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커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커신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ISU 쇼트트랙 월드컵, 세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등에서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2014년 솔트레이크 시티 월드컵 500m 경기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1000m 결승,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500m 준결승,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500m 결승 등에서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동으로 논란을 빚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룽장성 출신 스포츠인 - 쿵링후이
쿵링후이는 1996년 올림픽 남자 복식 금메달,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하고 3대 메이저 대회 단식 우승을 달성한 중국의 탁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현재는 중국 여자 국가대표팀의 수석 코치를 맡고 있다. - 헤이룽장성 출신 스포츠인 - 왕만위
왕만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로, 2018년 헝가리 오픈, 홍콩 오픈, 중국 오픈에서 우승하고, 2018년 아시안 게임 여자 단식 금메달, 2020년 도쿄 올림픽 여자 단체전 금메달, 2021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 - 중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 - 양양 (1977년)
- 중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 - 장추퉁
장추퉁은 중화인민공화국 쇼트트랙 선수로, ISU 쇼트트랙 월드컵을 통해 국제 대회에 데뷔하여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여자 3000m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판커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국적 | 중국 |
| 출생일 | 1993년 9월 19일 |
| 출생지 |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치타이허시 |
| 키 | 1.70m |
| 몸무게 | 55kg |
| 종목 | 쇼트트랙 |
| 세부 종목 | 500m, 1000m |
| 소속 클럽 | 헤이룽장성 |
| 코치 | 리옌 |
| 개인 최고 기록 | |
| 500m | 42.504초 (2014년) |
| 1000m | 1분 29.380초 (2014년) |
| 1500m | 2분 25.978초 (2012년) |
| 3000m | 5분 14.311초 (2017년) |
| 올림픽 | |
| 2022 베이징 |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 |
| 2014 소치 | 여자 1000m 은메달 |
| 세계 선수권 대회 | |
| 2011 셰필드 | 500m 금메달 |
| 2012 상하이 | 500m 금메달 |
| 2013 데브레첸 | 3000m 계주 금메달 |
| 2014 몬트리올 | 3000m 계주 금메달 |
| 2015 모스크바 | 500m 금메달 |
| 2016 서울 | 500m 금메달 |
| 2017 로테르담 | 500m 금메달 |
| 2019 소피아 | 500m 은메달 |
| 2024 로테르담 | 2000m 혼성 계주 금메달 |
| 아시안 게임 | |
| 2011 아스타나-알마티 | 3000m 계주 금메달 |
| 2017 삿포로 | 3000m 계주 은메달 |
| 세계 팀 선수권 대회 | |
| 2011 바르샤바 | 단체전 은메달 |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
| 2010 타이베이 | 500m 은메달 |
2. 주요 경기 성적
wikitable
| 날짜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기록 |
| 2010년 1월 9일 | 2010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타이베이 타이베이 아레나 | 500m | 45.718 | |
| 2010년 1월 10일 | 2010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타이베이 타이베이 아레나 | 3000m 계주 | 4:24.697 | |
| 2010년 10월 24일 | 2010–11 ISU 월드컵 | 몬트리올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16.924 | |
| 2010년 10월 31일 | 2010–11 ISU 월드컵 | 퀘벡 시티 파빌론 드 라 쥬네스 | 500m | 44.225 | |
| 2010년 10월 31일 | 2010–11 ISU 월드컵 | 퀘벡 시티 파빌론 드 라 쥬네스 | 3000m 계주 | 4:13.008 | |
| 2010년 12월 4일 | 2010–11 ISU 월드컵 | 창춘 창춘 우환 체육관 | 500m | 44.304 | |
| 2010년 12월 5일 | 2010–11 ISU 월드컵 | 창춘 창춘 우환 체육관 | 500m | 44.475 | |
