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는 2017년에 개최되었으며, 신수원 감독의 '유리정원'이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갈라 프레젠테이션, 아시아 영화의 창, 뉴 커런츠, 한국 영화의 오늘, 한국 영화 회고전, 월드 시네마, 플래시 포워드, 와이드 앵글, 오픈 시네마, 특별기획 프로그램, 미드나잇 패션 등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되어 여러 영화들을 상영했다. 뉴 커런츠상은 '죄 많은 소녀'와 '폐색'이, 지석상은 '말릴라: 작별의 꽃'과 '스키타이 양'이 수상했으며, 박종환과 전여빈이 올해의 배우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영화제 - 제6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제6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2017년에 개최되었으며, 헝가리 영화 《육체와 영혼》이 황금곰상을, 김민희가 《밤의 해변에서 혼자》로 은곰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2017년 영화제 - 2017년 선댄스 영화제
2017년 선댄스 영화제는 2017년 1월 19일부터 29일까지 미국 유타주 파크 시티에서 개최되어 《아이 돈트 필 앳 홈 인 디스 월드 애니모어》, 《디나》, 《나일 힐튼 사건》, 《알레포의 마지막 사람들》 등의 작품이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고 여러 부문에서 다양한 상이 수여되었으며, 여러 경쟁 부문에서 다양한 작품들이 상영되었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2021년 부산에서 열린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여러 국가와 장르의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의 위상을 높였으며, '온 스크린' 섹션에서 OTT 드라마 시리즈를 선보였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2014년에 개최된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양한 섹션을 통해 세계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 신인 감독을 발굴하며, 여러 부문의 상을 수여하고, 정진우 감독 회고전과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 상영 등으로 관객의 호응과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영화 축제이다. - 2017년 10월 - 미투 운동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자들이 경험을 공유하고 연대하는 사회 운동으로, 2006년 타라나 버크의 캠페인에서 시작되어 2017년 알리사 밀라노의 해시태그 사용으로 전 세계 확산되었으며, 성폭력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법률 개정 촉구에도 불구하고 허위 고발 논란과 소수자 배제 문제 등 비판과 논쟁이 제기되며 사회적 성찰과 노력을 요구한다. - 2017년 10월 - 파티마의 성모
1917년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성모 마리아가 세 명의 어린 양치기에게 발현하여 '파티마의 비밀'을 털어놓고 죄인들의 회개를 위한 기도와 고행을 당부했으며, '태양의 기적'으로 알려진 현상 이후 파티마는 주요 순례지가 되어 가톨릭 교회 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
영어 명칭 | 22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개막작 | 유리정원 |
폐막작 | 상애상친 |
개최 장소 | 부산 영화의 전당 |
창립 | 1995년 |
사회자 | 장동건 임윤아 |
상영작 수 | 300편 |
날짜 | 개막: 폐막: |
이전 영화제 | 21회 부산국제영화제 |
다음 영화제 | 23회 부산국제영화제 |
2. 주요 연혁
부산국제영화제는 1996년 제1회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2017년에 제22회를 맞이했다.
2. 1. 역대 주요 수상작
상 이름 | 수상작 | 감독 |
---|---|---|
죄 많은 소녀 | 김의석 | |
폐색 | 모흐센 가라에이 | |
마릴라: 이별의 꽃 | 아누차 부냐와타나 | |
금구모궐 | 요시다 다이하치 | |
대자보 | 곽은미 | |
마돈나 | 시눙 위나휴코 | |
이월 | 김중현 | |
살아남은 아이 | 신동석 | |
여름의 끝 | 콴 조우 | |
밤치기 | 박종환 | |
죄 많은 소녀 | 전여빈 | |
소성리 | 박배일 | |
센난 석면 피해 배상소송 | 하라 카즈오 | |
심장소리 | 스티비 크루즈-마틴 | |
얼굴들 | 이강현 | |
자유인 | 안드레아스 하트만 | |
소공녀 | 전고운 | |
이월 | 김중현 | |
밤치기 | 정가영 | |
스즈키 세이준 |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양한 부문을 통해 폭넓은 영화들을 소개했다.
