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FIFA 월드컵 C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FIFA 월드컵 C조는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코트디부아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구성되었다. 아르헨티나와 네덜란드가 16강에 진출했고, 아르헨티나는 멕시코와, 네덜란드는 포르투갈과 경기를 치렀다. 조별 리그에서는 아르헨티나가 2승 1무로 1위, 네덜란드가 2승 1무로 2위를 기록했다. 코트디부아르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각각 1승 2패, 3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6년 FIFA 월드컵 C조 | |
---|---|
대회 요약 | |
대회 | 2006년 FIFA 월드컵 |
조 | C조 |
기간 | 2006년 6월 10일 ~ 2006년 6월 21일 |
경기장 | 함부르크 겔젠키르헨 베를린 뉘른베르크 슈투트가르트 뮌헨 |
최종 순위 | |
1위 | 아르헨티나 |
2위 | 네덜란드 |
3위 | 코트디부아르 |
4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경기 결과 | |
2006년 6월 10일 | 아르헨티나 2 – 1 코트디부아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0 – 1 네덜란드 |
2006년 6월 16일 | 아르헨티나 6 – 0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네덜란드 2 – 1 코트디부아르 |
2006년 6월 21일 | 네덜란드 0 – 0 아르헨티나 코트디부아르 3 – 2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통계 | |
총 득점 | 18골 |
2. 순위
width=250팀 | width=32경기 | width=28승 | width=28무 | width=28패 | width=28득 | width=28실 | width=28차 | width=32승점 |
---|---|---|---|---|---|---|---|
아르헨티나 | 2 | 1 | 0 | 8 | 1 | +7 | 7 |
네덜란드 | 2 | 1 | 0 | 3 | 1 | +2 | 7 |
코트디부아르 | 1 | 0 | 2 | 5 | 6 | -1 | 3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0 | 0 | 3 | 2 | 10 | -8 | 0 |
- 모든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CEST/UTC+2)를 따른다.
- 아르헨티나는 D조 2위 멕시코와 16강에서 경기를 치렀다.
- 네덜란드는 D조 1위 포르투갈과 16강에서 경기를 치렀다.
2. 1. 순위 결정 기준
3. 경기 결과
2006년 FIFA 월드컵 C조의 경기 결과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 아르헨티나 vs 코트디부아르 ===
2006년 6월 10일,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2-1로 아르헨티나가 승리했다.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 |
CB | 6 | 가브리엘 에인세 | 48' |
LB | 3 | 후안 파블로 소린 (주장) | |
RM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
C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
LM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90+3' |
CF | 7 | 하비에르 사비올라 | 41' 75' |
CF | 9 | 에르난 크레스포 | 64' |
교체 선수: | |||
FW | 14 | 로드리고 팔라시오 | 64' |
MF | 22 | 루초 곤살레스 | 81' 75' |
MF | 16 | 파블로 아이마르 | 90+3' |
감독: | |||
호세 페케르만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 | 장-자크 티지에 |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62' |
CB | 4 | 콜로 투레 | |
CB | 12 | 압둘라유 메이테 |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
CM | 19 | 야야 투레 |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
RW | 18 | 압둘 카데르 케이타 | 77' |
AM | 8 | 보나방튀르 칼루 | 55' |
LW | 2 | 캉가 아칼레 | 62' |
CF | 11 | 디디에 드로그바 (주장) | 90+1' |
교체 선수: | |||
FW | 15 | 아루나 딘다네 | 55' |
FW | 14 | 바카리 코네 | 62' |
FW | 9 | 아루나 코네 | 77' |
감독: | |||
앙리 미셸/Henri Michel프랑스어 |
|}
아르헨티나는 전반 24분 에르난 크레스포의 선제골과 전반 38분 하비에르 사비올라의 추가골로 앞서나갔다. 코트디부아르는 후반 37분 디디에 드로그바가 만회골을 넣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이 경기에서 아르헨티나의 가브리엘 에인세(48분), 하비에르 사비올라(41분), 루초 곤잘레스(81분)와 코트디부아르의 에마뉘엘 에부에(62분), 디디에 드록바(90+1분)가 경고를 받았다.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vs 네덜란드 ===
2006년 6월 11일 (CET, UTC+1), 독일 라이프치히의 첸트랄슈타디온에서 열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와 네덜란드의 경기는 로번()의 골로 네덜란드가 1-0으로 승리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네덜란드 | ||||
---|---|---|---|---|---|
GK | 1 |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GK | 1 | 에드윈 판 데르 사르 (주장) |
RB | 14 | 네나드 조르제비치 | RB | 14 | 존 하이팅아 85' |
CB | 6 | 고란 가브란치치 90' | CB | 13 | 안드레 우이예르 |
CB | 20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CB | 4 | 요리스 마티센 |
LB | 3 | 이비차 드라구티노비치 81' | LB | 5 | 조반니 판 브롱크호르스트 56' |
RM | 10 | 데얀 스탄코비치 34' | RM | 18 | 마르크 판 보멜 |
CM | 4 | 이고르 둘야 | CM | 20 | 웨슬리 스나이더 |
CM | 17 | 알베르트 나지 | LM | 8 | 필립 코쿠 |
LM | 11 | 프레드라그 조르제비치 | RF | 17 | 로빈 판 페르시 |
CF | 9 | 사보 밀로셰비치 (주장) | CF | 9 | 루트 판 니스텔로이 |
CF | 8 | 마테야 케즈만 | LF | 11 | 아르연 로번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MF | 7 | 오그녠 코로만 64' | MF | 6 | 데니 란자트 |
FW | 19 | 니콜라 지기치 | FW | 7 | 디르크 카윗 |
FW | 21 | 다니엘 류보야 | DF | 3 | 칼리드 벌라흐루즈 |
감독 | 감독 | ||||
일리야 페트코비치 | 마르코 판 바스텐 |
'''경기 최우수 선수:''' 아르연 로번 (네덜란드)
'''부심:'''
- 크리스티안 슈뢰어 (독일)
- 얀-헨드릭 잘버 (독일)
