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1995년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의 전투 서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1년부터 1995년까지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민족 갈등 심화로 인해 창설되었다. 크로아티아는 정규군 부재로 인해 경찰력을 강화하여 특수부대 성격의 특수경찰을 운용했으며, 루츠코 대테러 부대를 시작으로 내무부 직속 부대와 지역별 부대로 나뉘어 조직되었다. 이들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며, 전쟁 기간 동안 많은 사상자를 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군사사 - 우스타샤 민병대
우스타샤 민병대는 1941년 크로아티아 독립국에서 의용군을 통제하기 위해 창설된 군사 조직으로, 세르비아인, 유대인, 집시 학살에 연루되었으며, 이후 크로아티아 국토방위군과 통합되어 반파르티잔 작전에 관여했다. - 크로아티아의 군사사 -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가 보스니아 무슬림을 주축으로 창설하여 크로아티아 독립국 내 파르티잔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창설 배경, 반란, 잔혹 행위 등으로 악명을 떨치다 전쟁 후 구성원들이 전범 재판에 회부되거나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 전투 서열 - 2003년 이라크 침공의 전투 서열
2003년 이라크 침공의 전투 서열은 연합군 지상 작전을 지휘한 CFLCC와 침공에 참여한 미군, 영국군, 그리고 북부, 동부, 남부에 배치되어 저항한 이라크군의 주요 부대 편성을 포함한다. - 전투 서열 - 걸프 전쟁의 전투 서열
걸프 전쟁 전투 서열은 1991년 걸프 전쟁에 참전한 다국적군과 이라크군의 부대 편성을 나타내며, 다국적군은 미 중부 사령부의 지휘 아래 합동군 집단이 지상군을 담당했고, 이라크군은 사담 후세인의 지휘 아래 여러 군단으로 구성되어 연합군에 맞섰다.
1991년~1995년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의 전투 서열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작일 | 1990년 8월 17일 |
국가 | 크로아티아 |
역할 | 특수 작전 |
규모 | 최대 3,100명 (1991년–1995년) |
지휘 체계 | 크로아티아 내무부 |
참전 전투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주요 지휘관 | 믈라덴 마르카치 |
2. 창설 배경
1990년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크로아티아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거에서 사회주의 정권을 밀어내고 압승하자 크로아트인과 세르브인 사이 민족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크로아티아가 공화국 내의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TO) 장비를 이용해 자체적인 군대를 세우고 유고 인민군에 대항할 수 있다고 우려하여 영토방위군의 장비를 전부 압수하였다. 1990년 8월 17일, 양 민족간 긴장이 폭발하여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이 크로아티아 내에서 세르브계가 가장 많이 사는 달마티아 고원의 크닌을 중심으로 하여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슬라보니아 지역 등 여러 곳에 크로아티아 정부에 반대하여 대대적인 반란을 일으켰다. 유고 인민군은 세르브계 크로아티아 반군의 지원을 점점 늘려갔으며, 유고 인민군이 분쟁에 개입하면서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 반군 또한 강해졌다.
1991년 당시 크로아티아는 정규군 병력이 없었다. 크로아티아는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찰 인력을 2만명으로 약 2배로 증강하였다. 이 중 가장 강력한 병력이 특수부대로 군 조직을 도입한 12개 대대 3천명의 특수경찰 병력이었다.
처음으로 창설된 특수경찰부대는 1990년 9월 7일 창설된 루츠코 대테러부대(ATU)였다. 이 부대는 1990년 자그레브에서 훈련받은 경찰관 중 선발 과정을 통해 꾸린 부대이다. 이 외에도 1990년 이전 크로아티아 내무부 산하의 특수부대에 근무했던 사람들 일부를 보직이동시켜 동원하기도 하였다. 마르코 루키치가 루츠코 특수부대의 초대 지휘관에 보임되었다.
특수경찰은 오른쪽 소매에 견장 패치를 붙인 녹색 유니폼을 보급하여 다른 부대와 구분할 수 있게 하였다. 크로아티아 특수부대의 공식 견장은 칼 위에 번개가 그려진 모양(''Mač i munja'')으로, 미국 육군 특전부대의 휘장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이다.
1991년 말에는 특수경찰의 효율적인 지휘, 통제를 위해 내무부 산하 특수경찰국을 수립하였다. 1994년에는 교육과정기획 및 감독 등 업무범위가 확대되며 특수경찰부로 확대되었다. 또한 군사 작전의 통합 및 일원화를 위해 크로아티아 공화국군 총참모부와 특수경찰이 지휘하는 특수경찰부대합동참모부가 세워졌다. 스톰 작전과 같은 대형 군사작전에서 야전에 특수경찰 3,100명이 투입되었을 때 이 특수경찰들은 군 참모부 직속으로 지휘받았다.