3. 상영 부문
3. 1. 개막작
신수원 감독의 유리정원이다.
3. 2. 갈라 프레젠테이션
유키사다 이사오 감독의 나라타주, 정재은 감독의 나비잠,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마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세 번째 살인, 오우삼 감독의 맨헌트가 상영되었다.
3. 3. 아시아 영화의 창
아시아 영화의 창 섹션은 아시아 영화의 다양성과 잠재력을 보여주는 섹션이다.3. 4. 뉴 커런츠
New Currents영어는 아시아 영화의 미래를 이끌 신인 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경쟁 섹션이다. 다음은 뉴 커런츠 부문에 출품된 작품 목록이다.
제목 | 감독 | 국가 |
---|---|---|
죄 많은 소녀 | 김의석 | 대한민국 |
폐색 | 모흐센 가라에이 | 이란 |
마릴라: 이별의 꽃 | 아누차 부냐와타나 | 태국 |
금구모궐 | 요시다 다이하치 | 일본 |
대자보 | 곽은미 | 대한민국 |
마돈나 | 시눙 위나휴코 | 인도네시아 |
살아남은 아이 | 신동석 | 대한민국 |
여름의 끝 | 저우 취안 | 중국 |
마지막 구절 | 쳉 잉팅 | 대만 |
물속에서 숨 쉬는 법 | 고현석 | 대한민국 |
선창에서 보낸 하룻밤 | 한동 | 중국 |
아슈와타마-말이 울부짖을 때 | 푸쉬펜드라 싱 | 대한민국/인도 |
쪽빛 하늘 | 장경위 | 홍콩, 중국 |
할머니 | 데바시스 마키자 | 인도 |
3. 5. 한국영화의 오늘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오늘' 섹션에서는 현재 한국 영화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작품들을 소개한다.제목 | 감독 | 비고 |
---|---|---|
검은여름 | 이원영 | |
군함도 | 류승완 | |
그 후 | 홍상수 | |
당신의 부탁 | 이동은 | |
로마서 8:37 | 신연식 | |
메소드 | 방은진 | |
미씽: 사라진 여자 | 이언희 | |
박열 | 이준익 | |
박화영 | 이환 | |
밤치기 | 정가영 | |
소공녀 | 전고운 | |
아메리카 타운 | 전수일 | |
얼굴들 | 이강현 | |
엄마의 공책: 기억의 레시피 | 김성호 | |
여교사 | 김태용 | |
옥자 | 봉준호 | |
이월 | 김중현 | |
인어전설 | 오멸 | |
재회 | 박기용 | |
타클라마칸 | 고은기 | |
택시운전사 | 장훈 | |
해빙 | 이수연 | |
헤이는 | 최용석 | |
호랑이보다 무서운 겨울손님 | 이광국 | |
홈 | 김종우 | |
황제 | 민병훈 | |
히치하이크 | 정희재 |
'한국영화의 오늘' 섹션은 '파노라마'와 '비전' 두 하위 섹션으로 나뉜다. '파노라마' 섹션에서는 대중적인 영화를, '비전' 섹션에서는 독립 영화, 실험 영화 등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는 한국 영화들을 소개한다.