| 2010년 12월 12일 | 2010–11 ISU 월드컵 | 상하이 숭장 대학교 학생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16.645 | |
| 2011년 2월 13일 | 2010–11 ISU 월드컵 | 모스크바 메가스포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12.308 | |
| 2011년 10월 23일 | 2011–12 ISU 월드컵 | 솔트레이크 시티 유타 올림픽 오벌 | 3000m 계주 | 4:12.774 | |
| 2011년 10월 30일 | 2011–12 ISU 월드컵 | 사게네 조르주 베지나 센터 | 3000m 계주 | 4:13.559 | |
| 2011년 12월 4일 | 2011–12 ISU 월드컵 | 나고야 일본 가이시 홀 | 3000m 계주 | 4:16.251 | |
| 2011년 12월 10일 | 2011–12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873 | |
| 2011년 12월 11일 | 2011–12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4.130 | |
| 2011년 12월 11일 | 2011–12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12.394 | |
| 2012년 2월 5일 | 2011–12 ISU 월드컵 | 모스크바 메가스포르 아레나 | 500m | 43.899 | |
| 2012년 2월 5일 | 2011–12 ISU 월드컵 | 모스크바 메가스포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13.374 | |
| 2012년 2월 11일 | 2011–12 ISU 월드컵 | 도르드레흐트 스포츠불러바드 | 1500m | 2:33.012 | |
| 2012년 2월 12일 | 2011–12 ISU 월드컵 | 도르드레흐트 스포츠불러바드 | 3000m 계주 | 4:16.887 | |
| 2012년 10월 21일 | 2012–13 ISU 월드컵 | 캘거리 올림픽 오벌 | 3000m 계주 | 4:07.530 | |
| 2012년 10월 28일 | 2012–13 ISU 월드컵 | 몬트리올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14.305 | |
| 2012년 12월 2일 | 2012–13 ISU 월드컵 | 나고야 일본 가이시 홀 | 3000m 계주 | 4:11.843 | |
| 2012년 12월 9일 | 2012–13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724 | |
| 2012년 12월 9일 | 2012–13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07.660 | |
| 2013년 2월 3일 | 2012–13 ISU 월드컵 | 소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 | 500m | 44.074 | |
| 2013년 2월 3일 | 2012–13 ISU 월드컵 | 소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 | 3000m 계주 | 4:10.425 | |
| 2013년 2월 10일 | 2012–13 ISU 월드컵 | 드레스덴 에너지페어분트 아레나 | 3000m 계주 | 4:13.148 | |
| 2013년 9월 28일 | 2013–14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279 | |
| 2013년 9월 29일 | 2013–14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08.405 | |
| 2013년 10월 5일 | 2013–14 ISU 월드컵 |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 | 500m | 43.130 | |
| 2013년 10월 6일 | 2013–14 ISU 월드컵 |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 | 3000m 계주 | 4:08.128 | |
| 2013년 11월 9일 | 2013–14 ISU 월드컵 | 토리노 팔라타졸리 | 500m | 43.783 | |
| 2013년 11월 10일 | 2013–14 ISU 월드컵 | 토리노 팔라타졸리 | 3000m 계주 | 4:11.404 | |
| 2013년 11월 16일 | 2013–14 ISU 월드컵 | 콜롬나 콜롬나 스피드 스케이팅 센터 | 500m | 43.203 | |
| 2013년 11월 17일 | 2013–14 ISU 월드컵 | 콜롬나 콜롬나 스피드 스케이팅 센터 | 3000m 계주 | 4:06.785 | |
| 2014년 11월 8일 | 2014–15 ISU 월드컵 | 솔트레이크 시티 유타 올림픽 오벌 | 1000m | 1:30.422 | |
| 2014년 11월 9일 | 2014–15 ISU 월드컵 | 솔트레이크 시티 유타 올림픽 오벌 | 500m | 42.504 (WR) | |
| 2014년 11월 9일 | 2014–15 ISU 월드컵 | 솔트레이크 시티 유타 올림픽 오벌 | 3000m 계주 | 4:06.952 | |
| 2014년 11월 15일 | 2014–15 ISU 월드컵 | 몬트리올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500m | 43.161 | |
| 2014년 12월 13일 | 2014–15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272 | |
| 2014년 12월 14일 | 2014–15 ISU 월드컵 |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08.933 | |