2. 1. 민족 갈등 심화
1990년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크로아티아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거에서 사회주의 정권을 밀어내고 압승하자 크로아트인과 세르브인 사이 민족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크로아티아가 공화국 내의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TO) 장비를 이용해 자체적인 군대를 세우고 유고 인민군에 대항할 수 있다고 우려하여 영토방위군의 장비를 전부 압수하였다. 1990년 8월 17일, 양 민족간 긴장이 폭발하여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이 크로아티아 내에서 세르브계가 가장 많이 사는 달마티아 고원의 크닌을 중심으로 하여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슬라보니아 지역 등 여러 곳에 크로아티아 정부에 반대하여 대대적인 반란을 일으켰다. 유고 인민군은 세르브계 크로아티아 반군의 지원을 점점 늘려갔으며, 유고 인민군이 분쟁에 개입하면서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 반군 또한 강해졌다.1991년 당시 크로아티아는 정규군 병력이 없었다. 크로아티아는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찰 인력을 2만명으로 약 2배로 증강하였다. 이 중 가장 강력한 병력이 특수부대로 군 조직을 도입한 12개 대대 3천명의 특수경찰 병력이었다.
처음으로 창설된 특수경찰부대는 1990년 9월 7일 창설된 루츠코 대테러부대(ATU)였다. 이 부대는 1990년 자그레브에서 훈련받은 경찰관 중 선발 과정을 통해 꾸린 부대이다. 이 외에도 1990년 이전 크로아티아 내무부 산하의 특수부대에 근무했던 사람들 일부를 보직이동시켜 동원하기도 하였다. 루츠코 특수부대의 초대 지휘관에는 마르코 루키치가 보임되었다.
특수경찰은 오른쪽 소매에 견장 패치를 붙인 녹색 유니폼을 보급하여 다른 부대와 구분할 수 있게 하였다. 크로아티아 특수부대의 공식 견장은 칼 위에 번개가 그려진 모양(''Mač i munja'')으로, 미국 육군 특전부대의 휘장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이다.
1991년 말에는 특수경찰의 효율적인 지휘, 통제를 위해 내무부 산하 특수경찰국을 수립하였다. 1994년에는 교육과정기획 및 감독 등 업무범위가 확대되며 특수경찰부로 확대되었다. 또한 군사 작전의 통합 및 일원화를 위해 크로아티아 공화국군 총참모부와 특수경찰이 지휘하는 특수경찰부대합동참모부가 세워졌다. 스톰 작전과 같은 대형 군사작전에서 야전에 특수경찰 3,100명이 투입되었을 때 이 특수경찰들은 군 참모부 직속으로 지휘받았다.
2. 2.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개입
2. 3. 초기 특수경찰 부대
1990년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거에서 민족주의를 내세워 사회주의 정권을 누르고 압승을 거두자, 크로아트인과 세르브인 간의 민족 갈등이 고조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크로아티아가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TO) 장비를 이용해 자체 군대를 편성하고 유고 인민군에 대항할 것을 우려하여 영토방위군의 장비를 모두 압수하였다. 같은 해 8월 17일, 민족 간 긴장이 격화되어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이 크닌을 중심으로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슬라보니아 등지에서 크로아티아 정부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유고 인민군은 세르브계 반군을 지원하였고, 분쟁에 개입하면서 반군의 세력은 더욱 강해졌다.1991년 당시 크로아티아는 정규군이 없어 국방력 강화를 위해 경찰 인력을 2만 명으로 증강하였다. 이 중 가장 강력한 부대는 군 조직을 도입한 12개 대대 3천 명의 특수경찰이었다. 최초로 창설된 특수경찰부대는 1990년 9월 7일 창설된 루츠코 대테러부대(ATU)였다. 이 부대는 1990년 자그레브에서 훈련받은 경찰관 중 선발 과정을 거쳐 꾸려졌으며, 1990년 이전 크로아티아 내무부 산하 특수부대에서 근무했던 일부 인원도 보직 이동하여 동원되었다. 마르코 루키치가 루츠코 특수부대의 초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특수경찰은 오른쪽 소매에 칼과 번개가 그려진 견장 패치(''Mač i munja'')를 부착한 녹색 유니폼을 착용하여 다른 부대와 구별되었다. 이 견장은 미국 육군 특전부대의 휘장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되었다.
1991년 말, 내무부 산하에 특수경찰국이 수립되어 특수경찰의 효율적인 지휘 및 통제가 이루어졌다. 1994년에는 특수경찰부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크로아티아 공화국군 총참모부와 특수경찰이 지휘하는 특수경찰부대합동참모부가 설치되어 군사 작전의 통합 및 일원화가 이루어졌다. 스톰 작전과 같은 대규모 군사작전에서는 특수경찰 3,100명이 군 참모부 직속으로 지휘를 받았다.
