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릉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릉시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이다. 신라 시대에는 소경으로, 고려 시대에는 명주로 불리며 동해안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조선 시대에는 강원도의 중심지였으며, 1955년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 등을 통합하여 시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1읍, 7면, 13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백산맥과 동해를 접하고 있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경포호, 경포대, 오죽헌, 정동진 해변 등이 있으며, 강릉단오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의 빙상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다양한 문화재와 축제, 특산물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시 - 대관령박물관
    고미술품 수집가 홍귀숙이 1993년 대관령 중턱에 설립하여 불교 미술품, 청동 유물, 토기, 도자기, 민화 등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대관령박물관은 각 시대와 계층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도록 6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3년 강릉시에 기증되어 현재는 강릉시에서 운영 및 관리하고 있다.
  • 강릉시의 행정 구역 - 주문진읍
    주문진읍은 강릉시에 있는 읍으로, 과거 지산현, 신리면을 거쳐 일제강점기 주문진면으로 개칭된 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5개의 리와 강원도립대학교 등의 교육기관, 복지시설, 그리고 다양한 관광지와 축제가 있는 곳이다.
  • 강릉시의 행정 구역 - 옥계면
    옥계면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최남단에 위치하며 동해와 접하고 두리봉, 석병산을 경계로 강동면, 왕산면, 정선군, 동해시와 이웃하며 예국 땅에서 신라 우계현, 조선 강릉현 우계면을 거쳐 1941년 개칭된 곳으로 금진리, 낙풍리, 남양리 등 9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면사무소와 옥계초등학교가 있는 현내리가 면소재지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시 - 태백시
    태백시는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고원 도시로, 탄광 도시에서 고랭지 농업과 관광 산업 중심으로 경제를 재편하고 있으며,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이자 태백산 등 자연, 역사·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시 -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한 춘천시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맥국의 수도였고, 춘주를 거쳐 도호부로 승격, 강원도청 소재지가 되었으며, 한국전쟁 이후 재건, 1995년 춘천군과 통합, 현재는 호반의 도시로서 관광자원과 경공업, 관광산업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는 도시이다.
강릉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경포호 벚꽃
경포호 벚꽃
공식 명칭강릉시
한글 표기강릉시
한자 표기강 릉 시
로마자 표기Gangneung-si
맥큔-라이샤워 표기Kangnŭng-si
지방관동 지방
설립일기원전 129년 (최초 기록)
시 승격일1955년 9월 1일
명주 지역과의 통합1995년 1월 1일
방언강원도 방언
면적1040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208,16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후온대 습윤 기후 (Cfa)
강릉시 깃발
강릉시 깃발
강릉시 휘장
강릉시 휘장
지역 번호+82-33
행정 구역1읍 7면 13동
시청 소재지강릉대로 33 (홍제동)
홈페이지강릉시청
행정 및 정치
시장김홍규
시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국회의원권성동 (국민의힘, 강릉시)
상징
시 나무소나무
시 꽃배롱나무
시 새고니
상징 동물호랑이

2. 역사

강릉 지역은 고대에 동예 및 예국(濊國)의 땅으로, 하슬라(河瑟羅)라 불렸으며 토지가 비옥하여 살기 좋은 곳으로 알려졌다. 고구려는 이곳을 하서량(河西良) 또는 하슬라(河瑟羅)라 부르며 지배하였다.

신라는 639년 이곳을 점령하여 소경(小京)을 설치하였으나 이후 폐지하고 아슬라주를 두었으며, 757년에는 명주(溟州)로 개칭하였다. 고려 시대에도 명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삭방도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다가 강릉도(江陵道) 등으로 개칭되며 주요 지역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강릉대도호부가 설치되었고, 1423년(세종 5년) 강원도라는 명칭이 정해진 이후 강릉은 강원도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 1895년 23부제 실시로 잠시 강릉부가 설치되었으나, 이듬해 강원도가 복구되면서 강릉군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고, 1931년 강릉면이 강릉읍으로 승격되었다. 해방 이후 1955년 강릉읍과 주변 면 지역이 통합되어 '''강릉시'''로 승격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은 명주군으로 분리되었다. 1995년 1월 1일 강릉시와 명주군이 다시 통합되어 현재의 도농복합형태의 강릉시가 되었다.

자세한 시대별 역사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본래 동예이자 남말갈, 예국(濊國)의 땅으로 하슬라(河瑟羅)라고 불렸다. 이 지역은 토지가 비옥하여 살기 좋은 곳으로 알려졌다.

고구려는 이곳을 하서량(河西良) 또는 하슬라(河瑟羅)라 칭하며 예국을 속국으로 삼아 지배하였다.[4] 313년에는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397년 신라의 영토가 되었으며, 512년에는 하슬라군주 이사부우산국(울릉도)을 정벌하였다. 639년(신라 선덕여왕 8년) 신라는 이곳을 점령하여 소경(小京)으로 삼고 북빈경(北濱京)이라 하여 사신(仕臣)을 두었다. 그러나 658년(신라 태종 무열왕 5년) 말갈과 인접해 있다는 이유로 무열왕은 소경을 폐지하고 아슬라주를 설치하여 도독을 파견하였다. 757년(경덕왕 16년)에는 명주(溟州)로 개칭하고 9군 25현을 관할하게 하였으며[5], 776년(혜공왕 12년)에 명칭을 복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후에도 명주라는 명칭은 계속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 시대에 들어 고려 태조 때 다시 명주(溟州)로 개칭되었다.[6] 995년(성종 14년)에는 삭방도(朔方道)의 행정 중심지가 되어 함경남북도, 영동 일대, 영서의 춘천 이북 지역까지 관할하였다. 1178년 삭방도가 폐지되면서 함남과 명주 일대를 임해(臨海) 명주라 하였고, 1263년(원종 4년)에는 강릉도(江陵道)로 고쳤다. 이후 함남 쌍성(雙城) 지방과 합쳐 강릉삭방도(江陵朔方道)라 불리기도 하였다. 공양왕함경도가 분리되면서 다시 강릉도라 칭하였으며, 고려 시대 내내 행정과 군사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조선 초에는 원양도(原襄道)·원춘도(原春道) 등으로 불리다가 1423년(세종 5년)에 강원도(江原道)라는 명칭이 정해졌다.[6] 조선 중기에는 강릉대도호부가 설치되었고, 연곡현과 우계현 2개 현을 관할하였다. 1895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강릉부가 설치되어 영동 지역의 여러 군을 관할하였으나, 이듬해인 1896년 강원도가 다시 설치되면서 강릉군으로 개편되어 강릉군만 관할하게 되었다.

