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군은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군대로,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창설되었으며, 이후 전후 개혁을 통해 NATO 가입 및 국제 평화 유지 임무 참여를 위한 현대적인 군대로 발전했다. 현재는 NATO의 집단 방어 체제에 참여하고 있으며, 코소보, 아프가니스탄, 리투아니아 등지에서 다양한 국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군 예산은 GDP의 2%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장비 현대화 및 전문 군인 양성에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군사 -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 전후에 결성되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무기 압수와 세르비아계 반란으로 인한 군사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 크로아티아의 군사 - 크로아티아 육군
크로아티아 육군은 1991년 크로아티아 국민 방위대를 모체로 창설되어 조국 전쟁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주권 수호와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기여하며 전력 증강을 추진하고 있다.
크로아티아군 | |
---|---|
개요 | |
![]() | |
명칭 | 크로아티아 공화국군 (Oružane snage Republike Hrvatske – OSRH) |
창설 | 1991년 |
병력 규모 | 현역: 14,100명 (2023년) 예비군: 17,580명 |
징병 제도 | 모병제 |
연령 제한 | 만 18세 이상 |
최고 사령관 | 조란 밀라노비치 |
최고 사령관 직책 | 대통령 |
국방부 장관 | 이반 아누시치 |
국방부 | 국방부 |
참모총장 | 티호미르 쿤디드 |
참모총장 직책 | 참모총장 |
예산 | 15억 600만 유로 (2024년) |
GDP 대비 비율 | 1.81% (2024년) |
웹사이트 | 크로아티아 국방부 (영문) |
군사 구조 | |
군종 | 육군 해군 공군 |
국내 공급 업체 | 쥬로 자코비치 (장갑차) 브로도스플리트 (해군 함정) HS 프로둑트 (소화기) |
해외 공급 업체 | |
역사 | |
관련 항목 | 크로아티아의 군사 역사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 크로아티아 군인 목록 크로아티아의 훈장 |
배치 현황 | |
파병 국가 | - 26명 - 195명 - 205명 - 161명 - 520명 / - 20명 - 12명 |
계급 | |
군사 계급 | 크로아티아 군사 계급 |
2. 역사
2009년 4월, 크로아티아는 알바니아와 함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여 집단 안보 체제에 편입되었다.[24]
전쟁 이후 크로아티아군은 군대의 기동성, 다기능성, 유연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중요한 개혁을 거쳤다. 2002년부터 국방 시스템 개혁이 시작되어 NATO와 유럽 연합의 안보 체제 참여를 목표로 현대적인 국방 시스템을 구축했다.[10] 2006년에는 크로아티아 의회에서 ''2006-2015년 크로아티아군 장기 개발 계획''을 채택하여 향후 10년간 군대 개혁, 개발, 현대화의 방향을 설정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개별 국가 방어에서 집단 방어 및 안보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2007년에는 징병제를 폐지하고 자원 군 복무를 도입하여 군대의 전문화를 추진했다.[11]
2015-2024년 장기 개발 계획은 군대의 절약적인 개발을 예상했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유럽의 안보 상황 악화로 크로아티아는 군 예산을 크게 늘렸다.
2. 1.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1991년 ~ 1995년)
1991년 늦봄, 국가 방위군단의 첫 번째 군 부대가 창설되었으며, 1991년 4월 20일 공화국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설립되었다. 법적 및 정치적 이유로 형식적으로 내무부의 일부였다. 국가 정책에 의해 창설된 구조와 부대 외에도, 정당 군대 또는 그 느슨한 연합도 있었다. 크로아티아 권리당은 사적으로 무장하고, 비교적 훈련이 잘 되어 있으며 전술 수준에서 훈련된 무장 부대인 크로아티아 방위군(HOS)을 조직하여 전장의 주요 위치에 배치했다. 민주변화당(개혁 공산주의자, SDP)은 이스트리아, 리토럴 및 달마티아에서 활동가들을 무장시켰으며, 집권 (HDZ)도 크로아티아의 다른 지역에서 그렇게 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TO 시스템이 재활성화되어(예: 자그레브) 더 나은 결과를 얻었다.지휘 및 통제 시스템은 처음에는 매우 혼란스러웠으며, 권한은 모호하고 불분명했다. 따라서 ZNG는 내무부와 국방부의 이중 관할 하에 있었다. 현장의 지휘부의 상당 부분은 정치적 관리들이 구성하고 이끌었는데, 그들은 JNA에서 징병 복무를 하는 동안 습득한 것보다 더 넓은 군사적 지식을 반드시 갖고 있지는 않았다. 현장에는 종종 여러 개의 다른 부대가 있었는데, 비록 그들이 명목상 같은 조직에 속해 있더라도, 종종 공통의 상위 지휘부를 갖고 있지 않았다.
