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코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코바르는 크로아티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뉴브 강과 부카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중세 시대에는 부코보 현의 중심지였으며, 1231년 자유 왕립 도시의 특권을 부여받았다. 19세기 중반 증기선 도입 이후 교통의 요지로 발전했으며, 농업, 무역, 식품 산업 등이 발달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부코바르 전투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간의 민족적 갈등이 남아 있는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코바르 - 해리슨의 꽃
해리슨의 꽃은 2000년 개봉한 영화로,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의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을 배경으로 퓰리처상 수상 사진기자의 실종 사건과 아내의 수색 과정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을 묘사한다. - 부코바르 - 부코바르 전투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세르비아 준군사 조직이 크로아티아 도시 부코바르를 공격하여 약 3개월간 지속된 전투로, 도시 함락과 함께 크로아티아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전쟁 범죄 및 인종 청소 논란을 야기했다. - 크로아티아의 주도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주도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부코바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부코바르 시 |
다른 이름 | 영웅 도시 |
별칭 | 영웅 도시 |
모토 | 없음 |
위치 | 부코바르-스리옘 주 내 부코바르 위치 |
좌표 | 45°20′40″N 19°00′09″E |
지역 | 포두나블레 |
시장 | 이반 페나바 |
시의회 | |
면적 | 100.1 제곱킬로미터 |
도시 면적 | 61.6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108 미터 |
인구 (2021년) | 23175명 |
도시 인구 | 2225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통칭 | (남성), (여성) |
시간대 | CET |
섬머 타임 | CEST |
UTC 오프셋 | +1 |
섬머 타임 UTC 오프셋 | +2 |
우편 번호 | 32 000 |
지역 번호 | 032 |
차량 등록 번호 | VU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 | |
![]() | |
언어별 표기 |
2. 이름
'부코바르(Vukovar)'라는 이름은 '부카 강가의 도시'라는 뜻이며, '바르(vár)'는 헝가리어로 '요새'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4] 독일어로는 ''Wukowar'', 헝가리어로는 ''Vukovár'' 또는 ''Valkóvár''로 알려져 있다.[4]
2. 1. 어원
'부코바르(Vukovar)'라는 이름은 '부카 강가의 도시'라는 뜻으로, '부카(Vuko)'는 부카 강에서 유래하고, '바르(vár)'는 헝가리어로 '요새'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4] 고대에는 이 강을 "울카(Ulca)"라고 불렀는데, 아마도 일리리아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볼가 강의 이름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4] 다른 언어로는 독일어로는 ''Wukowar'', 헝가리어로는 ''Vukovár'' 또는 ''Valkóvár''로 알려져 있다.[4] 17세기 후반에는 중세 크로아티아식 이름인 Vukovo가 헝가리식 이름인 ''Vukovár''로 대체되었다.[5]2. 2. 역사적 명칭 변화
고대에는 부카 강을 울카(Ulca)라고 불렀는데, 이는 일리리아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볼가 강의 이름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4] 중세 시대에 부코바르는 부코보 현의 중심지였으며, 1220년에 "Comitatus de Wolcou"로 처음 언급되었다. 부카 강 우안에는 왕실 요새인 카스트룸 발코우(castrum Walkow)가 있었고, 1231년 슬라보니아 공작 콜로만(Koloman)에 의해 자유 왕립 도시의 특권을 부여받았다. 14세기까지 이 도시는 발코(Walco), 블츠(Vlcou), 볼코우(Volkow), 발코(Walko), 블코이(Wlkoy)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1323년 도시 이름의 헝가리어 변형인 볼코바르(Wolcowar)가 처음으로 더 자주 언급되었다. 17세기 후반에는 중세 크로아티아식 이름인 Vukovo가 헝가리식 이름인 ''Vukovár''로 대체되었다.[5][6]3. 지리
부코바르 시의 행정 구역에는 그라보보, 리포바차, 소틴이 포함된다.[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에는 부코바르 지방 자치 단체의 규모가 더 커서 북쪽의 베라와 보로보, 동쪽의 일록, 남쪽의 토바르니크 지역까지 걸쳐 있었지만, 이후 여러 지방 자치 단체로 분할되었다. 역사적으로 부코바르는 구시가지, 신시가지, 그리고 보로보 공장이 있던 노동자 마을(현재 부코바르 교외 보로보 나셀예)로 나뉘었다.
부코바르는 크로아티아 공화국 북동부(북위 45°20', 동경 16°40')에 위치하며, 부코바르-스리옘 주의 주도이다. 부카 강이 다뉴브 강으로 유입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으며, 보이보디나(세르비아) 방향 다뉴브 강변에 국경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부코바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헝가리, 세르비아 등 인접 국가와의 교통 연결이 양호하다.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철도 중심지인 빈코프치에서 16km 떨어져 있으며, 빈코프치를 경유하는 D55 국도를 통해 자그레브-리포바츠 고속도로(A3)의 주요 교차로인 주파냐에서 39km 떨어져 있다. 33km 떨어진 오시예크는 D2 국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국도를 통해 부코바르는 팬유럽 고속도로(A6)인 코리도르 Vc와 연결된다. 부코바르에서 북서쪽으로 20km 떨어진 오시예크 공항으로 인해 이 지역은 항공 교통에도 포함된다.
이 도시는 다음과 같은 팬유럽 회랑에 위치하거나 인접해 있기 때문에 중앙 및 동남유럽 내 다른 시장에 접근하기에 매우 좋은 위치를 가지고 있다.
- 팬유럽 교통 회랑 VII – 다뉴브 강
- 오시예크 공항 -> 16km 거리
- 팬유럽 교통 회랑 X – 철도 -> 빈코프치 중심지(가장 큰 지역 철도 중심지)에서 14km 거리
- 고속도로 A3 -> 42km 거리
- 유럽 고속도로 E73 – A5 고속도로 -> 31km 거리


3. 1. 위치 및 지형
부코바르는 크로아티아 동부 판노니아 평원에 위치하며, 부코바르-스르미야 주의 중심지이다. 동슬라보니아와 서스르미야의 역사적인 경계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1]이 도시는 예로부터 다뉴브 계곡을 따라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교통로에 위치해 있었다. 19세기 중반 증기선 도입 이후 부다페스트, 빈, 그리고 루마니아까지 연결되는 수운이 발달하였다. 부코바르 항구는 중요한 수출입 기지 역할을 수행한다. 다뉴브 강은 부코바르를 유럽 및 세계와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1]
지리적으로 슬라보니아 동부, 도나우 강과 부카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큰 하항이 있다. 도나우 강 건너편은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이다. '부코바르'라는 도시 이름은 부카 강에서 유래했는데, 'vár'는 헝가리어로 성을 의미한다. 부카 강은 슬라브어로 늑대를 뜻하는 'vuk'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
빈코프치에서 북동쪽으로 20km, 오시예크에서 남동쪽으로 36km 떨어져 있으며, 해발 고도는 108m이다. 부코바르 시가지는 도나우 강을 따라 펼쳐져 있으며, 남동부에는 부코바르, 북서부에는 보로보 나셀예 지역이 별도로 위치한다. 부코바르 기초 자치체에는 리포바차, 소틴, 그라보보 등의 마을도 포함된다. 부코바르에는 오시예크-부코바르-일록을 잇는 D2 국도와 빈코프치-부코바르 철도가 지난다.[1]
3. 2. 주변 지역
부코바르는 크로아티아 동부 판노니아 평원에 위치한 부코바르-스리옘 주의 중심지이다. 역사적으로 동슬라보니아와 서스리옘의 경계에 자리 잡고 있다.이 도시는 중요한 교통로에 위치해 있는데, 아주 오래전부터 다뉴브 계곡을 따라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교통로가 발달했다. 19세기 중반 증기선이 도입된 이후 부코바르는 상류의 부다페스트와 비엔나, 하류의 루마니아까지 연결되었다. 부코바르 항구는 중요한 수입 및 수출 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부코바르는 빈코프치에서 북동쪽으로 20km, 오시예크에서 남동쪽으로 36km 떨어져 있으며, 해발 고도는 108m이다. 부코바르는 오시예크-부코바르-일록을 잇는 주요 도로인 D2 도로와 빈코프치-부코바르 철도(그리고 D55 도로) 위에 위치한다.
