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계 올림픽 비치발리볼 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비치발리볼 남자 경기는 브라질의 히카르도 산토스와 에마누엘 레고 조가 금메달을, 스페인의 하비에르 보스마와 파블로 에레라 조가 은메달을, 스위스의 스테판 코벨과 파트리크 헤우셔 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를 거쳐 메달리스트가 결정되었으며, 브라질은 남자 비치발리볼에서 첫 금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그리스 6개 도시에서 23세 이하 선수들이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메달 경쟁을 벌인 결과, 아르헨티나가 금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카를로스 테베스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남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핸드볼은 12개국이 참가하여 크로아티아가 금메달, 독일이 은메달, 러시아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으며 윤경신이 득점왕을 차지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비치발리볼 남자 | |
---|---|
대회 개요 | |
종목 | 비치발리볼 |
세부 종목 | 남자 토너먼트 |
참가국 | 24개국 |
개최 도시 | 아테네 |
개최 장소 | 팔리로 올림픽 콤플렉스 |
개최 기간 | 2004년 8월 15일 ~ 2004년 8월 25일 |
이전 및 다음 대회 | |
이전 대회 | 2000년 |
다음 대회 | 2008년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히카르두 산투스 / 이마누엘 헤구 |
은메달 | 하비에르 보스마 / 파블로 에레라 |
동메달 | 스테판 코벨 / 패트릭 하이서 |
2. 메달리스트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Brasil|브라질pt의 히카르도 산토스 / 에마누엘 헤고 조가 금메달을, España|스페인es의 하비에르 보스마 / 파블로 에레라 조가 은메달을, Schweiz|스위스de의 스테판 코벨 / 파트리크 헤우셔 조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 1. 남자
히카르도 산토스 / 에마누엘 헤고 조(브라질)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하비에르 보스마 / 파블로 에레라 조(스페인)는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스테판 코벨 / 파트리크 헤우셔 조(스위스)는 동메달을 획득하였다.메달 | 선수 | 국가 |
---|---|---|
금메달 | 히카르두 산투스 / 에마누엘 레고 | Brasil|브라질pt |
은메달 | 하비에르 보스마 / 파블로 에레라 | España|스페인es |
동메달 | 슈테판 코벨 / 파트리크 호이셔 | Schweiz|스위스de |
2004년 하계 올림픽 비치발리볼 남자 종목에는 총 24개 팀이 참가하여 4팀씩 6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렀다. 각 팀은 같은 조의 다른 팀들과 각각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3. 조별 예선
각 조의 상위 2팀과 각 조 3위 팀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4팀이 16강에 진출했다. 조별 순위는 승리 경기 수, 세트 득실률, 점수 득실률 순으로 결정되었다. 각 경기에서 승리하면 승점 2점, 패배하면 승점 1점을 얻었다.
