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하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은 2000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육상, 체조, 사격, 유도, 근대5종, 역도,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17개의 메달(금 3, 은 5, 동 9)을 획득했다. 야니나 카롤치크, 엘리나 즈베레바, 예카테리나 카르스텐은 육상과 조정에서 금메달을, 율리아 라스킨아, 타티아나 안안코 등은 체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인 중립 선수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인 중립 선수들은 2024년 하계 올림픽에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는 벨라루스와 러시아 출신 선수들을 의미하며, 카누, 사이클, 체조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32명이 참가한다.
하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 2004년 하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벨라루스 선수단은 아테네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4개, 동메달 6개를 획득했으며, 육상, 수영, 역도, 카누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하여 경쟁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00년 하계 올림픽 개인 선수단 2000년 하계 올림픽에 동티모르는 육상, 복싱, 역도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남자 마라톤 71위, 여자 마라톤 43위, 복싱 라이트급 32강 탈락, 역도 남자 56kg급 20위를 기록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00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참가한 영국 선수단은 육상, 사이클, 조정, 요트, 카누, 근대5종, 사격 등 다양한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스포츠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축구는 남자부에서 카메룬, 여자부에서 노르웨이가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여러 도시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2000년 하계 올림픽 유도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유도는 달링 하버에서 남자와 여자 각각 7체급으로 나뉘어 총 14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노무라 다다히로, 다무라 료코 등의 금메달리스트와 대한민국 선수들의 은메달, 동메달 획득이 있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기본 정보
NOC
벨라루스 올림픽 위원회
대회
하계 올림픽
연도
2000
개최지
시드니
참가 선수
139명 (남자 72명, 여자 67명)
종목
20개
기수
세르게이 리슈트반
순위
23위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1개
총 메달 수
17개
참가 횟수
자동
첫 참가 연도
1996
이전 참가
러시아 제국 (1900–1912) 폴란드 (1924–1936) 소비에트 연방 (1952–1988) 독립국가연합 (1992)
'''양궁''': 여자 선수 2명이 개인전에 출전했다. 안나 카라세바는 64강에서 승리했으나 32강에서 윤미진에게 패배했다. 올가 모로즈는 64강에서 탈락했다.
'''육상''': 금메달 2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여자 포환던지기의 야니나 카롤치크와 여자 원반던지기의 엘리나 즈베레바가 금메달을, 남자 해머던지기의 이고르 아스타프코비치, 여자 원반던지기의 이리나 야첸코, 여자 7종 경기의 나탈리야 사자노비치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외에도 남자 원반던지기의 바실리 캅튜흐와 남자 해머던지기의 이반 티혼이 4위를 기록하는 등 여러 선수들이 결선에 진출했다.
'''복싱''': 남자 라이트 웰터급에 세르게이 비코프스키가 출전하여 8강까지 진출하며 최종 5위를 기록했다.
'''카누''': 남자 C-1 500m에 알렉산드르 마세이코프가 출전하여 준결승에서 8위에 머물렀다. 여자 K-2 500m의 엘레나 베트, 스베틀라나 바쿨라 조는 준결승 7위를 기록했고, K-4 500m 팀(알레샤 바쿠노바, 엘레나 베트, 나탈리아 본다렌코, 스베틀라나 바쿨라)은 결선에서 6위를 차지했다.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의 뱌체슬라프 하물킨은 예선 23위로 탈락했다. 여자 3m 스프링보드의 스베틀라나 알렉세예바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최종 15위를 기록했다.
'''펜싱''': 남자 선수 4명이 출전했다. 개인 에페에서는 비탈리 자하로프(24위), 블라디미르 프체니킨(31위), 안드레이 무라슈코(38위)가 모두 32강 또는 64강에서 탈락했다. 이 세 선수가 출전한 단체 에페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개인 사브르의 드미트리 랍케스는 16강까지 진출하여 최종 15위를 기록했다.
'''기계체조''': 남자 단체 종합에서 8위를 기록했다. 개인전에서는 이반 이반코프가 링과 평행봉에서 각각 5위를 차지했고, 개인 종합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알렉세이 싱케비치는 개인 종합 23위, 이반 파블로프스키는 33위를 기록했다. 여자 단체 종합에서는 예선 12위에 머물렀다. 개인전에서는 타티아나 자르가노바가 평행봉 결선에 진출하여 5위를 차지했다. 개인 종합에서는 마리나 자르지츠카야가 26위, 알레나 폴로즈코바가 33위를 기록했다.
'''리듬체조''': 개인 종합에서 율리야 라스키나가 은메달을, 발레리야 바트키나가 8위를 차지했다. 단체 종합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트램폴린''': 남자 개인전의 드미트리 폴랴루시와 여자 개인전의 나탈리아 카르펜코바가 각각 결선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유도''': 남자 73kg급의 아나톨리 라류코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100kg급의 루슬란 샤라포프는 5위를 기록했다. 다른 출전 선수들(나티크 바기로프, 세르게이 쿠하렌카, 레오니드 스비리드)은 16강 또는 32강에서 탈락했다.
'''근대5종''': 남자 개인전의 파벨 도브갈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개인전의 잔나 추베노크는 6위를 기록했다.