경포호에 면하여 건설된 경포대

2. 2. 일제 강점기 ~ 현대

;일제 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 강점기하 부군면 통폐합으로 강릉군 내 면들이 재편되었다. 북1리면, 북2리면, 남1리면을 합쳐 군내면(郡內面)으로, 남2리면을 성남면(城南面)으로 개편하는 등 총 13개 면(군내면, 덕방면, 성남면, 자가곡면, 정동면, 사천면, 상구정면, 하구정면, 성산면, 연곡면, 신리면, 옥계면, 망상면)으로 구성되었다.[51][39] 이후에도 행정구역 명칭 변경과 통폐합이 이어졌다. 1916년 10월 1일에는 군내면을 강릉면으로, 자가곡면을 강동면으로 개칭하였고,[51] 1917년 11월 1일에는 상구정면을 왕산면으로, 하구정면을 구정면으로 변경하였다.[51] 1920년 11월 1일에는 성남면과 덕방면을 성덕면으로 합병하여 12개 면이 되었다.[51]

1931년 4월 1일 강릉면이 강릉읍으로 승격되었고,[52] 1937년 4월 1일 신리면이 주문진면으로, 1938년 9월 1일 정동면이 경포면으로 각각 개칭되었다.[51] 1940년 11월 1일에는 주문진면이 주문진읍으로,[53][40] 1942년 10월 1일에는 망상면이 묵호읍으로 각각 승격되어[54][41] 강릉군은 3읍 9면 체제가 되었다.

;대한민국

1945년 해방 이후 9월 16일, 38선 이남의 양양군 지역(현남면, 현북면, 서면 일부)이 강릉군에 편입되어 3읍 12면이 되었다.[51][45] 1954년 11월 17일에는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시행에 따라 현북면과 신서면(구 서면)이 다시 양양군으로 환원되었다.[54][7]

1955년 9월 1일,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 일원을 관할로 '''강릉시'''가 설치되었고, 잔여 강릉군 지역은 '''명주군'''으로 개칭되었다.[55][37] 이로써 강릉시와 명주군(2읍 8면)으로 분리되었다.

이후에도 행정 구역 조정은 계속되었다. 1963년 1월 1일, 명주군 현남면이 양양군에 편입되었고 (명주군 2읍 7면),[55] 1973년 7월 1일에는 명주군 왕산면 남곡리와 구절리가 정선군 북면으로 편입되었다.[56][42] 1980년 4월 1일에는 명주군 묵호읍이 삼척군 북평읍과 통합되어 동해시로 승격, 분리되었다 (명주군 1읍 7면).[56] 1983년 2월 15일에는 명주군 구정면 언별리가 강동면에, 산북리가 성산면에 각각 편입되는 조정이 있었다.[57][43] 강릉시 내부에서도 1965년 옥포동이 옥천동과 포남동으로, 입암동이 두산동으로 분동되었고, 1983년 남문동과 성남동이 중앙동으로 합동되고 교동이 교1동과 교2동으로 분동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55][57]

1995년 1월 1일, 강릉시와 명주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새로운 '''강릉시'''가 출범하였다.[58][38][44][7] 통합 당시 강릉시는 1읍 7면 13동 체제였다. 통합 이후에도 행정 구역 조정은 계속되어, 1995년 3월 2일 포남동이 포남1동과 포남2동으로 분동되었고,[58] 1998년 10월 1일에는 행정동 통폐합이 이루어져 중앙동, 강남동, 성덕동, 경포동 등으로 개편되었다.[58] 2001년 12월 17일에는 시청사가 현 위치인 홍제동으로 이전하였다.[58] 이후에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및 명칭 변경이 이루어졌다.[58]

1996년 9월 18일에는 북한 잠수함 침투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8] 2018년 2월에는 평창 동계 올림픽의 빙상 경기 개최 도시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강릉시 행정 구역 변천 (일제 강점기 ~ 현대)
연도주요 변경 내용비고 (읍/면/동 수)
일제 강점기
1914년 4월 1일부군면 통폐합: 군내면, 성남면 등 13개 면으로 재편[51][39]13면
1916년 10월 1일군내면 → 강릉면, 자가곡면 → 강동면 개칭13면
1917년 11월 1일상구정면 → 왕산면, 하구정면 → 구정면 개칭13면
1920년 11월 1일성남면, 덕방면 → 성덕면 합면12면
1931년 4월 1일강릉면 → 강릉읍 승격[52]1읍 11면
1937년 4월 1일신리면 → 주문진면 개칭1읍 11면
1938년 9월 1일정동면 → 경포면 개칭1읍 11면
1940년 11월 1일주문진면 → 주문진읍 승격[53][40]2읍 10면
1942년 10월 1일망상면 → 묵호읍 승격[54][41]3읍 9면
대한민국
1945년 9월 16일38선 이남 양양군 지역 편입 (현남면, 현북면, 서면 일부)3읍 12면
1954년 11월 17일현북면, 신서면(舊 서면)을 양양군에 반환[7]3읍 10면
1955년 9월 1일강릉읍, 성덕면, 경포면 → 강릉시 승격
강릉군 → 명주군 개칭[55][37]
강릉시 / 명주군 (2읍 8면)
1963년 1월 1일명주군 현남면 → 양양군 편입명주군 (2읍 7면)
1973년 7월 1일명주군 왕산면 남곡리, 구절리 → 정선군 북면 편입[56][42]명주군 (2읍 7면)
1980년 4월 1일명주군 묵호읍, 삼척군 북평읍과 합병하여 동해시로 승격 분리[56]명주군 (1읍 7면)
1983년 2월 15일명주군 구정면 일부 → 강동면, 성산면 편입[57][43]명주군 (1읍 7면)
1995년 1월 1일강릉시 + 명주군 → 통합 강릉시 출범[58][38][44][7]1읍 7면 13동
1998년 10월 1일행정동 통폐합 (중앙동, 강남동, 성덕동, 경포동 등)[58]1읍 7면 11동


3. 지리

영동 지방 해안의 중앙에 위치하며, 한반도의 허리인 태백산맥 동쪽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다.[60][10] 동쪽으로는 동해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오대산(五臺山, 1563m), 황병산(黃柄山, 1407m), 대관령(大關嶺, 832m) 등 높은 산들을 등지고 있다. 시가지는 주로 남대천 좌안에 발달했으며, 부근 일대는 남대천이 만든 동해안의 대표적인 평야 지대이다. 전체적으로 화강암 지질이며, 경포대가 있는 경포호가 유명하다.[59] 강릉시의 해안선 길이는 64.5km에 달한다.[60]

