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강화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강화 지진은 2023년 1월 9일 오전 1시 28분 15초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쪽 25km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국지 규모 3.6~3.7, 깊이 19km, 최대진도 IV를 기록했으며, 예성강 단층의 영향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지진의 발진기구는 주향이동단층으로 분석되었고, 모멘트 규모는 3.5로 측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군의 역사 - 강화도 조약
강화도 조약은 1876년 일본이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조선에 군사적 위협을 가하여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조선의 개항을 강요하고 치외법권을 부여하여 조선의 자주성을 훼손하고 일제강점기의 원인이 되었다. - 강화군의 역사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은 1875년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 강화도를 침략하여 발생한 무력 충돌로, 조선 개항을 강요하려는 일본의 도발 의혹이 있으며, 강화도 조약 체결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침략 발판을 마련하고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2023년 1월 - 예티 항공 691편 추락 사고
예티 항공 691편 추락 사고는 2023년 1월 15일 네팔 포카라 국제공항 착륙 중 발생하여 탑승자 72명 전원이 사망한 네팔 최악의 항공 사고이다. - 2023년 1월 - 제80회 골든 글로브상
제80회 골든 글로브상은 2023년 1월 10일에 개최되어 《페이블만스》, 《이니셰린의 밴시》, 《하우스 오브 드래곤》 등이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에디 머피와 라이언 머피가 특별상을 받았다.
2023년 강화 지진 | |
---|---|
지도 정보 | |
![]() | |
지진 정보 | |
이름 | 2023년 강화 지진 |
발생 시각 (UTC) | 2023-01-08 16:28:15 |
발생 시각 (KST) | 2023-01-09 01:28:15 KST (UTC+9) |
좌표 | 37.742 |
규모 | 3.6 |
규모 (USGS) | 3.7 |
규모 (모멘트) | 모멘트 규모 3.5 |
깊이 | 19 km |
종류 | 주향이동단층형 지진 |
진도 종류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
진도 | IV |
진도 지점 | 강화군 |
최대 지반 가속도 | 0.81 %g |
여진 정보 | |
여진 | 3월 4일 기준 여진 1회 |
최대 여진 | 2023년 1월 9일 02:36:07 (KST) M1.2, 최대진도 I 지진 |
기타 정보 | |
ISC 이벤트 | 625531589 |
ANSS URL | us7000j304 |
2. 지진 발생
2023년 1월 9일 오전 1시 28분 15초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쪽 25km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1]
2. 1. 지진 정보
2023년 1월 9일 오전 1시 28분 15초에 2023년 강화 지진이 발생했다.[1] 지진의 국지 규모는 3.6[3]~3.7[1], 진원의 깊이는 19km[1]이며, 최대 진도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으로 IV였다.[1] (PGA 0.81%g[4]) 이 지진은 북한의 예성강 지역에서 강화도 북서쪽 서해안으로 빠져나가는 예성강 단층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5] 기상청은 국내 지진이 통상적으로 8~15km에서 발생하는 것과 달리 이번 지진의 깊이는 19km로 이례적이지만, 일반적인 지진 중 하나라는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6]2. 2. 발생 원인
이 지진은 북한의 예성강 지역에서 강화도 북서쪽 서해안으로 빠져나가는 예성강 단층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5] 기상청은 국내 지진이 통상적으로 8~15km에서 일어나는 것과 달리 이번 지진의 깊이는 19km로 이례적이라면서도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지진 중 하나라는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6]3. 신속 정보
이 지진은 규모 3.5 이상에서 발표되는 신속 정보에서 발생 시각은 오전 1시 28분 15초,[7] 규모는 4.0, 최대진도와 깊이는 각각 IV와 19km로 추정되었다.[7]
3. 1. 초기 추정
이 지진은 규모 3.5 이상에서 발표되는 신속 정보에서 발생 시각은 오전 1시 28분 15초,[7] 규모는 4.0,[7] 최대진도와 깊이는 각각 IV와 19km로 추정되었다.[7]
3. 2. 분석 결과
이 지진의 신속 정보에서 추정된 발생 시각은 오전 1시 28분 15초, 규모는 4.0, 최대진도와 깊이는 각각 IV와 19km였다.[7]
4. 발진기구
이번 지진은 주향이동단층의 움직임으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1] 이 단층은 북북동-남남서 방향 또는 동남동-서북서 방향으로 압력을 받았다.[1]
4. 1. 단층 분석
이 지진의 발진기구는 단층이 북북동-남남서 방향 또는 동남동-서북서 방향으로 압력을 받은 주향이동단층으로 분석되었으며, 분석 신뢰도는 53.9%이다.[1] 또한 모멘트 규모는 3.5이다.[1]
4. 2. 모멘트 규모
이 지진의 모멘트 규모는 3.5이다.[1]
참조
[1]
웹인용
2023년 1월 9일 01시 28분 규모 3.7 강화 해역 지진 지진 분석서
https://www.weather.[...]
[2]
웹인용
기상청 계기 진도 정보
https://www.weather.[...]
[3]
웹인용
인천 지진 USGS 분석
https://earthquake.u[...]
[4]
웹인용
기상청 인천 지진 계기 진도 정보
https://www.weather.[...]
2023-01-09
[5]
웹인용
70여일만 규모 3.5 이상 지진…|D:이슈
https://www.youtube.[...]
JTBC
2023-01-09
[6]
웹인용
인천 강화 규모 3.7 해역지진 발생…"발생깊이 19km 이례적"
http://m.dongascienc[...]
동아사이언스
2023-01-12
[7]
웹인용
최근지진 - 기상청 날씨누리
https://www.weather.[...]
2023-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