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IM-152 AAA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IM-152 AAAM은 1980년대 미국 해군이 AIM-54 피닉스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을 시도했던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 소련의 장거리 폭격기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휴즈/레이시온과 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가 경쟁적으로 설계를 제안했다. 하지만, 소련의 붕괴로 인한 위협 감소로 1992년 개발이 취소되었고, 미국 해군은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능력을 상실하고 AIM-120 AMRAAM을 채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중단된 군사 계획 - MBT-70
    MBT-70은 미국과 서독이 소련의 신형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 개발한 주력전차 시제 차량으로, 혁신적인 기술들이 적용되었으나 여러 문제로 계획이 취소되었고, 이 프로젝트의 기술적 경험은 후에 M1 에이브람스와 레오파르트 2 전차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중단된 군사 계획 - M6 중전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이 개발을 시작한 M6 중전차는 1940년 미 육군 병기병단이 설계에 착수하여 T1 중전차라는 명칭으로 승인받은 50톤 중전차이다.
  • 미국의 공대공 미사일 - AIM-92 스팅어
    AIM-92 스팅어는 FIM-92 스팅어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을 헬기에서 공대공 임무를 수행하도록 개조한 미사일로, ATAS 시스템을 통해 헬기에 장착되어 공대공 전투 능력을 향상시키며, 블록 I, 블록 II 모델 등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 미국의 공대공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
    AIM-9 사이드와인더는 미국에서 개발된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냉전 시대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미국의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미국의 미사일 - 토마호크 (미사일)
    토마호크 미사일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1983년부터 실전 배치된 장거리 아음속 순항 미사일로, 수상함과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며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GPS, TERCOM, DSMAC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대지 및 대함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개량형과 변종이 존재하며, 최신형 블록 V는 향상된 정밀도와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최신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있다.
AIM-152 AAAM
개요
AIM-152 AAAM
AIM-152 AAAM
종류공대공 미사일
개발 국가미국
개발 회사제너럴 다이내믹스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개발 시작1980년대 후반
개발 취소1992년
제원
길이3.66m (12피트)
무게227kg (500파운드)
탄두 무게9.07kg (20파운드) 파편형
날개폭69cm (27인치)
사정거리최소: 1.6km (1마일)
최대: 300km (190마일)
속도마하 5+
유도 방식관성 유도
데이터 링크 중간 코스 수정
적외선 영상 최종 단계
추진로켓 모터
특징
특징장거리 요격 능력
고속
다중 유도 방식
기타
관련 프로젝트AIM-54 피닉스

2. 역사적 배경

AIM-152 AAAM은 미국 해군AIM-54 피닉스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을 추진했던 첨단 공대공 미사일이다. 1980년대 중반, 피닉스는 노후화되었고, 해군은 소련의 Tu-22M 백파이어Tu-160 블랙잭 장거리 초음속 폭격기에 대응할 새로운 미사일을 필요로 했다. 이에 따라 피닉스보다 작고 가벼우면서도, 더 긴 사거리와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갖는 미사일 개발이 목표가 되었다.

1980년대 초 차이나 레이크 해군 무기 센터에서 첨단 공통 요격 미사일 시연(ACIMD)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나, 프로젝트 취소로 ACIMD 미사일의 시험 비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87년, 휴즈/레이시온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가 AIM-152 개발 경쟁에 참여했다.

그러나 1991년 소련 붕괴로 냉전이 종식되면서 AIM-152 AAAM 개발은 의미를 잃었고, 1992년에 계획이 취소되었다.[2] 피닉스 미사일 퇴역 후, 미 해군은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능력을 상실했고, 대신 AIM-120 AMRAAM을 주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2. 1. 개발 배경

1980년대 중반, 미국 해군은 기존 AIM-54 피닉스 미사일이 더 이상 최첨단 기술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특히 소련의 Tu-22M 백파이어Tu-160 블랙잭 장거리 초음속 폭격기의 위협에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따라, 미 해군은 피닉스보다 작고 가벼우면서도 더 긴 사거리와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가진 새로운 미사일 개발을 추진했다. 이 미사일은 그루먼 F-14 톰캣과 해군 첨단 전술 전투기(NATF) 프로그램에서 계획된 후속 기체에 장착될 예정이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1980년대 초 차이나 레이크 해군 무기 센터에서 첨단 공통 요격 미사일 시연(ACIMD)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부 시스템이 평가되었다. ACIMD 미사일이 제작되었지만, 프로젝트 취소로 시험 비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87년, 휴즈/레이시온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가 AIM-152 개발을 위한 경쟁 업체로 선정되었다.

NWC 차이나레이크에서 F-14에 장착된 ACIMD 실증기

2. 2. 개발 과정

1980년대 초, 차이나 레이크 해군 무기 센터에서 첨단 공통 요격 미사일 시연(ACIMD)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에서 제작된 ACIMD 미사일은 시험 비행을 하지는 못했다. 1987년, 휴즈/레이시온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가 AIM-152 개발 경쟁에 참여했다.