'''제4심판:''' 모하메드 게자즈 (모로코)
'''제5심판:''' 브라힘 제자르 (알제리)
=== 아르헨티나 vs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2006년 6월 16일, 겔젠키르헨의 아레나 아우프샬케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아르헨티나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6-0으로 크게 이겼다.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 ||
CB | 6 | 가브리엘 에인세 | ||
LB | 3 | 후안 파블로 소린 (주장) | ||
D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
RW | 22 | 루초 곤살레스 | 17분 교체 |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
LW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75분 교체 | |
CF | 7 | 하비에르 사비올라 | 59분 교체 | |
CF | 9 | 에르난 크레스포 | 36분 | |
교체 선수: | ||||
MF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17분 교체 | |
FW | 11 | 카를로스 테베스 | 59분 교체 | |
FW | 19 | 리오넬 메시 | 75분 교체 | |
감독: | ||||
호세 페케르만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
RB | 4 | 이고르 둘랴 | ||
CB | 6 | 고란 가브란치치 | ||
CB | 15 | 밀란 두디치 | ||
LB | 20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42분 | |
RM | 7 | 오그넨 코로만 | 7분 | 50분 교체 |
CM | 17 | 알베르트 나즈 | 27분 | 46분 교체 |
CM | 11 | 프레드라그 조르제비치 | ||
LM | 10 | 데얀 스탄코비치 | ||
CF | 9 | 사보 밀로셰비치 (주장) | 70분 교체 | |
CF | 8 | 마테야 케주만 | 65분 퇴장 | |
교체 선수: | ||||
MF | 2 | 이반 에르기치 | 46분 교체 | |
FW | 21 | 다니옐 류보야 | 50분 교체 | |
MF | 18 | 즈보니미르 부키치 | 70분 교체 | |
감독: | ||||
일리야 페트코비치 |
|}
막시 로드리게스가 전반 6분과 41분에 두 골을 넣었고, 에스테반 캄비아소가 전반 31분, 에르난 크레스포가 후반 33분, 카를로스 테베스가 후반 39분, 리오넬 메시가 후반 43분에 각각 득점을 기록했다.
경기 최우수 선수는 후안 로만 리켈메 (아르헨티나)였다. 부심은 크리스티아노 코펠리, 알레산드로 스타뇰리(이탈리아)였고, 제4심판은 에삼 압드 엘 파타(이집트), 제5심판은 드라마네 단테(말리)였다.
아르헨티나는 이 경기 승리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반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2패로 탈락 위기에 놓였다. 특히, 마테야 케즈만의 퇴장과 6골차 대패는 당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으며, 이는 곧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해체 및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분리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 네덜란드 vs 코트디부아르 ===
2006년 FIFA 월드컵 C조에서 2006년 6월 16일 슈투트가르트의 고틀리프-다임러-슈타디온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네덜란드가 2-1로 승리하였다. 네덜란드는 판 페르시가 전반 23분에, 판 니스텔로이가 전반 27분에 득점하여 앞서나갔다. 코트디부아르는 코네가 전반 39분에 만회골을 넣었지만, 추가 득점에는 실패했다.
경기 상세 정보 | ||||
---|---|---|---|---|
네덜란드 | ||||
GK | 1 | 에드빈 판 데르 사르 (주장) | ||
RB | 14 | 욘 헤이팅아 | 46분 교체 | |
CB | 13 | 안드레 오이여르 | ||
CB | 4 | 요리스 마테이선 | 35분 | |
LB | 5 | 히오반니 판 브론크호르스트 | ||
RM | 18 | 마르크 판 보멀 | 58분 | |
CM | 20 | 베슬레이 스네이더르 | 50분 교체 | |
LM | 8 | 필립 코퀴 | ||
RF | 17 | 로빈 판 페르시 | ||
CF | 9 | 뤼트 판 니스텔로이 | 73분 교체 | |
LF | 11 | 아르연 로번 | 34분 | |
교체 선수: | ||||
DF | 3 | 할리드 불라루즈 | 46분 교체 | |
MF | 10 | 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 | 50분 교체 | |
MF | 6 | 데니 란트자트 | 90+4분 | 73분 교체 |
감독: | ||||
마르코 판 바스턴 | 코트디부아르 | |||
GK | 1 | 장-자크 티지에 |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
CB | 4 | 콜로 투레 | ||
CB | 12 | 압둘라유 메이테 |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66분 | |
CM | 19 | 야야 투레 |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25분 | |
CM | 22 | 로마리크 | 62분 교체 | |
RF | 14 | 바카리 코네 | 62분 교체 | |
CF | 11 | 디디에 드로그바 (주장) | 41분 | |
LF | 9 | 아루나 코네 | 73분 교체 | |
교체 선수: | ||||
MF | 10 | 질 야피 야포 | 62분 교체 | |
FW | 15 | 아뤼나 댕단 | 62분 교체 | |
MF | 2 | 캉가 아칼르 | 73분 교체 | |
감독: | ||||
앙리 미셸/Henri Michel프랑스어 |
'''경기 최우수 선수:'''
아르연 로번 (네덜란드)
'''부심:'''
호세 나비아 (콜롬비아)
페르난도 타마요 (에콰도르)
'''제4 심판:'''
마르코 로드리게스 (멕시코)
'''제5 심판:'''
호세 루이스 카마르고 (멕시코)
=== 네덜란드 vs 아르헨티나 ===
2006년 6월 21일, CET (UTC+1) 21시에 프랑크푸르트의 FIFA 월드컵 프랑크푸르트 경기장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네덜란드와 아르헨티나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이 경기에는 48,0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네덜란드 | 아르헨티나 | ||||||
---|---|---|---|---|---|---|---|
GK | 1 | 에드윈 판 데르 사르 (주장) | GK | 1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
RB | 2 | 케위 얄린스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24분 교체 | |
CB | 3 | 할리드 불라루즈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주장) | ||
CB | 13 | 안드레 오이여르 | 42분 | CB | 15 | 가브리엘 밀리토 | |
LB | 15 | 팀 더 클레르 | 48분 | LB | 17 | 레안드로 쿠프레 | |
RM | 10 | 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 | RM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