3. 5. 1. 파노라마
- 9 Doigts|나인 핑거스프랑스어 - F. J. 오상(F. J. Ossang) (프랑스/포르투갈)
- 4월의 딸 - 미셸 프랑코(Michel Franco) (멕시코)
-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 크리브 스텐더스(Kriv Stenders) (호주)
- 배틀 오브 더 섹스 - 조나단 데이턴과 발레리 패리스(Jonathan Dayton and Valerie Faris) (미국)
- 비욘드 더 리버 - 크레이그 프레이몬드(Craig FREIMOND) (남아프리카 공화국)
- 바이 바이 독일 - 샘 가르바스키(Sam Garbarski) (독일/벨기에/룩셈부르크)
- 카본 - 올리비에 마르샬(Olivier Marchal) (프랑스)
- 더 컨페션 - 자자 우루샤제(Zaza Urushadze) (조지아/에스토니아)
- 디렉션스 - 스테판 코만다레프(Stephan Komandarev) (불가리아/독일/마케도니아)
- 다이빙 - 멜라니 로랑(Mélanie Laurent) (프랑스)
- 러버, 연인의 은밀한 관계 - 프랑수아 오종(François Ozon) (프랑스/벨기에)
- 다운사이징 - 알렉산더 페인(Alexander Payne) (미국)
- 이퀄리브리엄 - 빈첸초 마라(Vincenzo Marra) (이탈리아)
- 유포리아 - 리사 랑세트(Lisa Langseth) (스웨덴/독일)
- 판타스틱 우먼 - 세바스티안 렐리오(Sebastián Lelio) (칠레)
- 플로리다 프로젝트 - 숀 베이커(Sean Baker) (미국)
- 프로스트 - 샤루나스 바르타스(Šarūnas Bartas) (리투아니아/프랑스/폴란드/우크라이나)
- A Gentle Creature - 세르게이 로즈니차(Sergei Loznitsa) (프랑스/독일/네덜란드/리투아니아)
- 굿 매너스 - 줄리아나 로하스(Juliana ROJAS), 마르코 두트라(Marco DUTRA) (브라질/프랑스)
- 호첼라가, 영혼의 땅 - 프랑수아 지라르(François Girard) (캐나다)
- 인 더 페이드 - 파티 아킨(Fatih Akin) (독일/프랑스)
- 더 인트루더 - 레오나르도 디 코스탄초(Leonardo DI COSTANZO) (이탈리아/스위스/프랑스)
- 잔느: 잔 다르크의 어린 시절 - 브루노 뒤몽(Bruno Dumont) (프랑스)
- 주피터의 달 - 코르넬 문드럭초(Kornél Mundruczó) (헝가리/독일)
- 더 라스트 수트 - 파블로 솔라르즈(Pablo SOLARZ) (아르헨티나/스페인)
- 더 레저 시커 - 파올로 비르지(Paolo Virzì) (미국/프랑스/이탈리아)
- 렛 더 선샤인 인 - 클레르 드니(Claire Denis) (프랑스)
- 더 라이언 슬립스 투나잇 - 스와 노부히로(Nobuhiro Suwa) (일본/프랑스)
- 롱잉 - 사비 가비존(Savi Gabizon) (이스라엘)
- 러브리스 - 안드레이 즈뱌긴체프(Andrey Zvyagintsev) (러시아/프랑스/벨기에/독일)
- 더 모티브 - 마누엘 마르틴 쿠엔카(Manuel MARTÍN CUENCA) (스페인)
- 더 마운틴 비트윈 어스 - 하니 아부 아사드(Hany Abu-Assad) (미국)
- 오케스트라 클래스 - 라시드 하미(Rachid HAMI) (프랑스)
- 희망의 건너편 - 아키 카우리스마키(Aki Kaurismäki) (핀란드/독일)
- 플래툰 - 올리버 스톤(Oliver Stone) (미국/영국)
- 포큐파인 레이크 - 잉리드 베니거(Ingrid Veninger) (캐나다)
- 약속 - 에릭 바르비에(Éric Barbier) (프랑스/벨기에)
- 레인보우 - 프라이빗 어페어 - 파올로 타비아니와 비토리오 타비아니(Paolo and Vittorio Taviani) (이탈리아/프랑스)
- 작은 영화 회사의 흥망성쇠 - 장 뤽 고다르(Jean-Luc Godard) (프랑스/스위스)