F조의 파블로스 벨리그라티스el와 아타나시오스 미할로풀로스el로 구성된 그리스 팀은 벨리그라티스의 부상으로 인해 마지막 조별 예선 경기에 기권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상대팀인 마리아노 바라세티와 마르틴 콘데가 기권승을 거두었다.[1]
3. 1. A조
팀 | 경기 | 승 | 패 | 획득 세트 | 잃은 세트 | 득점 | 실점 | 승점 |
---|---|---|---|---|---|---|---|---|
히카르두 산투스pt / 에마누엘 레고pt () | 3 | 3 | 0 | 6 | 1 | 139 | 107 | 6 |
닥스턴 홀드렌영어 / 스타인 메츠거영어 () | 3 | 1 | 2 | 3 | 5 | 138 | 152 | 4 |
앤드루 샥트영어 / 조슈아 슬랙영어 () | 3 | 1 | 2 | 3 | 4 | 135 | 138 | 4 |
이베르 호렘no / 비에른 마세이드no () | 3 | 1 | 2 | 3 | 5 | 132 | 147 | 4 |
'''8월 15일'''
홀드렌 & 메츠거 () | 2–1 | 샥트 & 슬랙 () | 22–24, 24–22, 15–13 |
산투스 & 레고 () | 2–1 | 호렘 & 마세이드 () | 21–15, 19–21, 15–10 |
'''8월 17일'''
홀드렌 & 메츠거 () | 1–2 | 호렘 & 마세이드 () | 21–14, 15–21, 14–16 |
산투스 & 레고 () | 2–0 | 샥트 & 슬랙 () | 21–17, 21–17 |
'''8월 19일'''
샥트 & 슬랙 () | 2–0 | 호렘 & 마세이드 () | 21–18, 21–17 |
산투스 & 레고 () | 2–0 | 홀드렌 & 메츠거 () | 21–17, 21–10 |
3. 2. B조
B조에서는 독일의 안드레아스 쇼이어플루크 / 크리스토프 디크만, 브라질의 벤자민 인스란 / 마르시우 아라우주, 쿠바의 프란시스코 알바레스 / 후안 로셀, 프랑스의 스테판 카네 / 마티유 아멜이 경기를 치렀다.팀 | 경기 | 승 | 패 | 득세트 | 실세트 | 득점 | 실점 | 점수 |
---|---|---|---|---|---|---|---|---|
Scheuerpflug & Dieckmann|쇼이어플루크 & 디크만de | 3 | 2 | 1 | 5 | 3 | 147 | 140 | 5 |
Insfran & Araujo|인스란 & 아라우주pt | 3 | 2 | 1 | 4 | 2 | 124 | 111 | 5 |
Alvarez & Rossell|알바레스 & 로셀es | 3 | 1 | 2 | 3 | 4 | 133 | 137 | 4 |
Canet & Hamel|카네 & 아멜프랑스어 | 3 | 1 | 2 | 2 | 5 | 117 | 133 | 4 |
- 8월 15일
팀 | 팀 | 결과 | |
---|---|---|---|
쇼이어플루크 & 디크만 | 2–1 | 알바레스 & 로셀 | 21–19, 19–21, 15–10 |
인스란 & 아라우주 | 2–0 | 카네 & 아멜 | 21–13, 21–14 |
- 8월 17일
팀 | 팀 | 결과 | |
---|---|---|---|
쇼이어플루크 & 디크만 | 1-2 | 카네 & 아멜 | 21–17, 18–21, 10–15 |
인스란 & 아라우주 | 2–0 | 알바레스 & 로셀 | 23–21, 22–20 |
- 8월 19일
팀 | 팀 | 결과 | |
---|---|---|---|
알바레스 & 로셀 | 2–0 | 카네 & 아멜 | 21–18, 21–19 |
인스란 & 아라우주 | 0–2 | 쇼이어플루크 & 디크만 | 20–22, 17–21 |
3. 3. C조
팀 | 경기 | 승 | 패 | 득세트 | 실세트 | 득점 | 실점 | 승점 |
---|---|---|---|---|---|---|---|---|
하비에르 보스마es / 파블로 에레라es ( 스페인) | 3 | 3 | 0 | 6 | 2 | 150 | 124 | 6 |