ZNG(나중에 HV)의 주요 임무는 JNA 및 기타 세력의 가장 중요한 방향으로의 침투를 막고, 도시와 주요 지역을 방어하며, 자체 배치 깊숙한 곳에 있는 JNA 막사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임무는 1991년 9월 21일 새로운 국방법에 따라 무장 세력이 단일 크로아티아군(HV)으로 조직되고, 참모총장 안톤 투스 장군을 참모총장으로 하는 참모총장이 설립된 후에야 더욱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되기 시작했다. 그 당시, 예비 병사의 보다 체계적인 동원과 부대, 지휘부 및 기관의 조직, 그리고 계획된 병력 사용이 시작되었다.
1991년 10월 1일, 오시예크, 벨로바르, 자그레브, 카를로바츠, 리예카 및 스플리트에 본부를 둔 대규모 군사-영토 및 전투 지휘부(작전 구역)가 형성되었다. 그들에게 종속된 것은 특정 방향과 지역을 지휘하는 작전 그룹이었다. 기본적이고 동시에 가장 높은 전술 부대는 보병 여단(전문 및 예비)이었으며, 다른 병과의 여단과 대대도 형성되었다. 연말까지 63개의 여단이 형성되고 발전했다.

국내전쟁 동안, 크로아티아군은 점진적으로 약 30만 명의 병력으로 성장했다. 대부분의 부대는 예비군, 즉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서 의무 복무 기간 동안 기본적인 군사 지식을 습득한 인원들로 채워졌다. 군사 경험이 축적되면서, 이들 부대의 질은 향상되었고, 전체 시스템의 조직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되었다.
크로아티아군은 18세 신병들의 훈련을 지속했는데, 이들은 의무 복무 기간 동안 일반적으로 전투 임무에 투입되지 않았다(청년들은 의무 복무를 마친 직후 전투 부대로 소집되는 경우가 많았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비밀 작전을 통해 (구 유고슬라비아의 전쟁 지역에 대한 군사 장비의 합법적인 조달은 방해받았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붕괴 이후 발생한 상당량의 군사 물자를 구매했다. 특히, 크로아티아 공군의 창설에 있어 소련제 전투기의 조달이 중요했다. 크로아티아 공군은 약 20대의 MiG 21 항공기[6]와 여러 대의 밀 Mi-24 공격 헬기, 그리고 여러 대의 수송 헬기를 보유하게 되었다. 또한, 국내 산업은 상당한 양의 무기와 군사 장비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7]
크로아티아 해군은 1991년 시베니크에서 유고슬라비아 해군 선박의 약 1/4을 성공적으로 탈취한 작전에 힘입어 상당 부분 창설되었다. RBS-15 대함 미사일도 탈취되었다.[8] 이 스웨덴제 시스템은 유고슬라비아 해군에 의해 아직 가동되지 않았지만, 크로아티아 해군은 크로아티아 전문가들이 자체적으로 "포보스" 사격 통제 시스템을 개발한 후 가동에 성공했다. 즉, 스웨덴 제조업체는 무기 시스템의 핵심 부품을 인도할 수 없었다. 70km 이상의 사거리를 가진 현대적인 미사일의 실전 배치를 통해, 크로아티아 해군은 적 해군의 심각한 행동을 광범위하게 방지했다.