강릉은 온난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a'')에 속하며, 동해의 영향을 받는 해양성 기후 특성을 보여 위도에 비해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은 비교적 시원하여 연교차가 작은 편이다. 겨울철 기온이 서해안보다 높은 이유는 태백산맥이 북서계절풍을 막아주는 효과와 푄 현상, 그리고 서해보다 따뜻한 동해의 수온 때문이다.[62] 연평균 강수량은 1444.9mm로 많은 편이며, 다른 지방과 달리 여름보다 봄, 가을, 겨울에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많다. 특히 겨울철에는 북동기류의 영향으로 대설이 내리는 경우가 잦으며, 1990년에는 대한민국 평야 지대 최대 기록인 138.1cm의 적설량을 기록하기도 했다.[45] 반면 겨울과 봄철에는 강풍과 함께 건조한 날씨가 나타나 산불 발생 위험이 높다.

3. 1. 위치 및 지형

강릉시의 항공사진.


영동 해안의 중앙이자 한반도의 허리로 여겨지는 태백산맥 동쪽 중앙에 위치한다.[60][10] 동쪽은 동해에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홍천군 내면, 평창군 진부면 및 대관령면과 접한다. 남쪽으로는 동해시, 정선군 임계면과 맞닿아 있고, 북쪽으로는 양양군 현북면과 현남면과 접하고 있어, 강원특별자치도 내 5개 시, 군과 경계를 이룬다.[60][10]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오대산(1,563m), 황병산(1,407m), 대관령(832m), 석병산 등 1000m 이상의 높은 산들을 등지고 있다.[60] 서쪽에서 동쪽으로 3개의 산맥이 뻗어 있으며, 그 중앙으로 남대천이 흐른다.[60] 시가지는 주로 남대천 좌안에 발달하였으며, 부근 일대는 남대천이 퇴적시킨 동해안의 주요 평야 중 하나이다. 전체적으로 화강암 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강릉시 내에는 경포대가 있는 경포호라는 호수가 있다.[59]

경포호


2015년 말 기준 강릉시의 총 면적은 약 1040.4km2로, 강원특별자치도 전체 면적 16873km2의 6.2%를 차지한다. 이 중 80.4%에 해당하는 837.36km2가 산림이다.[11] 해안선 길이는 64.5km로 강원특별자치도 전체 해안선 318km의 20.2%를 점유하고 있다.[60]

3. 2. 면적 및 인구

강릉시의 총 면적은 1995년 강릉시와 명주군의 통합으로 1040.4km2가 되었으며, 이는 강원도 전체 면적 16875km2의 약 6.2%에 해당한다. 인구밀도는 1km2당 207명(2019년 말 기준)으로, 강원도 평균 인구밀도인 91.4명보다 2.3배 정도 높다. 강원도 내 다른 시군과 비교하면 속초시(786.8명), 동해시(528명), 원주시(372.3명), 춘천시(245.8명)에 이어 5번째로 인구밀도가 높다.

강릉시 전체 면적 중 임야가 80.5%(837.36km2)를 차지하고 논은 4.9%(51.17km2)로 구성되어 있다.[51] 이처럼 임야 면적이 넓기 때문에[65] 산지를 제외한 실제 이용 가능 지역은 상당히 적어 도시 성장에 제약이 되고 있다.[51] 홍천군, 평창군, 강릉시의 경계 지역에는 오대산 국립공원이 자리 잡고 있다.

3. 3. 기후

강릉은 온난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a'')에 속하며, 동쪽으로 동해와 접해 있어 해양성 기후에 가까운 특성을 보인다. 이 때문에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겨울철은 온난하고 여름철은 비교적 시원하여 연교차가 작은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13.5°C, 가장 추운 1월 평균 기온은 0.9°C, 가장 더운 8월 평균 기온은 25°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44.9mm이다.[63][64][13][14][15][46][47]

겨울철에는 북서계절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며 발생하는 푄 현상의 영향으로 서해안 지역보다 온화한 날씨를 보인다.[62] 또한, 동해의 수온이 서해보다 높아 기온을 높이는 데 영향을 준다. 하지만 북동기류가 장시간 유입될 경우 많은 눈이 내리는 대설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1956년에는 적설량이 120cm 이상을 기록하여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교통과 통신이 마비되기도 했으며, 과거 최심 적설량 기록은 138.1cm(1990년 2월 1일)로, 이는 대한민국 평야 지대에서 가장 많은 기록이다.[45]

여름철에는 다른 지방에 비해 강수량이 적은 편이지만, 북동기류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강우와 함께 저온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봄과 가을, 겨울철 강수량은 영서 지방보다 많은 편이다.

겨울과 봄철에는 강풍이 불고 날씨가 건조하여 산불 발생 위험이 높으며, 한번 발생하면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역대 관측된 최고 기온은 39.4°C(1942년 7월 25일)이고, 최저 기온은 -20.2°C(1915년 1월 13일)이다.[45]

강릉시 (강릉기상관측소, 용강동)의 기후 (1991년~2020년 평년값, 극값 1911년~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18.7°C21.4°C27.1°C33.6°C35.5°C37°C39.4°C38.9°C35.8°C32.8°C29.1°C21.8°C39.4°C
평균 최고 기온 (°C)5.3°C7.1°C11.7°C17.9°C22.7°C25.4°C28.1°C28.6°C24.6°C20.3°C14°C7.7°C17.8°C
일평균 기온 (°C)0.9°C2.7°C7°C13.1°C17.9°C21.3°C24.7°C25°C20.5°C15.6°C9.5°C3.3°C13.5°C
평균 최저 기온 (°C)-2.7°C-1.3°C2.6°C8.2°C13.3°C17.5°C21.6°C21.9°C17°C11.5°C5.6°C-0.5°C9.6°C
역대 최저 기온 (°C)-20.2°C-15.9°C-11.7°C-3.5°C-0.8°C6°C11.3°C13.7°C6.3°C-1.9°C-9.3°C-15.3°C-20.2°C
강수량 (mm)47.9mm48mm65.1mm81.9mm79.2mm118.5mm250.2mm292.9mm229.3mm113.9mm81.1mm36.9mm1444.9mm
평균 강수일수 (≥ 0.1mm)6.25.78.88.99.110.816.016.411.87.87.34.6113.4
평균 상대 습도 (%)46.849.252.852.259.369.374.776.473.061.552.745.659.5
월평균 일조시간190.2182.2199.3209.6218.7176.9148.9151.3162.1192.5175.2189.72196.6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11년~현재)[63][64][13][14][15][46][47]


3. 4. 하천 및 수자원

강릉시에는 경포대로 유명한 경포호라는 호수가 있다.[59]

강릉시의 모든 하천은 동해로 흐른다. 주요 하천으로는 연곡천, 사천, 남대천, 섬석천, 경포천, 군선강, 시동천, 주수천, 정동천, 낙풍천 등이 있다.

