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놓고 아시아 지역의 이란과 오세아니아 지역의 오스트레일리아가 맞붙은 경기를 의미한다. 이란은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4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오세아니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우승했다. 1, 2차전 합계 3-3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이란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 조호르바루의 환희
    1997년 조호르바루에서 열린 일본 대 이란의 199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일본이 연장전 골든골로 승리하며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어 일본 축구 역사에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남아있다.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남미, 오세아니아, 유럽 예선에서 결정된 4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아일랜드와 우루과이가 본선에 진출했다.
  • 1997년 11월 - 1997년 서아시아 경기 대회
    1997년 서아시아 경기 대회는 이란 테헤란에서 서아시아 국가들이 참가한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로, 이란을 포함한 10개국이 다양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이란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투르크메니스탄은 처음 참가하여 메달을 획득했다.
  • 1997년 11월 - 몬트리올 스크루잡
    몬트리올 스크루잡은 1997년 WWF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브렛 하트가 숀 마이클스에게 WWF 챔피언십을 잃는 과정에서 발생한 논란의 사건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은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였으며, 연장 접전 끝에 오스트레일리아가 2-1로 승리하여 AFC로 편입된 후 첫 아시안컵 우승을 차지했다.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북중미카리브, 남미, 오세아니아의 대표팀들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월드컵 본선 진출 티켓을 놓고 경쟁한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페루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경기 정보
대회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경기 종류대륙간 플레이오프 (AFC–OFC)
경기 결과총 3–3 동점으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이란 승리
1차전
경기일1997년 11월 22일
경기장아자디 스타디움
도시테헤란
관중128,000명
심판피에르루이지 파이레토(이탈리아)
경기 결과이란 1 : 1 오스트레일리아
맨 오브 더 매치해당 정보 없음
2차전
경기일1997년 11월 29일
경기장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도시멜버른
관중85,022명
심판샨도르 풀(헝가리)
경기 결과이란 2 : 2 오스트레일리아
맨 오브 더 매치해당 정보 없음
득점 선수
최다 득점자해리 큐얼(2골, 오스트레일리아)
호다다드 아지지(2골, 이란)
기타 정보
이전1994
다음2002

2. 참가국

3. 배경

1994년 FIFA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는 1994년 FIFA 월드컵 남미 예선에서 4위를 차지한 아르헨티나가 199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예선에서 1위를 차지한 호주를 꺾고 월드컵 본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199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예선 우승팀의 대전 상대가 아시아 축구 연맹(AFC) 예선 4위 팀으로 변경되었다. 199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예선에서는 호주가 우승을 차지했고,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3위 결정전에서 일본에게 패배하여 AFC 지역 4위가 된 이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출전하게 되었다.

3. 1.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B조 순위 (이란)

ایران|이란fa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B조에서 3승 3무 2패, 승점 12점을 기록하여 조 2위를 차지하였다. 이란은 8경기에서 13득점 8실점을 기록했으며, 골득실은 +5였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style="text-align:left;"|842286214
style="text-align:left;"|8332138512
style="text-align:left;"|83231114−311
style="text-align:left;"|8314710−310
style="text-align:left;"|822478−18


3. 2. 오세아니아 지역 최종 예선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오스트레일리아44002622412
솔로몬 제도4112721−144
타히티4013212−101


4. 경기 결과

1997년 11월 22일과 29일에 1998년 FIFA 월드컵 진출권을 놓고 이란오스트레일리아가 대륙간 플레이오프 경기를 가졌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이란3 - 3 (a)오스트레일리아1 - 12 - 2



두 경기 합계 3-3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이란이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1차전은 이란 테헤란에서, 2차전은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열렸다.

