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은 8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호주를 꺾고 금메달을, 호주가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미국은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3회 연속 올림픽 금메달을 차지했고, 호주는 올림픽 소프트볼 역사상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올림픽 소프트볼 - 1996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소프트볼은 8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금메달, 중국이 은메달, 오스트레일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풀 리그 예선과 페이지 플레이오프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올림픽 소프트볼 - 2020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2020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은 일본에서 일본, 미국, 이탈리아, 멕시코, 캐나다, 호주 6개국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참가하여 일본이 금메달, 미국이 은메달, 캐나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소프트볼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소프트볼은 8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금메달, 중국이 은메달, 오스트레일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풀 리그 예선과 페이지 플레이오프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올림픽 소프트볼에 관한 - 2020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2020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은 일본에서 일본, 미국, 이탈리아, 멕시코, 캐나다, 호주 6개국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참가하여 일본이 금메달, 미국이 은메달, 캐나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
소프트볼
대회
2004년 하계 올림픽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소프트볼 경기 이미지
개최지
아테네
경기장
올림픽 소프트볼 경기장
기간
2004년 8월 14일 – 8월 23일
참가 선수
120명
참가 국가
8개국
메달 정보
올림픽 소프트볼 연혁
이전 대회
2000년
다음 대회
2008년
2. 참가국
2004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에는 다음 8개국이 참가했다.
오스트레일리아 (AUS)
캐나다 (CAN)
중화인민공화국 (CHN)
그리스 (GRE)
중화 타이베이 (TPE)
이탈리아 (ITA)
일본 (JPN)
미국 (USA)
경기는 먼저 풀 리그 예선을 진행하고, 상위 4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페이지 시스템 방식을 채택하여 예선 리그 1위와 2위, 3위와 4위 간의 준결승을 치렀다. 예선 리그 1위와 2위 간 경기 승자는 결승에 진출하고, 패자는 예선 리그 3위와 4위 간 경기 승자와 3위 결정전을 치렀다. 이 3위 결정전 승자가 결승에 진출하고, 패자는 3위가 되었다.
3. 경기 결과
10-0
○ 3-0
○ 4-0
○ 7-0
○ 3-0
○ 7-0
○ 7-0
7승
41
0
1.000
2
오스트레일리아
● 0-10
-
○ 4-2
○ 5-0
○ 1-0
○ 1-0
○ 3-2
○ 8-0
6승1패
22
14
.857
3
일본
● 0-3
● 2-4
-
○ 2-0
● 0-1
○ 6-0
○ 6-0
○ 1-0
4승3패
17
8
.571
4
중국
● 0-4
● 0-5
● 0-2
-
○ 4-2
○ 1-0
○ 5-0
● 5-7
3승4패
15
20
.429
5
캐나다
● 0-7
● 0-1
○ 1-0
● 2-4
-
○ 2-0
● 0-2
○ 1-0
3승4패
6
14
.429
6
중화 타이베이
● 0-3
● 0-1
● 0-6
● 0-1
● 0-2
-
○ 2-0