3. 조직 및 편성
1990년 8월 17일 크닌 안팎에서 일어난 세르비아계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헬리콥터 3대를 가진 크로아티아 특수경찰 공수부대가 처음 동원되었다. 이 부대는 1968년 창설된 부대로 당시 크로아티아가 가지고 있던 유일한 전투 능력을 가진 부대였다. 작전 도중 유고슬라비아 공군 소속 전투기 2기가 헬리콥터를 가로막아 오굴린에 강제로 착륙하였다. 이 날은 현대 크로아티아 특수부대의 첫 부대가 세워진 날로 기념하고 있다. 이 사건 이후 특수경찰부대가 추가로 창설되었는데 거의 대부분은 1990년 9월에서 1991년 8월 사이 세워졌다.
크로아티아 내무부 직속으로 지휘받던 9개 특수경찰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창설 | 비고 |
---|---|---|
공중 부대 | 1968 | 로그 혁명에 대응하여 1990년 8월 17일에 배치되었으며, 이 날은 부대 창설일로 기념된다. 마스레니차 작전을 포함하여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동안 크로아티아군 (HV)을 지원했다. Mladen Veselić가 지휘했으며, 자그레브 교외의 루츠코 공항에 주둔하고 있다. 전쟁 중 사상자는 없었다. |
루츠코 ATU | 1990년 9월 7일 | 225명의 자원병으로 구성되었지만, 총 350명의 병력이 복무했다. 24명이 전사하고 52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파크라츠 충돌과 플리트비체 호수 사건에서 첫 교전에 참전했고,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근처,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작전, 플래시 작전, 폭풍 작전 기간 동안 전투를 벌였다. 믈라덴 마르카치, 미르코 노라크, 밀렌코 필리포비치, 안테 로소, 스탄코 소프타, 슬라브코 부토라크, 젤코 사치치 등 7명의 크로아티아 장군이 군대로 전출되기 전 루츠코 ATU의 구성원이었다. 마르카치는 1991년 말 부대 지휘관이 되었고, 1994년 2월 14일 특수 경찰 전체 지휘를 맡았다. |
투스카나츠 | 1990년 10월 1일 | "특수 임무 부대"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자그레브의 투스카나츠 지역에 주둔했다. 처음에 이반 나지(Ivan Nađ)가 지휘했다. |
라키트예 | 1990년 10월 5일 | 자그레브 근처 라키트예 마을에 주둔했다. 다르코 루카비나(Darko Rukavina)가 지휘했지만, 1991년 2월 요시프 루치치로 교체되었다. 이 부대는 곧 ZNG 제1 경비 여단의 핵심이 되었다. 2003년 루치치는 크로아티아 공화국군 참모총장이 되었다. |
발반돈 / 피오니르스키 그라드 | 1990년 10월 8일 | 풀라 근처 발반돈에서 훈련 과정을 통해 창설되었다. Dane Trkulja의 지휘하에 72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1990년 12월 17일 자그레브의 두브라바 지역으로 옮겨졌고 피오니르스키 그라드 SPU로 개명되었다. 피오니르스키 그라드 막사 외에도 자그레브의 쉴메 봉우리, 노바 베스, 마르쿠셰베츠 및 투스카나츠 지역에 주둔했다. |
쿠므로베츠 | 1990년 11월 21일 | 네벤 마르티치(Neven Martić)가 지휘했다. 1991년 3월 1일 파크라츠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1991년 3월 31일 플리트비체 호수 탈환 작전을 지원하여 호수와 고스피치 시 사이의 류보보 고개와 당일 주 진격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플리트비체 호수 지역을 확보했다. 1991년 6월, 150명의 병력이 자그레브 옆 페트루셰바츠로 이동하여 제2 경비 여단의 일부가 되었고, 150명의 병력이 스플리트로 이동하여 제4 경비 여단의 일부가 되었다. 재편성 시 부대는 자그레브 북쪽 쉴메 봉우리로 이전되었다. 원래 인원 350명 중 27명이 밀렌코 필리포비치와 안테 로소(Ante Roso)가 지휘하는 특수 부대 대대의 첫 번째 병력으로 ZNG의 즈린스키 대대로 재배치되었다. |
쉴메 | 1991년 2월 6일 | 쉴메 봉우리에 주둔했으며, 1991년 6월에 부대가 해산될 때까지 4개월 동안 주둔했다. 해산 후 쉴메에 있던 기지는 쿠므로베츠 SPU와 ZNG 특수 부대가 인수했다. 1991년 3월 플리트비체 호수에서 전투를 벌였다. 슬라브코 부토라크(Slavko Butorac)가 초대 지휘관이었다. |
비니차 | 1991년 4월 8일 | Zdravko Kuzelj가 지휘한 Vinica SPU는 바라주딘 근처 비니차 훈련 센터에 주둔했다. 4월 30일, 약 200명의 병력이 Vinica SPU에서 에르두트에 새로 설립된 특수 경찰 부대로 이전되었다. Vinica SPU는 제1 경비 여단의 대대로 개편되기 전에 추가 인원을 받았다. |
에르두트 | 1991년 4월 30일 | 에르두트 SPU는 Vinica SPU에서 이전된 200명의 병력과 에르두트 훈련 센터의 새로운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브란코 란슈차크(Branko Lanšćak)가 지휘했다. 부대의 일부는 에르두트를 떠나 다른 특수 경찰 부대로 이전되었고, 에르두트 SPU의 나머지는 ZNG의 제3 경비 여단에 추가되었다. 크로아티아군은 1991년 7월 3일 JNA에 에르두트의 통제권을 잃었다. |
특수 경찰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모든 군사 작전에 참여하여 179명의 전사, 790명의 부상자, 14명의 실종자를 냈다. 내무부에 직접 종속된 모든 부대의 인원은 1991년 5월 15일까지 크로아티아 국민 방위군 (''Zbor narodne garde'' – ZNG)으로 이전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해산된 특수 경찰 부대를 대체하기 위해 4개의 보병 여단이 창설되었다. 병력의 일부는 5월 18일 이전 프랑스 외인부대 인원을 중심으로 설립된 ZNG 최초의 특수 부대인 즈린스키 대대로 이전되었다. 공중 부대, 루츠코 ATU 및 지역적으로 조직된 부대는 전쟁 기간 내내 활동했다.
