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는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스웨덴이 본선에 직행하고 아일랜드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스페인은 페로 제도를 상대로 10-0, 12-0 승리를 거두는 등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였으며, 아마이우르 사리에기가 11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총 108골이 기록되었으며, 스페인이 2023년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는 유럽 지역 예선 각 조 2위 팀들이 참가하여 본선 진출 자격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자격을 놓고 경쟁했으며, 최종 순위에 따라 상위 2팀은 여자 월드컵 본선에, 최하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진출했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는 스웨덴, 아일랜드 등 6개국이 참가하여 스웨덴이 조 1위로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아일랜드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예선 조이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
대회 정보
참가팀 수6
경기장 수0
결과
1위스웨덴 (본선 진출)
2위아일랜드 (플레이오프 진출)
통계
최다 득점자코소바레 아슬라니 (5골)
마그달레나 에릭손 (5골)
카티 케이티 (5골)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
참가국스웨덴
아일랜드
핀란드
슬로바키아
조지아
경기 기간2021년 9월 17일 ~ 2022년 9월 6일
이전 대회2019년
다음 대회2027년

2. 순위

순위경기결과
1스페인8800530+53월드컵 본선 진출
2스코틀랜드85122213+9플레이오프 진출
3우크라이나83141220-8예선 탈락
4헝가리830519190예선 탈락
5페로 제도8008256-54예선 탈락



범례:

3. 경기 결과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21년

일시 (KST)팀 1결과팀 2장소
2021년 9월 17일 02:000 - 10토르스뵐루르, 토르스하운 [1]
2021년 9월 18일 03:000 - 2히데쿠티 난도르 경기장, 부다페스트 [4]
2021년 9월 22일 03:000 - 7히데쿠티 난도르 경기장, 부다페스트
2021년 9월 22일 03:357 - 1햄프턴 파크, 글래스고 [4]
2021년 10월 22일 01:004 - 0콜로스 경기장, 코발리우카 [4]
2021년 10월 23일 03:352 - 1햄프턴 파크, 글래스고 [2]
2021년 10월 26일 23:000 - 6콜로스 경기장, 코발리우카 [4]
2021년 10월 27일 02:001 - 7토르스뵐루르, 토르스하운 [4]
2021년 11월 26일 05:0012 - 0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 세비야 [2]
2021년 11월 27일 04:351 - 1햄프턴 파크, 글래스고 [4]
2021년 12월 1일 01:004 - 2바르케르티 경기장, 키슈바르더 [4]
2021년 12월 1일 04:008 - 0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 세비야


  • 2022년

일시 (KST)팀 1결과팀 2장소
2022년 4월 9일 00:307 - 0수서 페렌츠 경기장, 부다페스트
2022년 4월 13일 02:350 - 2햄프던 파크, 글래스고
2022년 6월 25일 03:150 - 4제슈프 시립경기장, 제슈프 (폴란드) [4]
2022년 6월 29일 03:002 - 0제슈프 시립경기장, 제슈프 (폴란드) [4]
2022년 9월 3일 01:000 - 3토르스뵐루르, 토르스하운 [4]
2022년 9월 3일 04:003 - 0축구의 도시, 라스로사스데마드리드
2022년 9월 7일 01:000 - 6토르스뵐루르, 토르스하운
2022년 9월 7일 04:005 - 0축구의 도시, 라스로사스데마드리드 [4]


  • 득점 기록


각 경기의 자세한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 페로 제도 0 - 10 스페인 (2021년 9월 17일)[1]
  • 사리에히 (7', 32', 55', 60'), 게레로 (8'), 푸테야스 (50'), L. 가르시아 (58'), 기하로 (64'), 칼덴테이 (70'), 알레이샨드리 (90+5')

  • 헝가리 0 - 2 스코틀랜드 (2021년 9월 18일)[4]
  • 커스버트 (17'), 토마스 (73')

  • 헝가리 0 - 7 스페인 (2021년 9월 22일)
  • 곤살레스 (8', 21'), 칼덴테이 (23', 90+3'), 델 카스티요 (50'), 사리에기 (79', 86')

  • 스코틀랜드 7 - 1 페로 제도 (2021년 9월 22일)[4]
  • 커스버트 (19'), 아서 (21', 28'), 그림쇼 (39'), 토마스 (62'), 클라크 (81'), 엠슬리 (84') (이상 스코틀랜드); 비스코프스퇴 (49') (페로 제도)