- 세르지오 & 세르게이 - 에르네스토 다라나스(Ernesto DARANAS) (쿠바/스페인)
- 더 스퀘어 - 루벤 외스틀룬드(Ruben Östlund) (스웨덴/독일/프랑스/덴마크)
- 더 서밋 - 산티아고 미트레(Santiago Mitre) (아르헨티나)
- 스위트 컨트리 - 워릭 손턴(Warwick Thornton) (호주)
- 빅토리아 & 압둘 - 스티븐 프리어스(Stephen Frears) (영국)
- 볼루빌리스 - 파우지 벤사디(Faouzi Bensaïdi) (모로코/프랑스/카타르)
- 원더스트럭 - 토드 헤인즈(Todd Haynes) (미국)
- 자마 - 루크레시아 마르텔(Lucrecia Martel) (아르헨티나)
3. 5. 2. 비전
독립 영화, 실험 영화 등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는 한국 영화들을 소개한다.- ''검은 여름'' - 이원영 (한국)
- ''밤의 별을 세다'' - 최용석 (한국)
- ''2월'' - 김중현 (한국)
- ''유령의 히치하이킹'' - 정희재 (한국)
- ''밤치기'' - 정가영 (한국)
- ''홈'' - 김종우 (한국)
- ''소공녀'' - 전고운 (한국)
- ''엄마'' - 이동은 (한국)
- ''박화영'' - 이환 (한국)
- ''가능한 얼굴들'' - 이강현 (한국)
- ''겨울밤에'' - 이광국 (한국)
3. 6. 한국영화 회고전
3. 7. 월드 시네마
3. 8. 플래시 포워드
Flash Forward영어는 비아시아권 신인 감독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경쟁 섹션이다.제목 | 감독 | 국가 |
---|---|---|
1993년의 여름 | 카를라 시몬 | 스페인 |
가브리엘과 산 | 펠리페 바르보사 | 브라질, 프랑스 |
겨울형제 | 흘리뉘르 팔메이슨 | 덴마크, 아이슬란드 |
고독 | 캐슬린 헵번 | 오스트레일리아 |
골리앗 | 도미닉 로체 | 프랑스 |
공장에는 아무것도 없다 | 페드로 피뇨 | 포르투갈 |
그림자들이 지는 곳 | 발렌티나 페디치니 | 이탈리아 |
까마귀 | 얀스 아수르 | 스웨덴 |
나는 마녀가 아니다 | 룬가노 니오니 | 영국, 프랑스 |
나의 세계 | 카를로스 모렐리 |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
남자는 울지 않는다 | 알렌 드리예비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독일 |
동반자 | 제이슨 산체즈, 알레한드로 부이트라고 | 캐나다 |
마누엘 | 다리오 알베르티니 | 이탈리아 |
마르세유의 다섯 손가락 | 마이클 매튜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마법 상자를 가진 사나이 | 보도 콕스 | 폴란드, 이탈리아 |
망각의 시 | 알리레자 하타미 |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칠레 |
머리 하나 귀 둘 | 비탈리 수슬린 | 러시아 |
미녀와 개자식들 | 카우테르 벤 하니아 | 튀니지, 프랑스, 스웨덴, 노르웨이, 레바논, 카타르 |
바닷가의 쥐들 | 엘리자 히트맨 | 미국 |
바람이 머무는 자리 | 히메나 몬테마요르 | 멕시코 |
별자리 종파 | 콘스탄제 크노체 | 독일 |
비올레타, 결국은 | 일다 이달고 | 코스타리카, 멕시코 |
사막의 신부 | 세실리아 아탄, 발레리아 피바토 | 아르헨티나, 칠레 |
신의 나라 | 프란시스 리 | 영국 |
심장소리 | 스티비 크루즈-마틴 | 벨기에 |
쓴 꽃 | 올리비에 메스 | 벨기에, 프랑스 |
업사이드 다운 | 휴고 마틴스 | 포르투갈 |
오카포의 법칙 | 오모니 오볼리 | 나이지리아 |
위기의 파리지엔 | 레오노르 세라이예 | 프랑스 |
인생 가이드 | 루스 마더 | 오스트리아 |
작은 십자군 | 바클라프 카드른카 | 체코, 슬로바키아, 이탈리아 |
전사. 페렌타리 이야기 | 이바나 뮬라댄노빅 | 세르비아, 루마니아 |