크로아티아 내 각 주에서 지휘받던 21개 특수경찰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설립일 | 비고 |
---|---|---|
로비나츠 | 1990년 8월 17일 | 빌라 벨레비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자원 부대로 설립된 후 로비나츠 경찰서에 배속되었다. 크로아티아군은 1991년 9월 26일 SAO 크라이나 군대에 로비나츠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다. 이후 벨레비트 산에 주둔했으며, 이후 작전 마스레니차와 폭풍에 참여했다. |
자다르 | 1990년 10월 15일 | 뿔독사 (Poskoci)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자다르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5월 2일 자다르 근처 폴라차에서 첫 사망자를 냈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자다르에서 폭동이 발생했다. 자다르 전투를 포함하여 자다르 후방 지역에서 전투를 벌였다. 1992–95년에 벨레비트 산에서 방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병력을 기여했으며,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 참여했다. |
벨로바르 | 1991년 2월 23일 | 오메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벨로바르-빌로고라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3월 1일 파크라츠 충돌에 포함되었다.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 참여했다. |
카를로바츠 | 1991년 3월 1일 | 천둥 (Grom)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카를로바츠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3월 플리트비체 호수 전투, 카를로바츠와 오굴린의 병영 전투, 코나블레 전투에 참여했으며,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도 참여했다. |
오시예크 | 1991년 3월 3일 | 독수리 (Orao)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오시예크-바라냐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전국에 배치되어 보로보 셀로에서의 전투뿐만 아니라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도 참여했다. 나시체에 전방 배치된 특수 경찰 소대를 가지고 있었다. 그 소대는 나시체-오라호비차 SPU로 지정되었다. |
빈코브치 | 1991년 3월 3일 | 진드기 (Krpelji)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부코바르-시르미아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보로보 셀로 전투에서 사망한 12명을 포함하여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20명의 병력이 사망하는 피해를 입었다. |
슬라본스키 브로드 | 1991년 3월 8일 | 시마의 헬스 엔젤스 (Šimini anđeli pakla)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브로드-포사비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3월 15일 노바 그리슈카에 설립된 특수 경찰 소대는 얼룩말 (Zebre)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슬라본스키 브로드 SPU에 배속되었다. 1991년 바노비나와 서부 슬라보니아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부코바르 전투, 작전 파푸크-91 이후 진압 작전, 작전 플래시 및 폭풍에도 참여했다. |
스플리트 | 1991년 3월 15일 | BATT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스플리트-달마티아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다수의 부대원이 제4 근위 여단 창설을 위해 ZNG로 이관되었다. |
시베니크 | 1991년 3월 15일 | 매 (Jastrebovi)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시베니크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
시사크 | 1991년 3월 15일 | 말벌 (Osa)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시사크-모슬라비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고 시사크의 빅토로바츠 지역에 주둔했다. 1991–92년 바노비나, 서부 슬라보니아 및 두브로브니크 주변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1992–95년 다른 SPU와 함께 벨레비트에서 방어 위치를 유지했다. 또한 작전 플래시와 폭풍에도 참여했다. 전쟁 중 시사크 SPU는 5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되었다. |
