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는 다양한 경쟁 및 비경쟁 부문을 통해 여러 영화를 선보였다. 경쟁 부문에서는 캐나다 장편영화상, 국제 장편영화상, 용호상 등의 후보작이 선정되었고, 비경쟁 부문에서는 갈라, 특별 상영, 컨템포러리 월드 시네마, 스포트라이트 온 프랑스 등이 진행되었다. 영화제는 '인디언 호스'를 포함한 여러 작품에 상을 수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영화제 - 제6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제6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2017년에 개최되었으며, 헝가리 영화 《육체와 영혼》이 황금곰상을, 김민희가 《밤의 해변에서 혼자》로 은곰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2017년 영화제 -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2017년에 열린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신수원 감독의 《유리정원》 개막작 선정, 다양한 영화 섹션 운영, 스즈키 세이준 감독 회고전 및 배우 신성일 특별전 개최, 그리고 영화인들을 위한 시상 등을 통해 영화 팬들의 관심 속에 영화인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새로운 영화감독들을 발굴하는 데 기여한 영화 축제이다. - 벤쿠버 국제 영화제 - 2008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
2008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영화제로, 용호상, 다큐멘터리인기상, 환경영화인기상, 국제영화인기상 등의 시상과 "캐나다 이미지" 등의 섹션을 통해 다양한 영화를 상영했다. - 벤쿠버 국제 영화제 - 200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
200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된 국제 영화제로, 용호상, 다큐멘터리인기상, 국제영화인기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상작을 선정하고 IMAX, 캐나다 이미지, 우리 시대의 영화 등 여러 부문에서 다양한 영화를 상영했으며, 특히 "용과 호랑이" 부문에서는 한국 영화가 다수 소개되었다.
201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 | |
---|---|
영화제 정보 | |
이름 | 2017년 밴쿠버 국제 영화제 |
원어 이름 | 2017 Vancouv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개막작 | 미나 슘 감독의 Meditation Park |
폐막작 | 토드 헤인즈 감독의 Wonderstruck |
개최지 |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캐나다 |
개최 기간 | 2017년 9월 28일 ~ 2017년 10월 13일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82년 첫 개최 이후, 밴쿠버 국제 영화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초기에는 주로 유럽 영화를 중심으로 상영했으나, 점차 상영 범위를 넓혀 현재는 전 세계 다양한 국가의 영화를 소개하고 있다.
201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는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으로 나뉘어 다양한 장르와 형식의 영화를 선보였다. 경쟁 부문에서는 캐나다 장편 영화상, 신인 감독상, BC 최우수 작품상 등이 수여되었다. 비경쟁 부문에서는 갈라, 주목할 만한 영화, 다큐멘터리, 아시아 영화, 단편 영화 등 다양한 섹션을 통해 폭넓은 영화들이 소개되었으며, 봉준호 감독의 옥자, 이준익 감독의 아나키스트로부터의 콜로니 등 한국 영화들도 포함되어 주목을 받았다.
3. 주요 부문
3. 1. 경쟁 부문
상 | 수상작 | 감독 | 기타 |
---|---|---|---|