  • 우크라이나 4 - 0 페로 제도 (2021년 10월 22일)[4]
  • 코즐로바 (16'), 크라프축 (45'), 보이첸코 (57'), 코르순 (79')

  • 스코틀랜드 2 - 1 헝가리 (2021년 10월 23일)[2]
  • 그림쇼 (42'), 코시 (90') (이상 스코틀랜드); Vágó Fanny (56') (헝가리)

  • 우크라이나 0 - 6 스페인 (2021년 10월 26일)[4]
  • 푸테야스 (9'), 사리에기 (33', 82'), 에이사기레 (68'), 아파나셴코 (84', 자책골), 레돈도 (90+2')

  • 페로 제도 1 - 7 헝가리 (2021년 10월 27일)[4]
  • 리스베르 (8') (페로 제도); 바고 (22', 28', 49'), 젤러 (30', 43'), 페니베시 (32'), 자고르 (81') (이상 헝가리)

  • 스페인 12 - 0 페로 제도 (2021년 11월 26일)[2]
  • 곤살레스 (2', 41', 51', 74'), 본마티 (17', 50'), 레돈도 (25'), 칼덴테이 (39'(페널티킥), 52', 57'), 푸테야스 (83'), 사리에히 (89')

  • 스코틀랜드 1 - 1 우크라이나 (2021년 11월 27일)[4]
  • 해리슨 (90+3') (스코틀랜드); 크라브추크 (22') (우크라이나)

  • 헝가리 4 - 2 우크라이나 (2021년 12월 1일)[4]
  • 바고 (4', 11'), 젤레르 (30'), 아파나셴코 (87', 자책골) (이상 헝가리); 아파나셴코 (71'), 키미치 (82') (이상 우크라이나)

  • 헝가리 7 - 0 페로 제도 (2022년 4월 9일)
  • 자고르 (12'), 치사르 (13'), 바고 (15', 19', 55'), 페니베시 (23'), 치키 (32')

  • 스코틀랜드 0 - 2 스페인 (2022년 4월 13일)
  • 에르모소 (14'(페널티킥), 78')

  • 우크라이나 0 - 4 스코틀랜드 (2022년 6월 25일)[4]
  • 위어 (9'(페널티킥)), 커스버트 (17'), 토마스 (20', 43')

  • 우크라이나 2 - 0 헝가리 (2022년 6월 29일)[4]
  • 크라베츠 (27'), 오브디이추크 (90')

  • 페로 제도 0 - 3 우크라이나 (2022년 9월 3일)[4]
  • 쿠니나 (12', 14'), 시마트코 (83')

  • 스페인 3 - 0 헝가리 (2022년 9월 3일)
  • 곤살레스 (24'), 파레데스 (27'), 기하로 (74')

  • 페로 제도 0 - 6 스코틀랜드 (2022년 9월 7일)
  • 도처티 (17'), 위어 (40'), 커스버트 (45'), 토마스 (45+1'), 코르시 (53'), 비티 (68')

  • 스페인 5 - 0 우크라이나 (2022년 9월 7일)[4]
  • 곤살레스 (15', 42'), 레돈도 (29', 39'), 에르모소 (67'(페널티킥))

3. 1. 스페인 vs 페로 제도

스페인es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1년 9월 16일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토르스뵐루르에서 열린 페로 제도와의 원정 경기에서 10-0 대승을 거두었다.[1] 이 경기는 아일랜드의 폴라 브래디 주심이 진행하였다.[1]

스페인은 아마이우르 사리에히(7분, 32분, 55분, 60분), 이레네 게레로(8분), 알렉시아 푸테야스(50분), 루시아 가르시아(58분), 파트리시아 기하로(64분), 마리오나 칼덴테이(70분), 라이아 알레이샨드리(90+5분)의 득점으로 압도적인 경기를 펼쳤다.[1]

2021년 11월 25일, 스페인은 세비야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에서 열린 페로 제도와의 홈 경기에서 12-0으로 다시 한번 대승을 거두었다.[2] 이 경기는 에스토니아의 트리누 라오스 주심이 진행하였다.[2]

스페인은 에스테르 곤살레스(2분, 41분, 51분, 74분), 아이타나 본마티(17분, 50분), 알바 레돈도(25분), 마리오나 칼덴테이(39분(페널티킥), 52분, 57분), 알렉시아 푸테야스(83분), 아마이우르 사리에히(89분)의 득점으로 또 한 번 큰 점수 차로 승리했다.[2]