쿠티나 | 1991년 3월 15일 | 살쾡이 (Ri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시사크-모슬라비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으며, 그 구성원은 일반적으로 이바니치 그라드, 쿠티나, 노브스카 및 가레시니차에서 차출되었다. 작전 플래시에 참여했다. |
즐라타르 | 1991년 3월 15일 | 남작 (Barun)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크라피나-자고레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
고스피치 | 1991년 3월 15일 | 호랑이 (Tigar)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리카-세니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및 폭풍에 참여했으며, 전쟁의 대부분 동안 벨레비트에서 위치를 유지했다. |
바라주딘 | 1991년 3월 18일 | 황새 (Roda)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바라주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9월 바라주딘 경찰이 보낸 170명의 증원 부대의 일환으로 동부 슬라보니아에 배치되었다. 11월 9일 부코바르 전투 중 부대는 빈코브치에서 부코바르로 돌파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크로아티아 전역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작전 마스레니차, 플래시 및 폭풍을 포함한다. |
리예카 | 1991년 4월 8일 | 상어 (Ajkule)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프리모리에-고르스키 코타르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두브로브니크 방어와 작전 마스레니차, 플래시 및 폭풍에 참여했다. |
두브로브니크 | 1991년 5월 5일 | 그라프 (Grof)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두브로브니크 방어와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및 폭풍에 참여했다. |
자그레브 | 1991년 7월 23일 | 알파 (Alfa)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자그레브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바노비나 지역, 병영 전투,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폭풍 및 크로아티아 전역의 다른 지역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자그레브 SPU는 또한 벨레비트 방어 유지에 기여했다. |
이스트라 | 1991년 7월 27일 | 황소 (Bak)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스트라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고 발반돈에 주둔했다. 바노비나, 리카, 달마티아 및 슬라보니아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도 참여했다. |
주파냐 | 1991년 9월 17일 | 델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부코바르-시르미아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
포제가 | 1993년 3월 15일 | 프란츠 폰 데어 트렌크 남작의 이름을 따서 트렌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포제가-슬라보니아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3월 8일에 설립된 33명의 특수 경찰 소대는 포제가 경찰서에서 차출되었으며, 이전에 슬라본스키 브로드 SPU의 일부였다. 작전 플래시에 참여했다. |
코프리브니차 | 1993년 8월 1일 | 반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작전 중 사망한 벨로바르 SPU의 제4 소대원인 드라젠 바니체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코프리브니차-크리제브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3년 8월 이전에 코프리브니차 지역에서 차출된 특수 경찰 병력은 대부분 벨로바르 SPU에 배정되었다. 벨레비트 산 방어에 기여했으며, 플래시와 폭풍을 포함한 여러 HV 작전을 지원했다. |
3. 1. 중앙 직할 부대
1990년 8월 17일 크닌 안팎에서 일어난 세르비아계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헬리콥터 3대를 가진 크로아티아 특수경찰 공수부대가 처음 동원되었다. 이 부대는 1968년 창설된 부대로 당시 크로아티아가 가지고 있던 유일한 전투 능력을 가진 부대였다. 작전 도중 유고슬라비아 공군 소속 전투기 2기가 헬리콥터를 가로막아 오굴린에 강제로 착륙하였다. 이 날은 현대 크로아티아 특수부대의 첫 부대가 세워진 날로 기념하고 있다. 이 사건 이후 특수경찰부대가 추가로 창설되었는데 거의 대부분은 1990년 9월에서 1991년 8월 사이 세워졌다.크로아티아 내무부 직속으로 지휘받던 9개 특수경찰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창설 | 비고 |