4. 지질

강릉 지역은 옥천대의 북동부인 경기 지괴와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분포하는 지질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강릉 북부 지역의 중생대 화강암 지역과 강릉 남부 강릉탄전 지역의 고생대 퇴적암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은 북서쪽 끝 지역에만 조금 분포한다.[66][67]

정동심곡바다부채길평안 누층군


안인리에서 묵호동에 이르는 동해안 일대와, 대관령 동방 4km 지역에서부터 강릉 남방 12km 지점인 만덕봉 부근에까지 이르는 지역은, 석탄(무연탄)이 산출되어 소위 '''강릉탄전'''(江陵炭田)으로 불리는 지역이다.[68] 강릉탄전 지역에 분포하는 고생대 퇴적암은 하부로부터 고생대 초 오르도비스기의 석병산층, 고생대 말 석탄기만항층, 금천층페름기장성층, 함백산층, 망덕산층, 언별리층으로 구성된다. 이 중 석병산층은 조선 누층군에 속하며, 나머지는 평안 누층군에 해당한다.[51] 강동면 심곡리의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을 따라 평안 누층군의 노두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강릉탄전지역 평안 누층군 층서 (색칠된 지층은 무연탄이 나오는 지층)[69]
지층명구성 암석두께 (m)
언별리층담녹회색/백색 사암, 담녹색 셰일250
망덕산층암회색 사암, 셰일250
함백산층유백색/(담)회색/담녹색의 (극)조립사암, 담녹색-(녹)회색 세립사암, 흑색/암회색 셰일, 사암200
장성층(암)회색 중-조립사암, 암회색/흑색사암, 무연탄150
금천층암회색 사암, 흑색 세립질사암, 사질셰일, 셰일, 석회암80~120
만항층저색/녹색/회색 셰일, 녹회색 세립/조립사암, (녹)회색 셰일, 실트스톤, 석회암300



해안단구는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에서부터 정동진을 거쳐 심곡리까지 해안에 접하여 잘 발달한다. 여러 층준의 해안단구가 인식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가장 전형적이고 규모가 큰 것은 정동진 이남에 분포하는 것들이다. 특히 강동면 심곡항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길게 분포하는 '''정동진 해안단구'''는 천연기념물 제437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동진 해안단구는 해발고도 75m에서 85m 사이에 위치하며, 대략 4km의 길이와 1km의 폭을 보인다. 정동진 지역의 해안단구층은 분급이 좋지 않고 원마도가 높은 사력들로 주로 구성되며, 정동진 해안단구의 북단에서 상부 평안 누층군과 단구층과의 경계를 볼 수 있다. 상부 평안누층군은 정동진 해안단구층의 기저를 이루고 있으며, 해안을 따라서 수직의 단구애를 형성하고 있다. 단구애를 형성하고 있는 상부 평안 누층군은 북동방향의 주향과 북서쪽으로 약 30° 경사하는 매우 일정한 방향성을 보여준다. 정동진의 해안단구면은 5개의 단구면이 나타나며, 적어도 다섯 차례 이상의 간빙기를 겪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동진 해안단구층의 형성시기는 제3기 말에서 제4기 초로 알려져 있다.[51]

5. 행정 구역

강릉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13행정동(39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 행정 구역은 151행정리(65법정리), 503통 2,788반으로 나뉜다. 강릉시의 총 면적은 1995년 강릉시와 명주군의 통합으로 1040km2이며, 이는 강원특별자치도 면적의 6.2%에 해당한다.[72] 인구는 215,911명, 세대는 99,086세대(2023년 12월 31일 기준)이다.[73] 남녀 성비는 0.98이다.

읍면동한자면적(km2)인구(명)세대행정구역
주문진읍注文津邑60.55km216,7548,903
강릉시 읍면 행정구역도
성산면城山面80.18km23,4561,677
왕산면王山面245.71km21,645908
구정면邱井面42.81km24,1161,896
강동면江東面112.8km24,5412,306
옥계면玉溪面148.83km23,7181,930
사천면沙川面70.9km24,5872,273
연곡면連谷面202.53km26,6683,234
홍제동洪濟洞3.86km215,5807,017
강릉시 동 행정구역도
중앙동中央洞1km25,2522,905
옥천동玉泉洞0.58km23,4571,977
교1동校1洞2.9km226,52211,152
교2동校2洞2.4km28,0923,739
포남1동浦南1洞1.28km210,7775,218
포남2동浦南2洞2.58km213,6366,379
초당동草堂洞2.89km24,9862,336
송정동松亭洞3.49km27,9073,233
내곡동內谷洞4.96km217,6097,909
강남동江南洞16.08km218,6998,269
성덕동城德洞11.4km229,13011,750
경포동鏡浦洞23.06km28,7794,075
강릉시江陵市1040km2215,91199,086



아래는 행정동·읍·면과 관할 법정동·법정리 목록이다.[16]

행정동·읍·면법정동·법정리
홍제동홍제동
중앙동금학동, 남문동, 명주동, 성내동, 성남동, 용강동, 임당동, 중앙동
옥천동옥천동
교1동교동
교2동
포남1동포남동
포남2동
초당동강문동, 초당동
송정동견소동, 송정동
내곡동내곡동, 회산동
강남동남산동, 노암동, 담산동, 박월동, 신석동, 운산동, 월호평동, 유산동, 장현동
성덕동남항진동, 두산동, 병산동, 입암동, 청량동, 학동
경포동난곡동, 대전동, 안현동, 운정동, 유천동, 저동, 죽헌동, 지변동
주문진읍교항리, 삼교리, 장덕리, 주문리, 향호리
강동면모전리, 산성엄리, 상사동리, 심곡리, 안인리, 안인진리, 언별리, 임곡리, 정동진리, 하사동리
사천면노동리, 덕실리, 미노리, 방동리, 사기막리, 사천진리, 산대월리, 석교리, 판교리, 하평리
왕산면고단리, 대기리, 도마리, 목계리, 송현리, 왕산리
구정면구정리, 금광리, 덕현리, 어단리, 여찬리, 제비리, 학산리
성산면관음리, 구산리, 금산리, 보광리, 산북리, 송암리, 어흘리, 오봉리, 위촌리
연곡면동덕리, 방내리, 삼산리, 송림리, 신왕리, 영진리, 유등리, 퇴곡리, 행정리
옥계면금진리, 낙풍리, 남양리, 도직리, 북동리, 산계리, 주수리, 천남리, 현내리