CM | 20 | 베슬레이 스네이더르 | 86분 교체 | C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90분 |
LM | 8 | 필립 코퀴 | LM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57분 | |
RF | 17 | 로빈 판 페르시 | 67분 교체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80분 교체 |
CF | 9 | 뤼트 판 니스텔로이 | 56분 교체 | CF | 19 | 리오넬 메시 | 70분 교체 |
LF | 7 | 디르크 카위트 | 28분 | CF | 11 | 카를로스 테베스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FW | 21 | 라이언 바벌 | 56분 교체 | DF | 4 | 파브리시오 콜로치니 | 24분 교체 |
MF | 6 | 데니 란트자트 | 67분 교체 | FW | 20 | 훌리오 리카르도 크루스 | 70분 교체 |
MF | 16 | 헷비허스 마뒤로 | 86분 교체 | MF | 16 | 파블로 아이마르 | 80분 교체 |
감독: 마르코 판 바스턴 | 감독: 호세 페케르만 |
'''경기 최우수 선수:''' 카를로스 테베스 (아르헨티나)
'''부심:'''
- 빅토리아노 히랄데스 카라스코 (스페인)
- 페드로 메디나 에르난데스 (스페인)
'''제4심판:'''
- 카를로스 찬디아 (칠레)
'''제5심판:'''
- 로드리고 곤잘레스 (칠레)
=== 코트디부아르 vs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2006년 6월 21일, 뮌헨의 FIFA WM 스타디온 뮌헨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코트디부아르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경기에서 코트디부아르가 3-2로 승리했다.

상세 정보 | |
---|---|
날짜 | 2006년 6월 21일 |
시간 | 21:00 CET (UTC+1) |
경기장 | FIFA WM 스타디온 뮌헨, 뮌헨 |
관중 | 66,000명 |
주심 | 마르코 로드리게스 (멕시코) |
최우수 선수 | 아뤼나 댕단 (코트디부아르) |
부심 | colspan="2" | |
대기심 | colspan="2" | |
후보 대기심 | colspan="2" |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23 | 부바카르 바리 |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
CB | 6 | 블레즈 쿠아시 | ||
CB | 17 | 시릴 도모로 (주장) | 41', 90+2' |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
RM | 18 | 압둘 카데르 케이타 | 33' | 73'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
CM | 19 | 야야 투레 | ||
LM | 2 | 캉가 아칼레 | 60' | |
CF | 15 | 아뤼나 댕단 | 43' | |
CF | 9 | 아루나 코네 | ||
교체 선수: | ||||
FW | 14 | 바카리 코네 | 60' | |
FW | 8 | 보나방튀르 칼루 | 73' | |
감독: | ||||
{{llang 앙리 미셸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 style="font-size: 9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
!width="25"| !!width="25"|
|-
|GK ||'''1'''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RB ||'''14'''||네나드 조르제비치
|-
|CB ||'''6''' ||고란 가브란치치 || 57'
|-
|CB ||'''15'''||밀란 두디치 || 35'
|-
|LB ||'''20'''||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 16'
|-
|RM ||'''10'''||데얀 스탄코비치 (
3. 1. 아르헨티나 vs 코트디부아르
2006년 6월 10일,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2-1로 아르헨티나가 승리했다.{{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argh06 | pattern_b = _argh06 | pattern_ra = _argh06 | pattern_sh = _argh06 | pattern_so = _3_stripes_skyblue | leftarm = 75AADB | body = 75AADB | rightarm = 75AADB | shorts = 000000 | socks = FFFFFF | title = 아르헨티나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thingreenborder | pattern_b = _ivc06 | pattern_ra = _thingreenborder | pattern_sh = _civh06 | pattern_so = _puma_2006_green | leftarm = F1771D | body = F1771D | rightarm = F1771D | shorts = F1771D | socks = F1771D | title = 코트디부아르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 |
CB | 6 | 가브리엘 에인세 | 48' |
LB | 3 | 후안 파블로 소린 (주장) | |
RM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
C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
LM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90+3' |
CF | 7 | 하비에르 사비올라 | 41' 75' |
CF | 9 | 에르난 크레스포 | 64' |
교체 선수: | |||
FW | 14 | 로드리고 팔라시오 | 64' |
MF | 22 | 루초 곤살레스 | 81' 75' |
MF | 16 | 파블로 아이마르 | 90+3' |
감독: | |||
호세 페케르만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 | 장-자크 티지에 |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62' |
CB | 4 | 콜로 투레 | |
CB | 12 | 압둘라유 메이테 |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
CM | 19 | 야야 투레 |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
RW | 18 | 압둘 카데르 케이타 | 77' |
AM | 8 | 보나방튀르 칼루 | 55' |
LW | 2 | 캉가 아칼레 | 62' |
CF | 11 | 디디에 드로그바 (주장) | 90+1' |
교체 선수: | |||
FW | 15 | 아루나 딘다네 | 55' |
FW | 14 | 바카리 코네 | 62' |
FW | 9 | 아루나 코네 | 77' |
감독: | |||
앙리 미셸/Henri Michel프랑스어 |
|}
아르헨티나는 전반 24분 에르난 크레스포의 선제골과 전반 38분 하비에르 사비올라의 추가골로 앞서나갔다. 코트디부아르는 후반 37분 디디에 드로그바가 만회골을 넣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이 경기에서 아르헨티나의 가브리엘 에인세(48분), 하비에르 사비올라(41분), 루초 곤잘레스(81분)와 코트디부아르의 에마뉘엘 에부에(62분), 디디에 드록바(90+1분)가 경고를 받았다.