| 2014년 12월 21일 | 2014–15 ISU 월드컵 |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 | 500m | 43.747 | |
| 2014년 12월 21일 | 2014–15 ISU 월드컵 |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 | 3000m 계주 | 4:16.782 | |
| 2015년 2월 7일 | 2014–15 ISU 월드컵 | 드레스덴 에너지페어분트 아레나 | 1000m | 1:30.451 | |
| 2015년 2월 8일 | 2014–15 ISU 월드컵 | 드레스덴 에너지페어분트 아레나 | 500m | 43.763 | |
| 2015년 2월 15일 | 2014–15 ISU 월드컵 | 에르주룸 팔란되켄 아이스 스케이팅 홀 | 500m | 43.009 | |
| 2015년 2월 15일 | 2014–15 ISU 월드컵 | 에르주룸 팔란되켄 아이스 스케이팅 홀 | 3000m 계주 | 4:13.026 |
판커신은 2010–11 ISU 쇼트트랙 월드컵에서 3000m 계주에서 금메달 3개(몬트리올, 퀘벡 시티, 상하이)를 획득했고, 500m에서 동메달 2개(퀘벡 시티, 창춘)와 은메달 1개(창춘)를 획득했다. 2011–12 ISU 쇼트트랙 월드컵에서는 3000m 계주에서 금메달 5개(솔트레이크 시티, 사게네, 상하이, 모스크바, 도르드레흐트)와 동메달 1개(나고야)를, 500m에서 금메달 2개(상하이, 모스크바)와 동메달 1개(상하이)를, 1500m에서 동메달 1개(도르드레흐트)를 획득했다.
2012–13 ISU 쇼트트랙 월드컵에서는 3000m 계주에서 금메달 4개(몬트리올, 나고야, 상하이, 소치), 은메달 1개(캘거리), 동메달 1개(드레스덴)를 획득했고, 500m에서 금메달 1개(소치)와 은메달 1개(상하이)를 획득했다. 2013–14 ISU 쇼트트랙 월드컵에서는 3000m 계주에서 금메달 2개(상하이, 콜롬나)와 은메달 3개(상하이, 서울, 토리노)를, 500m에서 금메달 1개(상하이), 은메달 3개(서울, 토리노, 콜롬나), 동메달 1개(토리노)를 획득했다.
2014–15 ISU 쇼트트랙 월드컵에서는 3000m 계주에서 금메달 2개(서울, 에르주룸)와 은메달 2개(솔트레이크 시티, 상하이)를, 500m에서 금메달 5개(솔트레이크 시티, 몬트리올, 상하이, 서울, 에르주룸)와 동메달 1개(드레스덴)를, 1000m에서 은메달 1개(드레스덴)와 동메달 1개(솔트레이크 시티)를 획득했다. 특히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열린 500m 경기에서는 42.504초로 세계 신기록(WR)을 세웠다.
2. 1. 올림픽
| 날짜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기록 |
| 2010년 1월 9일 | 2010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타이베이 | 타이베이 아레나 | |16px]] || 500m || 45.718 | ||
| 2010년 1월 10일 | 2010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타이베이 | 타이베이 아레나 | 3000m 계주 | 4:24.697 | |
| 2010년 10월 24일 | 2010–11 ISU 월드컵, 몬트리올 |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16.924 | |
| 2010년 10월 31일 | 2010–11 ISU 월드컵, 퀘벡 시티 | 파빌론 드 라 쥬네스 | 500m | 44.225 | |
| 2010년 10월 31일 | 2010–11 ISU 월드컵, 퀘벡 시티 | 파빌론 드 라 쥬네스 | 3000m 계주 | 4:13.008 | |
| 2010년 12월 4일 | 2010–11 ISU 월드컵, 창춘 | 창춘 우환 체육관 | 500m | 44.304 | |
| 2010년 12월 5일 | 2010–11 ISU 월드컵, 창춘 | 창춘 우환 체육관 | 500m | 44.475 | |
| 2010년 12월 12일 | 2010–11 ISU 월드컵, 상하이 | 숭장 대학교 학생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16.645 | |
| 2011년 2월 1일 | 2011년 아시안 게임, 아스타나-알마티 | 공화국 사이클 경기장 | |||
| 2011년 2월 2일 | 2011년 아시안 게임, 아스타나-알마티 | 공화국 사이클 경기장 | |||
| 2011년 2월 13일 | 2010–11 ISU 월드컵, 모스크바 | 메가스포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12.308 | |
| 2011년 3월 12일 |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 셰필드 | 셰필드 아레나 | |||
| 2011년 3월 13일 |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 셰필드 | 셰필드 아레나 | 3000m 계주 | 4:16.295 | |
| 2011년 3월 20일 | 2011년 세계 팀 선수권 대회, 바르샤바 | 토르와르 II | 팀 | 34점 | |
| 2011년 10월 23일 | 2011–12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 시티 | 유타 올림픽 오벌 | 3000m 계주 | 4:12.774 | |
| 2011년 10월 30일 | 2011–12 ISU 월드컵, 사게네 | 조르주 베지나 센터 | 3000m 계주 | 4:13.559 | |
| 2011년 12월 4일 | 2011–12 ISU 월드컵, 나고야 | 일본 가이시 홀 | 3000m 계주 | 4:16.251 | |
| 2011년 12월 10일 | 2011–12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873 | |