6. 인구

2020년 기준 강릉시의 인구는 213,321명이다.[74] 강릉시의 인구는 1975년 233,878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1980년에는 명주군 묵호읍 등이 동해시로 분리 승격되면서 인구가 크게 줄었다가 1990년까지 다시 증가했지만, 1995년 명주군과의 통합으로 도농복합시가 된 이후에도 인구 감소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아래는 강릉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이다.[74] 1990년까지의 자료는 당시 강릉시와 명주군의 인구를 합한 것이다.

연도총인구
1966년219,065명
1970년229,581명
1975년233,878명
1980년203,247명
1985년217,107명
1990년228,934명
1995년220,246명
2000년227,856명
2005년220,706명
2010년217,481명
2015년215,581명
2020년213,321명


7. 문화와 관광

경포해변


강릉시는 명승지인 소금강대관령, 그리고 주문진, 옥계 등 약 40곳의 해수욕장을 보유한 대표적인 관광 도시로,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관동팔경의 하나인 경포대경포호를 내려다보는 정자로 유명하다. 경포대에 오르면 하늘의 달, 호수에 비친 달, 바다에 비친 달, 술잔 속의 달, 그리고 연인의 눈동자에 비친 달까지 총 다섯 개의 달을 볼 수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8] 인근 경포해변은 넓은 백사장과 해산물 식당으로 유명하며, 특히 정동진과 함께 새해 해돋이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17]

율곡 이이 선생과 신사임당이 태어난 오죽헌(보물 제165호), 고려 시대 객사의 정문이었던 강릉 임영관 삼문(국보 제51호), 강릉 선교장 등 중요한 역사 유적지가 많다.[81][82] 또한 강릉시립박물관, 대관령박물관, 커피박물관 등 15개의 다양한 박물관과 미술관이 있어[75]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매년 음력 5월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릉단오제가 열리며,[48] 이 외에도 다양한 지역 축제가 연중 개최되어 관광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동해안을 따라 걷는 해파랑길의 일부 구간과 해안 절벽을 감상할 수 있는 정동심곡바다부채길도 강릉의 매력적인 관광 코스이다.

7. 1. 문화재

오죽헌


강릉시에는 총 128개의 유·무형문화재가 있으며, 이 중 국가지정문화재는 34개, 도지정문화재는 58개이다.[80][21]

총계국가지정문화재도지정문화재등록문화재문화재자료
소계국보보물사적천연기념물국가민속문화재명승국가무형문화재소계유형무형기념물
1283411635142583951422



강릉시의 대표적인 국보로는 강릉 임영관 삼문(국보 제51호)이 있다. 이 문은 고려 시대에 지어진 강릉 객사의 정문으로, 고려 말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 중 하나이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 내 건축물 중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이기도 하다.[81]

오죽헌(보물 제165호)은 신사임당과 그의 아들 이이(율곡)가 태어난 유서 깊은 곳이다. 한국의 주택 건축물 중 비교적 오래된 건물에 속하며, 조선 시대 양반 가옥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어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82] 1963년 보물 제165호로 지정되었으며[22], 경내에는 강릉시립박물관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강릉 굴산사지(대한민국의 사적 제448호)는 신라 문성왕 13년(851년)에 범일국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진 절터이다. 이곳에는 보물로 지정된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제85호)과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보물 제86호)가 남아 있으며,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38호인 강릉 굴산사지 석불좌상도 함께 자리하고 있다.[83]

강릉 임당동성당은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지 중 하나로 꼽힌다. 1950년대 강원특별자치도 지역 성당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로서,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457호로 등록되어 보호받고 있다.[84]

이 외에도 강릉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국보 및 보물급 문화재가 있다.



강릉시에는 등명락가사, 금강사, 법왕사, 보현사, 용연사, 현덕사 등 여러 중요한 사찰들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허난설헌 생가터, 강릉 선교장 등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고택들도 잘 보존되어 있다.

강릉의 유명한 양반 가문이 건립하고 소유했던 선교장. 19세기에 건립되었다.


선교장의 근접 사진.

7. 2. 축제

매년 1월 1일 새해에는 경포대정동진에서 해돋이 축제가 열린다. 새해 첫 일출은 한국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들 해변은 인기 있는 일출 명소이다.[17]

해마다 음력 5월 초순에는 남대천 인근 단오 행사장에서 강릉단오제가 열린다. 강릉단오제는 1967년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11월 11일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48] 이 축제는 여러 기념 의례와 전통극이 결합된 형태로, 특히 이 축제에서만 공연되는 전통 관노 가면극(관노가면극)이 하이라이트이다.

이 외에도 강릉에서는 연중 다양한 지역 축제가 개최된다.

축제 이름개최 시기
장덕리복사꽃축제매년 4월 중순
주문진오징어축제매년 10월
소금강청학제매년 10월
대현율곡이이선생제매년 10월
강릉커피축제매년 10월
경포바다마라톤대회매년 9월



오래된 전통 축제 외에도 최근에 시작된 축제들이 있다. 국제청소년예술제(International Junior Art Festival, IJAF)는 전 세계 청소년들을 위한 문화 축제로, 매년 7월 말 경포해변에서 열린다. 2006년에 시작된 경포 락 페스티벌은 주로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하며, 강릉 지역의 젊은 밴드들에게 공연 무대를 제공한다. 2009년에 시작된 강릉커피축제는 다양한 커피 관련 업체들이 참여하는 연례 시음 축제로, 커피 외에도 소규모 공예품 판매 부스 등이 함께 운영된다. 2023년 현재 강릉올림픽파크에서 개최되고 있다.