3. 1. 1. 경기 상세 정보
2006년 6월 10일,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2-1로 아르헨티나가 승리했다.{{Football kit | pattern_la = _arg06h1 | pattern_b = _arg06h1 | pattern_ra = _arg06h1 | pattern_sh = _arg06h | pattern_so = _arg06h | leftarm = 75AADB | body = 75AADB | rightarm = 75AADB | shorts = 000000 | socks = FFFFFF | title = 아르헨티나 | {{Football kit | pattern_la = _thingreenborder | pattern_b = _civ0608h | pattern_ra = _thingreenborder | pattern_sh = _civh06 | pattern_so = _puma_2006_green | leftarm = FF8000 | body = FF8000 | rightarm = FF8000 | shorts = FF8000 | socks = FF8000 | title = 코트디부아르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로베르토 아봉단시에리 |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 ||
CB | 6 | 가브리엘 에인체 | ||
LB | 3 | 후안 파블로 소린 (주장) | ||
RM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
C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
LM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
CF | 7 | 하비에르 사비올라 | ||
CF | 9 | 에르난 크레스포 | ||
교체 선수: | ||||
FW | 14 | 로드리고 팔라시오 | ||
MF | 22 | 루초 곤잘레스 | ||
MF | 16 | 파블로 아이마르 | ||
감독: | ||||
호세 페케르만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 | 장-자크 티지에 |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
CB | 4 | 콜로 투레 | ||
CB | 12 | 압둘라예 메이테 |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
CM | 19 | 야야 투레 |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
RW | 18 | 압둘 카데르 케이타 | ||
AM | 8 | 보나벤튀르 칼루 | ||
LW | 2 | 캉가 아칼레 | ||
CF | 11 | 디디에 드록바 (주장) | ||
교체 선수: | ||||
FW | 15 | 아루나 딘다네 | ||
FW | 14 | 바카리 코네 | ||
FW | 9 | 아루나 코네 | ||
감독: | ||||
앙리 미셸 |
|}
아르헨티나는 전반 24분 에르난 크레스포의 선제골과 전반 38분 하비에르 사비올라의 추가골로 앞서나갔다. 코트디부아르는 후반 37분 디디에 드록바가 만회골을 넣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이 경기에서 아르헨티나의 가브리엘 에인체(48분), 하비에르 사비올라(41분), 루초 곤잘레스(81분)와 코트디부아르의 에마뉘엘 에부에(62분), 디디에 드록바(90+1분)가 경고를 받았다.
3. 2.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vs 네덜란드
2006년 6월 11일 15:00 (CET, UTC+1), 독일 라이프치히의 첸트랄슈타디온에서 열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와 네덜란드의 경기는 로번()의 골로 네덜란드가 1-0으로 승리했다.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네덜란드 | ||||
---|---|---|---|---|---|
GK | 1 |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GK | 1 | 에드윈 판 데르 사르 (주장) |
RB | 14 | 네나드 조르제비치 | RB | 14 | 존 하이팅아 85' |
CB | 6 | 고란 가브란치치 90' | CB | 13 | 안드레 우이예르 |
CB | 20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CB | 4 | 요리스 마티센 |
LB | 3 | 이비차 드라구티노비치 81' | LB | 5 | 조반니 판 브롱크호르스트 56' |
RM | 10 | 데얀 스탄코비치 34' | RM | 18 | 마르크 판 보멜 |
CM | 4 | 이고르 둘야 | CM | 20 | 웨슬리 스나이더 |
CM | 17 | 알베르트 나지 | LM | 8 | 필립 코쿠 |
LM | 11 | 프레드라그 조르제비치 | RF | 17 | 로빈 판 페르시 |
CF | 9 | 사보 밀로셰비치 (주장) | CF | 9 | 루트 판 니스텔로이 |
CF | 8 | 마테야 케즈만 | LF | 11 | 아르연 로번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MF | 7 | 오그녠 코로만 64' | MF | 6 | 데니 란자트 |
FW | 19 | 니콜라 지기치 | FW | 7 | 디르크 카윗 |
FW | 21 | 다니엘 류보야 | DF | 3 | 칼리드 벌라흐루즈 |
감독 | 감독 | ||||
일리야 페트코비치 | 마르코 판 바스텐 |
'''경기 최우수 선수:''' 아르연 로번 (네덜란드)
'''부심:'''
- 크리스티안 슈뢰어 (독일)
- 얀-헨드릭 잘버 (독일)
'''제4심판:''' 모하메드 게자즈 (모로코)
'''제5심판:''' 브라힘 제자르 (알제리)
3. 2. 1. 경기 상세 정보
{{fmbox|bg=#e6e6ff
|bg2=#c0c0c0
|fbaicon=SCG
|fbaicon2=NED
|team1=세르비아 몬테네그로
|team2=네덜란드
|score=0-1
|report=[https://www.fifa.com/fifaplus/en/match-centre/match/17/9741/10172/97410006?date=2006-06-11 경기 결과]
|date=2006년 6월 11일
|time=15:00 CET (UTC+1)
|stadium=첸트랄슈타디온
|city=라이프치히
|attendance=43,000
|referee=마르쿠스 메르크 (독일)
|team1-goals=
|team2-goals=
- 아르연 로번/Arjen Robbennl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네덜란드 | ||||
---|---|---|---|---|---|
GK | 1 |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GK | 1 | 에드윈 판 데르 사르 (주장) |
RB | 14 | 네나드 조르제비치 | RB | 14 | 존 하이팅아 |
CB | 6 | 고란 가브란치치 | CB | 13 | 안드레 우이예르 |
CB | 20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CB | 4 | 요리스 마티센 |