3. 2. 헝가리 vs 스코틀랜드

Scotland영어가 Hungaryhu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둔 경기이다. 2021년 9월 17일 20시(현지 시각)에 Hungaryhu 부다페스트의 히데쿠티 난도르 경기장에서 열렸다.[4]

득점 선수득점
에린 커스버트
마사 토머스
주심: 프리다 닐슨 (덴마크)


3. 3. 헝가리 vs 스페인

스페인es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1년 9월 2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히데그쿠티 난도르 스타디온에서 열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 경기에서 헝가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7-0 승리를 거두었다.

득점 선수득점 시간
곤살레스8분, 21분
칼덴테이23분, 90+3분
델 카스티요50분
사리에기79분, 86분



2022년 9월 2일, 스페인은 라스 로사스 데 마드리드의 축구의 도시에서 열린 헝가리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도 3-0으로 승리했다.

득점 선수득점 시간
곤살레스24분
파레데스27분
기하로74분



이 두 경기에서 스페인은 헝가리를 상대로 합계 10-0의 압도적인 점수 차로 승리하며 B조 선두를 유지했다.

3. 4. 스코틀랜드 vs 페로 제도

스코틀랜드페로 제도의 경기는 2021년 9월 21일 20시 35분(현지 시각 19시 35분 BST)에 글래스고햄던 파크에서 열렸다.[4] 이 경기에서 스코틀랜드는 페로 제도에 7-1로 크게 이겼다.[4]

스코틀랜드는 에린 커스버트가 전반 19분에 선제골을 넣었고,[4] 이어서 클로이 아서가 전반 21분과 28분에 연속골을 기록했다.[4] 크리스티 그림쇼가 전반 39분에 추가골을 넣으며 전반전을 4-0으로 마쳤다.[4]

후반전에는 페로 제도의 마리아 비스코프스퇴가 49분에 만회골을 넣었지만,[4] 스코틀랜드는 마사 토머스가 62분에, 제나 클라크가 81분에, 클레어 엠슬리가 84분에 각각 골을 추가하며 7-1 대승을 거두었다.[4]

이 경기의 주심은 세르비아 출신의 옐레네 츠베트코비치가 맡았다.[4]

3. 5. 우크라이나 vs 페로 제도

우크라이나uk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1년 10월 21일 코발리우카의 콜로스 경기장에서 열린 페로 제도와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다.[4] 이 경기에서 코즐로바가 전반 1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크라프축이 전반 45분에 추가골을 넣었다. 후반전에는 보이첸코가 57분에, 코르순이 79분에 골을 넣어 4-0 대승을 이끌었다. 심판은 카자흐스탄의 타탸나 소로코푸도바가 맡았다.

3. 6. 스코틀랜드 vs 헝가리

스코틀랜드는 2021년 9월 17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히데그쿠티 난도르 스타디온에서 열린 헝가리와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1] 에린 커스버트가 전반 17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마사 토머스가 후반 73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1]

2021년 10월 22일, 스코틀랜드는 글래스고햄던 파크에서 헝가리를 다시 만나 2-1로 승리했다.[2] 크리스티 그림쇼가 전반 42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후반 56분 헝가리의 Vágó Fanny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2] 그러나 경기 종료 직전인 후반 90분, 레이철 코시가 결승골을 넣어 스코틀랜드의 승리를 이끌었다.[2]

3. 7. 우크라이나 vs 스페인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에서 스페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두 번의 경기를 치렀다.

2021년 10월 26일, 우크라이나 코발리우카의 콜로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스페인은 6-0으로 크게 이겼다.[4] 알렉시아 푸테야스가 전반 9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아마이우르 사리에기가 전반 33분과 후반 37분에 골을 추가했다. 네레아 에이사기레는 후반 23분에 득점했고, 우크라이나의 다리나 아파나슈첸코는 후반 39분에 자책골을 기록했다. 알바 레돈도는 후반 추가시간 2분에 마지막 골을 넣어 스페인의 대승을 이끌었다.