조금만 더 | 오눌 사일락 | 터키 |
중독된 땅 | 디에고 올리바레스 | 멕시코 |
증언 | 아미차이 그린버그 | 이스라엘, 오스트리아 |
톰 오브 핀란드 | 도메 카루코스키 |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독일 |
M.F.A. | 나탈리아 레이트 | 미국 |
공손한 묘지 | CHONG Keat Aun | 말레이시아 |
두리안 연대기 | YANG Xiao | 중국 |
호기심 많은 소녀 | Rajesh Prasad KHATRI | 네팔 |
내가 올 날 | HONG Cheng | 중국 |
마돈나 | Sinung WINAHYOKO | 인도네시아 |
신화 | HAO Fang-Wei | 타이완 |
NAGISA | KOGAHARA Takeshi | 일본 |
길 | Arash KHAYATAN | 이란 |
Suerte | Carlo FAJARDA | 필리핀 |
두 형제 | Raghbir SINGH | 인도 |
3. 9. 와이드 앵글
곽은미 감독의 대자보와 시눙 위나휴코 감독의 마돈나는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 앵글 부문에서 수상한 작품이다.[1] 이 섹션에서는 단편 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식의 영화들이 소개되었다.[1]- '''단편 영화:''' 곽은미 감독의 대자보, 시눙 위나휴코 감독의 마돈나, 지에카이 리아오 외 5명의 667, 홍쳉 감독의 그녀에게 다가가는 날, 타케시 코가하라 감독의 나기사, 지웰 마라난 감독의 나의 사랑하는 톤도, 앤지 첸 감독의 내 안의 블루스, 이혜빈 외 1명 감독의 누나의 가출, 파누쉬 사마디 감독의 눈싸움, 라그비르 싱 감독의 두 형제, 윤재호 외 1명 감독의 레터스, 최초아 감독의 모래 놀이, 김소연 감독의 목발 들어주는 아이, 김문경 감독의 보편적 사람들, 이인혁 감독의 불법주차, 리용차오 감독의 블러드 엠버, 마리 지르마누스 사바 감독의 사랑보다 위대한, 소라요스 프라파판 감독의 사운드맨의 죽음, 김오지숙 감독의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 임승미 감독의 엄마, 김서현 감독의 유리의 여름, 김한라 감독의 은명, 카를로 프란시스코 Y. 마나타드 감독의 이달의 우수사원, 문정현 감독의 이산자, 황슬기 감독의 자유로, 총 킷 옹 감독의 장중한 무덤, 치우 양 감독의 조용한 밤, 정가영 감독의 조인성을 좋아하세요, 웨슬리 레온 아루주 감독의 집으로 가는 길, 한승주 감독의 처녀비행, 이스마일 파미 루비쉬 감독의 탈링은 내 운명, 알리 수잔데 감독의 테헤란 타부, 라제시 프라사드 카트리 감독의 호기심 소녀, 박종현 감독의 호르몬의 역사, 페이로우즈 세르할 감독의 혼란, 하오팡웨이 감독의 환상 등이 상영되었다.
- '''다큐멘터리:''' 권경원 감독의 국가에 대한 예의, 김소영 감독의 굿바이 마이 러브 NK, 아라시 카야탄 감독의 길 위에서, 프레더릭 와이즈먼 감독의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게딘 알더스 외 1명 감독의 더 워크, 양샤오 감독의 두리안 두리안, 제니퍼 피돔 감독의 마운틴, 엠마누엘 그라스 감독의 마칼라, 허철녕 감독의 말해의 사계절, 왕빙 감독의 미세스 팡, 허정재 감독의 밝은 미래, 클레멘트 코지토레 감독의 브라기노, 하라 카즈오 감독의 센난 석면 피해 배상소송, 박배일 감독의 소성리, 강위치 감독의 수도원 아이들, 카를로 파자르다 감독의 수에르테, 장시밍 감독의 시대불화, 세페흐르 미카일리안 감독의 신이 된 배우: 베흐루즈, 정재은 감독의 아파트 생태계, 마츠나가 다이시 감독의 열정: 옐로우 몽키 밴드 이야기, 안드레아스 하트만 감독의 자유인, 크리스 켈리 감독의 캄보디아의 봄, 남승석 감독의 하동채복: 두 사람의 노래, 임흥순 감독의 환생 등이 상영되었다.