로저스 관객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된 캐나다 장편 영화에 수여됨 |
VIFF 임팩트 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된 다큐멘터리 영화에 수여됨 |
캐나다 장편 영화상 | 고독 | 캐슬린 헵번 | |
캐나다 신인 감독상 | 블랙 캅 | 코리 보리스 | |
캐나다 단편 영화상 | 우는 소라 | 빈센트 토이 | |
캐나다 신인 단편 영화상 | 파열 | 야스미나 카라자 | |
BC 최우수 작품상 | 고독 | 캐슬린 헵번 | |
BC 신인 감독상 | 고독 | 캐슬린 헵번 | |
최우수 국제 장편 영화상 | BPM (120 비트) | 로뱅 캉피요 | |
최우수 국제 단편 영화상 | 개구리의 발라드 | 레오노르 텔레스 | |
용호상 | 어리석은 새 | 황지, 오츠카 류지 |
3. 2. 비경쟁 부문
201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장르의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주요 상영작은 다음과 같다.'''갈라 부문'''
- ''보그 vs 맥너로'' — 야누스 메츠 페데르센
- ''브리드'' — 앤디 서키스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 루카 구아다니노
- ''어 환타스틱 우먼'' — 세바스티안 렐리오
- ''플로리다 프로젝트'' — 숀 베이커
- ''해피 엔드'' — 미하엘 하네케
- ''성스러운 사슴의 살해'' — 요르고스 란티모스
- ''러빙 빈센트'' — 도로타 코비엘라, 휴 웰치먼
- ''마운틴'' — 제니퍼 피덤
- ''더 스퀘어'' — 루벤 외스틀룬
- ''탑 오브 더 레이크: 차이나 걸'' — 제인 캠피온, 아리엘 클레이먼
'''주목할 만한 영화'''
- ''7분'' - 미켈레 플라치도
- ''터널의 끝에서'' - 로드리고 그란데
- ''Azar'' - 모하마드 함제이
- ''개와 고양이'' - 카우테르 벤 하니아
- ''볼쇼이'' - 발레리 토도로프스키
- ''캐스팅'' - 니콜라스 바커바르트
- ''코코테'' - 넬슨 카를로 데 로스 산토스 아리아스
- ''콜럼버스'' - 코고나다
- ''사막의 신부'' - 세실리아 아탄, 발레리아 피바토
- ''방향'' - 스테판 코만다레프
- ''실종'' - 보더웨인 콜레
- ''신성한 질서'' - 페트라 볼페
- ''드래곤 방어'' - 나탈리아 산타
- ''작별 (Abscheid von den Eltern)'' - 아스트리드 요한나 오프너
- ''펠리시테'' - 알랭 고미
- ''가브리엘과 산'' - 펠리페 가마라노 바르보사
- ''정원 상점: 가족 친구'' - 얀 흐르제베이크
- ''신의 나라'' - 프랜시스 리
- ''골든 엑시트'' - 알렉스 로스 페리
- ''매너 있는 사람들'' - 마르코 두트라, 줄리아나 로하스
- ''홀리 에어'' - 셰이디 스루르
- ''호텔 구원'' - 슈바시시 부타니
- ''얼음 엄마'' - 보단 슬라마
- ''인 더 페이드'' - 파티 아킨
- ''모욕'' - 지아드 두에이리
- ''왕의 선택'' - 에릭 포페
- ''아바나에서의 마지막 날들'' - 페르난도 페레즈
- ''라인'' - 피터 베브야크
- ''내 부르카 속 립스틱'' - 알란크리타 슈리바스타바
- ''러브리스'' -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 ''럭키'' - 존 캐롤 린치
- ''산비둘기의 둥지'' - 타라스 트칸첸코
- ''뉴턴'' - 아미트 V. 마수르카
- ''나일 힐튼 사건'' - 타릭 살레
- ''장미의 가시는 없다'' - 모스토파 사르와르 파루키
- ''날짜 없음, 서명 없음'' - 바히드 잘릴반드
- ''일곱 번째 날'' - 짐 맥케이
- ''희망의 건너편'' - 아키 카우리스마키
- ''파티'' - 샐리 포터
- ''로스 페로스'' - 마르셀라 사이드
- ''스페인 여왕'' - 페르난도 트루에바
- ''레세바: 어둠의 바람'' - 후세인 하산
- ''사미의 피'' - 아만다 케르넬
- ''무서운 어머니'' - 아나 우루샤제
- ''섹시 두르가'' - 사날 쿠마르 사시드하란
- ''소피아의 아들 (O gios tis Sofias)'' - 엘리나 프시쿠
- ''신 사과'' - 일마즈 에르도안
- ''1993년 여름'' - 카를라 시몬
- ''제비와 아마존'' - 필리파 로소프
- ''스위트 버지니아'' - 제이미 M. 대그
