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여자 75kg이상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여자 +75kg급 경기는 중국 광저우의 둥관 체육관에서 열렸다. 이 경기는 2010년 11월 19일에 진행되었으며, 장미란(대한민국)과 멍쑤핑(중화인민공화국)이 합계 311kg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장미란이 몸무게에서 앞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장미란은 용상에서 181kg을 기록하며 아시안 게임 신기록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여자 63kg급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여자 63kg급은 광저우에서 열린 역도 경기로, 박현숙, 마오 리, 슈라바르니 라지 선수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최종 순위에서는 Ouyang Xiaofang과 김수경 선수가 금, 은메달을 차지했고, 경기 전 아시아 기록은 린웨이가 보유하고 있었다. -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남자 105kg이상급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남자 105kg 이상급 경기에서 베흐다드 살리미가 아시안 게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전상균이 은메달, 사자드 아누시라바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역도에 관한 - 2018년 아시안 게임 역도
2018년 아시안 게임 역도는 인도네시아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총 1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이다. - 아시안 게임 역도에 관한 - 2014년 아시안 게임 역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역도는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달빛축제정원역도경기장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메달 순위에서 우위를 점했고 대한민국은 남자 94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 총 32개국 20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2010년 아시안 게임에 관한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 아랍에미리트가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2010년 아시안 게임에 관한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및 여자 축구 토너먼트로 진행되었고, 일본이 남녀 축구 모두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여자 75kg이상급 | |
---|---|
대회 정보 | |
종목 | 여자 +75 kg |
대회 | 2010년 아시안 게임 |
경기장 | 둥관 체육관 |
날짜 | 2010년 11월 19일 |
참가 선수 | 6 |
참가 국가 | 5 |
이전 대회 | 2006 |
다음 대회 | 2014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장미란 |
금메달 국가 | KOR |
은메달 | 멍쑤핑 |
은메달 국가 | CHN |
동메달 | 마리야 그라보베츠카야 |
동메달 국가 | KAZ |
2. 경기장
둥관 체육관에서 모든 경기가 진행되었다.[1]
모든 시간은 중국 표준시(UTC+08:00) 기준이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역도 여자 +75kg급 경기 전 세계 기록, 아시아 기록, 아시안 게임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3. 일정
날짜 시간 경기 2010년 11월 19일 금요일 17:00 A조
4. 경기 기록
인상 용상 총합 세계 기록 Татьяна Каширина|타티아나 카시리나ru (러시아) 145kg (터키 안탈리아, 2010년 9월 25일) 장미란 (대한민국) 187kg (대한민국 고양시, 2009년 11월 28일) 장미란 (대한민국) 326kg (중국 베이징, 2008년 8월 16일) 아시아 기록 장미란 (대한민국) 140kg (중국 베이징, 2008년 8월 16일) 장미란 (대한민국) 187kg (대한민국 고양시, 2009년 11월 28일) 장미란 (대한민국) 326kg (중국 베이징, 2008년 8월 16일) 아시안 게임 기록 무솽솽 (중국) 139kg (카타르 도하, 2006년 12월 6일) 장미란 (대한민국) 178kg (카타르 도하, 2006년 12월 6일) 무솽솽 (중국) 317kg (카타르 도하, 2006년 12월 6일)
4. 1. 세계 기록
종목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인상 | Татьяна Каширина|타티아나 카시리나ru (러시아) | 145 kg | 안탈리아 | 2010년 9월 25일 |
용상 | 장미란 (대한민국) | 187 kg | 고양시 | 2009년 11월 28일 |
총합 | 장미란 (대한민국) | 326 kg | 베이징 | 2008년 8월 16일 |
4. 2. 아시아 기록
종목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인상 | 장미란 (대한민국) | 140 kg | 베이징 | 2008년 8월 16일 |
용상 | 장미란 (대한민국) | 187 kg | 고양시 | 2009년 11월 28일 |
합계 | 장미란 (대한민국) | 326 kg | 베이징 | 2008년 8월 16일 |
4. 3. 아시안 게임 기록
종목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인상 | 무솽솽 (중국) | 139 kg | 도하 | 2006년 12월 6일 |
용상 | 장미란 (한국) | 178 kg | 도하 | 2006년 12월 6일 |
합계 | 무솽솽 (중국) | 317 kg | 도하 | 2006년 12월 6일 |
5. 경기 결과
순위 | 선수 | 몸무게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kg) |
---|---|---|---|---|---|
장미란 (대한민국) | 115.92 | 130 | 181 | 311 | |
멍쑤핑 (중화인민공화국) | 116.70 | 135 | 176 | 311 | |
마리야 그라보베츠카야 (카자흐스탄) | 113.95 | 135 | 155 | 290 | |
4 | 알렉산드라 아보르네바 (카자흐스탄) | 96.14 | 112 | 145 | 257 |
5 | 치찬옥 풀사브사쿨 (태국) | 118.43 | 115 | 140 | 255 |
6 | 기타 라니 (인도) | 113.88 | 95 | 132 | 227 |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역도 여자 +75kg급 경기 결과이다. 장미란은 인상에서 130kg, 용상에서 181kg을 들어올려 합계 311kg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멍쑤핑은 인상에서 135kg, 용상에서 176kg을 들어올려 합계 311kg으로 장미란과 동률을 이루었으나, 몸무게가 더 많이 나가 은메달에 머물렀다. 마리야 그라보베츠카야는 인상에서 135kg, 용상에서 155kg을 들어올려 합계 290kg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1]
6. 신기록
종목 | 기록 | 선수 | 대회 |
---|---|---|---|
용상 | 181 kg | 장미란 (대한민국) | 2010년 아시안 게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