지리적으로는 슬라보니아 동부에 위치하며, 다뉴브 강과 부카 강의 합류 지점에 자리 잡고 있어 큰 하항이 있다. 다뉴브 강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은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이다.
3. 3. 교통
부코바르는 예로부터 다뉴브 강을 이용한 수상 교통이 발달한 도시이다. 19세기 중반 증기선이 도입된 이후 부다페스트, 빈 등 상류 지역과 루마니아 등 하류 지역을 연결하는 수상 교통의 요지가 되었으며, 부코바르 항구는 중요한 수출입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다뉴브 강은 부코바르를 유럽 및 세계와 연결하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해왔다.[1]육상 교통으로는 오시예크-부코바르-일록을 잇는 D2 국도와 빈코프치-부코바르 철도가 부코바르를 지난다. 또한, 부코바르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철도 중심지인 빈코프치와 인접해 있으며, D55 국도를 통해 자그레브-리포바츠 고속도로(A3)와 연결된다.[1]
4. 역사
1930년대 후반, 부코바르에서는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14] 1937년에는 세르비아 학생이 크로아티아인 반 친구를 위협하는 사건이 발생했고,[14] 1938년 유고슬라비아 의회 선거 당시에는 우스타샤(Ustaša) 관련 구호가 사용되기도 했다.[14] 크로아티아가 주도하는 연합이 부코바르 시 선거에서 승리하자, 크로아티아 고등학생들은 친크로아티아, 반유고슬라비아 감정을 표현하며 승리를 축하했다.[14]
1939년부터 1941년까지 부코바르에서 발행된 지역 신문 ''Srijemski Hrvat''은 우스타샤의 영향력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14] 이 신문은 독일인들의 지지를 논하며 유대인, 세르비아인, 로마인은 언급하지 않았다.[14] 1939년 니콜라 안드리치(Nikola Andrić)는 크로아티아 민족 노래가 최고라고 주장하는 연설을 하기도 했다.[14]
1941년 유고슬라비아 쿠데타 이후 ''Srijemski Hrvat''의 편집자 루카 풀리즈(Luka Puljiz)는 도시 점령 절차에 대한 사전 지시를 받았다.[14] 독립국 크로아티아가 선포되자 풀리즈 그룹은 부코바르를 장악했고,[14] 우스타샤 당국은 반유대인 및 반세르비아 법을 제정하여 차별과 탄압을 시작했다.[14] 세르비아인과 유대인은 군 복무가 금지되었고,[14] "반크로아티아" 활동을 이유로 체포될 수 있었다.[14] 또한, 유대인 관련 계약 무효화, 세르비아인 추방 등이 이루어졌다.[14] 1941년 4월 25일에는 ''키릴 문자 금지령''이 발표되었다.[14]
우스타샤 정권은 ''Hrvatski Borac''(''크로아티아 전사'') 등의 신문을 통해 이념을 전파했다.[14] 부코바르 지역에서 우스타샤는 초기에는 대규모 학살을 자제했지만, 1941년 7월 말 보보타(Bobota)에서 저항 행위가 발생한 후 대규모 총격 사건이 시작되었다.[14] 야도브노 강제 수용소(Jadovno concentration camp)로 보내지거나 두딕 추모 공원(Dudik Memorial Park) 지역에서 처형되는 등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14]
제2차 세계 대전 중 부코바르는 연합군에 의해 폭격을 받았다.[77] 두딕 추모 공원(Dudik Memorial Park)은 유고슬라비아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립국 크로아티아 당국에 의해 처형된 455명을 기념한다.[14] 시르미안 전선(Syrmian Front)에서 싸운 불가리아군(Bulgarian Armed Forces) 병사들을 기념하는 부코바르 불가리아 군묘지(Bulgarian Military Cemetery)도 있다.[16] 보로보 나셀예(Borovo Naselje)에는 유고슬라비아군과 소련 적군 병사들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세워졌다.[17]
4. 1. 선사 시대
부코바르 지역은 부체돌 문화를 중심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5,000년 동안 끊임없이 사람이 살아온 곳이다. 부체돌 지역에서 발전하였으며, 1938년 발견된 부체돌 비둘기는 부코바르의 상징이 되었다.[8] 부체돌 오리온은 가장 오래된 인도유럽력으로 여겨진다.[8]부코바르 지역에는 청동기 시대와 초기 및 후기 철기 시대의 수많은 고고학 유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이 지역의 원주민인 일리리아인과 켈트족의 생활 방식을 알 수 있다.[8] 기원전 마지막 수십 년 동안 로마인들은 다뉴브 강에 도달하여 요새를 건설했다.[8]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후기 라 텐 문화 시대의 부코바르에 있는 스코르디스키 유적지가 발굴되었다.[9] 이 유적지는 빈코프치 지역의 스코르디스키 정착 네트워크의 일부였다.[9]
4. 2. 고대
부코바르 지역은 5,000년 동안 끊임없이 사람이 거주해 온 지역으로, 수많은 고고학 유적을 통해 그 역사를 알 수 있다. 특히 부체돌 문화가 중요하며, 1938년 부체돌 지역에서 발견된 부체돌 비둘기는 부코바르의 상징이 되었다. 부체돌 오리온은 가장 오래된 인도유럽력으로 여겨진다.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유적을 통해 일리리아인과 켈트족의 생활 방식을 알 수 있다.[8]기원전 마지막 수십 년 동안 로마 제국은 다뉴브 강에 도달하여 국경에 많은 요새(다뉴브 리메스)를 건설했다. 로마인들은 최초의 포도밭을 조성하고 늪지를 배수하여 부코바르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8]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후기 라 텐 문화 시대의 부코바르에 있는 스코르디스키 유적지가 발굴되었다.[9] 이 유적지는 빈코프치 지역의 스코르디스키 정착 네트워크의 일부였다.[9]
4. 3. 중세
6세기에 슬라브족이 오늘날의 부코바르 지역에 정착했다.[10] 9세기에는 프시비나 공작이 통치하던 슬라브계 판노니아 공국의 일부이자, 제1 불가리아 제국의 영토였다.[10] 10세기 전반기에는 부코보 요새가 헝가리인들에게 약탈당했다.[10] 11세기~12세기에는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일부였고,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11]부코바르는 13세기에 "볼코(Volko)", "워크(Walk)", "볼코프(Wolkov)"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원래 슬라브어 이름은 "부코보(Vukovo)"였다.[12] 14세기부터는 헝가리어 접미사 "-바르(-var)"가 추가된 "부코바르(Vukovar)"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2] 1231년, 부코보는 최초의 특권을 얻었고, 나중에는 도나우 강과 부카 강을 따라 통행세를 징수할 권리를 얻었다.[13] 같은 해, 부코바르는 콜로만 공작에 의해 자유 왕립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이는 부코바르 주민들이 토지 소유주가 아닌 왕에게 직접 복종한다는 것을 의미했다.[12]
4. 4.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부코바르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통치 기간 동안 부코바르는 스렘 산자크의 일부였으며, 처음에는 부딘 주(Budin Eyalet)에, 나중에는 보스니아 주(Pashaluk of Bosnia)에 속했다. 오스만 제국의 통치가 끝날 무렵인 17세기 말, 부코바르의 인구는 약 3,000명이었다.4. 5. 합스부르크 왕가 통치 시기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 이후 부코바르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일부가 되었다. 부코바르는 슬라보니아에 속했으며, 곧 1868년 슬라보니아 왕국과 크로아티아 왕국이 합병되어 설립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에 편입되었다.오스만 제국 지배가 끝난 후, 엘츠 가문의 독일 귀족들이 부코바르 지역의 상당 부분을 매입했고, 다음 두 세기 동안 부코바르의 경제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8] 백작 엘츠 가문이 부코바르 영지를 소유하게 되었다. 1736년 마인츠 대주교 필립 카를 엘츠는 30개 이상의 거주지가 있는 이 거대한 부동산을 매입했다.