- '''애니메이션:''' 클라이드 제로니미 외 2명 감독의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 앤드류 스탠튼 감독의 니모를 찾아서 3D,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의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르셀라 링콘 곤잘레스 감독의 릴라의 책, 요네바야시 히로마사 감독의 메리와 마녀의 꽃, 크리스티앙 릴테니우스 감독의 밤세와 마녀의 딸,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의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의 새벽을 알리는 루의 노래, 클라이드 제로니미 외 2명 감독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의 핑퐁 더 애니메이션, 리우 지앤 감독의 해브 어 나이스 데이, 신인성 감독의 해피니스 로드, 보이치에흐 클리마와 감독의 후고 등이 상영되었다.
3. 10. 오픈 시네마
- 君の膵臓をたべたい|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일본어 (츠키카와 쇼)
- 몬스터 파크 (아르튀르 드 팽)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기예르모 델 토로)
- 스테이션 7 (클림 시펜코)
-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 (신보 아키유키)
- Maman a tort|엄마와 올빼미프랑스어 (노에미 르보브스키)
- 당갈 (니테쉬 티와리)
3. 11. 특별기획 프로그램
Республика Саха|사하 공화국ru 영화 특별전- 24 스노우 - 미카일 바리닌
- 그 시절, 행복했던 우리 - 니키타 아르자코프
- 그의 딸 - 타티아나 에베르스토바
- 마파 - 알렉세이 로마노프
- 목각말 - 프로코포 노고비션
- 무법자들 - 스테판 부르나셰프
- 바람이 부는 곳에 - 세르게이 포타포프
- 불길한 예감 - 미하일 루카체프스키, 프로코피 노고비친
- 썸머 하우스 - 아나톨리 바실레프
- 어부 이야기 - 뱌체슬라브 세묘노프
- 케스킬 2: 재대결 - 드미트리 샤드린, 알렉세이 예고로프, 로만 도로페예프
- 해방 - 게나디 바기나노프
스즈키 세이준 회고전
- 동경 방랑자 - 스즈키 세이준
- 살인의 낙인 - 스즈키 세이준
- 아지랑이좌 - 스즈키 세이준
- 유메지 - 스즈키 세이준
- 육체의 문 - 스즈키 세이준
- 지고이네르바이젠 - 스즈키 세이준
- 피스톨 오페라 - 스즈키 세이준
3. 12. 미드나잇 패션
귀신 이야기 - 앤디 나이맨 외 1명더 브링크 - 이자준
도쿄 흡혈 호텔 - 소노 시온
로쿠로쿠 - 야마구치 유다이
메이헴 - 조 린치
사정거리 - 기타무라 류헤이
스위트 버지니아 - 제이미 M. 대그
파라독스 - 엽위신
파트너 오브 좀비 - 콜린 미니한
4. 수상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각 부문별 경쟁을 통해 우수한 작품과 영화인에게 상을 수여했다.