크로아티아 공화국군은 1996년 3월 12일까지 전시 체제를 유지했으며, 크로아티아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평시 체제로 전환되었다.[9]
2. 2. 전후 개혁과 NATO 가입
전쟁이 끝난 후 상황이 안정되면서 크로아티아군은 여러 차례 중요한 개혁을 거쳤다. 다른 전환국 및 NATO 회원국들과 마찬가지로, 크로아티아군 역시 무기의 대량 보유보다는 군대의 기동성, 다기능성, 유연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냉전 시대의 낡은 개념은 더 이상 적용될 수 없었고, 새로운 안보 위협과 국제 정세는 군대 구조에 대한 더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했다.2002년, 국방 시스템 개혁 절차가 시작되었다. 개혁의 목표는 크로아티아가 NATO와 유럽 연합의 안보 체제에 참여하는 것을 고려하여, 새로운 시대의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 현대적인 국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었다.[10] 이러한 개혁의 주요 지침은 크로아티아 공화국 국가 안보 전략, 크로아티아 공화국 국방 전략, 크로아티아 공화국 군사 전략과 같은 전략 문서에 의해 설정되었다.
2003년, 국방부와 참모총장은 2005년에 채택된 ''전략 국방 검토''(Strategic Defence Review, ''SPO'') 작업에 착수했다. 2006년 7월 7일, 크로아티아 의회는 ''2006-2015년 크로아티아군 장기 개발 계획''(Long-Term Development Plan of the Croatian Armed Forces 2006 – 2015, ''DPR'')을 채택하여 향후 10년 동안 크로아티아군의 추가 개혁, 개발, 현대화를 위한 명확한 내용과 기간을 설정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크로아티아의 개별(국가) 방어에서 집단 방어 및 안보 메커니즘으로의 점진적인 전환이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 크로아티아군은 징집이 아닌 자발적인 병력 보충을 통해 전문화되었다. (이는 예비군 보충 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자발적/계약적 예비군 제도는 징집병 복무 완료 후 더 이상 징집병으로 보충될 수 없기 때문이다.)
- 집단 방어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더 작지만 더 잘 훈련되고, 장비가 잘 갖춰져 있으며, 동맹국과 호환되고 상호 운용 가능한 현역 및 예비군 구성을 의미한다.
- 크로아티아와 같이 동맹 회원국인 소규모 국가는 제한된 역량으로 특정 방식으로 공동 작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특화"할 수 있다.
- 집단 활동, 국제 임무, 예방적 안보 활동 등에 크로아티아군 부대 및 구성원의 전반적인 참여를 더욱 확대한다.
2007년, 크로아티아는 징병을 소집하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의무 군 복무를 폐지하고 자원 군 복무를 도입하는 크로아티아군의 전문화를 향한 중요한 단계였다.[11] 첫 번째 자원 징집병은 2008년 11월에 복무를 시작했다.
2015-2024년 기간 동안의 크로아티아군 장기 개발 계획은 군대의 절약적인 개발을 예상했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절정에 달한 러시아와 관련된 유럽의 안보 상황 악화로 인해 크로아티아에서는 크로아티아군을 강화하려는 정치적 의지가 형성되었고 군 예산이 크게 증가했다.
2009년 4월, 크로아티아는 알바니아와 동시에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면서 이후 집단 안보 체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24]
3. 국방 예산
유럽 국가의 군사비 지출 목록 참고. 크로아티아의 국방 예산과 지출 추세는 꾸준히 GDP의 2% 미만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인해 국방비 지출이 크로아티아 예산 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1990년대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1995년 크로아티아 국방 예산은 124억 크로아티아 쿠나 또는 GDP의 약 10%였으며, 이는 당시 최고 국방비 지출률이기도 했다. 2019년 말, 크로아티아 정부는 국방비 지출 전략을 개정하여 국방비 지출을 점진적으로 늘려 NATO의 2% 목표를 달성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2019년과 2020년 국방 예산은 새로운 지출 계획에 맞춰 즉시 수정 및 증액되었다. 그러나 크로아티아의 국방비 지출에 국방 연금을 포함하면 크로아티아는 이미 NATO가 권고하는 2% 목표를 충족한다. 크로아티아에서는 약 97,000명의 개인에게 11.4억유로가 국방 연금으로 지급되었다.