폴 라시가de / 마르틴 라시가de ( 스위스) | 3 | 2 | 1 | 5 | 2 | 133 | 117 | 5 |
니콜라스 베르거de / 플로리안 고쉬de ( 오스트리아) | 3 | 1 | 2 | 2 | 4 | 105 | 118 | 4 |
로베르트 노보트니de / 페터 가르트마이어de ( 오스트리아) | 3 | 0 | 3 | 1 | 6 | 110 | 139 | 3 |
8월 15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라시가de & 라시가de | 2–0 | 노보트니de & 가르트마이어de | 21–14, 21–14 |
베르거de & 고쉬de | 0–2 | 보스마es & 에레라es | 14–21, 13–21 |
8월 17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라시가de & 라시가de | 1–2 | 보스마es & 에레라es | 19–21, 21–17, 9–15 |
베르거de & 고쉬de | 2–0 | 노보트니de & 가르트마이어de | 21–17, 21–17 |
8월 19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보스마es & 에레라es | 2–1 | 노보트니de & 가르트마이어de | 21–16, 19–21, 15–11 |
라시가de & 라시가de | 2–0 | 베르거de & 고쉬de | 21–17, 21–19 |
3. 4. D조
팀 | 경기 | 승 | 패 | 획득 세트 | 잃은 세트 | 득점 | 실점 | 승점 |
---|---|---|---|---|---|---|---|---|
마르쿠스 디크만 / 요나스 레케르만 (독일) | 3 | 2 | 1 | 5 | 2 | 145 | 121 | 5 |
비에른 베리 / 시몬 달 (스웨덴) | 3 | 2 | 1 | 4 | 3 | 131 | 126 | 5 |
요르 Kjemperud / 베가르 호이달렌 (노르웨이) | 3 | 2 | 1 | 4 | 4 | 148 | 153 | 5 |
라울 파팔레오 / 라몬 에르난데스 (푸에르토리코) | 3 | 0 | 3 | 2 | 6 | 130 | 154 | 3 |
;8월 14일
요르 Kjemperud / 베가르 호이달렌 | 0–2 | 비에른 베리 / 시몬 달 | 13–21, 18–21 |
마르쿠스 디크만 / 요나스 레케르만 | 2–0 | 라울 파팔레오 / 라몬 에르난데스 | 21–14, 21–13 |
;8월 16일
요르 Kjemperud / 베가르 호이달렌 | 2–1 | 라울 파팔레오 / 라몬 에르난데스 | 18–21, 21–19, 15–10 |
마르쿠스 디크만 / 요나스 레케르만 | 2–0 | 비에른 베리 / 시몬 달 | 21–16, 21–15 |
;8월 18일
비에른 베리 / 시몬 달 | 2–1 | 라울 파팔레오 / 라몬 에르난데스 | 19–21, 21–16, 18–16 |
마르쿠스 디크만 / 요나스 레케르만 | 1–2 | 요르 Kjemperud / 베가르 호이달렌 | 24–22, 24–26, 13–15 |
3. 5. E조
팀 | 경기 | 승 | 패 | 획득 세트 | 잃은 세트 | 득점 | 실점 | 승점 |
---|---|---|---|---|---|---|---|---|
슈테판 코벨 / 패트릭 호이셔 (Stephan Kobel|슈테판 코벨de / Patrick Heuscher|패트릭 호이셔de) | 3 | 3 | 0 | 6 | 2 | 151 | 144 | 6 |
줄리앙 프로서 / 마크 윌리엄스 | 3 | 2 | 1 | 5 | 3 | 143 | 129 | 5 |
존 차일드 / 마크 히스 | 3 | 1 | 2 | 3 | 4 | 132 | 126 | 4 |
데인 블랜턴 / 제프 니가드 | 3 | 0 | 3 | 1 | 6 | 106 | 133 | 3 |
8월 14일 경기 결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코벨 & 호이셔 | 2–0 | 차일드 & 히스 | 28–26, 21–18 |