이 시대 초기에 부코바르 주민의 거의 절반이 장인과 상인이었다. 수공업, 무역, 조선업이 발전했다. 강을 통해 다뉴브 강 유역 국가들로 상품이 수송되었다. 장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길드 조직들이 설립되었다. 부코바르는 스리엠 서부 지역 전체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다.
부코바르 지역은 농업에 매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인구의 거의 80%가 농업에 종사했다. 기본적인 곡물 생산 외에도 포도 재배가 중요했으며, 말 목장도 유명했다.
1840년부터 부코바르에는 다뉴브 강에 정기적인 증기선 노선이 운항되었고, 1878년부터는 철도와 연결되었다. 부코바르 항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항구였다. 자본 부족으로 인해 산업은 느리게 발전했다.
19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코바르에는 약 4,000명의 크로아티아인, 3,500명의 독일인, 약 1,600명의 세르비아인, 950명의 헝가리인 등을 포함하여 10,40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었다.[10] 1905년 부코바르에 최초의 대규모 산업 기업인 방적 공장이 가동을 시작했다.[10]
1745년 부코바르는 슬라보니아 왕국의 시르미아 군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고, 1868년부터는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8]
4. 6.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기
1918년, 부코바르는 새로 건립된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1918년부터 1922년까지 부코바르는 스렘 주의 행정 중심지였고, 1922년부터 1929년까지는 스렘 오블라스트의 행정 중심지였다. 1919년 11월 23일, 섭정 페타르 1세의 결정에 따라 도시 지위를 얻었다.[9]
유럽 전역에서 공산주의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부코바르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노동당(공산당)의 제2차 당대회가 열린 곳이 되었으며, 이 당대회에서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20년 지방 선거를 앞두고 유대인 정당이 도시에 설립되었고, 1926년에는 시온주의 협회가 설립되었다.[9]
1929년 이후 부코바르는 사바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고, 1939년부터는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다. 이 도시와 인근 마을의 세르비아인 공동체 일부는 새로운 자치 바노비나에 포함된 것에 불만을 품었고, 1939년 부코바르 결의안에서 이러한 불만을 제기했다.

부코바르의 전간기는 1931년 바타(Bata) 신발 공장(후에 보로보로 이름이 변경됨)을 포함한 신발 및 섬유 산업의 중요한 성장으로 특징지어졌다. 이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여 194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코바르의 인구는 17,000명이 넘었다.[10]
4. 7.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독립국 크로아티아가 선포되자, 우스타샤(Ustaša) 당국은 반유대인 및 반세르비아 법을 제정하여 유대인과 세르비아인을 차별하고 탄압했다.[14] 세르비아인과 유대인은 독립국 크로아티아 군대에서 복무하는 것이 금지되었고,[14] "반크로아티아" 활동을 근거로 체포될 수 있었다.[14] 또한, 유대인과 관련된 법적 계약을 무효화하고 세르비아 농업 식민지 주민들의 추방을 준비했다.[14]부코바르 지역에서 우스타샤(Ustaša) 당국은 초기에는 대규모 학살을 자제했지만, 1941년 7월 말 보보타(Bobota)에서 저항 행위가 발생한 후 대규모 총격 사건이 시작되었다.[14] 야도브노 강제 수용소(Jadovno concentration camp)로 보내지거나 두딕(Dudik) 지역에서 처형되는 등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14] 전쟁 중 이 지역에서 500명 이상이 처형되었고, 이후 이곳은 두딕 추모 공원(Dudik Memorial Park)으로 바뀌었다.[14]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도시는 연합군에 의해 폭격을 받았다.[77] 두딕 추모 공원(Dudik Memorial Park)은 유고슬라비아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립국 크로아티아 당국에 의해 처형된 455명을 기념한다.[14]
4. 8.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성립되면서 부코바르는 공산주의 체제 하에 놓였다. 이 시기 부코바르는 산업 발전을 경험했는데, 특히 보로보(Borovo) 지역의 보로보 회사는 신발, 타이어 등을 생산하며 지역 경제의 핵심으로 성장했다. 보로보 회사는 수천 명의 노동자를 고용하며 부코바르의 인구 증가와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1980년대 유고슬라비아는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었고, 이는 부코바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물가 상승, 실업률 증가, 생필품 부족으로 사회적 불만이 높아졌고, 보로보 회사를 비롯한 여러 기업에서 노동자 파업이 발생했다. 이러한 경제 위기와 사회 불안은 이후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4. 9.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부코바르 전투는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전환점이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이 전투로 쇠약해졌고, 전투 몇 주 후 휴전이 선포되었다. 부코바르는 자칭 세르비아 자치 구역인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자치구의 사실상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1992년 분리주의 원시 국가인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에 외딴 지역으로 합류했다. 당시 부코바르 시장은 보이슬라브 스타니미로비치(Vojislav Stanimirović)였다. 도시를 떠난 크로아티아 난민들은 전국 난민 센터에 수용되었고, 도시 밖에서 「부코바르 신문(Vukovarske Novine)」을 발행했다.[40]
1995년 폭풍 작전에서 RSK의 주요 부분이 패배하자, 부코바르와 크로아티아 포두나블예 지역( 에르두트 협정으로 알려진 지역)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협정이 체결되었다. 1996년까지 지역 세르비아 부대가 해산하고 중화기를 유고슬라비아 국경 너머로 이동시킨 후 부코바르는 비무장화되었다.[41] 이 협정에 따라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움 유엔 과도 행정부(UNTAES)가 설립되어 1998년 이 지역이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통합될 때까지 부코바르에 본부를 두고 통치했다.
크로아티아 전쟁 당시 부코바르 전투에서 도시는 완전히 황폐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지원을 받은 3만 6천 명의 세르비아군이 1991년 8월 25일부터 11월 18일까지 87일 동안 부코바르 시를 공격했고, 크로아티아 측은 2천 명의 방위군으로 맞섰다. 당시 크로아티아군의 장비는 열악했다. 세르비아군은 중화기와 110대의 전차 및 차량, 많은 군용기를 동원하여 도시를 괴멸시켰다.[78] 1천 명이 넘는 주민이 희생되었고, 5천 명 이상이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으며, 많은 실종자와 난민이 발생했다. 부코바르 전투는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비하면 훨씬 작은 규모였지만, 유럽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악의 사건이었다.[79][80]
저수조의 탄흔은 1990년대 초 사건의 증거로 도시 계획에 따라 보존되고 있다. 전투는 전후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부코바르 전투를 영화화한 작품으로는 “Vukovar, jedna priča영어”(한국어 제목)가 있다. 미국 방송국 NBC 드라마 ER 응급의료센터의 의사 루카 코바치(Luka Kovač)는 이곳에서 인턴 시절을 보내고 가족을 잃었다는 설정이다.
2006년 11월 18일, 희생자 추모와 전투 종결 15주년 기념으로 각국에서 약 2만 5천 명이 모였다. 공격받았던 병원 지하에는 포위에 관한 박물관이 개관했고, 현재는 재건되었다. 2007년 9월 27일, 유고슬라비아 국제전범재판소(ICTY)에서 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장교 두 명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졌지만, 병원 학살 연루는 3분의 1이 면제되었다.[81]
4. 10. 세르비아 점령기 및 UNTAES 통치 시기
이 전투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을 쇠약하게 만들었고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몇 주 후 휴전이 선포되었다. 부코바르는 자칭 세르비아 자치 구역인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자치구의 사실상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이 구역은 1992년 분리주의 원시 국가인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에 외딴 지역으로 합류했다. 당시 부코바르 시장은 보이슬라브 스타니미로비치였다.[40] 도시를 떠난 크로아티아 난민들은 전국에 있는 난민 센터에 수용되었고, 이들은 도시 밖에서 「부코바르 신문(Vukovarske Novine)」을 발행했다.[40]1995년 폭풍 작전에서 RSK의 주요 부분이 패배하자 부코바르와 크로아티아 포두나블예 지역의 나머지 지역(즉, 에르두트 협정으로 알려진 지역)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협정이 체결되었다. 1996년까지 지역 세르비아 부대가 해산하고 중화기를 유고슬라비아 국경 너머로 이동시킨 후 부코바르는 비무장화되었다.[41] 이 협정에 따라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움 유엔 과도 행정부(UNTAES)가 설립되어 1998년 이 지역이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통합될 때까지 부코바르에 본부를 두고 이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치했다.