7. 3. 해수욕장·석호

정동진 썬크루즈 호텔


안목해변


2018년 5월 경포해수욕장의 올림픽 링


강릉시에는 총 18개의 해수욕장이 있다.[85][20] 대표적인 곳 중 하나인 정동진 해변은 드라마 모래시계 촬영지로 유명하다. 이 해변은 약 250m 길이이며 아름다운 일출 경관으로 잘 알려져 있고, 특히 고성산 정상에서 보는 일출이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경포해수욕장은 넓은 모래사장과 신선한 해산물 요리 전문점들이 즐비하며,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아 인기 있는 여름 휴양지이다. 이 외에도 안목해수욕장, 강문해수욕장, 사천해수욕장, 주문진해수욕장, 옥계해수욕장, 영진해수욕장, 송진해수욕장 등 다양한 해수욕장이 있어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아든다.

한편, 동해안에 잘 발달된 해안 지형인 석호 역시 강릉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경포호와 향호 등이 있다. 경포호 옆 언덕에는 호수를 내려다보는 정자인 경포대가 위치해 있다.[18]

7. 4. 바닷길

동해안을 따라가는 해파랑길 35~40구간이 강릉시 내에 있다.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은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에서 정동진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해안의 평안 누층군 절벽을 관찰할 수 있다.

7. 5. 음식

강릉시에서는 지역 특색을 살린 '강릉특선음식 10선'을 지정하여 홍보하고 있다.[86] 선정된 음식들은 다음과 같다.

강릉특선음식 10선[86]
구분음식명
옹심이삼계 옹심이
째복 옹심이
크림감자옹심이
초당 두부초당 두부 밥상
초당두부탕수
두부삼합
두부샐러드
해물바다해물밥상
해물삼선비빔밥
해물뚝배기


8. 스포츠

강릉시의 강릉종합운동장 전경.


강릉종합운동장은 과거 K리그 축구 클럽 강원 FC가 홈 경기장 중 하나로 사용했던 곳이다. 강원 FC의 클럽하우스는 강릉에 위치해 있지만, 2015년 이후 강릉에서는 홈 경기가 열리지 않았고 2017년 시즌을 끝으로 강릉종합운동장 사용이 종료되었다. 현재 이 운동장은 K3리그에 참가하는 강릉시청 축구단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87]

또한, 1976년부터 매년 단오절마다 열리는 강릉제일고등학교강릉중앙고등학교 축구부의 정기전인 농상전이 지역 사회에서 큰 관심을 받으며 오랜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강릉시는 2018년 동계 올림픽 당시 피겨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컬링 등 모든 빙상 종목 경기가 열린 개최 도시였다. 이를 위해 2014년 7월 17일 교동에서 빙상 경기장 착공식을 가졌으며, 경기장들은 2016년 말까지 대부분 완공되었다. 올림픽 개최에 앞서 2017년에는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4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세계 주니어 컬링 선수권 대회,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가 강릉의 신설 경기장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2018년 동계 패럴림픽에서는 휠체어 컬링과 아이스 슬레지 하키 경기가 열렸다.[88] 올림픽 기간 동안 사용된 주요 빙상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강릉시 유천택지개발지구에 강릉 올림픽 선수촌 및 미디어촌이 건설되어 대회 운영을 지원했다.[89] 또한, 2018년 2월 8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삼지연 관현악단이 강릉아트센터에서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성공 기원 특별공연"을 펼치기도 했다.[90]

아이스하키 종목에서는 대명 킬러웨일즈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강릉을 연고지로 하여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 참가했다.[30]

야구 분야에서는 강릉시 리틀야구단이 남대천 둔치 야구장을 사용해왔으며, 2021년 12월에는 전용 구장인 강릉시 리틀야구장이 완공되었다.

9. 산업

강릉시는 평야지대가 비교적 넓고 온난하며 강수량이 많아 농업이 활발한 편이다. 반면 공업은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3차 산업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농업비옥한 충적평야와 온난한 기후 덕분에 쌀농사의 비율이 높다. 그 외에도 다양한 농산물이 생산되며, 소나 꿀 등의 집산도 활발하다.
임업배후에 태백산맥의 높은 산들을 두고 있어 남한의 주요 임업 중심지 중 하나이다. 임야 면적은 84165ha에 달하며, 이 중 99%가 입목지이다. 주요 임산물로는 밤, 대추, 버섯, 산나물 등이 있으며, 제재업과 축산업도 성하다.
수산업주문진항은 천연적인 양항으로, 속초항과 더불어 동해 북부 지방의 어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근해에는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여 어족 자원이 풍부하다. 주요 어획물은 오징어, 명태, 꽁치 등이며, 미역과 같은 해조류 채취량도 많다. 이러한 수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상설시장인 주문진수산시장이 있다.[91]

강릉시에는 국가어항 3곳(사천진항, 강릉항, 금진항)과 지방어항 2곳(소돌항, 영진항)이 있다.
광공업강릉탄전에는 무연탄과 흑연, 금 등이 매장되어 있다. 과거 강동면에는 강릉탄광이 있었으나, 1989년 시행된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폐광되었다.
공업대규모 공장으로는 제사공장이 있으며, 그 외 중소 규모의 공장들이 일부 존재한다. 1973년 영동화력발전소가 건설되면서 점차 공업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또한 대전동과 사천면 방동리 일원에는 강릉과학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연구단지, 산업단지, 유통 및 건강체험단지, 지원시설단지, 공원단지 등이 들어섰다.[92]
산업단지강릉시에는 총 6개의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강릉과학산업단지 (일반지방산업단지)
  • 옥계일반산업단지
  • 주문진 농공단지
  • 주문진 제2농공단지
  • 강릉중소지방산업단지
  • 비철금속 특화산업단지

상업영동 지방의 상업 중심지로서, 공산품과 생필품 등이 강릉을 거쳐 각 지역으로 공급되는데, 대부분 서울에서 반입된다. 1975년 서울과 강릉을 잇는 영동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상품 교류에 큰 변화가 있었다. 공설시장으로는 중앙시장, 성남시장, 동부시장, 서부시장 4곳이 있다.
특산물자연산 돌각, 돌미역, 젓갈류, 오징어, 황태, 한과 세트, 과줄, 찹쌀흰강정 등이 유명하다.

10. 교육

강릉원주대학교 상징탑


'''대학교'''

'''고등학교'''

구분학교명비고
공립/사립 고등학교강릉고등학교
강릉명륜고등학교
강릉여자고등학교
강일여자고등학교
강릉제일고등학교구 강릉상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구 강릉농공고등학교
강원예술고등학교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경포고등학교
강릉문성고등학교
주문진고등학교
강릉제일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방송통신고등학교



'''특수학교'''

11. 교통

강릉시는 영동 지방의 주요 교통 거점 중 하나로,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주요 고속도로로는 영동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전국 각지와 연결된다. 철도 교통으로는 영동선경강선이 운행 중이며, 특히 KTX 운행으로 서울특별시와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강릉고속버스터미널강릉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고 있다. 과거 민간 항공 노선이 있었던 강릉공항은 현재 군용 공항으로 사용 중이다.