'''BIFF 메세나상'''
- 박배일 감독의 ''소성리''
- 하라 카즈오 감독의 ''센난 석면 피해''
'''선재상'''
- 곽은미 감독의 ''손으로 쓴 포스터''
- 시눙 위나히요코 감독의 ''마돈나''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 신동석 감독의 ''어른도감''
'''넷팩상'''
- 김중현 감독의 ''2월''
'''KNN 관객상'''
- 저우취안 감독의 ''여름의 끝''
'''부산은행상'''
- 스티비 크루즈-마틴 감독의 ''펄스''
'''부산시네필상'''
- 안드레아스 하트만 감독의 ''자유인''
'''CGV 아트하우스상'''
'''비전 감독상'''
- 김중현 감독의 ''2월''
- 정가영 감독의 ''밤의 해변에서 혼자''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한국영화 공헌상'''
- 크리스토프 터어헤테
4. 1. 뉴 커런츠상
김의석 감독의 죄 많은 소녀와 모흐센 가라에이 감독의 폐색이 뉴 커런츠상을 수상했다.[1]4. 2. 지석상
- มาลีเริงระบำ|마릴라: 이별의 꽃th - 아누차 부냐와타나 [1]
- 羊の木|금구모궐일본어 - 요시다 다이하치 [2]
- 재 - 리 샤오펑 [3]
- 대담하거나, 타락하거나, 아름다운 - 양야체 [4]
- 회전목마는 멈추지 않는다 - 이스마일 바스베스 [5]
- 안녕, 카트만두 - 나빈 숩바 [6]
- 어둠 속에서 - 디페쉬 자인 [7]
- 고요한 안개 - 장묘염 [10]
- 소용돌이 - 라야 마틴 [11]
- 황야 - 키시 요시유키 [12]
4. 3. 올해의 배우상
박종환과 전여빈이 수상하였다. 박종환은 영화 《밤치기》, 전여빈은 영화 《죄 많은 소녀》로 수상하였다.4. 4. 기타 수상
상 | 수상자 | 작품 |
---|---|---|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 | 김중현 | 이월 |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 | 신동석 | 살아남은 아이 |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 콴 조우 | 여름의 끝 |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 스즈키 세이준 | |
한국영화공로상 | 크리스토프 테레히테 | |
비프메세나상 | 박배일 | 소성리 |
비프메세나상 | 하라 카즈오 | 센난 석면 피해 배상소송 |
선재상 | 스티비 크루즈-마틴 | 심장소리 |
선재상 | 이강현 | 얼굴들 |
CGV 아트하우스상 | 전고운 | 소공녀 |
올해의 배우상 | 박종환 | 이월 |
올해의 배우상 | 전여빈 | 죄 많은 소녀 |
시민평론가상 | 정가영 | 밤치기 |
부산시네필상 | 안드레아스 하트만 | 자유인 |
5. 논란 및 사건사고
부산국제영화제는 개최 과정에서 여러 논란과 사건사고를 겪기도 했다.
5. 1. 2014년 다이빙벨 상영 논란
相愛相殺|상애상살중국어 - 장애가 (대만)참조
[1]
웹사이트
Busan Film Festival looks to the future after rocky few years
https://www.screenda[...]
2017-10-10
[2]
웹사이트
Busan Film Festival Unveils Lineup
http://www.hollywood[...]
2017-09-11
[3]
웹사이트
Female directors' works to bookend Busan Film Festival
http://www.straitsti[...]
2017-09-13
[4]
웹사이트
Busan Film Festival's Retrospective to Shine on Legendary Star SHIN Seong-il
http://www.koreanfil[...]
2017-09-04
[5]
웹사이트
Busan Fest to Spotlight Rare Indie Films From Russia's Sakha Republic
http://www.hollywood[...]
2017-08-31
[6]
웹사이트
Singapore's first dialect film anthology gets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remiere
http://www.channelne[...]
2017-09-13
[7]
웹사이트
Busan Fest Suffers More Woe As Opening Title Leaks Ahead of Lineup Announcement
http://www.hollywood[...]
2017-09-09
[8]
웹사이트
YoonA to MC for the '22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opening ceremony
https://www.allkpop.[...]
[9]
웹사이트
'[Newsmaker] President Moon promises support for Busan film fest in surprise visit'
http://www.koreahera[...]
2017-10-15
[10]
웹사이트
22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Establishes 'Kim Jiseok Award'
http://www.biff.kr/a[...]
2017-09-04
[11]
웹사이트
22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ld 'Remembering Kim Jiseok'
http://www.biff.kr/a[...]
2017-10-17
[12]
웹사이트
Love and Shukla
https://netpacasia.o[...]
2024-11-03
[13]
웹사이트
Busan Film Festival attendance up, award winners announced
https://www.screenda[...]
2017-10-23
[14]
웹사이트
22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Winners 2017
https://asianfilmfes[...]
2017-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