2022년 9월 6일, 스페인 라스로사스데마드리드의 축구의 도시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도 스페인이 5-0으로 승리했다.[4] 에스테르 곤살레스가 전반 15분과 42분에 두 골을 넣었고, 알바 레돈도 역시 전반 29분과 39분에 두 골을 추가했다. 헤니페르 에르모소는 후반 22분에 페널티킥으로 쐐기골을 넣었다.

3. 8. 페로 제도 vs 헝가리

2021년 10월 26일, 토르스뵐루르에서 열린 페로 제도와 헝가리의 경기에서 헝가리가 7-1로 승리했다.[4] 헝가리는 펀니 바고가 해트트릭, 도러 젤레르가 2골, 에벌린 페니베시와 베르나데트 자고르가 각각 1골을 넣어 대승을 거두었다. 페로 제도에서는 레아 리스베르그가 1골을 기록했다.

2022년 4월 8일, 부다페스트의 수서 페렌츠 경기장에서 열린 헝가리와 페로 제도의 경기에서 헝가리가 7-0으로 승리했다. 헝가리는 펀니 바고가 해트트릭, 베르나데트 자고르, 헨리에타 치사르, 에벌린 페니베시, 안나 치키가 각각 1골을 넣어 대승을 거두었다.

헝가리 득점 선수
경기일선수득점
2021년 10월 26일펀니 바고3
도러 젤레르2
에벌린 페니베시1
베르나데트 자고르1
2022년 4월 8일펀니 바고3
베르나데트 자고르1
헨리에타 치사르1
에벌린 페니베시1
2022년 4월 8일안나 치키1



페로 제도 득점 선수
경기일선수득점
2021년 10월 26일레아 리스베르그1


3. 9. 스페인 vs 페로 제도

스페인es은 2021년 9월 16일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토르스뵐루르에서 열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 경기에서 페로 제도를 상대로 10-0 대승을 거두었다.[1] 이 경기에서 아마이우르 사리에히가 4골, 이레네 게레로, 알렉시아 푸테야스, 루시아 가르시아, 파트리시아 기하로, 마리오나 칼덴테이, 라이아 알레이샨드리가 각각 1골씩을 기록했다.[1]

이후 스페인은 2021년 11월 25일에 세비야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에서 열린 페로 제도와의 홈 경기에서 12-0으로 또 한 번 대승을 거두었다.[2] 이 경기에서는 에스테르 곤살레스가 4골, 아이타나 본마티와 알바 레돈도가 각각 2골, 마리오나 칼덴테이가 3골 (페널티 골 1골 포함), 알렉시아 푸테야스와 아마이우르 사리에히가 각각 1골을 기록하며 스페인의 대승을 이끌었다.[2]

3. 10. 스코틀랜드 vs 우크라이나

2021년 11월 26일 글래스고햄던 파크에서 열린 스코틀랜드우크라이나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4] 스코틀랜드는 후반 추가시간 애비 해리슨의 득점으로 극적인 동점을 만들었지만, 경기 초반 록솔라나 크라프축에게 선제골을 허용하며 어려운 경기를 펼쳤다.

3. 11. 헝가리 vs 우크라이나

2021년 11월 30일, 헝가리는 키슈바르더의 바르케르티 경기장에서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4-2 승리를 거두었다.[4] 헝가리는 전반전에 바고의 멀티골과 젤레르의 골을 묶어 3골을 몰아쳤다. 우크라이나의 아파나슈첸코는 후반 26분 만회골을 넣었지만, 5분 뒤 키미치에게 추가골을 허용하며 추격 의지가 꺾였다. 경기 막판 아파나슈첸코의 자책골까지 나오면서 헝가리가 4-2로 완승했다.

2022년 6월 28일, 폴란드 제슈프의 제슈프 시립경기장에서 우크라이나가 헝가리를 2-0으로 꺾었다.[4] 우크라이나는 전반 27분 크라베츠의 선제골과 후반 45분 오브디이추크의 추가골로 승리했다.

3. 12. 스페인 vs 스코틀랜드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에서 스페인과 스코틀랜드는 두 번의 맞대결을 펼쳤다.

2021년 11월 30일 세비야 라 카르투하 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스페인은 사리에기와 칼덴테이, 본마티가 각각 2골씩, 푸테야스에르모소가 각각 1골씩 넣어 8-0 대승을 거두었다.[4]

2022년 4월 12일 글래스고 햄던 파크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에르모소가 페널티킥 포함 2골을 기록하며 스페인이 2-0으로 승리했다.[4]

두 경기 모두 스페인이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이며 승리했다.