최근 몇 년간의 국방비 지출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금액 (미국 달러 기준) | GDP 대비 % | 변동 % |
---|---|---|---|
2014 | 10.64억달러 | 1.78 | |
2015 | 8.83억달러 | 1.73 | |
2016 | 8.37억달러 | 1.58 | 5.96 |
2017 | 9.26억달러 | 1.64 | |
2018 | 9.66억달러 | 1.56 | 2.81 |
2019 | 10.01억달러 | 1.61 | 7.19 |
2020 | 9.83억달러 | 1.69 | 3.02 |
2021 | 13.61억달러 | 1.95 | 30.82 |
2022 | 12.85억달러 | 1.78 | 2.40 |
2023 | 14.41억달러 | 1.74 | 0.73 |
2024 | 16.24억달러 | 1.81 | 7.11 |
2025년 예산 발표와 함께 국방비 지출은 NATO에 대한 의무에 따라 2% 목표를 달성할 것이다. 또한 군대 장비 현대화와 관련하여 총액의 29%를 새로운 NATO 표준 장비 구매에 사용할 계획이며, 이는 NATO 헌장이 회원국에 지출을 의무화하는 20%를 훨씬 초과한다.
4. 구조
크로아티아군은 크로아티아 육군, 크로아티아 해군, 크로아티아 공군의 3개 지부로 나뉜다. 각 지부는 특정 지리적 영역(육지, 바다, 공중)에서 임무를 수행하며, 작전 부대의 전투 준비 태세를 유지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한다.[18]
크로아티아군은 평시와 전시 구성을 갖는다. 평시에는 현역 군인, 공무원, 직원, 예비군 등으로 구성되며, 징병제가 시행될 경우 징집병이 포함될 수 있다. 전시에는 평시 구성원에 징집병이 추가된다.[18]
2014년 12월 1일부터 시행된 현재 구조에 따르면, 크로아티아군은 크로아티아군 참모본부, 각 지부 사령부(육군, 해군, 공군), "Dr. Franjo Tuđman" 크로아티아 국방 아카데미, 지원 사령부, 특수 부대 사령부, 군기 법원, 군 대표부, 본부 지원 부대 등으로 구성된다.[18]
- 크로아티아군 참모본부: 국방부 내 조직으로, 군대 지휘, 준비 및 사용을 담당한다. 최고 사령관(대통령) 및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군대를 지휘하며, 특수 부대 사령부, 명예 경비대대 등을 직할 지휘한다.[18]
- 지부 사령부: 각 군의 지부 기능을 담당하며, 예하 부대 및 인력 훈련을 담당한다.[18]
- "Dr. Franjo Tuđman" 크로아티아 국방 아카데미: 군사 고등 교육 기관으로, 자그레브 Črnomerec 지역의 "페타르 즈린스키" 막사에 위치해 있다.[18]
- 지원 사령부: 군수, 의료, 인력 지원을 담당한다.[18]
- 특수 부대 사령부: 크로아티아군 참모본부 직속으로, NATO 및 연합 작전에 참여한다.[18]
- 군 대표부: 북대서양 조약 기구, 유럽 연합 등 관련 임무를 수행한다.[18]
- 본부 지원 부대: 정보 센터, 군사 경찰 연대, 명예 경비대대 등으로 구성된다.[18]
과거 크로아티아군은 육군 제3, 제4 군단과 해군 북부, 남부 군관구로 나뉘어 있었다.
4. 1. 지휘 통제
크로아티아 공화국 대통령은 크로아티아군 총사령관이다.[19] 평시에는 총사령관이 국방부 장관을 통해 군대를 지휘하며, 국방부 장관은 명령 이행에 대해 총사령관에게 책임을 지고 보고해야 한다. 임박한 위협이나 전쟁 상태에서는 총사령관이 직접 참모총장에게 명령을 내리고, 동시에 국방부 장관에게 발령된 명령을 통보한다. 이 경우 참모총장은 명령 이행에 대해 총사령관에게 책임을 진다. 국방부 장관이 총사령관의 명령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총사령관은 참모총장을 통해 직접 군대를 지휘할 수 있다.[20]군대의 지휘와 지시는 지휘 임무를 수행하도록 임명, 배정된 장교와 부사관이 수행한다. 지휘는 단일 지휘 및 종속의 원칙에 기반하며, 군 구성원은 자신의 업무, 지휘 및 관리에 대해 상사에게 책임을 진다.