'''조정''': 여자 싱글 스컬의 예카테리나 카르스텐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에이트 팀은 결선에서 4위를 기록했다.
'''요트''': 남자 470급의 이고르 이바신초프, 미하일 프로타세비치 조가 21위, 여자 유럽급의 타치아나 드로즈도프스카야가 24위, 오픈 레이저급의 알렉산드르 무미가가 32위를 기록했다.
'''사격''': 남자부에서 이고르 바신스키가 50m 권총 은메달과 10m 공기 권총 동메달을, 세르게이 마르티노프가 50m 소총 복사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부에서는 랄리타 야우흘레우스카야가 25m 권총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나톨리 클리멘코(남자 10m 공기 소총 4위), 율리아 시냑(여자 25m 권총 4위), 올레크 크바초바스(남자 25m 속사 권총 6위) 등도 결선에 진출했다.
'''수영''': 여자 200m 자유형의 나탈리아 바라노우스카야가 결선에 진출하여 6위를 기록했다. 남자 200m 자유형의 이고르 꼴레다는 준결승 12위를 기록했다. 다른 선수들은 예선 또는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남자 계영 팀들은 4x100m 자유형 계영 10위, 4x200m 자유형 계영 12위를 기록했다.
'''싱크로나이즈 스위밍''': 여자 듀엣에 크리스치나 나데즈디나와 나탈리아 사하루크 조가 출전하여 예선 19위를 기록했다.
'''탁구''': 남자 단식의 블라디미르 삼소노프가 8강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예우게니 슈체티닌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남자 복식의 삼소노프-슈체티닌 조는 조별 리그 2위로 탈락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타티아나 코스트로미나, 베로니카 파블로비치, 빅토리아 파블로비치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여자 복식의 코스트로미나-빅토리아 파블로비치 조는 16강에 진출하여 최종 9위를 기록했다.
'''테니스''': 남자 단식의 막스 미르니가 8강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블라디미르 볼치코프는 32강에서 탈락했다. 남자 복식의 미르니-볼치코프 조도 8강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여자 단식의 올가 바라반시코바와 나타샤 즈베레바는 모두 64강에서 탈락했다. 여자 복식의 바라반시코바-즈베레바 조는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배하여 최종 4위를 기록했다.
'''역도''': 남자 62kg급의 겐나디 올레슈크와 남자 69kg급의 세르게이 라브레노프가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56kg급의 비탈리 데르베뇨프는 7위, 여자 58kg급의 한나 바치우시카는 8위를 기록했다.
'''자유형''': 남자 54kg급의 헤르만 칸토예우와 69kg급의 세르게이 뎀첸코가 동메달 결정전까지 진출했으나 패배하여 4위를 기록했다. 130kg급의 알렉세이 메드베데프는 6위, 97kg급의 알렉산드르 셰마로프는 7위, 58kg급의 알렉산드르 구조프는 8위를 기록했다.
'''그레코로만형''': 남자 130kg급의 드미트리 데벨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85kg급의 발레리 치렌트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하여 4위를 기록했다. 76kg급의 비아차슬라우 마카란카는 7위, 97kg급의 세르게이 리슈트반은 9위를 기록했다.
3. 1. 육상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육상 종목에서 벨라루스는 금메달 2개와 동메달 3개를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여자 포환던지기의 야니나 카롤치크와 여자 원반던지기의 엘리나 즈베레바가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해머던지기의 이고르 아스타프코비치, 여자 원반던지기의 이리나 야첸코, 여자 7종 경기의 나탈리야 사자노비치는 동메달을 추가했다. 이 외에도 여러 선수들이 결선에 진출하는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약했다.
벨라루스는 2000년 하계 올림픽 리듬체조 종목에 개인 종합과 단체 종합 두 세부 종목에 선수를 파견했다. 개인 종합에는 율리아 라스키나가 출전했으며, 단체 종합에는 타치야나 아난코, 타치야나 벨란, 안나 글라즈코바, 이리나 일리엔코바, 마리아 라주크, 올가 푸제비치가 팀을 이루어 참가했다.
3. 4. 1. 개인 종합
율리아 라스키나 — 리듬체조 여자 개인 종합
3. 4. 2. 단체 종합
& 후프
합계
순위
클럽
리본 & 후프
합계
순위
타치야나 아난코 타치야나 벨란 안나 글라즈코바 이리나 일리엔코바 마리아 라주크 올가 푸제비치
단체
19.700
19.666
39.366
2 Q
19.800
19.700
39.500
2위
3. 5. 사격
2000년 하계 올림픽 사격 종목에서 벨라루스는 남자 6명, 여자 5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총 4개의 메달(은메달 1개, 동메달 3개)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남자부에서는 이고르 바신스키가 50m 권총에서 은메달, 10m 공기권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세르게이 마르티노프가 50m 소총 복사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여자부에서는 랄리타 야우흘레우스카야가 25m 권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외에도 아나톨리 클리멘코(남자 10m 공기소총 4위), 올레크 크바초바스(남자 25m 속사권총 6위), 율리아 시냑(여자 25m 권총 4위) 등 여러 선수가 결선에 진출하며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