- ''멕시코의 이야기 (La Habitación)'' - 나탈리아 베리스테인, 카를로스 볼라도, 카를로스 카레라, 에르네스토 콘트레라스, 다니엘 히메네스 카초, 알폰소 피네다 울로아, 알레한드로 바예, 이반 아빌라 두에냐스
- ''테헤란 타부'' - 알리 소잔데
- ''다정함'' - 지아니 아멜리오
- ''아빠와 함께 떠난 여행 (Die Reise mit Vater)'' - 안카 미루나 라자레스쿠
- ''델마'' - 요아킴 트리예
- ''갈증 거리'' - 네이선 실버
- ''톰 오브 핀란드'' - 돔 카루코스키
- ''바잔테'' - 다니엘라 토마스
- ''서부'' - 발레스타 그리제바흐
- ''겨울 형제'' - 흘리뉘르 팔마손
- ''상처'' - 존 트렌고브
- ''젊은 칼 마르크스'' - 라울 펙
'''다큐멘터리 부문'''
- ''24 프레임'' -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 ''알파고'' - 그렉 코스
- ''믿음을 무장하다'' - 아사드 파루키, 지타 간드비르
- ''폭탄선언: 헤디 라마 이야기'' - 알렉산드라 딘
- ''카니발'' - 베레나 파라벨, 루시앙 카스탱-테일러
- ''누가 총을 쐈는지 궁금했어?'' - 트래비스 윌커슨
- ''디나'' - 다니엘 시클스, 안토니오 산티니
- ''얼간이: 프레드 베키의 전설'' - 데이브 올레스케
- ''가장 먼 곳'' - 에머 레이놀즈
- ''행운을 빌어요'' - 벤 러셀
- ''기계'' - 라훌 자인
- ''메인랜드'' - 미아오 왕
- ''결혼 이야기 (스트르나도비)'' - 헬레나 트르제슈티코바
- ''새로운 과학을 찾아서'' - 데이비드 말론
- ''무제'' - 미하엘 글라보거, 모니카 빌리
- ''요르단강 서쪽'' - 아모스 기타이
'''아시아 영화 부문'''
- ''2 쿨 2 비 4갓튼'' - 페테르센 바르가스
- ''아나키스트로부터의 콜로니'' - 이준익
- ''앙코르 어웨이큰스'' - 로버트 H. 리버먼
- ''배드 지니어스'' - 나타웃 푼피리야
- ''아름다운 별'' - 요시다 다이하치
- ''내가 되는 과정'' - 문창용, 전진
- ''버마 스토리북'' - 페트르 롬
- ''클레어의 카메라'' - 홍상수
- ''계정'' - 오기가미 나오코
- ''디파처'' - 라나 윌슨
- ''드래곤플라이 아이즈'' - 쉬빙
- ''얼굴들'' - 김대환
- ''물 밖의 물고기'' - 라이 궈안
- ''어리석은 새'' - 황지, 오츠카 류지
- ''대불+'' - 황지, 오츠카 류지
- ''국록: 죄의 흔적'' - 이시카와 케이
- ''해피 데이'' - 류젠
- ''은검'' - 쉬하오펑
- ''개들 사이의 꿀 제공자'' - 데첸 로더
- ''아임 갓 더 블루스'' - 앤지 첸
- ''다가올 때에'' - 탄 핀 핀
- ''베이징의 왕'' - 샘 부타스
- ''어미 곰의 마지막 포효'' - 더그 찬
- ''말리나, 4개의 행위로 이루어진 살인자'' - 물리 수르야
- ''마더랜드'' - 라모나 S. 디아즈
- ''옥자'' - 봉준호
- ''파라독스'' - 엽위신
- ''사소한 것들에 땀 흘리기'' - 니노미야 류타로
'''단편 영화 부문'''
- ''앨리스 아얄릭'' — 릴 유스
- ''앤 돌'' — 레비 마샬
- ''빅포드 파크'' — 린지 스튜어트, 데인 클락
- ''버드'' — 몰리 파커
- ''버드라임'' — 에반 데루시
- ''번번 블라스트'' — 드레이크 투라
- ''체리 콜라'' — 조셉 아멘타
- ''크렘 드 멘트'' — 장-마르크 E. 로이, 필립 데이비드 가녜
- ''우는 소라'' — 빈센트 토이
- ''우리 여기서 나갈까'' — 줄리아 허칭스
- ''어원'' — 페이스 파레
- ''펜스'' — 알렉시스 포르티에 고티에
- ''홍수'' — 아만다 스트롱
- ''여기서부터'' — 대린 베드나르치크
- ''풀 문 파티'' — 가브리엘 아델만
- ''더 글로우 이즈 곤'' — 라이언 에르마코라
- ''밖에서 놀자'' — 아딥 알칼라이디
- ''좋은 싸움'' — 민티 파도
- ''할머니'' — 트레버 맥
- ''그의 이름은 윌리'' — 리즈 케언즈
- ''이디즈와디디즈'' — 아이자이아 메디나
- ''그럴 수도 있어'' — 에반 맥더못, 사만다 캠벨
- ''니트'' — 리사 비르케
- ''마음이 밝아지게 해'' — 데라 캠벨, 소피 롬바리
- ''삶은 계속된다: 존 덥'' — 모 양
- ''내 발 아래의 빛'' — 라즈
- ''리라의 숲'' — 코너 제섭
- ''잃어버린 낙원 잃어버림'' — 얀 지루
- ''로어 플렌티 가든 뷰'' — 아드리안 세인트 루이스
- ''마니발드'' — 친티스 룬드그렌
- ''순교자'' — 데번 스콧, 윌 로스
- ''평화의 기억'' — 제니퍼 추, 진 파슨스