UNTAES 본부는 처음에는 자그레브에 있는 유엔 보호군 본부에 있었지만, 행정부의 우선 순위는 이를 동부 크로아티아로 이전하는 것이었다.[42] 크로아티아 정부는 이 목적으로 오시예크를 제공했지만, 행정부는 자체 통제하에 있는 지역에 본부를 두고자 했기 때문에 이를 거부하여 부코바르가 선택되었다.[42] 1996년 초 미국 국무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가 재통합 과정을 지지하기 위해 부코바르를 방문했는데, 현지 세르비아 주민들에게 계란과 돌을 맞았다.[43] UNTAES는 점진적인 전환과 크로아티아 관리들의 초청을 통해 재통합을 촉진하여, 1996년 말 크로아티아 대통령 프라뇨 투지만이 처음으로 부코바르를 방문하여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대표단 간의 회의에 참석했다.[44] 투지만 대통령은 1997년 6월 8일 「평화 열차」로 알려진 행사에서 다시 부코바르를 방문했다.
갈등의 결과로 크로아티아 인구와 세르비아 인구 사이에 심각한 민족적 분열이 존재한다.
5. 인구
부코바르의 인구는 1857년 8,162명에서 1991년 46,735명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영향으로 2001년 31,670명, 2011년 27,683명, 2021년 23,536명으로 감소했다.
1948년부터 1991년 사이의 인구 증가는 산업 발전과 이민의 영향이 컸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계 주민들이 강제 이주 및 수용되면서, 몰수된 주택과 재산이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이주민들에게 주어졌다.
부코바르의 민족 구성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다음은 주요 연도별 민족 구성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이후, 많은 크로아티아인들은 다른 지역이나 서유럽으로 이주했고,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나 캐나다 등으로 이주했다. 2006년에는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주민의 비율이 거의 같아졌지만, 여전히 민족 간 분열과 불신이 남아있다.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아이들은 분리된 학교에 다니고 있으며, 공공장소는 민족성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49]
5. 1. 역사적 인구 변화
1948년부터 1991년까지 부코바르의 인구는 산업 발전으로 인해 빠르게 증가했으며, 특히 부코바르 지역과 도시의 성장은 이민으로 인한 것이었다. 일록(Ilok)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면서 지역 인구 분포도 크게 변화했다.가장 큰 변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민간인의 강제 이주 및 수용이었다. 몰수된 주택과 재산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이주민에게 주어졌다.
조사 연도 | 총계 |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인 | 기타 |
---|---|---|---|---|
1961년 | 54,707명 | 24,527명 (44.83%) | 22,774명 (41.63%) | 7,406명 (13.54%) |
1971년 | 76,602명 | 34,629명 (45.21%) | 28,470명 (37.17%) | 13,593명 (17.09%) |
1981년 | 81,203명 | 30,157명 (37.14%) | 25,146명 (30.97%) | 25,903명 (31.89%) |
1991년 | 84,024명 | 36,910명 (43.93%) | 31,910명 (37.98%) | 15,204명 (18.09%) |
2001년 | 31,670명 | 18,199명 (57.46%) | 10,412명 (32.88%) | 3,059명 (9.66%)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이후 많은 크로아티아인 원주민들이 크로아티아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서유럽(특히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으로 이민을 갔고,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나 캐나다, 서유럽으로 이동했다.
전쟁 15년 후인 2006년, 도시의 민족 구성은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주민의 비율이 거의 같았다.[48] 도시는 여전히 매우 분열되어 있으며, 더 깊은 화해는 뿌리내리지 못했다. 민족 공동체는 불신, 분열된 제도 및 실망으로 분리되어 있다.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어린이들을 위한 분리된 학교가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이 관련된 사건이 정기적으로 발생하며, 공공 장소는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그곳에 모이는 사람들의 민족성으로 구분된다. 심지어 커피숍조차 크로아티아인 또는 세르비아인으로 구분된다.[49]
5. 2. 민족 구성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코바르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46]연도 | 총계 |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인 | 기타 | |||
---|---|---|---|---|---|---|---|
2011 | 27,683 | 15,881 | 57.37% | 9,654 | 34.87% | 2,148 | 7.76% |
2021 | 23,536 | 14,605 | 63.02% | 6,890 | 29.73% | 2,041 | 7.25% |
1991년까지 부코바르는 28개의 민족 집단이 거주하는 다민족 사회였으나, 크로아티아 전쟁 이후 많은 크로아티아인들은 크로아티아의 다른 지역이나 서유럽(특히 독일, 오스트리아)으로 이주했고,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나 캐나다, 서유럽으로 이주했다.[82]
전쟁 15년 후인 2006년, 도시의 민족 구성은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주민의 비율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82] 그러나 도시는 여전히 분열되어 있으며,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어린이들을 위한 분리된 학교가 운영되는 등 깊은 화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공공장소는 제공되는 서비스가 아니라 그곳에 모이는 사람들의 민족성에 따라 구분되며, 커피숍조차 크로아티아인 또는 세르비아인으로 구분될 정도이다.[83]
5. 3. 소수 민족 언어
2011년 크로아티아 인구 조사에서 부코바르시의 세르비아인 인구가 3분의 1을 넘어서면서, 세르비아 키릴 문자는 헌법적으로 보호받는 공용어 지위를 얻기 위한 법적 전제 조건을 충족했다. 이는 2009년 세르비아 키릴 문자가 공공 사용을 위해 공포된 이후 이미 제기되었던 문제에 대한 정치적 논의를 2013년에 다시 불러일으켰다.[51] 2021년 인구 조사에서는 세르비아인 인구가 3분의 1 미만으로 나타나 부코바르시에서 세르비아 키릴 문자의 공식 지위에 대한 헌법적 보장이 사라졌다.[52]그러나 크로아티아 법은 소수 민족 인구가 3분의 1 미만인 경우에도 지방 당국이 공용어를 도입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허용한다.[53] 특히 이스트라주[53]와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하며, 국내 이해 관계자들은 2011년 인구 조사 이전에도 부코바르시가 이 옵션을 고려하도록 촉구했다.[54] 2021년 인구 조사 결과 발표 후, 부코바르 시장은 소수 언어 보호 조치를 폐지할 의사를 발표했지만, 크로아티아 헌법재판소의 미로슬라프 셰파로비치(Miroslav Šeparović) 소장을 포함한 일부 해설가들은 이미 획득한 권리의 폐지를 비판했다.[55]
6. 문화
부코바르는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를 가진 도시로,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피해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있다. 특히, 엘츠 가문 저택(Eltz Manor)을 비롯한 바로크 양식 건물들과 부체돌(Vučedol) 고고학 유적지는 부코바르의 대표적인 문화 명소이다.
부코바르에서는 연중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대표적인 행사들은 다음과 같다.
