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경기는 2022년 2월 5일 예선을 시작으로 2월 7일 결승 A 경기까지 진행되었다. 네덜란드의 쉬자너 스휠팅은 예선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고, 이탈리아의 아리안나 폰타나가 결승에서 금메달을, 쉬자너 스휠팅이 은메달, 킴 부탱(캐나다)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최민정이 준준결승에서 탈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세부 종목으로,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는 예선, 준결승, 결승으로 진행되었으며, 황대헌이 금메달, 스티븐 뒤부아가 은메달,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세부 종목으로,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에서는 쉬자너 스휠팅이 금메달, 최민정이 은메달, 하너 데스멋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쉬자너 스휠팅의 올림픽 기록 경신과 준준결승에서의 세계 신기록 수립 등 경쟁이 치열했다.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 |
연도 | 2022년 |
종류 | 동계 |
종목 | 쇼트트랙 |
세부 종목 | 여자 500m |
개최국 | 중화인민공화국 |
개최지 | 베이징시 |
경기장 | 베이징 캐피털 실내 경기장 |
기간 | 2022년 2월 5일, 2월 7일 |
참가 선수 | 32명 |
참가국 | 15개국 |
메달 | |
금메달 | 아리안나 폰타나 |
금메달 국가 | ITA |
은메달 | 쉬자너 스휠팅 |
은메달 국가 | NED |
동메달 | 킴 부탱 |
동메달 국가 | CAN |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 |
이전 대회 | 2018 |
다음 대회 | 2026 |
2. 경기 일정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1]
2. 1. 상세 일정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1]날짜 | 요일 | 시간 | 구분 | 비고 |
---|---|---|---|---|
2022년 2월 5일 | 토요일 | 19:00 | 여자 500m 예선 | |
2022년 2월 7일 | 월요일 | 19:30 | 여자 500m 준준결승 | |
20:13 | 여자 500m 준결승 | |||
20:41 | 여자 500m 결승 B | |||
20:46 | 여자 500m 결승 A | 금메달 결정전 |
이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3. 기록
이번 대회에서 쉬자너 스휠팅 (네덜란드) 선수가 2022년 2월 5일 예선 4조에서 42.379초를 기록하며 올림픽 기록을 경신하였다.[2]
3. 1. 세계 기록 및 올림픽 기록
이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이번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신기록이 세워졌다.
날짜 | 라운드 | 선수 | 국가 | 시간 | 기록 | |
---|---|---|---|---|---|---|
2월 5일 | 예선 4조 | 쉬자너 스휠팅 | 42.379 | OR | [2] |
3. 2.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신기록
쉬자너 스휠팅(Suzanne Schulting영어) 선수가 2022년 2월 5일 예선 4조에서 42.379초를 기록하며 올림픽 기록(OR영어)을 경신하였다.[2]4. 경기 결과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경기는 2022년 2월 5일부터 2월 7일까지 예선, 준준결승, 준결승, 결승 순으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예선: 각 조 상위 2명과 각 조 3위 선수 중 가장 기록이 좋은 선수들이 준준결승에 진출했다.[1]
- 준준결승: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했다.[1]
- 준결승: 각 조 상위 2명은 결승 A그룹에, 3, 4위는 결승 B그룹에 진출했다.[1]
- 결승: 결승 B조(순위 결정전)와 결승 A조(메달 결정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1]
- 결승 B조: 옐레나 세료기나(ROC), 야서파티 페트러(헝가리), 앨리슨 찰스(캐나다) 3명의 선수가 6-8위 순위 결정을 위해 경기를 치렀다.[1]
- 결승 A조: 아리안나 폰타나(이탈리아)가 금메달,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이 은메달, 킴 부탱(캐나다)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장위팅(중국)은 4위, 하너 데스멋(벨기에)은 5위를 기록했다.[1]
페널티를 받거나, 반칙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선수는 심판 판정에 따라 구제될 수 있었다.[1]
대한민국의 최민정은 준준결승에서 탈락했다.[1]
4. 1. 예선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예선은 2월 5일에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와 각 조 3위 선수 중 가장 기록이 좋은 선수들이 준준결승에 진출했다.[1] 페널티를 받거나, 반칙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선수는 심판 판정에 따라 구제될 수 있다.[1]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셀마 파우츠마 | 43.472 | Q | |
2 | 1 | 플로랑스 브뤼넬 | 43.477 | Q | |
3 | 1 | 발렌티나 아슈치치 | 44.681 | ||
4 | 1 | 티파니 위오마르샹 | 54.758 | ||
1 | 2 | 판커신 | 43.275 | Q | |