- ''밀크'' — 헤더 영
- ''사가나의 산'' — 크리스토퍼 아우처
- ''라 페스카'' — 파블로 알바레즈-메사, 페르난도 로페즈 에스크리바
- ''난민 구조'' — 리처드 양
- ''파열'' — 야스미나 카라자
- ''스캐폴드'' — 카지크 라드반스키
- ''스크래치'' — 마브 뉴랜드
- ''바다 괴물'' — 다니엘 로크, 카산드라 톰지크
- ''섀도우 네트'' — 필립 바커
- ''슬랩 해피'' — 마들렌 심스-페어, 더스티 만치넬리
- ''테슬라 월드 라이트'' — 매튜 랭킨
- ''그곳에는 광부들이 살았다'' — 넬슨 맥도널드
- ''폭력배'' — 다니엘 부스
- ''납치의 목소리들'' — 라이언 맥케나
- ''음식이 상하면'' — 벤 스프링거
- ''고양이는 아홉 개의 목숨 후에 어디로 갈까?'' — 마리온 듀엠
- ''전화하는 여자: 캐롤'' — 에리카 제네로 스미스
- ''100초 적색 신호'' - 나비드 자레
- ''애프터글로우'' - 아키라 카미키
- ''미국 정신병'' - 아만다 자켐
- ''동물'' - 아타사이 코치
- ''백스토리'' - 조쉬카 라우케닉스
- ''발루이너이터'' - 조슈아 시겔
- ''불로어러'' - 프란체스코 사비아노
- ''C.O.D.'' - 오너 도간
- ''캔톤 노벨티'' - 팡 루
- ''별을 쫓는 자'' - 마르쿠스 아이헨베르거
- ''빌어먹을 브로!'' - 트래비스 프리크
- ''분할'' - 라비아 아르샤드, 알리샤 시디기, 자밀 우르 레만
- ''빛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 제이슨 A. 로스토브스키
- ''패션쇼'' - 루시 럼스덴
- ''깃발'' - 마탄 벤 모레
- ''영원히 지금'' - 크리스티안 하스크홀드
- ''게임'' - 지니 도노호
- ''착한 여자들'' - 클라라 로케
- ''하이 문'' - 데이비드 주
- ''우리 집'' - 카를로스 폴로
- ''샹이'' - 우 지 엔
- ''헝거'' - 알레한드로 몬탈보
- ''지금 영원히 당신을 사랑해요'' - 유양 유
- ''아무데도 없는 이미지'' - 루벤 구즈만
- ''보이지 않는 선'' - 샤나와즈 차차르, 소라트 베한, 다니엘 샤
- ''코다크롬 비가'' - 제이 로젠블랫
- ''행복한 꿈의 땅'' - 조쉬 오터
- ''공의 언어'' - 라몬 로드리게스
- ''인생은 생명력 없다'' - 하와르 라히미
- ''루나 다이얼'' - 가오 위안
- ''말론'' - 제시카 팔루드
- ''맥스웰의 악마'' - 마르코스 바즈
- ''먼치스'' - 시네이드 스토다트
- ''아무도 당신을 좋아하지 않아'' - 마크 숀 헤인스, 켈리 위드리크
- ''개요'' - 엘리 로저스
- ''오버러브'' - 루카스 헬스
- ''약속'' - 네빌 피어스
- ''존재의 리듬'' - 지아다 기링겔리
- ''로얄 풀'' - 사바 카르셀라제
- ''이른 섹스에 반대하세요'' - 알루신 카마라, 수잔 카르고, 이브라힘 카마라, 마리아마 카르고
- ''목자의 지갑'' - 동 하오
- ''시시맨'' - 조슈아 아테쉬 리틀
- ''자매들'' - 토니 카물라
- ''너무 크게 말하기'' - 아벨 루빈스타인, 조지아 밀턴
- ''한 남자, 한 소녀, 그리고 로켓이 있었다'' - 테렌스 침
- ''7ún3l'' - 클리치 로페즈
- ''물고기 꼬리의 TV'' - 이에시 타파르
- ''수치심의 워크'' - 메이지 벅
- ''월트 & 미'' - 야즈 칸리
- ''옷장'' - 프라나브 바신
- ''파도'' - 벤자민 클리어리, T.J. O'Grady Peyton
- ''우리는 속해 있다'' - 제레미 헤론
- ''여기 누가 책임자인가?'' - 스튜디오 다
- ''네, 신이시여, 네'' - 카렌 메인
- ''489년'' — 하윤 권
- ''개구리의 발라드'' — 레오노르 텔레스
- ''충전된 풍경'' — 사라 나오미 굿먼
- ''찾고 고치고 완성하기'' — 실뱅 크루이즈아, 밀라 즐루텐코
- ''그린 스크린 링고'' — 도우에 디크스트라
- ''여름 정원'' — 콰이올라
- ''마틴의 울음'' — 조나단 비넬
- ''나의 사진'' — 데니스 투피코프
- ''길가 명소'' — 이베타 루카스, 패트릭 브레스난
- ''천사가 말하길 이상하다'' — 샬리마 프루스
- ''드라마 생태 연구'' — 에이야-리사 아틸라
- ''긴 이야기'' — 마야 슈바이처
- ''타슐리크 (버림)'' — 야엘 바르타나
4. 수상
상 | 영화 | 영화 제작자 |
---|---|---|
관객상 | 인디언 호스 | 스티븐 캄파넬리 |
가장 인기 있는 캐나다 다큐멘터리 | Shut Up and Say Something | 멜라니 우드 |