LB | 3 | 이비차 드라구티노비치 | LB | 5 | 조반니 판 브롱크호르스트 |
RM | 10 | 데얀 스탄코비치 | RM | 18 | 마르크 판 보멜 |
CM | 4 | 이고르 둘야 | CM | 20 | 웨슬리 스나이더 |
CM | 17 | 알베르트 나지 | LM | 8 | 필립 코쿠 |
LM | 11 | 프레드라그 조르제비치 | RF | 17 | 로빈 판 페르시 |
CF | 9 | 사보 밀로셰비치 (주장) | CF | 9 | 루트 판 니스텔로이 |
CF | 8 | 마테야 케즈만 | LF | 11 | 아르연 로번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MF | 7 | 오그녠 코로만 | MF | 6 | 데니 란자트 |
FW | 19 | 니콜라 지기치 | FW | 7 | 디르크 카윗 |
FW | 21 | 다니엘 류보야 | DF | 3 | 칼리드 벌라흐루즈 |
감독 | 감독 | ||||
일리야 페트코비치 | 마르코 판 바스텐 |
'''경기 최우수 선수:''' 아르연 로번 (네덜란드)
'''부심:'''
- 크리스티안 슈뢰어 (독일)
- 얀-헨드릭 잘버 (독일)
'''제4심판:''' 모하메드 게자즈 (모로코)
'''제5심판:''' 브라힘 제자르 (알제리)
3. 3. 아르헨티나 vs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006년 6월 16일, 겔젠키르헨의 아레나 아우프샬케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아르헨티나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6-0으로 크게 이겼다.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 ||
CB | 6 | 가브리엘 에인세 | ||
LB | 3 | 후안 파블로 소린 (주장) | ||
D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
RW | 22 | 루초 곤살레스 |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
LW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
CF | 7 | 하비에르 사비올라 | ||
CF | 9 | 에르난 크레스포 | ||
교체 선수: | ||||
MF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
FW | 11 | 카를로스 테베스 | ||
FW | 19 | 리오넬 메시 | ||
감독: | ||||
호세 페케르만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
RB | 4 | 이고르 둘랴이 | ||
CB | 6 | 고란 가브란치치 | ||
CB | 15 | 밀란 두디치 | ||
LB | 20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
RM | 7 | 오그넨 코로만 | ||
CM | 17 | 알베르트 나즈 | ||
CM | 11 | 프레드라그 조르제비치 | ||
LM | 10 | 데얀 스탄코비치 | ||
CF | 9 | 사보 밀로셰비치 (주장) | ||
CF | 8 | 마테야 케주만 | ||
교체 선수: | ||||
MF | 2 | 이반 에르기치 | ||
FW | 21 | 다니옐 류보야 | ||
MF | 18 | 즈보니미르 부키치 | ||
감독: | ||||
일리야 페트코비치 |
|}
막시 로드리게스가 전반 6분과 41분에 두 골을 넣었고, 에스테반 캄비아소가 전반 31분, 에르난 크레스포가 후반 33분, 카를로스 테베스가 후반 39분, 리오넬 메시가 후반 43분에 각각 득점을 기록했다.
경기 최우수 선수는 후안 로만 리켈메 (아르헨티나)였다. 부심은 크리스티아노 코펠리, 알레산드로 스타뇰리(이탈리아)였고, 제4심판은 에삼 압드 엘 파타(이집트), 제5심판은 드라마네 단테(말리)였다.
아르헨티나는 이 경기 승리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반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2패로 탈락 위기에 놓였다. 특히, 마테야 케주만의 퇴장과 6골차 대패는 당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으며, 이는 곧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해체 및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분리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3. 3. 1. 경기 상세 정보
2006년 6월 16일, 겔젠키르헨의 FIFA 월드컵 스타디온 겔젠키르헌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아르헨티나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6-0으로 대파했다.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로베르토 아봉단치에리 |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 ||
CB | 6 | 가브리엘 에인세 | ||
LB | 3 | 후안 파블로 소린 (주장) | ||
D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
RW | 22 | 루초 곤살레스 | 17분 교체 |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
LW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75분 교체 | |
CF | 7 | 하비에르 사비올라 | 59분 교체 | |
CF | 9 | 에르난 크레스포 | ||
교체 선수: | ||||
MF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17분 교체 | |
FW | 11 | 카를로스 테베스 | 59분 교체 | |
FW | 19 | 리오넬 메시 | 75분 교체 | |
감독: | ||||
호세 페케르만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
RB | 4 | 이고르 둘랴 | ||
CB | 6 | 고란 가브란치치 | ||
CB | 15 | 밀란 두디치 | ||
LB | 20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
RM | 7 | 오그넨 코로만 | 50분 교체 | |
CM | 17 | 알베르트 나지 | 46분 교체 | |
CM | 11 | 프레드라그 죠르제비치 | ||
LM | 10 | 데얀 스탄코비치 | ||
CF | 9 | 사보 밀로셰비치 (주장) | 70분 교체 | |
CF | 8 | 마테야 케즈만 | ||
교체 선수: | ||||
MF | 2 | 이반 에르기치 | 46분 교체 | |
FW | 21 | 다니엘 류보야 | 50분 교체 | |
MF | 18 | 즈보니미르 부키치 | 70분 교체 | |
감독: | ||||
일리야 페트코비치 |
|}
막시 로드리게스가 전반 6분과 41분에 두 골을 넣었고, 에스테반 캄비아소가 전반 31분, 에르난 크레스포가 후반 33분, 카를로스 테베스가 후반 39분, 리오넬 메시가 후반 43분에 각각 득점을 기록했다.
