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7월 9일 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월 9일 대로(Avenida 9 de Julio)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대로이다. 1880년대에 처음 구상되어, 1935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1960년대에 주요 구간이 완공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도로 중 하나로,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여러 노선이 지나간다. 주요 랜드마크로는 오벨리스크, 콜론 극장, 프랑스 대사관 등이 있다. 2013년에는 버스 전용 차로인 메트로버스가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에노스아이레스 - 부에노스아이레스 증권거래소
    부에노스아이레스 증권거래소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하며, 아르헨티나 경제의 중요한 지표로 다양한 기업의 주식과 채권 등을 거래한다.
  • 부에노스아이레스 - 포르테냐
    포르테냐는 19세기 후반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유럽 이민자, 특히 라플라타 강 지역의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정체성을 지칭하며, 승마 스포츠와 소고기 요리가 특징적인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의 문화를 향유한다.
7월 9일 대로
개요
이름7월 9일 대로
원어 이름아베니다 9 데 훌리오 (Avenida 9 de Julio)
종류대로
위치
국가아르헨티나
도시부에노스 아이레스
방향남-북
상세 정보
기점산 후안 대로
종점아로요 거리
길이3.4km
(정보 없음)
오벨리스크가 보이는 남쪽 방향
남쪽 방향으로 본 모습, 오벨리스크가 보임

2. 역사

프란시스코 세버 시장(1889–1890) 시절, 7월 9일 대로 건설 구상이 제안되었다. 이 도로는 남북을 관통하여 두 지역을 연결하는 동맥과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후 여러 계획과 프로젝트에 포함되었지만, 1912년에야 시에서 건설을 승인하는 국법 8.855[3]가 통과되었다.

이 도로는 세리토 거리와 리마 거리, 카를로스 페예그리니 거리에서 베르나르도 데 이리고옌 거리까지, 파세오 데 훌리오(아베니다 델 리베르타도르)에서 브라질(콘스티투시온 구역)까지의 블록을 공공 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었다. 계획은 폭 33미터의 중앙 대로를 건설하고, 양 옆에 넓은 도로를 배치하며, 결과적으로 생기는 토지에 특별한 건축 양식의 공공 또는 사유 건물을 짓는 것을 목표로 했다. 토지 매각 대금은 지방 정부 발행 2,500만 골드 페소 대출과 함께 재정 자금 일부가 될 예정이었다. 이 자금은 지방 정부 수입과 국가의 직접적인 10% 기여금으로 충당될 예정이었다. 중앙 부분이 남북 축과 잘 일치한다면, 이 프로젝트는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거리와 두 개의 로터리(5월 대로(Avenida de Mayo), 코리엔테스 대로 교차점)를 보완하게 될 것이었다.[4][5]

7월 9일 대로 건설 구상은 1925년 계획에도 유지되었으며, 북쪽 및 남쪽 대각선 도로(1919년 제안)와 통합되어 양 끝에 두 개의 중앙 기념물을 형성하게 되었다.

1888년 '아요우마(Ayohuma)'라는 이름으로 처음 계획되었으나, 토지 소유주와 주민들의 반대로 1935년에야 공사가 시작되었다. 초기 단계는 1937년 10월 12일에 개통되었으며[7], 주요 구간은 1960년대에 완공되었다. 남쪽 연결은 1980년 이후 고속도로 시스템 도심 구간 완공 후에 완료되었다. 이 교차로를 위한 부지 정리는 콘스티투시온 지역에서 대규모 토지 수용을 필요로 했다.

C선은 대로 아래를 일부 구간 통과한다. A선, B선, D선, E선은 노선이 대로와 교차하는 지점에 역이 있다. 특히 B, C, D선은 오벨리스크 아래에서 역(카를로스 페예그리니, 디아고날 노르테, 9 de Julio)을 공유하며, 이 역은 지하철 시스템의 중심이며 지하 통로 역할을 하는 소매 구역을 갖추고 있다.

대로를 건너려면 모든 교차로에 신호등이 있어 몇 분이 걸린다. 일반적인 보행 속도에서는 두세 번의 녹색 신호가 켜져야 건널 수 있다. 일부 도시 계획가들은 대로 양쪽 사이의 "심연"을 완화하기 위해 대로 중앙 부분을 지하로 옮기는 프로젝트를 제출했다.