행사명 | 시기 | 장소 | 내용 |
---|---|---|---|
부코바르 영화제(Vukovar Film Festival) | 매년 (상세 시기 미정) | 다뉴브 강변 | 다뉴브 지역 국가들의 영화 상영, 지역 영화 제작자 지원 및 교류 |
부코바르 실내악 축제 | 6월 상순 | 엘츠 가문 저택(Eltz Manor), 성 로쿠스 예배당, 부코바르 성 필립과 야곱 교회 | 자그레브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연주, 크로아티아 및 유럽 솔로 연주자와 실내악 앙상블 공연 |
부코바르 인형 봄 축제 | 매년 부활절 전 성주간 전 주 | 부코바르 시, 브코바르스코-스리렘스카 주 일대 | 인형극 공연, 워크숍, 시상식 |
성 빈코의 날 (부체돌) | 1월 22일 | 골드슈미트 농장 | 포도원 작업 시작 기념, 포도밭 축복, 뱅쇼 및 전통 음식 제공 |
보노페스트 | 5월 중순 | 성 필립과 야곱 교회 | 성가 축제 |
민속 박람회 | 9월 | 시내 중심가 "호텔 그랜드" 건물 | 전통 수공예품, 와인 등 판매 |
부코바르 성탄절 축제 | 대림절 기간 (4주간) | (장소 미정) | 음악 및 공연 행사, 촛불 점화식 |
부코바르의 고요한 밤 | 부코바르 성탄절 축제 기간 | 성 필립과 야곱 교회 | 크로아티아 라디오 텔레비전 주최 크리스마스 콘서트 |
크리스마스 박람회 | 크리스마스 며칠 전 | (장소 미정) | (내용 미정) |
비물질적 크로아티아 문화유산 축제 ‘SVI zaJEDNO HRVATSKO NAJ’ | 5월 초 | (장소 미정) | (내용 미정) |
6. 1. 문화유산
최근 전쟁으로 엘츠 가문 저택(Eltz Manor), 시내 중심부의 바로크 양식 건물들, 성 필립과 성 야고보 성당이 있는 프란체스코 수도회 수도원, 부코바르 급수탑(Vukovar water tower), 노벨상 수상자 라브슬라브 루지치카(Lavoslav Ružička)의 생가, 성 니콜라스 정교회, 시르미아 주(Syrmia County) 궁전 등 많은 건물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1] 1998년 크로아티아의 평화적인 통합 이후 많은 건물들이 재건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폐허가 남아 있다.[1]도시 외곽, 다뉴브 강변의 일록(Ilok) 방향에는 주목할 만한 고고학 유적지인 부체돌(Vučedol)이 있다.[1] "부체돌 비둘기"(''vučedolska golubica'')라고 불리는 의식용 그릇은 부코바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 부체돌은 낚시꾼과 수영객, 특히 "오를로프 오토크"(독수리 섬, ''Orlov Otok'')의 모래사장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1]
부코바르 회당(Vukovar Synagogue)은 1889년에 세워졌으며, 1941년 나치에 의해 파괴되었다.[1] 폐허는 1958년에 철거될 때까지 남아 있었다.[1]
6. 2. 박물관

- '''부코바르 시립 박물관'''[59]은 1948년 안툰 바우어(Antun Bauer) 박사의 기증으로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구시가지의 마차 우체국 건물에 있었으나, 1966년 엘츠 성으로 이전했다. 향토 박물관은 부코바르의 선사 시대부터 현대까지의 역사를 보여주며, 고고학 유적지인 부체돌(Vučedol)에서 발굴된 유물과 엘츠 가문의 삶을 보여주는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유럽 박물관 포럼이 수여하는 유럽 실레토 상 – EMYA 2016을 수상했다.[60]
- '''바우어 컬렉션 및 미술관'''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크로아티아 근대 미술, 특히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 시대에 중점을 둔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블라호 부코바츠(Vlaho Bukovac), 마토 첼레스틴 메도비치(Mato Celestin Medović), 이반 메슈트로비치(Ivan Meštrović) 등 많은 작가들의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
- '''라보슬라브 루지치카 기념 박물관'''은 그가 태어난 집에 위치하며, 1939년 화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그의 삶과 업적을 보여주는 원본 문서와 메달을 전시하고 있다.
- '''부체돌 문화 박물관'''은 초기 인도유럽 문화 중 하나의 증거를 보여주는 곳이다. 2015년 6월 10일에 개관하였으며,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현대적인 박물관 중 하나이다. 2022년에는 유럽 "지속 가능한 문화 관광지" 상을 수상했다.[61] [62]
-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제2차 당대회 기념 박물관'''은 1920년 당대회가 열렸던 노동자 회관 건물(구 그랜드 호텔)에 위치해 있었다. 노동 운동의 발전과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창당과 관련된 자료들이 전시되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동안 엘츠 성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소장품들도 손상되었다. 일부는 완전히 파괴되었고, 일부는 사라졌으며, 일부는 세르비아로 반출되었다. 2001년 12월 13일, 크로아티아 공화국 문화부의 노력으로 소장품 일부가 부코바르로 반환되었다. 1991년부터 1997년까지 부코바르 시립 박물관은 자그레브의 미마라 박물관에서 운영되었다.
1992년 말, '망명 중인 부코바르 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컬렉션이 설립되었고, 크로아티아와 유럽 예술가들의 기증품 컬렉션이 만들어졌다. 현재 이 컬렉션은 1,400점이 넘는 크로아티아 근대 미술과 유럽 미술 작품을 모았으며, 복원된 엘츠 성에서 상설 전시되고 있다.
6. 3. 문화 행사
부코바르에서는 1년 내내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그중 가장 중요한 행사는 다뉴브 지역 부코바르 영화제(Vukovar Film Festival)이다.[63]- 부코바르 영화제: 다뉴브 지역 국가들의 유일한 영화제이며, 다뉴브 강변에서 개최되는 유일한 영화제이다. 지역 영화 제작자들의 창작 발전을 촉진하고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파괴된 도시의 문화적 복원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도로 조직되었다. 다뉴브 지역 국가들의 영화를 주제로 하며, 국제적으로 다뉴브 지역 국가들의 영화 제작자들을 연결하려고 노력한다.[63]
- 부코바르 실내악 축제(Vukovar Chamber music Festival): 6월 상순 엘츠 가문 저택(Eltz Manor), 성 로쿠스 예배당(Chapel of Saint Rok), 부코바르 성 필립과 야곱 교회에서 열리며, 전통적으로 자그레브 필하모닉 오케스트라(Zagreb Philharmonic Orchestra)의 연주로 시작된다. 크로아티아와 유럽의 솔로 연주자와 실내악 앙상블이 참여한다.[63]
- 부코바르 인형 봄 축제(Vukovar Puppet Spring Festival): 1996년 전국 극장 컨퍼런스로 설립되었다. 매년 약 15개의 인형극장이 공연하며, 5일간의 축제 기간 동안 브코바르스코-스리렘스카 주(Vukovarsko-Srijemska County)의 도시와 지방 자치체에서 약 100회의 공연을 한다. 축제의 중심지는 부코바르 시로, 16개의 공연이 열리고 다양한 워크숍과 시상식(크로아티아 인형극에 대한 평생 공로상)이 열린다. 이 축제는 매년 부활절 전 성주간 전 주에 같은 시기에 열린다.[63][64]
- 민속 박람회(Ethno fair): 매년 부코바르 시 관광청이 주최하며, 9월 시내 중심가의 "호텔 그랜드(Hotel Grand)" 건물에서 열린다. 다양한 장인, 와인 제조업자 및 기타 제조업체들이 크로아티아 이 지역의 유산을 대표하는 수제품을 판매한다.[63]
- 부코바르 성탄절 축제(Vukovar Advent Festivities): 대림절 기간 동안 4주간 열리며, 일련의 음악 및 공연 행사가 열린다. 전통적인 촛불 점화식이 진행되는 각 행사는 특별하다.[63]
- 부코바르의 고요한 밤(Silent night in Vukovar): 크로아티아 라디오 텔레비전(Croatian Radiotelevision)의 전통적인 크리스마스 콘서트이다. 부코바르 성탄절 축제 기간 동안 성 필립과 야곱 교회에서 열린다.[63]
7. 정치
부코바르는 부코바르-시르미아 주, 폴리테크닉 라브슬라프 루지치카 부코바르, 부코바르 김나지움 등 여러 지역 조직과 기관의 소재지이다. 크로아티아 공화국 세르비아어 문학 협회, 독립 민주 세르비아당, 다뉴브 세르비아인당과 같은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의 여러 조직과 기관, 부코바르 주재 세르비아 공화국 총영사관도 이곳에 있다.