블랜턴 & 니가드 | 0–2 | 프로서 & 윌리엄스 | 16–21, 14–21 |
8월 16일 경기 결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코벨 & 호이셔 | 2–1 | 프로서 & 윌리엄스 | 16–21, 22–20, 15–9 |
블랜턴 & 니가드 | 0–2 | 차일드 & 히스 | 16–21, 10–21 |
8월 18일 경기 결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코벨 & 호이셔 | 2–1 | 블랜턴 & 니가드 | 21–16, 13–21, 15–13 |
프로서 & 윌리엄스 | 2–1 | 차일드 & 히스 | 21–13, 15–21, 15–12 |
3. 6. F조
파블로스 벨리그라티스el와 아타나시오스 미할로풀로스el 선수로 구성된 그리스 팀은 벨리그라티스의 부상으로 인해 마지막 조별 예선 경기에 기권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상대팀인 마리아노 바라세티와 마르틴 콘데가 21-0, 21-0으로 스트레이트 세트 승리를 거두었다.[1]팀 | 경기 | 승 | 패 | 획득 세트 | 잃은 세트 | 득점 | 실점 | 승점 |
---|---|---|---|---|---|---|---|---|
3 | 3 | 0 | 6 | 1 | 133 | 70 | 6 | |
3 | 2 | 1 | 4 | 3 | 130 | 134 | 5 | |
3 | 1 | 2 | 3 | 4 | 124 | 126 | 4 | |
3 | 0 | 3 | 1 | 6 | 85 | 144 | 2 |
8월 14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바라세티 & 콘데 | 2–1 | 마이아 & 브렌하 | 13–21, 21–16, 15–5 |
벨리그라티스 & 미할로풀로스 | 1–2 | 로리치 & 포콕 | 16–21, 26–24, 10–15 |
8월 16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바라세티 & 콘데 | 2–0 | 로리치 & 포콕 | 21–13, 21–15 |
벨리그라티스 & 미할로풀로스 | 0–2 | 마이아 & 브렌하 | 14–21, 19–21 |
8월 18일
width=200| | width=80| | width=200| | width=220| |
---|---|---|---|
마이아 & 브렌하 | 0–2 | 로리치 & 포콕 | 20–22, 20–22 |
벨리그라티스 & 미할로풀로스 | 0–2 | 바라세티 & 콘데 | 기권승 |
4. 결선 토너먼트
2004년 하계 올림픽 비치발리볼 남자부 결선 토너먼트는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동메달 결정전, 결승전 순서로 진행되었다.
16강전은 8월 20일과 21일에 열렸다. 산토스 & 헤고pt 조는 켐페루드 & 호이달렌no 조를, 코벨 & 호이셔de 조는 마이아 & 브레하pt 조를, 홀드렌 & 메츠거영어 조는 디크만 & 레케르만de 조를, 보스마 & 에레라es 조는 베르 & 달da 조를 각각 이겼다. 라시가 & 라시가de 조는 인프란 & 아라우호pt 조를, 차일드 & 헤세영어 조는 바라세티 & 콘데es 조를, 프로서 & 윌리엄스영어 조는 로리치 & 포콕영어 조를, 쇼이퍼플루크 & 디크만de 조는 샤흐트 & 슬랙영어 조를 각각 꺾었다.
8강전은 8월 22일에 열렸다. 산토스 & 헤고 조는 라시가 & 라시가 조를, 코벨 & 호이셔 조는 홀드렌 & 메츠거 조를, 보스마 & 에레라 조는 차일드 & 히세 조를, 프로서 & 윌리엄스 조는 쇼이어플루크 & 디크만 조를 각각 이겼다.
준결승전은 8월 24일에 열렸다. 산토스 & 헤고 조는 코벨 & 호이셔 조를, 보스마 & 에레라 조는 프로서 & 윌리엄스 조를 이겼다.
