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국가들의 예선 대회이다. 예선은 3차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1차 예선에서 2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4개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에서는 40개 팀이 4팀씩 10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를 진행, 각 조 1위가 3차 예선에 진출했다. 3차 예선에서는 1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는 가나, 세네갈, 튀니지, 모로코, 카메룬이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은 40개 팀이 10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020년 1월 조 추첨 후 코로나19로 인해 2021년 9월부터 11월 사이에 경기가 진행되었다. -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3차 예선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3차 예선은 아프리카 2차 예선 각 조 1위 10개국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세네갈, 카메룬, 가나, 모로코, 튀니지가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국가를 결정하는 최종 단계 예선이다. -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197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97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총 5라운드의 홈 앤 어웨이 토너먼트를 통해 튀니지가 최종 라운드에서 우승하여 197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기간 | 2019년 9월 4일 – 2022년 3월 29일 |
참가 팀 수 | 54개국 |
연맹 | 1개 |
총 경기 수 | 158 |
총 득점 수 | 361 |
총 관중 수 | 978,310 |
최다 득점 선수 | 이스람 슬리마니(8골) |
이전 대회 | 2018 |
다음 대회 | 2026 |
![]() |
2. 방식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3개의 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되며,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과 동일한 방식으로 치러진다. 2018년 6월 11일 CAF 회의에서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과 월드컵 예선을 통합하자는 제안은 거부되었다.[2]
단계 | 진행 방식 | 참가 대상 | 진출 기준 | 팀 수 | 합계 |
---|---|---|---|---|---|
1차 예선 | 플레이오프 | 최하위 시드 28개 팀 (27번~54번 시드) | 플레이오프 승자 | 28 → 14 | 54 → 40 |
2차 예선 | 조별 예선 (4팀×10조) | 1차 예선 통과팀 및 2차 예선 자동 진출팀 전체 | 각 조 1위 팀 | 40 → 10 | 좌동 |
최종 예선 | 플레이오프 | 2차 예선 통과팀 전체 | 플레이오프 승자 | 10 → 5 | 좌동 |
예선 방식은 다음과 같다.
- '''1차 예선''': FIFA 랭킹 최하위 2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4개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한다.
- '''2차 예선''': 1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과 상위 시드 26개 팀, 총 40개 팀이 10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1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 '''3차 예선''': 2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2. 1. 1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사용된 형식으로 되돌아갔다.[3] 2019년 7월 FIFA 랭킹에 따라 시드가 배정되었다.28개 팀(27~54위)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두 차례 경기를 치렀다. 14개 승리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 2. 2차 예선
2차 예선은 1차 예선을 면제받은 26개 팀과 1차 예선 승리팀 14개 팀, 총 40개 팀이 4팀씩 10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 시드 배정은 2019년 7월 FIFA 랭킹에 따라 정해졌다.[3][18]2. 3. 3차 예선
2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은 다섯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두 차례 경기를 치른다. 각 조에서 승리한 5개 팀이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3][18]3. 경기 일정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일정은 다음과 같다.[30]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카메룬에서 열릴 예정이던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을 2021년 1월부터 2월까지 개최하기로 변경함에 따라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1차전·2차전 일정도 변경하였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2020년 8월 19일에 공개된 공식 성명을 통해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를 고려하여 2차·3차 예선 일정을 전면 수정한다고 밝혔다.
단계 | 경기일 | FIFA 국제 경기 일정 |
---|---|---|
1차 예선 | 1차전 | 2019년 9월 4일 ~ 9월 7일 |
2차전 | 2019년 9월 8일 ~ 9월 10일 | |
2차 예선 | 1차전 | 2021년 9월 1일 ~ 9월 4일 |
2차전 | 2021년 9월 5일 ~ 9월 8일 | |
3차전 | 2021년 10월 6일 ~ 10월 9일 | |
4차전 | 2021년 10월 10일 ~ 10월 12일 | |
5차전 | 2021년 11월 11일 ~ 11월 13일 | |
6차전 | 2021년 11월 14일 ~ 11월 16일 | |
3차 예선 | 1차전 | 2022년 3월 24일 ~ 3월 26일 |
2차전 | 2022년 3월 27일 ~ 3월 29일 |
4. 참가국
FIFA에 가입된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54개국이 모두 참가한다. 시에라리온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기록이 있어서 참가 자격이 박탈될 가능성이 있었지만, 2019년 6월 3일에 열린 FIFA 평의회가 시에라리온 축구 협회에 대한 자격 정지 처분을 해제하면서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6]
2019년 6월 기준 FIFA 랭킹 상위 26개국이 2차 예선에 직행하고, 하위 28개국이 1차 예선부터 참여한다.
2차 예선에 직행하는 국가 (1위부터 26위) | 1차 예선부터 참여하는 국가 (27위부터 54위) |
---|---|
국가명 뒤의 괄호 안은 2019년 7월 현재 FIFA 랭킹 순위이다.