---|---|---|
공중 부대 | 1968 | 로그 혁명에 대응하여 1990년 8월 17일에 배치되었으며, 이 날은 부대 창설일로 기념된다. 마스레니차 작전을 포함하여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동안 크로아티아군 (HV)을 지원했다. Mladen Veselić가 지휘했으며, 자그레브 교외의 루츠코 공항에 주둔하고 있다. 전쟁 중 사상자는 없었다. |
루츠코 ATU | 1990년 9월 7일 | 225명의 자원병으로 구성되었지만, 총 350명의 병력이 복무했다. 24명이 전사하고 52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파크라츠 충돌과 플리트비체 호수 사건에서 첫 교전에 참전했고,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근처,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작전, 플래시 작전, 폭풍 작전 기간 동안 전투를 벌였다. 믈라덴 마르카치, 미르코 노라크, 밀렌코 필리포비치, 안테 로소, 스탄코 소프타, 슬라브코 부토라크, 젤코 사치치 등 7명의 크로아티아 장군이 군대로 전출되기 전 루츠코 ATU의 구성원이었다. 마르카치는 1991년 말 부대 지휘관이 되었고, 1994년 2월 14일 특수 경찰 전체 지휘를 맡았다. |
투스카나츠 | 1990년 10월 1일 | "특수 임무 부대"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자그레브의 투스카나츠 지역에 주둔했다. 처음에 이반 나지(Ivan Nađ)가 지휘했다. |
라키트예 | 1990년 10월 5일 | 자그레브 근처 라키트예 마을에 주둔했다. 다르코 루카비나(Darko Rukavina)가 지휘했지만, 1991년 2월 요시프 루치치로 교체되었다. 이 부대는 곧 ZNG 제1 경비 여단의 핵심이 되었다. 2003년 루치치는 크로아티아 공화국군 참모총장이 되었다. |
발반돈 / 피오니르스키 그라드 | 1990년 10월 8일 | 풀라 근처 발반돈에서 훈련 과정을 통해 창설되었다. Dane Trkulja의 지휘하에 72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1990년 12월 17일 자그레브의 두브라바 지역으로 옮겨졌고 피오니르스키 그라드 SPU로 개명되었다. 피오니르스키 그라드 막사 외에도 자그레브의 쉴메 봉우리, 노바 베스, 마르쿠셰베츠 및 투스카나츠 지역에 주둔했다. |
쿠므로베츠 | 1990년 11월 21일 | 네벤 마르티치(Neven Martić)가 지휘했다. 1991년 3월 1일 파크라츠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1991년 3월 31일 플리트비체 호수 탈환 작전을 지원하여 호수와 고스피치 시 사이의 류보보 고개와 당일 주 진격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플리트비체 호수 지역을 확보했다. 1991년 6월, 150명의 병력이 자그레브 옆 페트루셰바츠로 이동하여 제2 경비 여단의 일부가 되었고, 150명의 병력이 스플리트로 이동하여 제4 경비 여단의 일부가 되었다. 재편성 시 부대는 자그레브 북쪽 쉴메 봉우리로 이전되었다. 원래 인원 350명 중 27명이 밀렌코 필리포비치와 안테 로소(Ante Roso)가 지휘하는 특수 부대 대대의 첫 번째 병력으로 ZNG의 즈린스키 대대로 재배치되었다. |
쉴메 | 1991년 2월 6일 | 쉴메 봉우리에 주둔했으며, 1991년 6월에 부대가 해산될 때까지 4개월 동안 주둔했다. 해산 후 쉴메에 있던 기지는 쿠므로베츠 SPU와 ZNG 특수 부대가 인수했다. 1991년 3월 플리트비체 호수에서 전투를 벌였다. 슬라브코 부토라크(Slavko Butorac)가 초대 지휘관이었다. |
비니차 | 1991년 4월 8일 | Zdravko Kuzelj가 지휘한 Vinica SPU는 바라주딘 근처 비니차 훈련 센터에 주둔했다. 4월 30일, 약 200명의 병력이 Vinica SPU에서 에르두트에 새로 설립된 특수 경찰 부대로 이전되었다. Vinica SPU는 제1 경비 여단의 대대로 개편되기 전에 추가 인원을 받았다. |
에르두트 | 1991년 4월 30일 | 에르두트 SPU는 Vinica SPU에서 이전된 200명의 병력과 에르두트 훈련 센터의 새로운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브란코 란슈차크(Branko Lanšćak)가 지휘했다. 부대의 일부는 에르두트를 떠나 다른 특수 경찰 부대로 이전되었고, 에르두트 SPU의 나머지는 ZNG의 제3 경비 여단에 추가되었다. 크로아티아군은 1991년 7월 3일 JNA에 에르두트의 통제권을 잃었다. |
특수 경찰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모든 군사 작전에 참여하여 179명의 전사, 790명의 부상자, 14명의 실종자를 냈다. 내무부에 직접 종속된 모든 부대의 인원은 1991년 5월 15일까지 크로아티아 국민 방위군 (''Zbor narodne garde'' – ZNG)으로 이전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해산된 특수 경찰 부대를 대체하기 위해 4개의 보병 여단이 창설되었다. 병력의 일부는 5월 18일 이전 프랑스 외인부대 인원을 중심으로 설립된 ZNG 최초의 특수 부대인 즈린스키 대대로 이전되었다. 공중 부대, 루츠코 ATU 및 지역적으로 조직된 부대는 전쟁 기간 내내 활동했다.
