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태풍은 1996년에 발생한 태풍들의 정보를 담고 있다. 이 해에는 총 26개의 태풍이 발생했으며, 이는 연평균 태풍 발생 개수와 비슷한 수치이다. 각 태풍의 이름, 발생 날짜, 최대 강도, 영향 지역, 피해액, 사망자 수 등의 정보가 표로 정리되어 있으며, 태풍 경로도와 월별 발생 개수 정보도 제공된다. 1996년에는 총 1,047명이 사망하고, 약 83억 9,850만 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26개의 태풍 외에 52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각 태풍에 대한 상세 정보와 피해 상황이 설명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96년 태풍
시즌 정보
관할 구역
북서태평양
연도
1996년
첫 번째 열대 폭풍 발생일
1996년 1월 12일
마지막 열대 폭풍 소멸일
1996년 12월 29일
가장 강력한 태풍 이름
허브 (태풍 9호)
가장 강력한 태풍 최저 기압
925hPa
가장 강력한 태풍 최대 풍속
95kt
평균 풍속
10kt
총 열대 저기압 수
52개
총 태풍 수
30개
총 허리케인 수
16개
총 강한 태풍 수 (비공식)
6개
사망자 수
1,047명
피해액
83억 9천만 달러
이전 시즌
1994년
다음 시즌
1998년
관련 시즌
1996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1996년 태평양 태풍 시즌 요약 지도
2. 통계
1996년에는 2월 29일에 제1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총 26개의 태풍이 발생하였다. 이는 평균적인 태풍 발생 개수인 26.7개와 비슷한 수치이다.
최저 기압과 최대 풍속 정보가 없는 경우는 자료가 불충분한 경우이다. 이 외에도 여러 개의 열대저기압이 발생했지만, 세력이 약하거나 태풍으로 발달하지 못했다.
3. 1. 제1호 태풍 9601호 (아시앙)
1996년 2월 23일, 필리핀해 남쪽에서 넓은 대류역이 발달했다. 이 대류는 저기압으로 발달했고, 처음에는 풍속의 영향을 받았지만, 곧 유리한 조건으로 바뀌어 2월 27일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하기 전 급격히 세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일본 기상청(JMA)은 2월 29일 필리핀으로 이동한 01W를 열대 폭풍으로 격상시켰으나, 육지와의 상호 작용으로 약화되었다.[2][3] 3월 1일, 한랭 전선이 차갑고 건조한 공기와 수직적인 윈드 시어를 가져와 시스템을 남쪽으로 밀어내면서 시스템의 저고도 순환 중심이 노출되었다. 노출된 01W의 잔해는 열대 수렴대에 완전히 흡수되기 전까지 남쪽으로 계속 이동했다.
3. 2. 제2호 태풍 앤 (비링)
열대폭풍 앤(Ann, 비링(Biring))은 1996년 필리핀을 강타한 파괴적인 열대폭풍이었다. 4월 7일에 상륙하여 광범위한 홍수와 산사태를 일으켜 1,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고, 약 4000만달러의 재산 피해를 입혔다. 앤은 그 해 필리핀에 영향을 미친 두 번째 열대 저기압이었다.[2][3]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최대 크기(직경)
10분 최대 풍속(KMA)
최대 강풍 반경(KMA)
4월 1일
4월 10일
1000 hPa
35 kt
40 kt
220 km
18 m/s
110 km
3. 3. 제3호 태풍 바트 (콘싱)
Bart영어는 1996년 5월 8일에 발생하여 5월 19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5월 12일에 태풍으로 발달했지만 상륙하지는 않았다.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최대 크기(직경)
10분 최대 풍속(KMA)
최대 강풍 반경(KMA)
5월 10일
5월 19일
930 hPa
95 kt