국내외 모든 부대의 지휘 및 통제를 위한 통일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크로아티아군 참모총장에 지휘 작전 센터(ZOS)라는 새로운 조직 단위가 설립되었다.[21] 지휘 작전 센터에서는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영공 및 영해 감시 임무 수행을 포함, 최대 96시간 동안 크로아티아군 부대의 모든 활동 및 작전 수행이 가능한 단일 작전 상황이 생성된다.
크로아티아 사보르는 군대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행사한다.
5. 계급
구분 | 계급명 | 영문 표기 |
---|---|---|
장성[1] | 상급대장 | Stožerni general |
대장 | General zbora | |
중장 | General pukovnik | |
소장 | General bojnik | |
준장 | General bojnik | |
영관[1] | 대령 | Brigadir |
중령 | Pukovnik | |
소령 | Bojnik | |
위관[1] | 대위 | Satnik |
중위 | Nadporučnik | |
소위 | Poručnik | |
부사관[1] | 원사 | Master Sergeant |
상사 | Nadnarednik | |
선임 원사 | Sergeant Major | |
부사관[1] | 중사 | Narednik |
하사 | Desetnik | |
병장 | Skupnik | |
병[1] | 상병 | Razvodnik |
일병 | Pozornik |
6. 국제 협력
크로아티아는 1999년부터 유엔 평화 유지 임무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임무를 포함한 다양한 국제 협력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6. 1. 주요 참여 임무
크로아티아는 1999년 유엔 평화 유지 임무에 처음 참여하여 UNAMSIL에 10명의 평화 감시원을 파견했다.[22] 2003년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NATO의 ISAF 임무에 군사 경찰 소대를 파견하며 NATO 임무에도 참여하기 시작했다. 2008년 10월에는 차드 및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EU 평화 유지 임무(EUFOR)에 정찰팀(15명)을 6개월간 배치했다.[22]2009년 7월부터 코소보에서 KFOR 작전에 참여하여 20명의 병력과 Mi-171Sh 수송 헬리콥터 2대로 구성된 첫 번째 HRVCON을 파견했다. 크로아티아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에서 NATO의 전진 주둔 강화 작전에 참여하고 있으며, 2017년 11월에는 NATO의 전진 주둔 강화 제1차 크로아티아 파견대가 리투아니아로 파견되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 이후, 2022년 2월 NATO는 강화된 경계 활동을 시작했고, 크로아티아는 2022년 7월부터 헝가리에 파견대를 보내며 이 전투단에 참여하고 있다.[23]
2018년 9월 크로아티아 해군의 RTOP-41 Vukovar함이 지중해에서 시 가디언 작전에 참여했다. 크로아티아 공화국 군은 2007년 7월부터 UNIFIL 작전에 참모 장교로, 2013년부터 연락 장교로 참여해 왔다. 2023년 3월, 크로아티아군 장교는 이스라엘 방위군 군인의 대피를 지원한 공로로 UNIFIL 사령관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22]
2009년 4월, 크로아티아가 알바니아와 동시에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면서 이후 집단 안보 체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24]
2023년 기준 크로아티아군의 주요 참여 임무는 다음과 같다.
임무 | 조직 | 위치 | 병력 수 |
---|---|---|---|
NATO 전진 주둔 강화 – 전투단 폴란드 | NATO | 폴란드 | 161 |
NATO 전진 주둔 강화 – 전투단 리투아니아 | NATO | 리투아니아 | 195 |
NATO 전진 주둔 강화 – 전투단 헝가리 | NATO | 헝가리 | 205 |
NATO 코소보 - KFOR | NATO | 코소보 | 520 |
이라크의 NATO 임무 | NATO | 이라크 | 26 |
NATO 상설 기뢰 제거 그룹 2 | NATO | 지중해 | 13 |
시 가디언 작전 | NATO | 지중해 | 66 |
유럽 연합 해군 소말리아 - 아탈란타 작전 | 유럽 연합 | 소말리아 | 4 |
유럽 연합 해군 지중해 - 이리니 작전 | 유럽 연합 | 지중해 | 5 |
인도-파키스탄 유엔 군사 감시단 – UNMOGIP | 유엔 | 인도 및 파키스탄 | 20 |
서사하라 유엔 임무 - MINURSO | 유엔 | 서사하라 | 12 |
유엔 레바논 임시군 - UNIFIL | 유엔 | 레바논 | 2 |
결연한 해결 작전 | 미군 | 쿠웨이트 | 3 |
크로아티아군이 과거에 참여했던 임무는 다음과 같다.