경기 최우수 선수는 후안 로만 리켈메 (아르헨티나)였다. 부심은 크리스티아노 코펠리, 알레산드로 스타뇰리(이탈리아)였고, 제4심판은 에삼 압드 엘 파타(이집트), 제5심판은 드라마네 단테(말리)였다.
아르헨티나는 이 경기 승리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반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2패로 탈락 위기에 놓였다. 특히, 마테야 케즈만의 퇴장과 6골차 대패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3. 4. 네덜란드 vs 코트디부아르
2006년 FIFA 월드컵 C조에서 2006년 6월 16일 슈투트가르트의 고틀리프-다임러-슈타디온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네덜란드가 2-1로 승리하였다. 네덜란드는 판 페르시가 전반 23분에, 판 니스텔로이가 전반 27분에 득점하여 앞서나갔다. 코트디부아르는 코네가 전반 39분에 만회골을 넣었지만, 추가 득점에는 실패했다.경기 상세 정보 | |||||||||
---|---|---|---|---|---|---|---|---|---|
네덜란드 | 코트디부아르 | ||||||||
GK | 1 | 에드빈 판 데르 사르 (주장) | GK | 1 | 장-자크 티지에 | ||||
RB | 14 | 욘 헤이팅아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
CB | 13 | 안드레 오이여르 | CB | 4 | 콜로 투레 | ||||
CB | 4 | 요리스 마테이선 | CB | 12 | 압둘라유 메이테 | ||||
LB | 5 | 히오반니 판 브론크호르스트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
RM | 18 | 마르크 판 보멀 | CM | 19 | 야야 투레 | ||||
CM | 20 | 베슬레이 스네이더르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
LM | 8 | 필립 코퀴 | CM | 22 | 로마리크 | ||||
RF | 17 | 로빈 판 페르시 | RF | 14 | 바카리 코네 | ||||
CF | 9 | 뤼트 판 니스텔로이 | CF | 11 | 디디에 드로그바 (주장) | ||||
LF | 11 | 아르연 로번 | LF | 9 | 아루나 코네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DF | 3 | 할리드 불라루즈 | MF | 10 | 질 야피 야포 | ||||
MF | 10 | 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 | FW | 15 | 아뤼나 댕단 | ||||
MF | 6 | 데니 란트자트 | MF | 2 | 캉가 아칼르 | ||||
감독: | 감독: | ||||||||
마르코 판 바스턴 | 앙리 미셸/Henri Michel프랑스어 |
'''경기 최우수 선수:'''
아르연 로번 (네덜란드)
'''부심:'''
호세 나비아 (콜롬비아)
페르난도 타마요 (에콰도르)
'''제4 심판:'''
마르코 로드리게스 (멕시코)
'''제5 심판:'''
호세 루이스 카마르고 (멕시코)
3. 4. 1. 경기 상세 정보
판 니스텔루이 |B. 코네 |고틀리프-다임러-슈타디온, 슈투트가르트|52,000|오스카르 루이스 (콜롬비아)}}네덜란드 | ||||
GK | 1 | 에드윈 판 데르 사르 (주장) | ||
RB | 14 | 존 하이팅아 | ||
CB | 13 | 안드레 우이예르 | ||
CB | 4 | 요리스 마티이센 | ||
LB | 5 | 지오반니 판 브롱크호르스트 | ||
RM | 18 | 마르크 판 보멜 | ||
CM | 20 | 웨슬리 스나이더 | ||
LM | 8 | 필립 코쿠 | ||
RF | 11 | 아르연 로번 | ||
CF | 9 | 루트 판 니스텔루이 | ||
LF | 17 | 로빈 판 페르시 | ||
교체 선수: | ||||
DF | 3 | 칼리드 붸라흐루즈 | ||
MF | 10 | 라파엘 판 더 파르트 | ||
MF | 6 | 데니 란드자트 | ||
감독: | ||||
마르코 판 바스텐 |
코트디부아르 | ||||
GK | 1 | 장-자크 티지에 |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
CB | 4 | 콜로 투레 | ||
CB | 12 | 압둘라예 메이테 |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
CM | 19 | 야야 투레 |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
CM | 22 | 로마릭 | ||
RF | 14 | 바카리 코네 | ||
CF | 11 | 디디에 드록바 (주장) | ||
LF | 9 | 아루나 코네 | ||
교체 선수: | ||||
MF | 10 | 질 야피 야포 | ||
FW | 15 | 아루나 딘다네 | ||
MF | 2 | 캉가 아칼레 | ||
감독: | ||||
앙리 미셸/Henri Michel프랑스어 |
'''경기 최우수 선수:'''
아르연 로번 (네덜란드)
'''부심:'''
호세 나비아 (콜롬비아)
페르난도 타마요 (에콰도르)
'''제4 심판:'''
마르코 로드리게스 (멕시코)
'''제5 심판:'''
호세 루이스 카마르고 (멕시코)
3. 5. 네덜란드 vs 아르헨티나
2006년 6월 21일, CET (UTC+1) 21시에 프랑크푸르트의 FIFA 월드컵 프랑크푸르트 경기장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네덜란드와 아르헨티나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이 경기에는 48,0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 pattern_b = _collar | pattern_ra = | pattern_sh = | pattern_so = _2_stripes_white | leftarm = F1771D | body = F1771D | rightarm = F1771D | shorts = F1771D | socks = F1771D | title = 네덜란드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arg06h1 | pattern_b = _arg06h1 | pattern_ra = _arg06h1 | pattern_sh = _arg06h | pattern_so = _arg06h | leftarm = 75AADB | body = 75AADB | rightarm = 75AADB | shorts = 000000 | socks = FFFFFF | title = 아르헨티나 |
네덜란드 | 아르헨티나 | ||||||
---|---|---|---|---|---|---|---|
GK | 1 | 에드빈 판 데르 사르 (주장) | GK | 1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
RB | 2 | 케위 얄린스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24분 교체 | |