2. 1. 초기 계획과 난관

1888년, '아요우마(Ayohuma)'라는 이름으로 도로 건설 계획이 처음 수립되었으나, 도로 예정지 토지 소유주와 주민들의 반대로 오랫동안 공사가 지연되었다.[7] 1912년 시에서 건설을 승인하는 국법 8.855[3]가 통과되면서, 안코레나 시장은 독립 100주년(1916년) 기념 완공을 목표로 사업 추진에 착수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시는 당시 통화 5천만 (페소 모네다 나시오날)를 투자해 해당 부지의 모든 부동산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시는 이 정도 규모의 건설 사업을 지속 가능하고 질서 있게 추진할 법적 수단과 충분한 재정 자원을 갖추지 못했다.[4]

토지 수용이 점진적이고 번갈아 진행되면서 작업 완료가 지연되었고, 이는 시 재정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지연은 중앙 지역 건물 개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많은 건물이 쇠퇴하거나 방치, 철거되었다.[4] 이 문제는 제1차 세계 대전[6] 발발, 안코레나 시장 사임, 1915년 시의회 폐쇄로 이어진 최초의 민주적 선거 임박 등과 겹쳐 정치적, 재정적 위기를 초래했다.

2. 2. 건설 시작과 확장

프란시스코 세버 시장(1889–1890) 시절부터 7월 9일 대로 건설 구상이 제안되었지만, 실제 건설은 1935년에야 시작되었다. 이 도로는 세리토 거리와 리마 거리, 카를로스 페예그리니 거리에서 베르나르도 데 이리고옌 거리까지, 파세오 데 훌리오(아베니다 델 리베르타도르)에서 브라질(콘스티투시온 구역)까지의 블록 내에서 공공 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었다.[3]

1912년, 시에서 건설을 승인하는 국법 8.855가 통과되었다.[3] 이 법안은 폭 33미터의 중앙 대로를 건설하고, 양 옆에 넓은 도로를 배치하며, 특색 있는 양식의 공공 또는 사유 건물을 짓는 것을 목표로 했다. 토지 매각 대금과 지방 정부의 대출, 그리고 국가의 직접적인 기여금으로 재정을 충당할 계획이었다.[4][5]

안코레나 시장은 독립 100주년(1916년)을 기념하여 완공을 목표로 부동산 매입을 시작했다. 그러나 시는 재정 및 법적 문제, 제1차 세계 대전[6] 발발, 안코레나 시장의 사임, 1915년 시의회 폐쇄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4]

1935년, 오랜 반대를 극복하고 마침내 7월 9일 대로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 초기 단계는 1937년 10월 12일에 개통되었으며[7], 대로의 주요 구간은 1960년대에 완공되었다. 남쪽 연결은 1980년 이후 고속도로 시스템의 도심 구간이 완공된 후에 완료되었다.

3. 특징

7월 9일 대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주요 도로이다. 프란시스코 세버 시장 시절에 처음 제안되었으며, 여러 계획과 논의를 거쳐 1937년에 초기 구간이 개통되었다.[7] 1960년대에 주요 구간이 완공되었고, 1980년대 이후 고속도로 시스템과 연결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 도로는 건설 당시부터 폭이 매우 넓다는 특징을 가지는데, 이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도시 구조에서 한 블록 전체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원래 아요우마(Ayohuma)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었으나, 토지 소유주와 주민들의 반대로 건설이 지연되기도 했다.

대로의 항공 사진


7월 9일 대로 아래로는 지하철 C선이 일부 구간을 지나가며, A선, B선, D선, E선과 교차하는 지점에 역이 있다. 특히 B, C, D선은 오벨리스크 아래에서 역을 공유하며, 이 역은 지하철 시스템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3. 1. 세계에서 가장 넓은 도로

7월 9일 대로는 폭이 약 110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도로 중 하나이다. 이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바둑판식 도시 구조에서 한 블록 전체를 도로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인접한 거리 사이의 간격은 약 110m로, 맨해튼의 거리 간 간격보다 넓다. 넓은 도로 폭 덕분에 7월 9일 대로는 많은 교통량을 수용할 수 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교통 체증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 도로를 지상에서 횡단하려면 모든 교차로에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어 몇 분이 걸린다. 일반적인 보행 속도에서는 2~3번의 녹색 신호를 기다려야 한다.