임무 | 조직 | 위치 |
---|---|---|
차드 유럽 연합 임무 – EUFOR 차드/RCA | 유럽 연합 | 차드 |
유럽 연합 해군 지중해 - 소피아 작전 | 유럽 연합 | 지중해 |
국제 안보 지원군 – ISAF | NATO | 아프가니스탄 |
액티브 엔데버 작전 | NATO | 지중해 |
트리톤 작전 | 유럽 연합 | 지중해 |
결의 지원 임무 – RS | NATO | 아프가니스탄 |
유엔 분리 감시군 – UNDOF | 유엔 | 골란 고원 - 시리아 및 이스라엘 |
에티오피아 및 에리트레아 유엔 임무 – UNMEE | 유엔 | 에티오피아 및 에리트레아 |
라이베리아 유엔 임무 – UNMIL | 유엔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유엔 임무 – UNAMSIL | 유엔 | 시에라리온 |
동티모르 지원 유엔 임무 – UNMISET | 유엔 | 동티모르 |
조지아 유엔 감시단 – UNOMIG | 유엔 | 조지아 |
코트디부아르 유엔 작전 – UNOCI | 유엔 | 코트디부아르 |
키프로스 유엔 평화 유지군 – UNFICYP | 유엔 | 키프로스 |
아이티 유엔 안정화 임무 – MINUSTAH | 유엔 | 아이티 |
참조
[1]
웹사이트
Annual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mplement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Defense 2021–2024 for the year 2023
https://www.morh.hr/[...]
2024-12-16
[2]
웹사이트
NATO
https://www.nato.int[...]
[3]
웹사이트
Godišnjeizvješćeoobraniza2023. godinu
https://www.sabor.hr[...]
[4]
웹사이트
Croatia to reintroduce compulsory military draft as regional tensions soar
https://apnews.com/a[...]
2024-08-16
[5]
웹사이트
MORH Oprema
https://www.morh.hr/[...]
2024-05-24
[6]
웹사이트
Prvi put nakon rata otkriveni originalni računi za oružje
https://arhiva.nacio[...]
[7]
웹사이트
Vojna tehnika i oprema HV-a
https://vojnapovijes[...]
[8]
웹사이트
Prva pobjeda u obrani od velikosrpske agresije – šibenska bitka u rujnu 1991. godine
https://vojnapovijes[...]
[9]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http://www.predsjedn[...]
[10]
웹사이트
Change of doctrine of the Croatian Armed Forces
http://www.hrvatski-[...]
[11]
웹사이트
Abolishment of Conscription
http://www.nacional.[...]
[12]
웹사이트
Pročešljali smo novi državni proračun: Vojska, policija, političari, umirovljenici i učitelji trljaju ruke, medicinari najveći gubitnici
https://www.tportal.[...]
[13]
웹사이트
Koliko iznose mirovine hrvatskih branitelja?
https://n1info.hr/bi[...]
2022-11-18
[14]
웹사이트
Defence Expenditure of NATO Countries (2014-2023)
https://www.sipri.or[...]
[15]
웹사이트
Defence Expenditure of NATO Countries (2014-2024)
https://www.nato.int[...]
[16]
웹사이트
International Monetary Fund Croatia economic outlook
https://www.imf.org/[...]
[17]
웹사이트
Proracun 2025: ulaganja u opremanje i modernizaciju vojske
https://vlada.gov.hr[...]
[18]
웹사이트
DUGOROČNI PLAN RAZVOJA ORUŽANIH SNAGA REPUBLIKE HRVATSKE ZA RAZDOBLJE OD 2015. DO 2024.
https://narodne-novi[...]
[19]
웹사이트
USTAV RH
http://narodne-novin[...]
[20]
웹사이트
Zakon o obrani
https://narodne-novi[...]
[21]
웹사이트
Strateski pregled obrane
http://www.morh.hr/k[...]
[22]
웹사이트
International deployments for the year 2023
https://www.sabor.hr[...]
[23]
웹사이트
International deployment for the year 2022.
https://www.sabor.hr[...]
[24]
웹사이트
外務省:北大西洋条約機構(NATO: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の概要 平成21年7月
https://www.mofa.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