부코바르 시의회는 19명으로 구성되며, 시장 선거는 결선 투표로 진행된다. 소수 민족의 권익 보호와 지역 문제 참여를 위해 소수 민족 의회와 대표가 선출된다.[57] 2023년 선거에서 헝가리인, 파노니아 루신인, 부코바르 세르비아인은 15명으로 구성된 소수 민족 의회를,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인은 개별 대표를 선출했다.[58]
7. 1. 지방 정부
2021년 크로아티아 지방선거 이후 부코바르 시의회는 19명의 대표로 구성되었다.[56] 총 23,138명의 유권자 중 11,160명(48.23%)이 선거에 참여했으며, 이 중 10,808표(96.85%)가 유효표였다.[56]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수 |
---|---|---|---|
이반 페나바 무소속 명단 | 4,516 | 41.78 | 9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2,347 | 21.71 | 5 |
세르비아 독립민주당 | 1,222 | 11.30 | 2 |
젤코 사보 무소속 명단 | 712 | 6.58 | 1 |
세르비아 민주동맹 | 631 | 5.83 | 1 |
크로아티아 국민당-자유민주당, 크로아티아 농민당, 크로아티아 사회자유당, 활동적인 무소속 연금 수령자 연합 | 599 | 5.54 | 1 |
5% 득표율 미달 정당 | |||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 423 | 3.91 | 0 |
무소속 정치인 드라간 크르노고라츠 명단 | 186 | 1.72 | 0 |
파바오 요시치 명단 | 172 | 1.59 | 0 |
시장 선거에서는 5명의 후보 중 누구도 과반 득표를 하지 못해 결선 투표가 치러졌다.[56] 결선 투표 결과, 우익 후보 이반 페나바가 5,392표를 얻어 시장으로 당선되었고,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의 니콜라 마자르 후보는 4,529표를 얻었다.[56]
부코바르 세르비아인 공동체 부시장은 1차 투표에서 세르비아 독립민주당의 스르잔 콜라르 후보가 1,128표를 얻어 당선되었고, 세르비아 민주동맹의 스르잔 밀라코비치 후보는 781표를 얻었다.[56]
7. 2. 소수 민족 의회 및 대표
직접 선출된 소수 민족 의회와 대표들은 자신들이 옹호하는 소수 민족의 권리와 이익, 공공 생활 통합, 지역 문제 관리 참여를 위해 지역 또는 지방 당국과 협의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57] 2023년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 의회 및 대표 선거에서 헝가리인, 파노니아 루신인, 부코바르 세르비아인은 부코바르 시의 15명으로 구성된 소수 민족 의회를 선출하기 위한 법적 요건을 충족했으며,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인은 개별 대표를 선출했다.[58]8. 경제
부코바르의 경제는 농업, 무역, 포도 재배, 식품 산업, 섬유 산업, 건축 자재 산업, 신발 산업 및 관광에 기반을 두고 있다. 부코바르는 다뉴브 강에 위치한 크로아티아 최대의 도시이자 강 항구이다.[83]
부코바르 항(Port of Vukovar)은 다뉴브 강 하류 1335km 지점 오른쪽 강둑에 위치하며, 부코바르 지역에서 가장 큰 공식 양허권자이다. 이 회사는 일반화물과 벌크화물의 환적에 사업을 집중하고 있다. 항구(길이 850m, 폭 45m)는 강의 주요 흐름에 편리하게 위치해 있어 수위에 관계없이 연중 내내 항해가 가능하다. 항구는 2009년 123,570톤에서 2011년 295,199톤으로 생산성 증가와 화물 환적량 증가를 기록했다. 환적의 대부분은 벌크화물(2011년 237,119톤)이었고, 포장화물과 중량화물은 총 58,080톤이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만 재건된 부코바르의 항만 인프라는 여전히 시장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항구 지역의 배치, 특히 철도 트랙과 부두 운영 지역으로의 접근은 기술적으로 부적절하며 시장 표준과 호환되지 않는다. 또한 창고 용량이 부족하다. 이 모든 것이 항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항구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67]
부코바르에 위치한 신발 제조업체인 보로보(Borovo)는 1991년 전쟁 중에 황폐화되고 파괴되었다. 1931년 6월 7일, 보로보는 체코 실업가 토마스 바타(Tomáš Baťa)에 의해 설립되었다. 전성기에는 24,000명의 직원을 고용했고 신발 제조 혁신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시도했지만, 현재는 1,000명 미만의 직원만 남아 있다. 1947년부터 1980년대 말까지 보로보는 이 지역에서 신발 및 고무 생산 및 판매 분야에서 가장 크고 경제적으로 가장 강력한 기업으로 성장했다. 보로보 공장은 연간 2천만 켤레 이상의 신발과 수천 톤의 자동차용 고무 및 고무 기술 제품을 생산했으며, 전국에 600개 이상의 매장이 있었다.
비즈니스 혁신 센터 BIC-부코바르(Business Innovation Centre BIC-Vukovar)는 기업의 규모나 성숙도에 관계없이 혁신적이고 기술 지향적인 기업가 정신을 지원하기 위한 포괄적인 개념이다.[68]
전쟁 종전 이후 부코바르의 인프라 상당 부분이 복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실업률은 40%로 추산된다.[49] 부코바르는 개발이 저조한 지자체로, 크로아티아 정부에 의해 통계적으로 1등급 특별 국가 관심 지역으로 분류된다.[69]
9. 교통
부코바르는 팬유럽 교통 회랑에 위치하거나 인접해 있어 중앙 및 동남유럽 시장 접근성이 좋다.
- 팬유럽 교통 회랑 VII - 다뉴브 강 (루카 부코바르)
- 회랑 X - 철도 - 빈코브치 중심지(가장 큰 지역 철도 중심지)에서 14km 거리
- 고속도로 A3 - 42km 거리
- 유럽 고속도로 E73 - A5 고속도로 - 31km 거리
9. 1. 도로
부코바르는 크로아티아 북동부(북위 45°20', 동경 16°40')에 위치하며 부코바르-스리옘 주의 주도이다. 부카 강이 다뉴브 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잡고 있으며, 보이보디나(세르비아) 방향 다뉴브 강변에 국경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다뉴브 강이라는 국제 수로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지리적 위치의 특수성으로 인해 부코바르는 주요 도로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한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헝가리, 세르비아 등 인접 국가와의 교통 연결이 양호하다. 부코바르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철도 중심지인 빈코브치(Vinkovci)에서 16km 떨어져 있으며, 빈코브치를 경유하는 D55 국도를 통해 잘 연결되어 있다. 자그레브-리포바츠 고속도로(A3)의 주요 교차로인 주파냐(Županja)에서 39km 떨어져 있다. 33km 떨어진 오시예크(Osijek)는 D2 국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국도를 통해 부코바르는 팬유럽 고속도로(A6)인 코리도르 Vc(Corridor Vc)와 연결된다.
9. 2. 철도
빈코브치-부코바르 철도가 있으며, 빈코브치는 크로아티아 최대 철도 중심지이다.9. 3. 항만
부코바르 항(Port of Vukovar)은 다뉴브 강 하류 1335km 지점 오른쪽 강둑에 있는 부코바르 지역에서 가장 큰 항구이다. 일반화물과 벌크화물의 환적을 주로 처리하며, 길이 850m, 폭 45m의 항구는 강의 주요 흐름에 위치하여 수위에 관계없이 연중 내내 항해가 가능하다.2009년 123,570톤에서 2011년 295,199톤으로 생산성과 화물 환적량이 증가했으며, 환적의 대부분은 벌크화물(2011년 237,119톤), 포장화물과 중량화물은 총 58,080톤이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만 재건된 항만 인프라는 여전히 시장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철도 트랙과 부두 운영 지역으로의 접근은 기술적으로 부적절하며 시장 표준과 호환되지 않고, 창고 용량도 부족하다. 이 모든 것이 항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과 경쟁력을 떨어뜨린다.[67]
부코바르는 다뉴브 강에 위치한 크로아티아 최대의 도시이자 강 항구이다.[83]
9. 4. 공항
부코바르에서 북서쪽으로 20km 거리에 오시예크 공항(Osijek Airport)이 있어, 이 지역은 항공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10. 교육
1730년대 부코바르에서는 일반 교육이 발전하였다. 프란체스코회 학교에서 구 부코바르의 초등학교가 발전하였고, 신 부코바르에는 자체 학교가 있었다. 아이들을 위한 종교 학교(정교회 유대교, 독일어, 세르비아 정교회, 헝가리어 학교)가 운영되었다. 1886년에는 직업학교가, 1891년에는 김나지움이 설립되었다.[10]
부코바르에는 7개의 초등학교와 김나지움 1개를 포함한 5개의 고등학교, 그리고 음악 학교가 있다. 이 도시에는 라브슬라브 루지치카 공과대학이 있어 경제 및 무역, 법률 및 물리치료 분야에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스플리트 대학교는 부코바르에서 정보기술, 경제 및 법률 분야의 분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오시예크 대학교도 경제 및 법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10]
11. 스포츠
다미르 마르틴은 부코바르 출신의 크로아티아 조정 선수이자 2회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로, 2010년과 2013년에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두 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부코바르 시의 주요 스포츠 시설은 다음과 같다.