CB | 3 | 할리드 불라루즈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주장) | ||
CB | 13 | 안드레 오이여르 | 42분 경고 | CB | 15 | 가브리엘 밀리토 | |
LB | 15 | 팀 더 클레르 | 48분 경고 | LB | 17 | 레안드로 쿠프레 | |
RM | 10 | 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 | RM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
CM | 20 | 베슬레이 스네이더르 | 86분 교체 | C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90분 경고 |
LM | 8 | 필립 코퀴 | LM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57분 경고 | |
RF | 17 | 로빈 판 페르시 | 67분 교체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80분 교체 |
CF | 9 | 뤼트 판 니스텔로이 | 56분 교체 | CF | 19 | 리오넬 메시 | 70분 교체 |
LF | 7 | 디르크 카위트 | 28분 경고 | CF | 11 | 카를로스 테베스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FW | 21 | 라이언 바벌 | 56분 교체 | DF | 4 | 파브리시오 콜로치니 | 24분 교체 |
MF | 6 | 데니 란트자트 | 67분 교체 | FW | 20 | 훌리오 리카르도 크루스 | 70분 교체 |
MF | 16 | 헷비허스 마뒤로 | 86분 교체 | MF | 16 | 파블로 아이마르 | 80분 교체 |
감독: 마르코 판 바스턴 | 감독: 호세 페케르만 |
'''경기 최우수 선수:''' 카를로스 테베스 (아르헨티나)
'''부심:'''
- 빅토리아노 히랄데스 카라스코 (스페인)
- 페드로 메디나 에르난데스 (스페인)
'''제4심판:'''
- 카를로스 찬디아 (칠레)
'''제5심판:'''
- 로드리고 곤잘레스 (칠레)
3. 5. 1. 경기 상세 정보
2006년 6월 21일, CET (UTC+1) 21시에 프랑크푸르트의 FIFA 월드컵 프랑크푸르트 스타디온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네덜란드와 아르헨티나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이 경기에는 48,0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 pattern_b = _collar | pattern_ra = | pattern_sh = | pattern_so = _2_stripes_white | leftarm = F1771D | body = F1771D | rightarm = F1771D | shorts = F1771D | socks = F1771D | title = 네덜란드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arg06h1 | pattern_b = _arg06h1 | pattern_ra = _arg06h1 | pattern_sh = _arg06h | pattern_so = _arg06h | leftarm = 75AADB | body = 75AADB | rightarm = 75AADB | shorts = 000000 | socks = FFFFFF | title = 아르헨티나 |
네덜란드 | 아르헨티나 | ||||
---|---|---|---|---|---|
GK | 1 | 에드윈 판 데르 사르 (주장) | GK | 1 | 로베르토 아봉단치에리 |
RB | 2 | 케우 얄리언스 | RB | 21 | 니콜라스 부르디소() |
CB | 3 | 칼리드 붸라흐루즈 | CB | 2 | 로베르토 아얄라 (주장) |
CB | 13 | 안드레 우이예르 () | CB | 15 | 가브리엘 밀리토 |
LB | 15 | 팀 더 클레르 () | LB | 17 | 레안드로 쿠프레 |
RM | 10 | 라파엘 판 더 파르트 | RM | 18 | 막시 로드리게스 |
CM | 20 | 웨슬리 스나이더 () | CM | 8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
LM | 8 | 필립 코쿠 | LM | 5 | 에스테반 캄비아소 () |
RF | 17 | 로빈 판 페르시 () | AM | 10 | 후안 로만 리켈메 () |
CF | 9 | 루트 판 니스텔루이 () | CF | 19 | 리오넬 메시 () |
LF | 7 | 디르크 카이트 () | CF | 11 | 카를로스 테베스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FW | 21 | 라이언 바벨 () | DF | 4 | 파브리시오 콜로치니 () |
MF | 6 | 데니 란자트 () | FW | 20 | 훌리오 리카르도 크루스 () |
MF | 16 | 헤드위헤스 마두로 () | MF | 16 | 파블로 아이마르 () |
감독: 마르코 판 바스텐 | 감독: 호세 페케르만 |
'''경기 최우수 선수:''' 카를로스 테베스 (아르헨티나)
'''부심:'''
- 빅토리아노 히랄데스 카라스코 (스페인)
- 페드로 메디나 에르난데스 (스페인)
'''제4심판:'''
- 카를로스 찬디아 (칠레)
'''제5심판:'''
- 로드리고 곤잘레스 (칠레)
3. 6. 코트디부아르 vs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006년 6월 21일, 뮌헨의 FIFA WM 스타디온 뮌헨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코트디부아르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경기에서 코트디부아르가 3-2로 승리했다.상세 정보 | |
---|---|
날짜 | 2006년 6월 21일 |
시간 | 21:00 CET (UTC+1) |
경기장 | FIFA WM 스타디온 뮌헨, 뮌헨 |
관중 | 66,000명 |
주심 | 마르코 로드리게스 (멕시코) |
최우수 선수 | 아뤼나 댕단 (코트디부아르) |
부심 | colspan="2" | |
대기심 | colspan="2" | |
후보 대기심 | colspan="2" |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thingreenborder | pattern_b = _civ0608h | pattern_ra = _thingreenborder | pattern_sh = _civh06 | pattern_so = _puma_2006_orange | leftarm = FF8000 | body = FF8000 | rightarm = FF8000 | shorts = FF8000 | socks = 008000 | title = 코트디부아르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scg06h | pattern_b = _scg06h | pattern_ra = _scg06h | pattern_sh = _scg06h | pattern_so = | leftarm = 2354A7 | body = 2354A7 | rightarm = 2354A7 | shorts = FFFFFF | socks = FF0000 | title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23 | 부바카르 바리 |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