동메달 결정전은 8월 25일에 열렸다. 호이셔 & 코벨 조가 프로서 & 윌리엄스 조를 꺾고 스위스 비치발리볼 역사상 첫 메달을 획득했다.[1]
결승전도 8월 25일에 열렸다. 산토스 & 헤고 조가 보스마 & 에레라 조를 이기고 브라질 남자 비치발리볼의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1]
4. 1. 16강전
경기 | 날짜 | 결과 |
---|---|---|
1경기 | 8월 20일 | 산토스 & 헤고pt 2–1 켐페루드 & 호이달렌no (21–15, 19–21, 15–6) |
2경기 | 8월 20일 | 마이아 & 브레하pt 0-2 코벨 & 호이셔de (18-21, 19-21) |
3경기 | 8월 20일 | 홀드렌 & 메츠거영어 2-1 디크만 & 레케르만de (21–16, 19–21, 15–13) |
4경기 | 8월 20일 | 보스마 & 에레라es 2-0 베르 & 달da (21–16, 21–17) |
5경기 | 8월 21일 | 인프란 & 아라우호pt 1-2 라시가 & 라시가de (19–21, 21–19, 12–15) |
6경기 | 8월 21일 | 바라세티 & 콘데es 0-2 차일드 & 헤세영어 (17-21, 17-21) |
7경기 | 8월 21일 | 로리치 & 포콕영어 0-2 프로서 & 윌리엄스영어 (14–21, 10–21) |
8경기 | 8월 21일 | 샤흐트 & 슬랙영어 0-2 쇼이퍼플루크 & 디크만de (19–21, 12–21) |
4. 2. 8강전
경기 | 점수 | 경기 | 세트별 점수 |
---|---|---|---|
산토스 & 헤고 | 2–0 | 라시가 & 라시가 | 21–13, 21–16 |
코벨 & 호이셔 | 2–0 | 홀드렌 & 메츠거 | 21–16, 21–19 |
보스마 & 에레라 | 2–1 | 차일드 & 히세 | 22–24, 21–19, 18–16 |
프로서 & 윌리엄스 | 2–1 | 쇼이어플루크 & 디크만 | 16–21, 21–19, 15–10 |
4. 3. 준결승전
width=200 | | width=80 | | width=200 | | width=220 | |
---|---|---|---|
산토스 & 헤고 | 2–1 | 코벨 & 호이셔 | 21–14, 19–21, 15–12 |
보스마 & 에레라 | 2–0 | 프로서 & 윌리엄스 | 21–18, 21–18 |
4. 4. 동메달 결정전
'''호이셔 & 코벨'''(스위스)이 프로서 & 윌리엄스(오스트레일리아)를 세트 스코어 2-1(19-21, 21-17, 15-13)로 이겼다.[1] 이는 스위스 비치발리볼 역사상 첫 메달이었다.[1]
4. 5. 결승전
산투스 & 헤고 조가 보스마 & 에레라 조를 2-0 (21-16, 21-15)으로 이겼다.[1]선수 | 결과 | 선수 | 점수 |
---|---|---|---|
산투스 & 헤고 | 2–0 | 보스마 & 에레라 | 21–16, 21–15 |
5. 최종 순위
순위 | 선수 이름 | 국가 | 시드 |
---|---|---|---|
align="center" | | 에마누엘 레고와 히카르두 산투스 | 1 | |
align="center" | | 하비에르 보스마와 파블로 에레라 | 15 | |
align="center" | | 패트릭 호이셔와 슈테판 코벨 | 5 | |
4. | 줄리앙 프로서와 마크 윌리엄스 | 17 | |
5. | 마르틴 라시가와 파울 라시가 | 3 | |
크리스토프 디크만과 안드레아스 셰이어플루크 | 11 | ||
댁스 홀드렌과 스타인 메츠거 | 12 | ||
존 차일드와 마크 히스 | 20 | ||
9. | 마르시우 아라우주와 벤자민 인스프란 | 2 | |
마르쿠스 디크만과 요나스 레케르만 | 4 | ||
마리아노 바라체티와 마르틴 콘데 | 7 | ||
베가르 호이다렌과 요레 켐페루드 | 9 | ||
앤드루 샤흐트와 조슈아 슬랙 | 13 | ||
비외른 베리와 시몬 달 | 16 | ||
주앙 브렌하와 미겔 마이아 | 18 | ||
콜린 포콕과 게르숀 로리치 | 19 | ||
17. | 니콜라스 베르거와 플로리안 고쉬 | 10 | |
프란시스코 알바레스와 후안 로셀 | 14 | ||
19. | 파블로스 벨리그라티스와 아타나시오스 미할로풀로스 | 6 | |
데인 블란톤과 제프 니가드 | 8 | ||
라몬 에르난데스와 라울 파팔레오 | 21 | ||
페터 가르트마이어와 로베르트 노보트니 | 22 | ||
스테판 카네와 마티외 아멜 | 23 | ||
이베르 호렘과 비욘 마세이드 | 24 |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