| 2011년 12월 11일 | 2011–12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4.130 | |
| 2011년 12월 11일 | 2011–12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12.394 | |
| 2012년 2월 5일 | 2011–12 ISU 월드컵, 모스크바 | 메가스포르 아레나 | 500m | 43.899 | |
| 2012년 2월 5일 | 2011–12 ISU 월드컵, 모스크바 | 메가스포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13.374 | |
| 2012년 2월 11일 | 2011–12 ISU 월드컵, 도르드레흐트 | 스포츠불러바드 | 1500m | 2:33.012 | |
| 2012년 2월 12일 | 2011–12 ISU 월드컵, 도르드레흐트 | 스포츠불러바드 | 3000m 계주 | 4:16.887 | |
| 2012년 3월 10일 |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887 | |
| 2012년 3월 11일 |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13.855 | |
| 2012년 10월 21일 | 2012–13 ISU 월드컵, 캘거리 | 올림픽 오벌 | 3000m 계주 | 4:07.530 | |
| 2012년 10월 28일 | 2012–13 ISU 월드컵, 몬트리올 |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14.305 | |
| 2012년 12월 2일 | 2012–13 ISU 월드컵, 나고야 | 일본 가이시 홀 | 3000m 계주 | 4:11.843 | |
| 2012년 12월 9일 | 2012–13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724 | |
| 2012년 12월 9일 | 2012–13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07.660 | |
| 2013년 2월 3일 | 2012–13 ISU 월드컵, 소치 |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 | 500m | 44.074 | |
| 2013년 2월 3일 | 2012–13 ISU 월드컵, 소치 |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 | 3000m 계주 | 4:10.425 | |
| 2013년 2월 10일 | 2012–13 ISU 월드컵, 드레스덴 | 에너지페어분트 아레나 | 3000m 계주 | 4:13.148 | |
| 2013년 3월 9일 |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 데브레첸 | 포닉스 홀 | |||
| 2013년 3월 10일 |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 데브레첸 | 포닉스 홀 | 3000m 계주 | 4:14.104 | |
| 2013년 9월 28일 | 2013–14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279 | |
| 2013년 9월 29일 | 2013–14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08.405 | |
| 2013년 10월 5일 | 2013–14 ISU 월드컵, 서울 | 목동 아이스링크 | 500m | 43.130 | |
| 2013년 10월 6일 | 2013–14 ISU 월드컵, 서울 | 목동 아이스링크 | 3000m 계주 | 4:08.128 | |
| 2013년 11월 9일 | 2013–14 ISU 월드컵, 토리노 | 팔라타졸리 | 500m | 43.783 | |
| 2013년 11월 10일 | 2013–14 ISU 월드컵, 토리노 | 팔라타졸리 | 3000m 계주 | 4:11.404 | |
| 2013년 11월 16일 | 2013–14 ISU 월드컵, 콜롬나 | 콜롬나 스피드 스케이팅 센터 | 500m | 43.203 | |
| 2013년 11월 17일 | 2013–14 ISU 월드컵, 콜롬나 | 콜롬나 스피드 스케이팅 센터 | 3000m 계주 | 4:06.785 | |
| 2014년 2월 21일 | 2014년 동계 올림픽, 소치 |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 | |||
| 2014년 3월 15일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몬트리올 |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500m | 42.942 | |
| 2014년 3월 16일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몬트리올 |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08.811 | |
| 2014년 11월 8일 | 2014–15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 시티 | 유타 올림픽 오벌 | 1000m | 1:30.422 | |
| 2014년 11월 9일 | 2014–15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 시티 | 유타 올림픽 오벌 | 500m | 42.504 (WR) | |
| 2014년 11월 9일 | 2014–15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 시티 | 유타 올림픽 오벌 | 3000m 계주 | 4:06.952 | |
| 2014년 11월 15일 | 2014–15 ISU 월드컵, 몬트리올 |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500m | 43.161 | |