3. 13. 헝가리 vs 페로 제도

2022년 4월 8일 17시 30분(UTC+2)에 헝가리와 페로 제도의 경기가 부다페스트의 수사 페렌츠 경기장에서 열렸다. 헝가리는 자고르, 치사르, 바고, 페니베시, 치키의 득점에 힘입어 7-0으로 크게 이겼다.[4] 경기는 터키 출신 심판 멜리스 외즈치으뎀이 진행했다.[4]

선수득점
자고르
치사르
바고
페니베시
치키


3. 14. 스코틀랜드 vs 스페인

스페인es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1년 11월 30일 세비야라 카르투하 경기장에서 열린 스코틀랜드와의 경기에서 8-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스페인의 사리에기가 전반 20분과 후반 13분에 득점했고, 칼덴테이가 전반 33분과 후반 38분에 득점했다. 본마티는 전반 41분과 후반 16분에 골을 넣었고, 푸테야스에르모소가 각각 후반 19분과 후반 35분에 득점하며 스페인의 대승을 이끌었다.

2022년 4월 12일 글래스고햄던 파크에서 열린 스코틀랜드스페인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스페인이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에르모소가 페널티킥을 포함해 두 골을 모두 득점하며 스페인의 승리를 이끌었다.

3. 15. 우크라이나 vs 스코틀랜드

2022년 6월 24일, 폴란드 제슈프 시립 경기장에서 열린 우크라이나스코틀랜드의 경기에서 스코틀랜드가 4-0으로 승리했다.[4] 캐롤라인 위어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에린 커스버트와 마사 토머스가 추가 득점에 성공하며 스코틀랜드가 완승을 거두었다.

3. 16. 우크라이나 vs 헝가리

2021년 11월 30일, 우크라이나uk와 헝가리hu의 경기가 바르케르티 경기장hu에서 열렸다. 헝가리는 바고가 전반 4분과 11분에 연속 득점하고, 젤레르 도러hu가 전반 30분에 추가 득점하며 3-0으로 앞서나갔다. 우크라이나는 후반 71분 다리나 아파나슈첸코uk의 만회골과 82분 타밀라 키미치uk의 추가골로 추격했지만, 87분 아파나슈첸코uk의 자책골로 헝가리가 4-2 승리를 거두었다.[4]

헝가리 득점 선수바고 (전반 4분, 11분), 젤레르 도러hu (전반 30분), 다리나 아파나슈첸코uk (후반 87분, 자책골)
우크라이나 득점 선수다리나 아파나슈첸코uk (후반 71분), 타밀라 키미치uk (후반 82분)



2022년 6월 28일, 제슈프 시립경기장pl에서 열린 두 팀 간의 재경기에서는 우크라이나uk가 다랴 크라베츠uk(전반 27분)와 올하 오우디축uk(후반90분)의 득점으로 2-0 승리를 거두었다.[4]

3. 17. 페로 제도 vs 우크라이나

2021년 10월 21일 우크라이나 코발리우카의 콜로스 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우크라이나가 페로 제도를 4-0으로 꺾었다.[4] 니콜 코즐로바가 전반 1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록솔라나 크라프축이 전반 45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후반전에는 올하 보이첸코가 57분에, 카테리나 코르순이 79분에 각각 득점하여 우크라이나의 대승을 이끌었다.

2022년 9월 2일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의 토르스뵐루르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우크라이나가 다시 한번 페로 제도를 3-0으로 제압했다.[4] 나디야 쿠니나가 전반 12분과 14분에 연속골을 터뜨렸고, 류보우 시마트코가 후반 83분에 쐐기골을 넣어 우크라이나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이 두 경기를 통해 우크라이나는 페로 제도를 상대로 압도적인 실력 차이를 보여주며 2연승을 거두었다.

3. 18. 스페인 vs 헝가리

스페인es은 2021년 9월 2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히데그쿠티 난도르 스타디온에서 열린 헝가리와의 경기에서 7-0으로 승리했다.[4] 헝가리는 스페인hu을 상대로 단 한 골도 기록하지 못했다.