가장 인기 있는 국제 장편 영화 | 러빙 빈센트 | 도로타 코비엘라, 휴 웰치먼 |
가장 인기 있는 국제 다큐멘터리 | 얼굴들, 장소들 | 아녜스 바르다, JR |
최고의 캐나다 영화 | 블랙 캅 | 코리 보울스 |
최고의 캐나다 다큐멘터리 | 언암드 버시스 | 찰스 오피서 |
최고의 캐나다 단편 영화 | Shadow Nettes | 필립 바커 |
촉망받는 캐나다 감독 | Never Steady, Never Still | 캐슬린 헵번 |
최고의 BC 영화 | 룩룩아이 | 웨인 와페에묵와 |
최고의 BC 단편 영화 | Rupture | 야스미나 카라자 |
씨 투 스카이 상 | Never Steady, Never Still | 캐슬린 헵번 |
BC 촉망받는 영화 제작자 | Never Steady, Never Still | 캐슬린 헵번 |
가장 유망한 캐나다 단편 영화 감독 | 우는 소라(The Crying Conch) | 빈센트 토이 |
VIFF 임팩트 상 | Blue | 카리나 홀든 |
한국 영화 수상
5. 한국 영화
벤쿠버 국제 영화제한국어는 한국 영화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201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된 한국 영화는 다음과 같다.
6. 한국과의 관계
벤쿠버 국제 영화제는 한국 영화계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한국 영화의 해외 진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매년 다양한 한국 영화를 초청하고, 한국 영화인들과 교류를 통해 한국 영화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017년에는 봉준호 감독의 옥자, 홍상수 감독의 클레어의 카메라, 이준익 감독의 아나키스트로부터의 콜로니를 비롯한 여러 한국 영화들이 초청되었다.[1]
6. 1. 한국 영화 상영 및 초청
벤쿠버 국제 영화제는 매년 다수의 한국 영화를 초청하여 상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영화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201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에 초청된 한국 영화는 다음과 같다.6. 2. 한국 영화인 교류
벤쿠버 국제 영화제는 한국 영화 감독, 배우, 제작자 등을 초청하여 워크숍, 마스터클래스, 관객과의 대화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며, 한국과 캐나다 영화인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있다.다음은 2017년 벤쿠버 국제 영화제에 초청된 한국 영화 및 감독 목록이다.
6. 3. 한국 영화 산업 발전 기여
벤쿠버 국제 영화제는 한국 영화를 북미 시장에 소개하고, 한국 영화의 해외 배급 및 투자를 유치하는 데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이 영화제는 봉준호 감독의 옥자와 홍상수 감독의 클레어의 카메라와 같은 한국 영화들을 초청하여 상영함으로써, 이들 작품이 국제적인 주목을 받는 데 기여했다.[1]참조
[1]
뉴스
Vancouv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hat to watch
The Globe and Mail
2017-09-29
[2]
뉴스
See what all the buzz is about; VIFF Preview
The Province
2017-09-21
[3]
뉴스
A Creative Collaboration; Kronos Quartet and Guy Maddin combine their talents to create Green Fog
Vancouver Sun
2017-10-05
[4]
뉴스
Wagamese adaptation wins audience award at VIFF: Based on the late author's popular novel, Indian Horse takes home the honour based on viewer feedback during the festival
The Globe and Mail
2017-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