11. 1. 도로

인천과 강릉을 연결하는 영동고속도로(50호선)와 속초시삼척시를 잇는 동해고속도로(65호선)가 있다. 영동고속도로는 동서 방향으로, 동해고속도로는 남북 방향으로 강릉시를 통과한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자동차로 약 2시간 30분이 소요된다.

'''고속도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59호선 등이 강릉시를 통과한다.

'''국도'''



'''지방도'''


11. 2. 철도

영주시와 강릉시를 잇는 영동선 철도가 지나간다. 강릉시 관내에는 강릉역, 안인역, 정동진역, 옥계역이 있으며, 이 중 옥계역안인역은 화물 전용 역이다. 과거 정동진역강릉역에는 새마을호가 정차하여 청량리역까지 5시간 30분이 걸렸으나, 현재는 새마을호 운행이 중단되고 무궁화호만 운행하여 약 6시간이 소요된다.

2017년 KTX강릉선이 개통되면서 강릉역이 필수 정차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로 인해 강릉역청량리역 간 소요 시간은 기존 6시간에서 KTX 운행 시 최소 90분으로 크게 단축되었다.[93] KTX-산천 열차는 진부역강릉역에 필수적으로 정차하며,[24]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는 KTX 운행 횟수가 증편되기도 했다.[24]

강릉역 KTX 승강장


노선강릉시 관내 운행 구간
영동선망상옥계정동진안인강릉
KTX강릉선진부강릉


11. 3. 시내버스

강릉시에서는 3개 권역을 중심으로 수백 대의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으며, 이는 강릉시청에서 관리하고 각 운송 회사에서 운영을 담당한다.[25]

11. 4. 고속·시외버스

강릉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94], 강원도 최대 규모인 강릉고속버스터미널에서는 6개 노선의 고속버스를 운행하고 있다.[95]

11. 5. 택시

강릉시에는 총 589대의 택시가 운행 중이다.[96][28] 강릉시 택시의 기본요금은 2km까지 3300KRW이다. 이후 2km부터 6km까지는 152m당 100KRW가 부과되고, 6km 이후부터는 152m당 200KRW가 부과된다. 다만, 주문진권, 강동면, 옥계 지역은 예외 지역으로 지정되어 복합할증 45%가 적용된다.[96]

11. 6. 항만

강릉항에는 강릉항 여객터미널이 있으며, 이곳에서 울릉으로 가는 여객선을 운항하고 있다.[97][29]

11. 7. 항공

항공 교통으로 강릉공항이 운행되었으나 2002년 양양국제공항에 여객운송권을 넘기고 민간공항으로서의 기능을 폐쇄하였다.[98] 지금은 제18전투비행단에서 사용 중이다.

12. 방송 · 언론

강릉시에는 다음과 같은 방송사 및 언론사가 있다.

13. 자매 도시

강릉시의 자매도시는 대한민국 도시 8곳과[99] 대한민국 외 도시 8곳이 있다.[100]

강릉시의 대한민국 자매결연도시(8개)
결연일이름비고
2004. 2. 26.서울특별시 강서구[99]
2004. 5. 25.대전광역시 서구
2004. 7. 6.경기도 부천시
2004. 10. 29.대구광역시 북구
2006. 3. 23.서울특별시 서초구
2009. 3. 10.경상북도 안동시
2016. 10. 8.경기도 파주시
2023. 7. 23.충청남도 보령시
colspan="3" |
강릉시의 대한민국 외 자매결연도시(8개)
결연일이름비고
1983. 2. 16.,
1983. 7. 6.
일본 사이타마현 지치부시[100]
1999. 5. 11.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자싱시
2004. 10. 19.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징저우시
2013. 11. 28.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더양시
2011. 10. 4.러시아 이르쿠츠크주 이르쿠츠크시
2015. 4. 7.
2015. 9. 6.
스페인 발렌시아주 알헤메시
2015. 7. 29.미국 버지니아주 라우던 카운티
2021. 11. 18.이탈리아 캄파니아주 나폴리현 소렌토시