○ 1-0
2승5패
3
13
.286
7
그리스
● 0-7
● 2-3
● 0-6
● 0-5
○ 2-0
● 0-2
-
○ 2-1
2승5패
6
24
.286
8
이탈리아
● 0-7
● 0-8
● 0-1
○ 7-5
● 0-1
● 0-1
● 1-2
-
1승6패
8
25
.143
준결승
3·4위 결정전
결승
미국
5
오스트레일리아
5
오스트레일리아
0
미국
1
일본
1
일본
3
중국
0
오스트레일리아
0
3. 1. 예선 리그
2004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예선 리그에는 8개국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팀은 서로 한 번씩 맞붙어 총 7경기를 치렀다. 예선 리그 결과, 미국, 호주, 일본, 중국이 상위 4위를 기록하여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 1. 1. 예선 순위
10-0
○ 3-0
○ 4-0
○ 7-0
○ 3-0
○ 7-0
○ 7-0
7승
41
0
1.000
2
오스트레일리아
● 0-10
-
○ 4-2
○ 5-0
○ 1-0
○ 1-0
○ 3-2
○ 8-0
6승1패
22
14
.857
3
일본
● 0-3
● 2-4
-
○ 2-0
● 0-1
○ 6-0
○ 6-0
○ 1-0
4승3패
17
8
.571
4
중국
● 0-4
● 0-5
● 0-2
-
○ 4-2
○ 1-0
○ 5-0
● 5-7
3승4패
15
20
.429
5
캐나다
● 0-7
● 0-1
○ 1-0
● 2-4
-
○ 2-0
● 0-2
○ 1-0
3승4패
6
14
.429
6
중화 타이베이
● 0-3
● 0-1
● 0-6
● 0-1
● 0-2
-
○ 2-0
○ 1-0
2승5패
3
13
.286
7
그리스
● 0-7
● 2-3
● 0-6
● 0-5
○ 2-0
● 0-2
-
○ 2-1
2승5패
6
24
.286
8
이탈리아
● 0-7
● 0-8
● 0-1
○ 7-5
● 0-1
● 0-1
● 1-2
-
1승6패
8
25
.143
3. 1. 2. 경기 상세
올림픽 소프트볼 경기장(헬리니코 올림픽 단지) - 2018년 11월에 버려진 모습
2004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경기는 8월 14일부터 8월 20일까지 매일 4경기씩 총 28경기가 예선으로 치러졌다. 8월 22일에는 준결승전 두 경기와 3위 결정전이 열렸고, 8월 23일에는 금메달 결정전이 열렸다. 8월 14일
시간
팀
1
2
3
4
5
6
7
R
H
E
승리 투수
패전 투수
홈런
09:30
0
1
0
2
1
0
0
4
7
0
타냐 하딩 (1-0)
우에노 유키코 (0-1)
N. 티트컴 (4회 1타점)
09:30
2
0
0
0
0
0
0
2
0
2
12:00
0
0
0
0
0
-
-
0
3
2
제니 핀치 (1-0)
레슬리 말레리치 (0-1)
12:00
1
3
0
0
3
-
-
7
11
0
17:00
0
0
0
0
0
0
0
0
4
1
로렌 베이 (1-0)
우자옌 (0-1)
17:00
0
0
0
2
0
0
X
2
5
0
19:30
0
0
0
0
0
0
0
0
2
6
뤼 웨이 (1-0)
사라 팜워스 (0-1)
19:30
0
1
1
0
3
0
X
5
5
1
8월 15일
시간
팀
1
2
3
4
5
6
7
R
H
E
승리 투수
패전 투수
홈런
09:30
0
0
0
0
0
0
0
0
2
4
사카이 히로코 (1-0)
린수화 (0-1)
N.Titcume (4회, 1타점)
09:30
1
4
0
0
1
0
X
6
13
0
12:00
0
6
0
0
0
0
1
7
9
3
제니퍼 스페디아치 (1-0)
리치 (0-1)
12:00
0
0
0
0
5
0
0
5
5
1
17:00
0
0
0
0
0
-
-
0
1
0
리사 페르난데스 (1-0)
브룩 윌킨스 (0-1)
스테이시 누브먼 (4회, 3타점)
17:00
2
0
0
8
X
-
-
10
9
2
19:30
0
0
0
0
0
0
0
0
3
4
사라 판워스 (1-1)
카일라 홀츠 (0-1)
19:30
0
1
0
0
1
0
X
2
3
0
8월 16일
시간
팀
1
2
3
4
5
6
7
8
R
H
E
승리 투수
패전 투수
09:30
0
0
0
0
0
4
0
4
4
0
Zhang Lixia (1-0)
로렌 베이 (1-1)
09:30
0
0
0
0
0
0
0
0
4
2
12:00
0
0
0
0
0
0
0
3
3
3
0
Catherine Osterman (1-0)
Juri Takayama (0-1)
12:00
0
0
0
0
0
0
0
0
0
1
3
17:00
0
0
0
0
1
0
0
1
6
0
사라 판워스 (2-1)
Susan Bugliarello (0-1)
17:00
2
0
0
0
0
0
X
2
5
3
19:30
0
0
0
0
0
0
0
0
2
0
Wu Chia-Yen (0-2)
타냐 하딩 (2-0)
19:30
0
0
0
1
0
0
X
1
4
0
8월 17일
시간
팀
1
2
3
4
5
6
7