125 kt
1000 km
49 m/s
500 km
3. 4. 제4호 태풍 캠 (디탕)
제4호 태풍 캠(Cam)은 1996년 5월 18일부터 5월 24일까지 활동한 열대폭풍으로, 필리핀과 타이완에 영향을 주었다.[2]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최대 크기(직경)
10분 최대 풍속(KMA)
최대 강풍 반경(KMA)
5월 20일
5월 24일
994 hPa
40 kt
60 kt
560 km
21 m/s
280 km
3. 5. 제5호 태풍 댄
제5호 태풍 댄(Dan)은 1996년 7월 6일에 발생하여 7월 12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일본에 영향을 주었다.[4] 최저 기압은 970 hPa, 10분 최대 풍속은 65 kt (33 m/s)였다.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최대 크기 (직경)
10분 최대 풍속(KMA)
최대 강풍 반경(KMA)
7월 6일
7월 12일
970 hPa
65 kt (33 m/s)
75 kt (39 m/s)
890 km
33 m/s
440 km
3. 6. 제6호 태풍 이브
태풍 이브는 1996년에 발생한 태풍 중 첫 번째로 5등급에 도달한 태풍이다. 7월 13일에 발생하여 7월 19일에 소멸하였다.[4] 일본에 상륙하여 9명의 부상자와 가옥 2,361채 파괴, 933채의 가옥 피해를 입혔다. 총 피해액은 788억 엔(5.13억달러)으로 추산된다.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최대 크기(직경)
10분 최대 풍속(KMA)
최대 강풍 반경(KMA)
7월 14일
7월 19일
940 hPa
85 kt
140 kt
670 km
44 m/s
330 km
3. 7. 제7호 태풍 프랭키 (에뎅)
Frankie영어는 1996년 7월 20일에 발생하여 7월 25일에 소멸한 강한 열대폭풍이다. 남중국해, 베트남에 영향을 주어 104명의 사망·실종자와 166.5조베트남 동 (14억달러) 이상의 피해를 발생시켰다.[4]
3. 8. 제8호 태풍 글로리아 (글로링)
Gloria영어는 1996년에 발생한 제8호 태풍이다. 7월 21일에 발생하여 7월 28일에 소멸하였다. 필리핀, 타이완, 중국에 영향을 주어 23명의 사상자와 2000만달러의 피해를 발생시켰다.[4]
3. 9. 제9호 태풍 허브 (화닝)
제9호 태풍 허브(화닝)는 1996년 7월 23일에 발생하여 8월 4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마리아나 제도, 타이완, 류큐 열도, 중국에 영향을 미쳐 590명의 사망자와 50억달러 (1996년 기준)의 피해를 발생시켰다.[2][3]
3. 10. 제10호 태풍 조이
Joy영어는 7월 29일부터 8월 6일까지 활동했다.[2]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7월 29일
8월 6일
980 hPa
55 kt
75 kt
분류:1996년 태풍
3. 11. 제11호 태풍 커크 (이상)
1996년 7월 28일, 태평양에서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다. 북서쪽으로 이동하며 8월 3일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 일본 남쪽에서 커크는 남동쪽으로 이동하여 서쪽으로 방향을 바꿔 8월 8일 태풍으로 발달했다. 이후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하다가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최대 풍속 110mph를 기록했다. 8월 14일, 태풍은 동일 강도로 일본 남서부에 상륙했다. 일본을 지나면서 약화되어 8월 16일 북태평양에서 소멸했다. 커크는 심각한 홍수를 유발하여 최소 2명의 사망자와 206억 엔(1.34억달러)의 재산 피해를 입혔다.[4][5]
3. 12. 제12호 태풍 리사
Lisa영어는 8월 4일 남중국해에서 발달하였다. 이 태풍은 북동쪽으로 이동하여 8월 6일 중국에 상륙한 후 이틀 뒤 소멸하였다.