5. 1차 예선
시드 순위가 가장 낮은 28개 팀이 참가하여 2라운드에 진출할 14팀을 가리는 1차 예선이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경기 승자는 2차 예선에 진출했다.[26]
1차 예선 조 추첨은 2019년 7월 29일 12시 EST (UTC+2)에 이집트 카이로에 있는 CAF 본부에서 열렸다.[12][13][27][28] 1차전은 2019년 9월 4일부터 7일까지, 2차전은 같은 해 9월 8일과 10일에 실시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Ethiopia|에티오피아영어 | 1 - 1 (a) | Lesotho|레소토영어 | 0 - 0 | 1 - 1 |
Somalia|소말리아영어 | 2 - 3 | Zimbabwe|짐바브웨영어 | 1 - 0 | 1 - 3 |
Eritrea|에리트레아영어 | 1 - 4 | Namibia|나미비아영어 | 1 - 2 | 0 - 2 |
Burundi|부룬디영어 | 2 - 2 (승부차기: 0 - 3) | Tanzania|탄자니아영어 | 1 - 1 | 1 - 1 (연장전) |
Djibouti|지부티영어 | 2 - 1 | Eswatini|에스와티니영어 | 2 - 1 | 0 - 0 |
Botswana|보츠와나영어 | 0 - 1 | Malawi|말라위영어 | 0 - 0 | 0 - 1 |
The Gambia|감비아영어 | 1 - 3 | Angola|앙골라영어 | 0 - 1 | 1 - 2 |
Liberia|라이베리아영어 | 3 - 2 | Sierra Leone|시에라리온영어 | 3 - 1 | 0 - 1 |
Mauritius|모리셔스영어 | 0 - 3 | Mozambique|모잠비크영어 | 0 - 1 | 0 - 2 |
São Tomé and Príncipe|상투메 프린시페영어 | 1 - 3 | Guinea-Bissau|기니비사우영어 | 0 - 1 | 1 - 2 |
South Sudan|남수단영어 | 1 - 2 | Equatorial Guinea|적도 기니영어 | 1 - 1 | 0 - 1 |
Comoros|코모로영어 | 1 - 3 | Togo|토고영어 | 1 - 1 | 0 - 2 |
Chad|차드영어 | 1 - 3 | Sudan|수단영어 | 1 - 3 | 0 - 0 |
Seychelles|세이셸영어 | 0 - 10 | Rwanda|르완다영어 | 0 - 3 | 0 - 7 |
6. 2차 예선
2차 예선에는 시드 순위가 가장 높은 26개 팀과 1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이 참가한다. 조 추첨은 2020년 1월 21일 19시(중앙아프리카 시간, UTC+2)에 이집트 카이로의 리츠칼튼 호텔에서 진행되었다.[14] 40개 팀은 10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을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만이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26]
;예선 통과국
순위 | 국가 | 순위 | 국가 |
---|---|---|---|
20 | 세네갈 | 88 | 가봉 |
29 | 튀니지 | 90 | 콩고 공화국 |
34 | 나이지리아 | 95 | 마다가스카르 |
38 | 알제리 | 102 | 리비아 |
39 | 모로코 | 105 | 모리타니 |
49 | 이집트 | 107 | 니제르 |
51 | 가나 | 107 | 케냐 |
53 | 카메룬 | 111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55 | 콩고 민주 공화국 | 112 | 모잠비크 |
56 | 코트디부아르 | 118 | 짐바브웨 |
57 | 말리 | 120 | 나미비아 |
61 | 부르키나파소 | 121 | 앙골라 |
71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23 | 기니비사우 |
74 | 기니 | 124 | 토고 |
78 | 카보베르데 | 124 | 말라위 |
80 | 우간다 | 128 | 수단 |
81 | 잠비아 | 130 | 르완다 |
83 | 베냉 | 134 | 적도 기니 |
135 | 탄자니아 | 152 | 라이베리아 |
151 | 에티오피아 | 186 | 지부티 |
6. 1. A조
2차 예선 조 추첨은 2020년 1월 21일 19시 중앙 아프리카 시간(UTC+2)에 이집트 카이로에 있는 리츠칼튼 호텔(The Ritz-Carlton Hotel Company)에서 열렸다.[14]
왼쪽 숫자가 HOME 팀의 득점
6. 2. B조
2라운드 조 추첨은 2020년 1월 21일 19:00 CAT(UTC+2)에 이집트 카이로에 있는 리츠칼튼 호텔(The Ritz-Carlton Hotel Company)에서 열렸다.[14]팀 | AWAY | ||||
---|---|---|---|---|---|
H O M E | align="left"| | X | 1-1 | 2-0 | 0-1 |
align="left"| | 1-2 | X | 1-0 | 2-1 | |
align="left"| | 0-2 | 1-2 | X | 1-0 | |
align="left"| | 0-2 | 1-1 | 1-3 | X |
왼쪽 숫자가 HOME팀의 득점
6. 3. C조
OM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