4. 1. 1차전 (이란 테헤란)

1997년 11월 22일 이란 테헤란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해리 큐얼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이란아지지가 동점골을 넣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당시 10만 명을 수용할 수 있었던 아자디 스타디움에는 128,000명의 관중이 몰려들어 이 경기의 관중은 매우 많았다.[1]

경기 정보
이란 오스트레일리아
width="25" |width="25" |GK1아흐마드 레자 아베드자데 (주장)GK1마크 보스니치
DF2메흐디 마다비키아DF4스티브 호바트
DF4모하마드 하크푸르DF2크레이그 무어
DF16레자 샤흐루디DF5알렉스 토빈 (주장)
DF5아프신 페이로바니MF7로비 슬레이터
MF7알리 레자 만수리안MF6네드 젤리치
MF9하미드 에스틸리MF8크레이그 포스터
FW20메흐디 파샤자데MF10아우렐리오 비드마
FW23나에임 사아다비MF3토니 비드마
FW11호다다드 아지지FW9마크 비두카
FW10알리 다에이FW11해리 큐얼
교체 선수:교체 선수:
GK22니마 나키사GK22젤코 칼라치
DF15알리 아크바르 오스타드-아사디 12밀란 이바노비치
MF8마지드 남주-모틀라크 13스탄 라자리디스
MF25메르다드 미나반드 14어니 타파이
DF24자바드 자리체흐 15요십 스코코
FW19파르하드 마지디 16그레이엄 아놀드
MF18에브라힘 타하미 17존 알로이지
감독:감독:
발데르 비에이라 테리 베나블스



심판
경기 규칙


4. 2. 2차전 (호주 멜버른)

1997년 11월 29일 멜버른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에서 열린 2차전에는 85,022명의 관중이 모였다. 경기 초반 오스트레일리아해리 큐얼과 아우렐리오 비드마의 연속골로 2-0 리드를 잡으며 (1998년 월드컵) 본선 진출에 가까워지는 듯 했다. 그러나 이란카림 바게리호다다드 아지지의 연속골로 순식간에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2][3] 특히, 이란의 두 번째 골 직후에는 관중 피터 호어가 경기장에 난입하여 이란의 골망을 찢는 소동이 벌어져 경기가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

결국 양 팀은 2-2 무승부를 기록했고, 합계 3-3으로 동률을 이뤘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이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반면 오스트레일리아는 예선 내내 무패를 기록하고도 본선 진출에 실패하는 아픔을 겪었다.

당시 SBS 중계에서 레 머레이와 조니 워렌은 슬픔을 감추지 못했고, 특히 워렌은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테리 베나블스 감독은 훗날 이 경기를 "내 인생에서 가장 슬픈 스포츠 순간 중 하나"라고 회상했다.[4]

경기 정보
날짜1997년 11월 29일
시간20:15 (AEDT)
경기장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멜버른
관중85,022명
주심풀 샨도르
경기 결과
득점득점 선수
오스트레일리아2해리 큐얼 (32), 아우렐리오 비드마 (48)
이란2카림 바게리 (76), 호다다드 아지지 (80)



선수 명단
오스트레일리아 이란



경기 정보


5. 결과 및 영향

이란은 합계 3 - 3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1]

축구 저널리스트 오스미 요시유키는 이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자신의 저서에서 '''멜버른의 비극'''이라고 칭했다. 호주는 두 경기 모두 선제골을 넣었지만 따라잡혔고, 2차전에서는 후반 30분까지 2점 차로 앞서고 있었다. 하지만 실점 중 1점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던 아지지가 연결하여 만들어진 골이었으며, 승점, 득실차, 득점 수가 모두 동점이고 원정 골 1점 차로 탈락하는 등, 호주 입장에서 불리한 상황들이 많았다.[1]

참조

[1] 웹사이트 Classic Football Matches Qualifiers – FIFA.com https://web.archive.[...]
[2] 뉴스 Socceroos' Tehran return revives memories of Iran heartbreak http://theworldgame.[...] SBS 2017-03-22
[3] 뉴스 No Tehran bedlam for Socceroos 20 years on http://www.abc.net.a[...] ABC News 2017-03-22
[4] 문서 The Mourning After SB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