CB | 6 | 블레즈 쿠아시 | ||
CB | 17 | 시릴 도모로 (주장) | 41', 90+2' |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
RM | 18 | 압둘 카데르 케이타 | 33' | 73'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
CM | 19 | 야야 투레 | ||
LM | 2 | 캉가 아칼레 | 60' | |
CF | 15 | 아뤼나 댕단 | 43' | |
CF | 9 | 아루나 코네 | ||
교체 선수: | ||||
FW | 14 | 바카리 코네 | 60' | |
FW | 8 | 보나방튀르 칼루 | 73' | |
감독: | ||||
{{llang 앙리 미셸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
RB | 14 | 네나드 조르제비치 | ||
CB | 6 | 고란 가브란치치 | 57' | |
CB | 15 | 밀란 두디치 | 35' | |
LB | 20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16' | |
RM | 10 | 데얀 스탄코비치 (주장) | ||
CM | 4 | 이고르 둘야이 | 37' | |
CM | 22 | 사샤 일리치 | ||
CM | 11 | 프레드라그 조르제비치 | ||
LM | 2 | 이반 에르기치 | ||
CF | 19 | 니콜라 지기치 | 67' | |
교체 선수: | ||||
MF | 17 | 알베르트 나지 | 17', 45+1' | 16' |
FW | 9 | 사보 밀로셰비치 | 67' | |
감독: | ||||
일리야 페트코비치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전반 10분 니콜라 지기치가 선제골을, 20분 사샤 일리치가 추가골을 넣으며 2-0으로 앞서나갔다. 하지만 코트디부아르는 전반 37분 아뤼나 댕단의 페널티골로 추격을 시작했고, 후반 22분 아뤼나 댕단가 동점골을, 후반 41분 보나방튀르 칼루가 페널티골로 역전 결승골을 넣어 짜릿한 승리를 거머쥐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알베르트 나지는 전반 17분과 45+1분에 경고를 받아 퇴장당했고, 코트디부아르의 시릴 도모로 역시 후반 추가 시간에 두 번째 경고를 받고 퇴장당했다.
3. 6. 1. 경기 상세 정보
2006년 6월 21일, 뮌헨의 FIFA WM 스타디온 뮌헨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 C조 코트디부아르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경기에서 코트디부아르가 3-2로 승리했다.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thingreenborder | pattern_b = _civ0608h | pattern_ra = _thingreenborder | pattern_sh = _civh06 | pattern_so = _puma_2006_orange | leftarm = FF8000 | body = FF8000 | rightarm = FF8000 | shorts = FF8000 | socks = 008000 | title = 코트디부아르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scg06h | pattern_b = _scg06h | pattern_ra = _scg06h | pattern_sh = _scg06h | pattern_so = | leftarm = 2354A7 | body = 2354A7 | rightarm = 2354A7 | shorts = FFFFFF | socks = FF0000 | title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23 | 부바카르 바리 | ||
RB | 21 | 에마뉘엘 에부에 | ||
CB | 6 | 블레즈 쿠아시 | ||
CB | 17 | 시릴 도모로 (c) | 41분, 90+2분 | |
LB | 3 | 아르튀르 보카 | ||
RM | 18 | 압둘 카데르 케이타 | ||
CM | 5 | 디디에 조코라 | ||
CM | 19 | 야야 투레 | ||
LM | 2 | 캉가 아칼레 | ||
CF | 15 | 아루나 딘다네 | ||
CF | 9 | 아루나 코네 | ||
교체 선수: | ||||
FW | 14 | 바카리 코네 | ||
FW | 8 | 보나벤처 칼루 | ||
감독: | ||||
앙리 미셸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 | 드라고슬라브 예브리치 | ||
RB | 14 | 네나드 조르제비치 | ||
CB | 6 | 고란 가브란치치 | ||
CB | 15 | 밀란 두디치 | ||
LB | 20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
RM | 10 | 데얀 스탄코비치 (c) | ||
CM | 4 | 이고르 둘야이 | ||
CM | 22 | 사샤 일리치 | ||
CM | 11 | 프레드라그 조르제비치 | ||
LM | 2 | 이반 에르기치 | ||
CF | 19 | 니콜라 지기치 | ||
교체 선수: | ||||
MF | 17 | 알베르트 나지 | 17분, 45+1분 | |
FW | 9 | 사보 밀로셰비치 | ||
감독: | ||||
일리야 페트코비치 |
|}
; 경기 정보
- 경기 최우수 선수: 아루나 딘다네 (코트디부아르)
- 부심: 호세 루이스 카마르고 (멕시코), 레오넬 레알 (코스타리카)
- 제4심: 모하메드 게자즈 (모로코)
- 제5심: 브라힘 제자르 (알제리)
이 경기에서 코트디부아르는 전반 10분 니콜라 지기치에게, 20분 사샤 일리치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불안하게 출발했다. 그러나 37분 아루나 딘다네의 페널티킥 만회골과 67분 아루나 딘다네의 추가골, 그리고 86분 보나벤처 칼루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알베르트 나지가 전반 17분과 45+1분에 두 차례 경고를 받아 퇴장당했고, 코트디부아르의 시릴 도모로 역시 후반 추가시간에 두 번째 경고를 받고 퇴장당했다.
4. 기타
4. 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정치적 상황
4. 2. 코트디부아르의 첫 월드컵
참조
[1]
뉴스
Kezman's inside knowledge of Holland may see Serbs strike fatal blow in Group of Death
http://www.guardian.[...]
2009-12-03
[2]
뉴스
Argentina join the Dutch in group of death
http://www.guardian.[...]
2009-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