3. 2. 지역별 부대
1990년 8월 17일, 크닌 안팎에서 일어난 세르브계의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헬리콥터 3대를 가진 크로아티아 특수경찰 공수부대가 처음으로 동원되었다. 1968년 창설된 이 부대는 당시 크로아티아가 가지고 있던 유일한 전투능력을 가진 부대였다. 작전 도중 유고슬라비아 공군 소속 전투기 2기가 헬리콥터를 가로막아 오굴린에 강제로 착륙하였다. 이 날은 현대 크로아티아 특수부대의 첫 부대가 세워진 날로 기념하고 있다. 이 사건 이후 특수경찰부대가 추가로 창설되었는데 거의 대부분은 1990년 9월에서 1991년 8월 사이 세워졌다.크로아티아 내무부 직속으로 지휘받던 9개 특수경찰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창설 | 비고 |
---|---|---|
공중 부대 | 1968 | 로그 혁명에 대응하여 1990년 8월 17일에 배치되었으며, 이 날은 부대 창설일로 기념된다. 마스레니차 작전을 포함하여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동안 크로아티아군 (HV)을 지원했다. 전쟁 중 사상자는 없었다. |
루츠코 ATU | 1990년 9월 7일 | SAO 크라이나의 파크라츠 충돌과 플리트비체 호수 사건에서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군과의 첫 번째 교전에 참전했다.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근처,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작전, 플래시 작전과 폭풍 작전 기간 동안 전투를 벌였다. 1994년 2월 14일, 믈라덴 마르카치가 특수 경찰 전체 지휘를 맡았다. |
투스카나츠 | 1990년 10월 1일 | "특수 임무 부대"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자그레브의 투스카나츠 지역에 주둔했다. |
라키트예 | 1990년 10월 5일 | 자그레브 근처 라키트예 마을에 주둔했다. 1991년 2월 요시프 루치치로 지휘관이 교체되었다. 이 부대는 곧 ZNG 제1 경비 여단이 발전한 핵심이 되었다. |
발반돈 / 피오니르스키 그라드 | 1990년 10월 8일 | 풀라 근처 발반돈에서 열린 훈련 과정을 통해 창설되었다. 1990년 12월 17일 자그레브의 두브라바 지역으로 옮겨졌고 새로운 기지를 따라 피오니르스키 그라드 SPU로 개명되었다. |
쿠므로베츠 | 1990년 11월 21일 | 1991년 3월 1일 파크라츠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1991년 3월 31일 플리트비체 호수 탈환 작전을 지원하여 호수와 고스피치 시 사이의 류보보 고개와 당일 주 진격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플리트비체 호수 지역을 확보했다. 1991년 6월, 부대가 분할되었고, 일부는 즈린스키 대대로 재배치되었다. |
쉴메 | 1991년 2월 6일 | 쉴메 봉우리에 주둔했으며, 1991년 6월에 부대가 해산될 때까지 4개월 동안 주둔했다. 1991년 3월 플리트비체 호수에서 전투를 벌였다. |
비니차 | 1991년 4월 8일 | 바라주딘 근처 비니차 훈련 센터에 주둔했다. 4월 30일, 약 200명의 병력이 에르두트에 새로 설립된 특수 경찰 부대로 이전되었다. 비니차 SPU는 제1 경비 여단의 대대로 개편되기 전에 추가 인원을 받았다. |
에르두트 | 1991년 4월 30일 | 비니차 SPU에서 이전된 200명의 병력과 에르두트 훈련 센터의 새로운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크로아티아군은 1991년 7월 3일 JNA에 에르두트의 통제권을 잃었다. |
thumb 대원들이 경찰 AB-212 헬리콥터로 수송되고 있다|alt=착륙 스키드에 서 있는 4명의 특수 경찰 병력과 함께 비행하는 헬리콥터]]
크로아티아 내 각 주에서 지휘받던 21개 특수경찰 부대는 다음과 같다.
1991년 11월, 내무부는 특수 경찰 부대의 조직을 재정의하여 몇몇 부대는 부의 직접 통제를 유지하고 다른 부대는 현 경찰 행정부에 배정했다. 이 조치는 유고 인민군(JNA)의 진격에 대응하여 고안되었다. 이 계획에는 20개의 현 경찰 행정부 각각에 SPU(특수 경찰 부대)를 설립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당시에는 최대 19개의 SPU가 있었다.
1992년에는 1991년 11월 조직 개편 계획과 특수 경찰의 실제 전투 서열 간의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추가 SPU가 설립되지 않았다. 1993년에는 코프리브니차-크리제브치 및 포제가-슬라보니아 경찰 행정부에 두 개의 SPU가 추가로 설립되어 배정되었다. 2001년에 실시된 부대 재편성 이후, 지역 기반 부대는 자그레브, 스플리트, 리예카 및 오시예크의 4개 부대로 통합되었다. 동시에 특수 경찰은 300명으로 감축되었다.
