경기)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