2 | 2 | 소피야 프로스비르노바 | 43.331 | Q | |
3 | 2 | 코녀 조피어 | 43.905 | ||
4 | 2 | 그웬돌린 도데 | 45.515 | ||
1 | 3 | 킴 부탱 | 42.732 | Q | |
2 | 3 | 야서파티 페트러 | 42.848 | Q | |
3 | 3 | 마메 바이니 | 42.919 | q | |
4 | 3 | 카밀라 스토르모프스카 | 44.053 | ||
1 | 4 | 쉬자너 스휠팅 | 42.379 | Q, OR | |
2 | 4 | 앨리슨 찰스 | 42.991 | Q | |
3 | 4 | 아리안나 발체피나 | 43.070 | q | |
4 | 4 |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 | 43.140 | ||
1 | 5 | 아리안나 폰타나 | 42.940 | Q | |
2 | 5 | 장위팅 | 43.233 | Q | |
3 | 5 | 미하엘라 흐루조바 | 45.060 | ||
4 | 5 | 코린 스토더드 | DNF | ||
1 | 6 | 최민정 | 42.853 | Q | |
2 | 6 | 마르티나 발체피나 | 43.606 | Q | |
3 | 6 | 파트리차 말리셰프스카 | 44.130 | ||
4 | 6 | 캐스린 톰슨 | 1:06.594 | ||
1 | 7 | 크산드라 펠제부르 | 42.563 | Q | |
2 | 7 | 취춘위 | 42.691 | Q | |
3 | 7 | 기쿠치 스미레 | 42.829 | q | |
4 | 7 | 이유빈 | 43.141 | ||
1 | 8 | 크리스틴 산토스 | 43.579 | Q | |
2 | 8 | 옐레나 세료기나 | 43.605 | Q | |
3 | 8 | 하너 데스멋 | 43.702 | q | |
4 | 8 | 니콜라 마주르 | 43.732 |
- '''Q''' : 준준결승 진출
- '''q''' : 준준결승 진출 (차순위)
- '''ADV''' : 피반칙으로 진출
- '''PEN''' : 페널티
- '''OR''' : 올림픽 기록
- '''DNF''' : 완주하지 못함
4. 2. 준준결승
준준결승은 2022년 2월 7일 19시 30분에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하며, 예선과 마찬가지로 페널티 및 피반칙 상황에 따른 구제 여부가 적용되었다.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킴 부탱 | 42.391 | Q | |
2 | 1 | 아리안나 발체피나 | 42.891 | Q | |
3 | 1 | 판커신 | 1:03.594 | ||
4 | 1 | 앨리슨 찰스 | 1:07.206 | ADV | |
5 | 1 | 플로랑스 브뤼넬 | PEN | ||
1 | 2 | 야서파티 페트러 | 43.476 | Q | |
2 | 2 | 옐레나 세료기나 | 43.712 | Q | |
3 | 2 | 마메 바이니 | 46.099 | ||
4 | 2 | 셀마 파우츠마 | 1:07.285 | ||
5 | 2 | 크산드라 펠제부르 | PEN | ||
1 | 3 | 아리안나 폰타나 | 42.635 | Q | |
2 | 3 | 하너 데스멋 | 42.991 | Q | |
3 | 3 | 장위팅 | 54.211 | ADV | |
4 | 3 | 최민정 | 1:04.939 | ||
5 | 3 | 소피야 프로스비르노바 | PEN | ||
1 | 4 | 쉬자너 스휠팅 | 42.922 | Q | |
2 | 4 | 취춘위 | 43.029 | Q | |
3 | 4 | 기쿠치 스미레 | 56.092 | ||
4 | 4 | 크리스틴 산토스 | PEN | ||
5 | 4 | 마르티나 발체피나 | PEN |
- '''Q''' : 준결승 진출
- '''ADV''' : 피반칙으로 진출
- '''PEN''' : 페널티
대한민국의 최민정은 준준결승 3조에서 1:04.939의 기록으로 4위를 기록하며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1]
4. 3. 준결승
준결승은 2월 7일 20시 23분에 진행되었다.[1] 각 조 상위 2명은 결승 A그룹에, 3, 4위는 결승 B그룹에 진출하며, 페널티 및 피반칙 상황에 따른 구제 여부도 적용되었다.[1]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아리안나 폰타나 | 42.387 | QA | |
2 | 1 | 킴 부탱 | 42.664 | QA | |
3 | 1 | 옐레나 세료기나 | 42.685 | QB | |
4 | 1 | 앨리슨 찰스 | 42.829 | QB | |
5 | 1 | 아리안나 발체피나 | 44.044 | ||
1 | 2 | 쉬자너 스휠팅 | 42.475 | QA | |
2 | 2 | 장위팅 | 43.196 | QA | |
3 | 2 | 야서파티 페트러 | 43.198 | QB | |
4 | 2 | 하너 데스멋 | 55.304 | ADVA | |
5 | 2 | 취춘위 | PEN |
4. 4. 결승
결승전은 결승 B조(순위 결정전)와 결승 A조(메달 결정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1]4. 4. 1. 결승 B (순위 결정전)
결승 B조에서는 옐레나 세료기나(ROC), 야서파티 페트러(헝가리), 앨리슨 찰스(캐나다) 3명의 선수가 6-8위 순위 결정을 위해 경기를 치렀다.[1]순위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6 | 옐레나 세료기나 | ROC | 42.972 | |
7 | 야서파티 페트러 | 헝가리 | 43.004 | |
8 | 앨리슨 찰스 | 캐나다 | 43.273 |
4. 4. 2. 결승 A (메달 결정전)
아리안나 폰타나(이탈리아)가 42.488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은 42.559로 은메달을, 킴 부탱(캐나다)은 42.724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장위팅(중국)은 42.803으로 4위, 하너 데스멋(벨기에)은 42.941로 5위를 기록했다.
참조
[1]
웹인용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여자 500m 일정
https://web.archive.[...]
2022-02-05
[2]
웨이백
Heats results
https://olympics.com[...]
2022-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