- 보로보 스포츠 홀(수용 인원 3,000명): 1978년 보로보에서 열린 유고슬라비아 국제 탁구 선수권 대회를 위해 개장되었다.[70]
- FC Vukovar '91 경기장
- "리예바 바라"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센터 (무술 경기장 포함)
- 보로보 네셀레 테니스 센터
- 테니스 코트와 승마 시설
- 사격장
- "힐-7"을 갖춘 "흐르고비치" 스포츠 센터
- 부코바르 시 경기장과 FC 부텍스 슬로가 경기장을 포함한 여러 축구 경기장
2017년 3월 부코바르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현대적인 수영장 단지가 문을 열었다. 이 수영장 단지는 부코바르 시 중심부에서 약 5km 떨어져 있다. 실내 수영장(50m x 25m)과 22mx12m, 25mx12m 크기의 야외 수영장 두 개가 있다. 수영장 단지 내에는 피트니스 룸, 사우나, 탈의실, 식당도 있으며, 같은 스포츠 단지 내에는 모든 실내 스포츠, 복싱, 체육관, 피트니스, 볼링을 위한 스포츠 홀도 있다.
12. 대중문화 속 부코바르
- 요 네스뵈(Jo Nesbø)의 2005년 소설 《구원자》(The Redeemer)는 브코바르 포위 공격을 배경으로 한다. 이 소설에서 브코바르 포위 공격 생존자들은 오슬로(Oslo)에서 벌어지는 살인 사건에 연루되며, 해리 홀(Harry Hole) 경감이 이 사건을 해결한다.[71]
- 2000년 프랑스 전쟁 드라마 영화 《해리슨의 꽃들》(Harrison's Flowers)은 이자벨 엘센(Isabel Ellsen)의 소설 "Diable à l'avantage"를 원작으로 엘리 슈라키(Elie Chouraqui)가 감독했다. 브코바르 전투 중 실종된 남편을 찾는 미국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다. 앤디 맥도웰(Andie MacDowell), 엘리아스 코테아스(Elias Koteas), 브렌단 글리슨(Brendan Gleeson), 에이드리언 브로디(Adrien Brody), 데이비드 스트래서른(David Strathairn) 등이 출연했으며, 미국과 체코에서 촬영되었다.[71]
- 세르비아 감독 보로 드라슈코비치(Boro Drašković)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점령 기간 동안 《브코바르: 이야기》(Vukovar, jedna priča) 또는 《브코바르 우체국》(Vukovar poste restante)을 촬영했다. 이 영화는 제67회 아카데미 시상식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세르비아 출품작으로 선정되었으나 후보 지명에는 실패했다. 이 영화는 반전 영화이자 전쟁 선전 영화로 묘사된다.[71]
- 크로아티아 싱어송라이터 네나드 바흐(Nenad Bach)는 1991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준군사조직의 브코바르 포위 공격과 오브차라 학살을 소재로 한 노래 "Vukovar"를 발표했다.[71]
- 미국 드라마 《ER》(ER)에서 고란 비슈니치(Goran Višnjić)가 연기한 루카 코바치(Luka Kovač) 박사는 브코바르 출신으로, 브코바르 포위 공격에서 아내와 아이들을 잃고 미국으로 이민 온 인물이다.[72]
- 1984년부터 시드니(Sydney)에는 크로아티아계 오스트레일리아인 민속 앙상블 "Vukovar"가 활동하고 있다.[73]
13. 자매 도시
도시 | 국가 | 체결년도 |
---|---|---|
바치 | Бач|바치sr | 2011년 |
두브로브니크 | Dubrovnik|두브로브니크hr | 1993년 |
포드스트라나 | Podstrana|포드스트라나hr | 1995년 |
신 | Sinj|신hr | 2011년 |
시베니크 | Šibenik|시베니크hr | 2011년 |
트로기르 | Trogir|트로기르hr | 2011년 |
모스타르 | Mostar|모스타르bs | 2012년 |
두고폴예 | Dugopolje|두고폴예hr | 2014년 |
슈카브르냐 | Škabrnja|슈카브르냐hr | 2015년 |
마카르스카 | Makarska|마카르스카hr | 2015년 |
크닌 | Knin|크닌hr | 2015년 |
바라주딘 | Varaždin|바라주딘hr | 2017년 |
오자크 | Odžak|오자크bs | 2018년 |
이모츠키 | Imotski|이모츠키hr | 2018년 |
칼로바츠 | Karlovac|칼로바츠hr | 2018년 |
스플리트 | Split|스플리트hr | 2019년 |
크르크 | Krk|크르크hr | 2020년 |
오미슈 | Omiš|오미슈hr | 2022년 |
파르티잔스케 | Partizánske|파르티잔스케sk | 2021년[76] |
참조
[1]
Wikidata
[2]
Croatian Census
[3]
Croatian Census
[4]
논문
Ime Mursa
http://hrcak.srce.hr[...]
2018-04-03
[5]
서적
Treasures of Yugoslavia
[6]
웹사이트
Ime Vukovar preuzeli smo od Mađara, znate li koje je bilo staro hrvatsko ime grada heroja?
https://vukovar.dnev[...]
2020-10-26
[7]
웹사이트
Vukovar Hrvatska enciklopedija
https://www.enciklop[...]
2022-10-02
[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Vukovar
https://turizamvukov[...]
2023-07-16
[9]
논문
Late La Tène Settlements in the Vinkovci Region (Eastern Slavonia, Croatia): Centres of Trade and Exchange.
https://www.austriac[...]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19-01-22
[10]
웹사이트
Grad Vukovar – Povijest grada Vukovara
https://www.vukovar.[...]
2022-10-06
[11]
서적
Treasures of Yugoslavia
Yugoslaviapublic
[12]
웹사이트
Šetnja kroz povijest Vukovara u srednjem vijeku
https://povijest.hr/[...]
[13]
서적
Treasures of Yugoslavia
[14]
논문
Skrnavljenje spomenika u režiji HDZ-a: o inicijativi za obnovu spomen kompleksa Dudik
Serb Democratic Forum
2009-09
[15]
서적
Memorials in the Aftermath of Armed Conflict: From History to Heritage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06-03
[16]
웹사이트
Vukovar: Odana počast bugarskim vojnicima
https://radio.hrt.hr[...]
Croatian Radiotelevision
2024-04-26
[17]
웹사이트
Na Dan Pobede setili se stradalih u Drugom svetskom ratu
https://srbi.hr/na-d[...]
Joint Council of Municipalities
2024-04-26
[18]
웹사이트
Bombs from the II World War found in Vukovar
https://web.archive.[...]
vktel.com
2010-11-18
[19]
서적
[20]
문서
Bassiouni, Annex III.
1994-12-28
[21]
서적
[22]
뉴스
Tense situation in Vukovar
BBC
1991-06-20
[23]
법원판결
Prosecutor v. Mrkšić, Radić & Šljivančanin – Judgement
2007-09-27
[24]
뉴스
BBC Summary of World Broadcasts
1991-07-09
[25]
웹사이트
Regional Report: Vukovar Serb Killings Investigated
https://iwpr.net/glo[...]
2005-04-29
[26]
웹사이트
Vukovarski Srbi pitaju: Što je s našim ubijenima? Evo odgovora iz DORH-a
https://www.tportal.[...]