| 2014년 12월 13일 | 2014–15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272 | |
| 2014년 12월 14일 | 2014–15 ISU 월드컵,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08.933 | |
| 2014년 12월 21일 | 2014–15 ISU 월드컵, 서울 | 목동 아이스링크 | 500m | 43.747 | |
| 2014년 12월 21일 | 2014–15 ISU 월드컵, 서울 | 목동 아이스링크 | 3000m 계주 | 4:16.782 | |
| 2015년 2월 7일 | 2014–15 ISU 월드컵, 드레스덴 | 에너지페어분트 아레나 | 1000m | 1:30.451 | |
| 2015년 2월 8일 | 2014–15 ISU 월드컵, 드레스덴 | 에너지페어분트 아레나 | 500m | 43.763 | |
| 2015년 2월 15일 | 2014–15 ISU 월드컵, 에르주룸 | 팔란되켄 아이스 스케이팅 홀 | 500m | 43.009 | |
| 2015년 2월 15일 | 2014–15 ISU 월드컵, 에르주룸 | 팔란되켄 아이스 스케이팅 홀 | 3000m 계주 | 4:13.026 | |
| 2015년 3월 14일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모스크바 | 크릴라츠코예 아이스 팰리스 | 500m | 43.866 | |
| 2015년 3월 15일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모스크바 | 크릴라츠코예 아이스 팰리스 | 3000m 계주 | 4:18.595 | |
| 2022년 2월 5일 | 2022년 동계 올림픽, 베이징 | 수도 실내 경기장 |
2. 2. 세계 선수권 대회
판커신은 2011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5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도 5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는 500m 동메달, 3000m 계주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는 500m 동메달, 3000m 계주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는 500m 금메달, 3000m 계주 은메달을 획득했다.| 날짜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기록 | ||||||||||||||||||||||||||||||||
| 2011년 3월 12일 |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 셰필드 | 셰필드 아레나 | |16px]] || 500m || 44.620 | ||||||||||||||||||||||||||||||||||
| 2011년 3월 13일 |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 셰필드 | 셰필드 아레나 | 3000m 계주 | 4:16.295 | |||||||||||||||||||||||||||||||||
| 2012년 3월 10일 |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500m | 43.887 | |||||||||||||||||||||||||||||||||
| 2012년 3월 11일 |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상하이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3000m 계주 | 4:13.855 | |||||||||||||||||||||||||||||||||
| 2013년 3월 9일 |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 데브레첸 | 포닉스 홀 | |16px]] || 500m || 44.202 | ||||||||||||||||||||||||||||||||||
| 2013년 3월 10일 |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 데브레첸 | 포닉스 홀 | 3000m 계주 | 4:14.104 | |||||||||||||||||||||||||||||||||
| 2014년 3월 15일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몬트리올 |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500m | 42.942 | |||||||||||||||||||||||||||||||||
| 2014년 3월 16일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몬트리올 | 모리스 리샤르 아레나 | 3000m 계주 | 4:08.811 | |||||||||||||||||||||||||||||||||
| 2015년 3월 14일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모스크바 | 크릴라츠코예 아이스 팰리스 | ]]}} || 500m || 43.866 |- | 2015년 3월 15일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모스크바 || 크릴라츠코예 아이스 팰리스 || }]]}} || 3000m 계주 || 4:18.595 |} 2. 3. 아시안 게임판커신은 2011년 아스타나-알마티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500m 은메달, 3000m 계주 금메달을 획득했다.
2. 4. 월드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