3. 2. 횡단 보행의 어려움

7월 9일 대로를 건너려면 모든 교차로에 신호등이 있어 몇 분이 걸린다. 일반적인 보행 속도로는 두세 번의 녹색 신호등이 켜져야 건널 수 있다.[7] 일부 도시 계획가들은 대로 양쪽 사이의 "심연"으로 인식되는 부분을 완화하기 위해 대로 중앙 부분을 지하로 옮기는 프로젝트를 제출했다.[7]

3. 3. 메트로버스 (MetroBus)

메트로버스 9 de Julio


'''메트로버스 9 de Julio'''는 2013년에 개통되었으며, 3km 길이로 13개의 역을 가지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C선과 거의 같은 경로를 따라 7월 9일 대로 중앙을 운행한다. 11개의 버스 노선이 이 전용 차로를 이용하며, 버스 이동 시간을 50% 단축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 노선은 도시의 가장 붐비는 두 기차역인 레티로와 콘스티투시온을 연결하며, 이전에는 버스로 30분 걸리던 거리를 15분으로 단축하여 하루 약 25만 명의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7]

4. 주요 랜드마크

7월 9일 대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주요 랜드마크들을 연결하는 중심 도로 역할을 한다. 대로를 따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은 주요 랜드마크를 만날 수 있다.


  • '''프랑스 대사관''': 오르티스 바수알도 궁전이라고 불리는 아름다운 건물이다. 프랑스 정부와 지역 보존론자들은 건축학적 걸작으로 널리 알려진 이 건물의 철거에 반대했다.
  • '''콜론 극장''':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 중 하나로 손꼽힌다.
  • '''오벨리스크'''와 '''공화국 광장''': 코리엔테스 대로와 교차점에 있다.
  • '''돈 키호테 동상''': 5월 대로 교차로에 있다.
  • '''구 공공사업부 건물''': 모레노 거리 교차점에 있으며, 에바 페론의 대형 강철 이미지가 있다.
  • '''콘스티투시온 역''' 및 '''콘스티투시온 광장'''

4. 1. 오벨리스크 (Obelisco)

부에노스아이레스 오벨리스크


7월 9일 대로와 오벨리스크


코리엔테스 대로와 7월 9일 대로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상징인 오벨리스크가 있다. 1936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시 건설 400주년을 기념하여 건립되었으며, 높이는 67.5m이다.[4][5] 오벨리스크 주변은 공화국 광장으로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B선, C선, D선은 오벨리스크 아래에 역을 공유하고 있으며, 각 역의 이름은 카를로스 페셰그리니, 디아고날 노르테, 7월 9일이다. 이 역들은 매점(키오스크)이 늘어선 통로를 가진 지하철의 거대 터미널 역할을 한다.

4. 2. 콜론 극장 (Teatro Colón)

7월 9일 대로변에 있는 콜론 극장은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 중 하나로 손꼽힌다. 1908년에 문을 연 콜론 극장은 뛰어난 음향 시설과 화려한 내부 장식으로 유명하며, 세계 정상급 오페라, 발레, 콘서트 공연이 연중 열린다.

4. 3. 프랑스 대사관 (Embajada de Francia)

7월 9일 대로 북쪽 끝에는 오르티스 바수알도 궁전이라고 불리는 아름다운 프랑스 대사관 건물이 있다. 이 건물은 1912년 프랑스 건축가가 설계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힌다.[7] 프랑스 정부는 대사관 건물의 철거를 거부했으며, 지역 보존론자들 또한 건축학적 걸작으로 널리 알려진 이 건물의 철거에 반대했다.

4. 4. 기타 랜드마크


  • 돈 키호테 동상: 5월 대로와의 교차점에 있다.
  • 구 공공사업부 건물: 모레노 거리 교차점에 있으며, 에바 페론의 대형 강철 이미지가 설치되어 있다.
  • 콘스티투시온 역: 7월 9일 대로 남쪽 끝에 있는 기차역이다.

5.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개회식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하계 청소년 올림픽 개회식은 2018년 10월 6일, 7월 9일 대로에서 무료로 개최되었다[8].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경기장이 아닌 도심의 대로에서 개회식이 열린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Inauguran hoy el Metrobús de la 9 de Julio http://www.infobae.c[...]
[2] 웹사이트 Widest avenue https://www.guinness[...] 2022-10-12
[3] 웹사이트 CODIGO CIVIL Y COMERCIAL DE LA NACION https://web.archive.[...] 2017-03-07
[4] 서적 Monumentos y paisajes de América Latina: Buenos Aires México: Hermes 1962
[5] 서적 Buenos Aires para recordar = Buenos Aires memorable highlights. J. Moyano Comunicaciones 2000
[6] 서적 Gobernantes y gobernados : historia institucional comparada de la República Argentina (desde 1535 a 1955) Ed. Ciudad Argentina 1998
[7] 웹사이트 Caras y Caretas #2038 23/10/1937 pag 59 http://hemerotecadig[...]
[8] 뉴스 ユース五輪6日に開幕 開会式は街の大通りで アルゼンチン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