3. 13. 제13호 태풍 니키 (루싱)
제13호 태풍 니키(Niki)는 1996년 8월 17일에 발생하여 8월 23일에 소멸하였다. 이 태풍은 필리핀, 베트남, 남중국해에 영향을 주어 6500만 달러의 피해를 입혔다.[2][3]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8월 17일
8월 23일
970 hPa
65 kt
95 kt
3. 14. 제14호 태풍 오손
태풍 오손은 8월 20일에 발생하여 9월 3일에 소멸하였다. 이 태풍은 마리아나 제도에 영향을 주었다.[2]
3. 15. 제15호 태풍 파이퍼
제15호 태풍 파이퍼(Piper영어)는 1996년 8월 22일에 발생하여 8월 26일에 소멸한 열대폭풍이다.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10분 최대 풍속
1분 최대 풍속
8월 22일
8월 26일
996 hPa
40 kt
65 kt
3. 16. 제16호 태풍 샐리 (마링)
-는 1996년 제16호 태풍으로, 9월 4일에 발생하여 9월 10일에 소멸하였다. 이 태풍은 필리핀, 남중국해에 영향을 주어 140명의 사망자와 15억달러의 피해를 발생시켰다.
3. 17. 제17호 태풍 바이올렛 (오상)
태풍 바이올렛(Violet)은 1996년 9월 13일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북서쪽으로 이동하다가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9월 23일 쿠릴 열도 부근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소멸하였다.[11] 9월 22일 오전에는 강한 세력으로 하치조 섬 서쪽 해상을 통과하였고, 낮에는 간토 지방을 폭풍권에 넣었으며, 오후에는 보소 반도 동쪽 해상을 북북동쪽으로 진행하였다. 그 후 산리쿠 해역, 홋카이도 동쪽 해상을 지나갔다.[11] 이 태풍은 일본에 영향을 주어 897채의 가옥을 파괴하고 12,226채의 가옥에 피해를 입혔으며, 167억 엔(1.09억달러)의 피해를 발생시켰다.
3. 18. 제18호 태풍 톰
Tom영어은 9월 12일에 발생하여 9월 20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65 hPa, 최대 풍속은 75노트(약 39 m/s)였다.[11]마리아나 제도에 영향을 주었다.
3. 19. 제19호 태풍 윌리
제19호 태풍 윌리(Willie)는 9월 15일에 발생하여 9월 23일에 소멸한 강한 열대폭풍이었다. 이 태풍은 남중국해,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에 영향을 주어 38명의 사망자와 40억달러의 피해를 발생시켰다.[11]
항목
내용
발생일
9월 15일
소멸일
9월 23일
최저 기압
985 hPa
10분 최대 풍속
55 kt
1분 최대 풍속
65 kt
3. 20. 제20호 태풍 예이츠
태풍 예이츠(Yates영어)는 1996년 9월 21일에 발생하여 10월 1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35 hPa, 10분 최대 풍속은 90노트(46 m/s)였다.[11] 이 태풍은 마리아나 제도에 영향을 주었다.
3. 21. 제21호 태풍 제인 (파링)
태풍 제인(Zane영어)은 9월 23일에 발생하여 10월 3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50 hPa, 10분 최대 풍속은 80노트(41 m/s)였다. 마셜 제도, 마리아나 제도에 영향을 주었다.[11]
3. 22. 제22호 태풍 베스 (세니앙)
Beth영어는 10월 11일에 발생하여 10월 22일에 소멸한 강한 열대폭풍이다.[2] Beth영어는 필리핀, 베트남에 영향을 미쳐 1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3] 10분 최대 풍속은 60kt, 1분 최대 풍속은 90kt, 최저 기압은 975hPa이었다.
3. 23. 제23호 태풍 칼로
Carlo영어는 1996년 제23호 태풍으로, 10월 20일에 발생하여 10월 26일에 소멸하였다. 이 태풍은 마리아나 제도에 영향을 주었다.
3. 24. 제24호 태풍 데일 (울피앙)
Dale영어은 11월 3일에 발생하여 11월 13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캐롤라인 제도, 마리아나 제도에 영향을 주어 3500000USD의 피해를 발생시켰다.[2]
3. 25. 제25호 태풍 어니 (토양)
Ernie영어는 11월 4일에 발생하여 11월 16일에 소멸한 열대폭풍이다.[11] 필리핀에 영향을 주어 24명의 사망자와 5.1억달러의 피해를 발생시켰다.
1996년 제25호 태풍 어니는 발생 후 남하한 태풍의 남하 폭(위도) 순위에서 8위를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