R
H
E
승리 투수
패전 투수
홈런
09:30
0
0
0
0
0
0
0
0
1
1
로리 해리건 (1-0)
장리샤 (1-1)
C.Bustos 5회, 1타점
09:30
2
1
0
0
1
0
X
4
5
1
12:00
0
0
0
0
0
0
0
1
1
1
2
로렌 베이 (2-1)
우에노 유키코 (0-2)
12:00
0
0
0
0
0
0
0
0
0
3
1
17:00
0
0
0
0
0
0
2
2
3
1
라이 셩-중 (1-0)
사라 판워스 (2-2)
17:00
0
0
0
1
0
0
X
0
5
1
19:30
2
2
2
0
2
-
-
8
10
1
멜라니 로쉬 (1-0)
제니퍼 스페디아치 (0-1)
S.Porter 1회, 2타점; N.Titcume 5회, 2타점
19:30
0
0
0
0
0
-
-
0
2
1
8월 18일
시간
팀
1
2
3
4
5
6
7
R
H
E
승리 투수
패전 투수
09:30
0
0
0
0
0
0
0
0
5
1
린수화 (1-1)
수잔 부글리아렐로 (0-2)
09:30
0
0
0
1
0
0
X
1
4
0
12:00
0
0
0
0
0
0
0
5
5
4
0
멜라니 로슈 (2-0)
루 웨이 (1-1)
12:00
0
0
0
0
0
0
0
0
0
1
2
17:00
0
0
0
0
0
-
-
0
1
1
제니 핀치 (2-0)
오번 시거슨 (0-1)
C. 부스토스 4회 1타점, L. 페르난데스 4회 1타점
17:00
1
2
1
2
1
-
-
7
11
1
19:30
0
3
1
0
0
0
2
6
12
1
사카이 히로코 (2-0)
사라 판스워스 (2-3)
19:30
0
0
0
0
0
0
X
0
2
3
8월 19일
시간
팀
1
2
3
4
5
6
7
R
H
E
승리 투수
패전 투수
09:30
0
0
0
0
0
0
0
0
1
2
루 웨이 (2-1)
라이 셩줭 (1-1)
09:30
0
0
0
0
1
0
X
1
4
0
12:00
0
0
0
0
0
-
-
0
1
1
리사 페르난데스 (2-0)
스테파니 스케가스-맥스웰 (0-1)
12:00
0
0
1
3
3
-
-
7
9
0
17:00
0
0
0
0
0
0
0
0
3
0
우에노 유키코 (1-2)
제니퍼 스페디아치 (1-2)
17:00
0
0
1
0
0
0
0
1
8
1
19:30
0
1
0
0
0
0
0
1
4
0
멜라니 로체 (3-0)
로렌 베이 (2-2)
19:30
0
0
0
0
0
0
0
0
5
0
8월 20일
시간
팀
1
2
3
4
5
6
7
R
H
E
승리 투수
패전 투수
09:30
0
0
0
0
0
0
0
0
2
0
로렌 베이 (3-2)
수잔 부글리아렐로 (0-3)
09:30
0
0
0
1
0
0
X
1
1
1
12:00
0
0
0
0
0
0
0
0
4
2
캐서린 오스터먼 (2-0)
우 지아옌 (0-3)
C. 부스토스 4회, 1타점
12:00
0
0
0
1
1
1
X
3
8
1
17:00
2
0
0
0
0
0
0
2
4
2
타냐 하딩 (3-0)
사라 팜스워스 (2-4)
T. 모슬리 4회, 2타점; S. 포터 3회, 1타점
17:00
0
0
1
2
0
0
X
3
7
1
19:30
0
0
0
0
0
0
0
0
0
0
우에노 유키코 (1-2)
루 웨이 (2-2)
19:30
0
0
0
0
1
1
X
2
8
0
8월 22일 (준결승 및 3,4위전)
팀
1
2
3
4
5
6
7
R
H
E
0
0
0
0
0
0
0
0
3
0
0
0
0
1
3
1
X
5
8
0
팀
1
2
3
4
5
6
7
8
R
H
E
0
0
0
0
0
0
0
1
1
6
0
0
0
0
0
0
0
0
0
0
3
4
연장 8회
팀
1
2
3
4
5
6
7
R
H
E
0
0
0
0
3
0
0
3
4
0
0
0
0
0
0
0
0
0
3
1
8월 23일 (결승전)
팀
1
2
3
4
5
6
7
R
H
E
0
0
0
0
0
1
0
1
4
1
3
0
2
0
0
0
X
5
9
0
3. 2. 결승 토너먼트
2004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경기는 예선 리그 상위 4개 팀이 페이지 시스템 방식으로 메달을 결정짓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종목에서는 미국, 호주, 일본이 각각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을 획득했다. 미국 대표팀은 결승전에서 호주를 5-1로 꺾고 우승하며 올림픽 소프트볼 3연패를 달성했다.[1] 호주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소프트볼 역사상 최고 성적을 기록했고, 일본은 동메달을 획득했다.[1]
미국 대표팀은 마이크 캔드리아 감독의 지휘 아래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크리스틀 부스토스는 투런 홈런 두 개를 기록했고,[1] 투수 리사 페르난데스는 결승전에서 승리 투수가 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