2018-10-30
[27]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LLC
[28]
웹사이트
Serb leader apologises for Croatian massacre
http://www.euronews.[...]
Euronews
2011-04-04
[2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0-05-06
[30]
웹사이트
Danijel Rehak ponovno izabran za predsjednika Hrvatskog društva logoraša
https://web.archive.[...]
2004-04-30
[31]
웹사이트
Mesić nakon sastanka s Del Ponte: Netko mora odgovarati što je Vukovar pretvoren u Staljingrad
https://www.index.hr[...]
[32]
웹사이트
Croatia: Vukovar is Still Haunted by the Shadow of its Past
https://web.archive.[...]
2009-05-06
[33]
웹사이트
Tens of thousands gather for 15th anniversary of Vukovar siege 1991 – 2006
https://web.archive.[...]
Croatian World Network
2010-11-18
[34]
웹사이트
Two jailed over Croatia massacre
https://web.archive.[...]
BBC News
2010-11-18
[35]
뉴스
Ratko Mladic arrested: Goran Hadzic last remaining major figure at large
https://www.telegrap[...]
2011-05-29
[36]
웹사이트
The Associated Press: Serbia arrests last Balkan war crimes fugitive
https://www.google.c[...]
2011-07-21
[37]
웹사이트
Goran Hadžić, last Yugoslav war fugitive arrested, dies
https://www.theguard[...]
2016-07-13
[38]
웹사이트
The Prosecutor of the Tribunal against Goran Hadžić – Indictment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4-05-21
[39]
웹사이트
U bijegu su Goranu Hadžiću najviše pomagali crkveni krugovi
https://dnevnik.hr/v[...]
[40]
논문
Put do Erduta-Položaj Hrvatske u međunarodnoj zajednici 1994.-1995. i reintegracija hrvatskog Podunavlja
http://hrcak.srce.hr[...]
Hrvatski institut za povijest
[41]
서적
Croatia at the United Nations, October 21, 1993 – January 16, 1998
Permanent Mission of the Republic of Croatia to the United Nations
1998
[42]
논문
The Political Challenges of Administering Eastern Slavonia
Global Governance: A Review of Multilateralism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2004-01-01
[43]
논문
Sjedinjene Američke Države i reintegracija hrvatskog Podunavlja
http://hrcak.srce.hr[...]
Scrinia Slavonica, Vol.8,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2016-04-01
[44]
서적
Premijerka : Zapisci one koja nije htjela biti zapisničarka
Ljevak
2020
[45]
웹사이트
Stanovništvo grada Vukovara
http://www.vukovar.h[...]
2013-05-04
[46]
웹사이트
SAS Output
http://www.dzs.hr/Hr[...]
Dzs.hr
2009-06-23
[47]
웹사이트
Državni zavod za statistiku Republike Hrvatske
http://www.dzs.hr/Hr[...]
Dzs.hr
2013-03-12
[48]
웹사이트
Vukovar: Day of remembrance
http://www.b92.net/e[...]
B92
2006-11-18
[49]
웹사이트
Vukovar still divided 15 years on
http://www.b92.net/e[...]
B92
2006-11-27
[50]
웹사이트
Croatia plans Cyrillic signs for Serbs in Vukovar
https://www.bbc.co.u[...]
2013-01-03
[51]
뉴스
Ekskluzivna reportaža iz Vukovara – Ćirilica će nevidljivi zid koji dijeli Hrvate i Srbe pretvoriti u betonski
http://www.jutarnji.[...]
2013-02-01
[52]
뉴스
Broj Srba u Vukovaru pao ispod 30 posto, izgubili pravo na ćirilicu
https://www.vecernji[...]
2022-09-22
[53]
웹사이트
Prava nacionalnih manjina
https://www.ombudsma[...]
Ombudswoman of the Republic of Croatia
2022-04-12
[54]
웹사이트
The Position of National Minorities in the Republic of Croatia–Legislation and Practice, page 18
http://www.ombudsman[...]
ombudsman.hr
[55]
웹사이트
Franjina 'new age' država": Popis razotkrio protumanjinsko raspoloženje
https://balkans.alja[...]
Al Jazeera Balkans
2022-10-02
[56]
웹사이트
Rezultati izbora u Vukovarsko-srijemskoj županiji
https://www.izbori.h[...]
The State Electoral Commission (DIP)
[57]
웹사이트
Manjinski izbori prve nedjelje u svibnju, kreću i edukacije
https://www.tportal.[...]
T-portal
2023-03-13
[58]
웹사이트
Informacija o konačnim rezultatima izbora članova vijeća i izbora predstavnika nacionalnih manjina 2023. XVI. VUKOVARSKO-SRIJEMSKA ŽUPANIJA
https://www.izbori.h[...]
Državno izborno povjerenstvo Republike Hrvatske
2023
[59]
웹사이트
Gradski muzej Vukovar / Vukovar Municipal Museum
https://www.facebook[...]
[60]
웹사이트
Winners – EMYA 2016
https://www.topictol[...]
[61]
웹사이트
Vučedol Culture Museum in Vukovar wins prestigious European award
https://www.croatiaw[...]
2022-10-25
[62]
웹사이트
Vukovar – Home of the Vučedol Dove – Way to Croatia
http://www.waytocroa[...]
[63]
웹사이트
Vukovar puppets spring – Assitej International
http://www.assitej-i[...]
[64]
웹사이트
Na Lutkarsko proljeće dolaze 84 predstave, Vinkovci
http://vinkovci.com.[...]
[65]
웹사이트
VUKOVAR TOURIST BOARD – Bonofest
http://www.turizamvu[...]
[66]
웹사이트
5th 'SVI zaJEDNO HRVATSKO NAJ' festival to take place in Vukovar on 5–7 May
https://www.croatiaw[...]
Croatia Week
2023-03-28
[67]
웹사이트
Port of Vukovar, Vukovar
http://www.aik-inves[...]
[68]
웹사이트
About project
http://bic-vukovar.h[...]
[69]
논문
AREAS OF SPECIAL STATE CONCERN IN CROATIA- REGIONAL DEVELOPMENT DIFFERENCES AND THE DEMOGRAPHIC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https://hrcak.srce.h[...]
Ekonomski pregled, Vol.55 No.5-6
2004-06-01
[70]
웹사이트
Table Tennis – Championship of Yugoslavia Borovo 1978
http://www.delcampe.[...]
[71]
뉴스
J. Pavičić: Film me iznervirao zbog te vrste političke retorike
https://www.jutarnji[...]
2009-10-23
[72]
웹사이트
Luka Talks About How His Family Died
https://www.youtube.[...]
YouTube (channel ER – Emergency Room)
2021-01-05
[73]
웹사이트
"Vukovar" proslavio 40. obljetnicu pred oduševljenom publikom
https://www.sbs.com.[...]
SBS
2024-11-05
[74]
웹사이트
Consulates- Vukovar, Croatia
http://vukovar.mfa.g[...]
[75]
웹사이트
Gradovi prijatelji
https://www.vukovar.[...]
Vukovar
2021-12-06
[76]
웹사이트
Potpisan Memorandum o razumijevanju i uspostavi partnerstva s gradom Partizánske
https://www.vukovar.[...]
Vukovar
2021-12-06
[77]
웹사이트
Bomba iz 2.svjetskog rata u Vukovaru
http://www.vktel.com[...]
[78]
웹사이트
http://news.bbc.co.u[...]
[79]
웹사이트
http://www.index.hr/[...]
[80]
웹사이트
Croatia: Vukovar is Still Haunted by the Shadow of its Past | Inside Europe | Deutsche Welle | 22.08.2006
http://www.dw-world.[...]
Dw-world.de
[81]
뉴스
Two jailed over Croatia massacre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9-27
[82]
뉴스
Vukovar: Day of remembrance
http://www.b92.net/e[...]
B92
2006-11-18
[83]
뉴스
Vukovar still divided 15 years on
http://www.b92.net/e[...]
B92
2006-11-27
[84]
웹사이트
Bač
http://www.skgo.org/[...]
Skgo.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