부대 | 설립일 | 비고 |
---|---|---|
로비나츠 | 1990년 8월 17일 | 빌라 벨레비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자원 부대로 설립된 후 로비나츠 경찰서에 배속되었다. 크로아티아군은 1991년 9월 26일 SAO 크라이나 군대에 로비나츠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다. 이후 벨레비트 산에 주둔했으며, 이후 작전 마스레니차와 폭풍에 참여했다. |
자다르 | 1990년 10월 15일 | 뿔독사 (Poskoci)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자다르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5월 2일 자다르 근처 폴라차에서 첫 사망자를 냈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자다르에서 폭동이 발생했다. 자다르 전투를 포함하여 자다르 후방 지역에서 전투를 벌였다. 1992–95년에 벨레비트 산에서 방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병력을 기여했으며,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 참여했다. |
벨로바르 | 1991년 2월 23일 | 오메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벨로바르-빌로고라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3월 1일 파크라츠 충돌에 포함되었다.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 참여했다. |
카를로바츠 | 1991년 3월 1일 | 천둥 (Grom)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카를로바츠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3월 플리트비체 호수 전투, 카를로바츠와 오굴린의 병영 전투, 코나블레 전투에 참여했으며,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도 참여했다. |
오시예크 | 1991년 3월 3일 | 독수리 (Orao)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오시예크-바라냐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전국에 배치되어 보로보 셀로에서의 전투뿐만 아니라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도 참여했다. 나시체에 전방 배치된 특수 경찰 소대를 가지고 있었다. 그 소대는 나시체-오라호비차 SPU로 지정되었다. |
빈코브치 | 1991년 3월 3일 | 진드기 (Krpelji)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부코바르-시르미아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보로보 셀로 전투에서 사망한 12명을 포함하여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20명의 병력이 사망하는 피해를 입었다. |
슬라본스키 브로드 | 1991년 3월 8일 | 시마의 헬스 엔젤스 (Šimini anđeli pakla)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브로드-포사비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3월 15일 노바 그리슈카에 설립된 특수 경찰 소대는 얼룩말 (Zebre)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슬라본스키 브로드 SPU에 배속되었다. 1991년 바노비나와 서부 슬라보니아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부코바르 전투, 작전 파푸크-91 이후 진압 작전, 작전 플래시 및 폭풍에도 참여했다. |
스플리트 | 1991년 3월 15일 | BATT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스플리트-달마티아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다수의 부대원이 제4 근위 여단 창설을 위해 ZNG로 이관되었다. |
시베니크 | 1991년 3월 15일 | 매 (Jastrebovi)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시베니크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
시사크 | 1991년 3월 15일 | 말벌 (Osa)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시사크-모슬라비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고 시사크의 빅토로바츠 지역에 주둔했다. 1991–92년 바노비나, 서부 슬라보니아 및 두브로브니크 주변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1992–95년 다른 SPU와 함께 벨레비트에서 방어 위치를 유지했다. 또한 작전 플래시와 폭풍에도 참여했다. 전쟁 중 시사크 SPU는 5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되었다. |
쿠티나 | 1991년 3월 15일 | 살쾡이 (Ri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시사크-모슬라비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으며, 그 구성원은 일반적으로 이바니치 그라드, 쿠티나, 노브스카 및 가레시니차에서 차출되었다. 작전 플래시에 참여했다. |
즐라타르 | 1991년 3월 15일 | 남작 (Barun)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크라피나-자고레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
고스피치 | 1991년 3월 15일 | 호랑이 (Tigar)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리카-세니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및 폭풍에 참여했으며, 전쟁의 대부분 동안 벨레비트에서 위치를 유지했다. |
바라주딘 | 1991년 3월 18일 | 황새 (Roda)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바라주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9월 바라주딘 경찰이 보낸 170명의 증원 부대의 일환으로 동부 슬라보니아에 배치되었다. 11월 9일 부코바르 전투 중 부대는 빈코브치에서 부코바르로 돌파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크로아티아 전역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작전 마스레니차, 플래시 및 폭풍을 포함한다. |
리예카 | 1991년 4월 8일 | 상어 (Ajkule)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프리모리에-고르스키 코타르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두브로브니크 방어와 작전 마스레니차, 플래시 및 폭풍에 참여했다. |
두브로브니크 | 1991년 5월 5일 | 그라프 (Grof)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두브로브니크 방어와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및 폭풍에 참여했다. |
자그레브 | 1991년 7월 23일 | 알파 (Alfa)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자그레브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바노비나 지역, 병영 전투,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폭풍 및 크로아티아 전역의 다른 지역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자그레브 SPU는 또한 벨레비트 방어 유지에 기여했다. |
이스트라 | 1991년 7월 27일 | 황소 (Bak)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스트라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고 발반돈에 주둔했다. 바노비나, 리카, 달마티아 및 슬라보니아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작전 마스레니차, 메닥 포켓, 플래시 및 폭풍에도 참여했다. |
주파냐 | 1991년 9월 17일 | 델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부코바르-시르미아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
포제가 | 1993년 3월 15일 | 프란츠 폰 데어 트렌크 남작의 이름을 따서 트렌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포제가-슬라보니아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1년 3월 8일에 설립된 33명의 특수 경찰 소대는 포제가 경찰서에서 차출되었으며, 이전에 슬라본스키 브로드 SPU의 일부였다. 작전 플래시에 참여했다. |
코프리브니차 | 1993년 8월 1일 | 반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작전 중 사망한 벨로바르 SPU의 제4 소대원인 드라젠 바니체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코프리브니차-크리제브치 현 경찰 행정부에 배속되었다. 1993년 8월 이전에 코프리브니차 지역에서 차출된 특수 경찰 병력은 대부분 벨로바르 SPU에 배정되었다. 벨레비트 산 방어에 기여했으며, 플래시와 폭풍을 포함한 여러 HV 작전을 지원했다. |
4. 주요 작전 및 활동
4. 1.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참여
4. 2. 전후 활동
5. 한국과의 비교 (더불어민주당 관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