경기 초반 8분과 21분에 곤살레스가 연속 득점에 성공했고, 23분에는 칼덴테이가 추가 득점을 기록했다. 후반전 50분에는 델 카스티요가 득점하였고, 이후 79분과 86분에 사리에히가 두 골을 추가했다. 경기 종료 직전인 90+3분에는 칼덴테이가 다시 한번 득점하며 경기는 7-0으로 마무리되었다.[4]

이 경기는 스페인이 헝가리를 상대로 큰 점수 차로 승리하며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준 사례로,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B조에서 스페인의 강세를 보여주는 경기 중 하나였다.

3. 19. 페로 제도 vs 스코틀랜드

와 의 경기는 2022년 9월 6일 19:00 (현지 시각 WEST 18:00) 토르스하운토르스뵐루르에서 열렸다. 스코틀랜드가 페로 제도를 상대로 6-0 대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의 주심은 카타지나 리시에츠카-섹이었다. 득점자는 다음과 같다.

  • 니콜라 도허티 ()
  • 캐롤라인 위어 ()
  • 에린 커스버트 ()
  • 마사 토머스 ()
  • 레이철 코시 ()
  • 젠 비티 ()

3. 20. 스페인 vs 우크라이나

2021년 10월 26일, 우크라이나스페인의 경기가 코발리우카의 콜로스 경기장에서 열렸다. 스페인이 6-0으로 크게 이겼다.[4]

  • 스페인푸테야스가 전반 9분에 첫 골을 넣었다.
  • 사리에기가 전반 33분과 후반 82분에 추가 득점을 올렸다.
  • 에이사기레가 후반 68분에 골을 넣었다.
  • 우크라이나의 아파나셴코가 후반 84분에 자책골을 기록했다.
  • 레돈도가 후반 추가시간 2분에 마지막 골을 추가했다.


2022년 9월 6일, 스페인우크라이나라스 로사스 데 마드리드축구의 도시에서 다시 맞붙었다. 스페인이 5-0으로 또다시 승리했다.[4]

  • 곤살레스가 전반 15분과 42분에 두 골을 넣었다.
  • 레돈도 역시 전반 29분과 39분에 두 골을 추가했다.
  • 에르모소가 후반 67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


두 경기 모두 스페인이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큰 점수 차로 승리했다.

4. 득점 선수

선수국가득점
아이마우르 사리에기스페인11
파니 바고헝가리9
에스테르 곤잘레스스페인9
마리오나 칼덴테이스페인8
마르타 토마스스코틀랜드5
에린 커버트스코틀랜드4
아이타나 본마티스페인4
제니퍼 에르모소스페인4
알렉시아 푸테야스스페인4
알바 레돈도스페인4
도라 젤러헝가리3
에벨린 페니베시헝가리2
베르나데트 자고르헝가리2
클로이 아서스코틀랜드2
레이첼 코르시스코틀랜드2
크리스티 그림쇼스코틀랜드2
캐롤라인 위어스코틀랜드2
파트리샤 기하로스페인2
로크솔라나 크라브추크우크라이나2
나디야 쿠니나우크라이나2
마리아 비스콥스토페로 제도1
레아 리스베르페로 제도1
안나 치키헝가리1
헨리에타 치사르헝가리1
젠 비티스코틀랜드1
제나 클라크스코틀랜드1
니콜라 도허티스코틀랜드1
클레어 엠슬리스코틀랜드1
아비 해리슨스코틀랜드1
라이아 알레익산드리스페인1
아테네아 델 카스티요스페인1
네레아 에이자기레스페인1
루시아 가르시아스페인1
이레네 게레로스페인1
이레네 파레데스스페인1
다리나 아파나셴코우크라이나1
올하 보이첸코우크라이나1
타밀라 히미치우크라이나1
카테리나 코르순우크라이나1
니콜 코즐로바우크라이나1
다르야 크라베츠우크라이나1
올하 오브디이추크우크라이나1
류보프 슈마트코우크라이나1
선수국가자책골
다리나 아파나셴코우크라이나2


참조

[1] 웹사이트 Women's World Cup qualifying group stage draw https://www.uefa.com[...] UEFA.com 2021-04-30
[2] 웹사이트 UEFA Women's National Team Coefficients Overview March 2021 https://editorial.ue[...] UEFA.com 2021-03-02
[3]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 UEFA European Qualifying Competition for the 2023 FIFA Women's World Cup https://documents.ue[...] UEFA 2021-03-02
[4] 웹사이트 Decisions from UEFA executive committee meeting 25 February 2022 https://www.uefa.com[...] 2022-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