14.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eholds http://www.gangneung[...] Gangneung City 2006-01-14
[3] 웹사이트 Gangneung Curling Centre https://www.gn.go.kr[...] Gangneung city 2018-02-09
[4] 웹사이트 Origin and history https://www.gn.go.kr[...] Gangneung city office 2018-02-09
[5] 웹사이트 유래와 연혁 https://www.gn.go.kr[...] Gangneung city office 2018-02-09
[6] 웹사이트 강릉의 역사 https://web.archive.[...] Digital Gangneung Culture Encyclopedia 2018-02-09
[7] 웹사이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8-02-09
[8] 뉴스 North Korea denies murdering diplomat http://edition.cnn.c[...] CNN 2018-02-09
[9] 웹사이트 Symbols http://www.gangneung[...] Gangneung City 2006-01-14
[10] 웹사이트 Location and Area https://www.gn.go.kr[...] Gangeung city 2018-02-10
[11] 웹사이트 강릉시 기본현황 https://www.gn.go.kr[...] Gangeung city 2018-02-10
[12] 웹사이트 Gangneung, where travel on the east coast begins https://web.archive.[...] 2014-12-07
[1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16] 웹사이트 Administrative district https://www.gn.go.kr[...] Gangneung city 2018-02-09
[17] 뉴스 Best spots to usher in the New Year http://news.naver.co[...] Korea Herald 2010-06-23
[18] 웹사이트 Gyeongpodae http://english.tour2[...]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6-01-14
[19] 웹사이트 정동진해변 https://www.gn.go.kr[...] 2024-05-07
[20] 웹사이트 관광명소・축제 - 바다・해안비경 https://www.gn.go.kr[...] Gangneung city office 2018-02-09
[21] 웹사이트 강릉시 문화재 총괄현황 https://www.gn.go.kr[...] Gangneung city office 2018-02-09
[22] 웹사이트 환희컵 박물관 http://www.cupmuseum[...] 2020-11-24
[23] 뉴스 강릉·속초공항 폐쇄 http://www.kado.net/[...] Gangwondominilbo 2018-02-09
[24] 보도자료 서울~강릉 KTX 올해말 개통, 114분 소요 http://www.molit.g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outh Korea 2018-02-09
[25] 웹사이트 Gangneung Bus Information http://bis.gn.go.kr/[...] Gangneung bus Information System 2018-02-09
[26] 웹사이트 Gangneungterminal.co.kr http://www.gangneung[...] Gangneung Intercity Bus Terminal 2018-02-09
[27] 웹사이트 터미널 소개 http://gangneung.don[...] Gangneung Express Bus Terminal 2018-02-09
[28] 웹사이트 택시 https://www.gn.go.kr[...] Gangnenung city Tour 2018-02-08
[29] 웹사이트 여객선 터미널 안내 https://www.maristou[...] Good-morning Ulnenung-do 2018-02-08
[30] 뉴스 아이스하키 제3구단 '대명 킬러웨일즈' 공식 출범 http://news.kbs.co.k[...] Seoul Broadcasting System 2018-02-09
[31]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https://web.archive.[...]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2015-11-21
[32] 웹사이트 韩国江陵市议会代表团到芒市进行友好交流 https://web.archive.[...] 2018-01-21
[33] 웹사이트 Mayor Pecto invited for an official visit at Gangneung City, South Korea – Municipality of Indang, Cavite https://web.archive.[...] 2017-11-24
[34] 웹사이트 13. Board Member Initiative: Sister City Friendship Agreement with Gangneung City, Republic of Korea (York) https://loudoun.gran[...] 2014-07-02
[35] 웹사이트 Algemesí firma el hermanamiento con la localidad coreana de Gangneung https://www.lavangua[...] 2022-11-16
[3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37] 법률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1955-08-13
[38]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39]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40] 법령 朝鮮総督府令第221号 1940-10-23
[41] 법령 朝鮮総督府令第243号 1942-09-30
[42]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43]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44]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45] 웹사이트 韓国気象庁 過去の積雪の記録 http://www.kma.go.kr[...]
[46]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강릉(10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4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강릉(10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48] 웹사이트 UNESCO - Gangneung Danoje festival http://ich.unesco.or[...] 2023-10-07
[49] 웹사이트 江陵カーリングセンター 一番手のかかる氷がここにある https://www.pyeongch[...] 2017-12-17
[50] 웹사이트 競技場施設 - 江陵ホッケーセンター https://www.gn.go.kr[...]
[5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2]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5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5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55] 법률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1955-08-13
[56]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57]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58]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59] 웹인용 경포호 https://www.gn.go.kr[...] 강릉시 관광 2018-02-08
[60] 웹인용 위치와 자연환경 https://www.gn.go.kr[...] 강릉시청 2018-02-10
[61] 웹사이트 기후자료 - 강릉의 1971년 ~ 2000년 평년값 자료 http://www.weather.g[...] 대한민국 기상청
[62] 웹인용 강릉지방 기후특성 http://www.weather.g[...] 강원지방기상청 2018-02-10
[63]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강릉(10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64]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강릉(10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65] 웹인용 강릉시 기본현황 https://www.gn.go.kr[...] 강릉시청 2018-02-09
[66] 웹인용 강릉·주문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1
[67]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8] 웹인용 태백산지구 지하자원 조사보고서 : 석탄편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2
[69] 웹인용 한반도 상부 고생대의 층서 확립을 위한 연구(Ⅱ) The Stratigraphy of the Upper Paleozoic Formations in Korea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0
[70] 웹인용 한반도 남부의 상부 고생대 평안누층군의 층서와 대비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17-04
[71] 서적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72] 기타
[73] 웹사이트 강릉시 월별 주민등록 인구현황 https://www.gn.go.kr[...]
[74] 기타
[75] 웹인용 박물관 https://www.gn.go.kr[...] 강릉시 관광 2018-02-09
[76] 웹인용 시립박물관 연혁 https://www.gn.go.kr[...] 오죽헌/강릉시립박물관 2018-02-09
[77] 웹인용 대관령박물관 연혁 https://www.gn.go.kr[...] 오죽헌/강릉시립박물관 2018-02-09
[78] 웹인용 강릉아트센터 관리 및 운영 조례 http://elis.go.kr/ne[...] 국가법령정보센터 2018-02-09
[79] 웹사이트 커피박물관 http://www.coffeemus[...]
[80] 웹인용 강릉시 문화재 총괄현황 https://www.gn.go.kr[...] 강릉시청 2018-02-09
[81] 웹인용 강릉 임영관 삼문 https://www.gn.go.kr[...] 강릉시청 2018-02-09
[82] 웹인용 강릉 오죽헌 http://www.heritage.[...] 국가문화유산포탈 2018-02-09
[83] 웹인용 강릉 굴산사지 (江陵 崛山寺址) http://www.heritage.[...] 국가문화유산포탈 2018-02-13
[84] 웹인용 강릉 임당동성당 http://www.heritage.[...] 국가문화유산포털 2018-02-09
[85] 뉴스 '모래시계'의 추억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1-01-12
[86] 웹인용 강릉특선음식 10선 https://www.gn.go.kr[...] 강릉시 관광 2018-02-09
[87] 웹인용 경기장안내 https://www.gn.go.kr[...] 강릉시청 축구단 2018-02-09
[88] 웹인용 2018년 동계올림픽 강릉 https://www.gn.go.kr[...] 강릉시 관광청 2018-02-08
[89] 웹인용 개최지 소개 https://www.gn.go.kr[...] 강릉시 관광청 2018-02-08
[90] 뉴스 북한노래 '반갑습니다'로 시작한 삼지연관현악단 공연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2-08
[91] 웹인용 주문진수산시장 https://www.gn.go.kr[...] 강릉 시청 2018-02-09
[92] 웹인용 강릉과학산업단지 사업개요 https://www.gn.go.kr[...] 강릉시청 2018-02-10
[93] 보도자료 서울~강릉 KTX 올해말 개통, 114분 소요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2017-11-21
[94] 웹인용 강릉시외버스터미널 http://www.gangneung[...] 강릉시외버스터미널 2018-02-09
[95] 웹인용 터미널 소개 http://gangneung.don[...] 강릉고속버스터미널 2018-02-09
[96] 웹인용 택시 https://www.gn.go.kr[...] 강릉시 관광청 2018-02-08
[97] 웹인용 여객선 터미널 안내 https://www.maristou[...] 굿모닝 울릉도 2018-02-08
[98] 뉴스 강릉·속초공항 폐쇄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2-11-29
[99] 웹사이트 자매도시>국내 https://www.gn.go.kr[...]
[100] 웹사이트 자매도시>국외 https://www.gn.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