휴즈/레이시온은 하이브리드 램제트/고체 로켓 엔진을 사용하는 ACIMD 미사일 설계를 기반으로 했다. 이 미사일은 관성 유도 시스템과 AIM-120 AMRAAM에서 사용될 능동 레이다 호밍을 사용하고, 적외선 최종 호밍 탐색기를 통해 목표물에 접근을 경고하지 않고 교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는 다중 펄스 순수 고체 로켓 모터를 사용하는 더 작은 설계를 제안했다. 이 미사일은 관성 유도 시스템과 듀얼 밴드 반능동 레이다를 통한 중간 과정 업데이트, 그리고 전기 광학 센서와 백업 적외선 탐색기를 통한 최종 유도를 사용했다. 반능동 레이다 호밍의 단점은 발사 항공기가 목표물을 계속 조명해야 하므로 더 큰 위험에 노출된다는 점이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과 후방에서 목표물을 조명할 수 있는 레이다 포드를 장착하여 위험을 줄이고자 했다.

2. 3. 개발 중단

1991년 소련 붕괴로 냉전이 종식되면서, AIM-152 AAAM의 주요 목표였던 소련 폭격기의 위협이 사라졌다. 1992년 미국 국방부는 AIM-152 AAAM 개발 계획을 공식적으로 취소했다.[2] 이로써 YAIM-152A 지정을 받은 두 개의 프로토타입 제작 직후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3. 기술적 특징

AIM-152 AAAM은 AIM-54 피닉스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미사일로, 휴즈/레이시온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 두 회사가 경쟁적으로 설계를 제안했다. 두 설계안 모두 마하 3 이상의 속도와 185km 이상의 사거리를 목표로 했다. 각 설계안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AIM-152 AAAM 설계 비교
구분휴즈/레이시온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
전장약 3.66m약 3.66m
직경약 22.86cm약 13.97cm
중량약 299.37kg 미만약 172.36kg
속도마하 3+마하 3+
사거리약 185.07km 이상약 185.07km 이상
추진 방식로켓/램제트 엔진복수 펄스 고체 연료 로켓
탄두14 ~ 23 kg 파편 폭발14 ~ 23 kg 파편 폭발


3. 1. 휴즈/레이시온 설계안

휴즈/레이시온 설계는 주로 ACIMD 미사일을 기반으로 했다. 램제트/고체 로켓 하이브리드 엔진을 사용하여 고속 비행이 가능했다. 관성 유도 시스템과 AIM-120 AMRAAM에서 채택된 능동 레이다 호밍을 결합한 유도 방식을 사용했다. 적외선 최종 호밍 탐색기를 통해 미사일이 능동적으로 신호를 방출하지 않고도 은밀하게 목표물과 교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3. 2. 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 설계안

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의 설계는 휴즈/레이시온의 설계보다 작았고, 다중 펄스 순수 고체 로켓 모터를 사용했다. 관성 유도 시스템을 갖추었지만, 중간 과정 업데이트는 듀얼 밴드 반능동 레이다를 통해 제공되었다. 최종 유도는 전기 광학 센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백업 적외선 탐색기도 포함되었다. 반능동 레이다 호밍의 단점은 발사 항공기가 비행 중 레이다로 목표물을 계속 조명해야 하므로, 적을 향해 비행해야 해서 더 큰 위험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GD/웨스팅하우스는 발사 항공기에 전방과 후방에서 모두 목표물을 조명할 수 있는 레이다 포드를 장착하여, 미사일에 목표물을 제공하면서 회전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2]

4. 제원 (Specifications)

(YAIM-152A 미사일은 실제로 제작되지 않았으므로 모든 제원은 추정치이다.)

구분휴즈/레이시온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
길이3.66m3.66m
직경231mm140mm
무게300kg 미만172kg
속도마하 3 이상마하 3 이상
사거리185km 이상185km 이상
추진로켓/램제트 엔진다중 펄스 고체 추진 로켓
탄두14kg ~ 23kg 파편 탄두14kg ~ 23kg 파편 탄두


5. 영향 및 평가

소련의 붕괴로 러시아 폭격기의 위협이 사실상 종식되면서, AIM-152 AAAM은 방어할 적을 잃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1992년에 취소되었으며, YAIM-152A 지정을 두 개의 프로토타입에 부여한 직후였다.[2]

AIM-54 피닉스 미사일이 단계적으로 폐지되면서, 미국 해군은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AAM) 능력을 상실하고 대신 AIM-120 AMRAAM을 채택했다.

5. 1. 미 해군 전력 공백

AIM-54 피닉스 미사일이 퇴역하면서, 미국 해군은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전력을 상실했고, 그 대안으로 AIM-120 AMRAAM을 채택했다. AMRAAM의 초기형은 사거리가 32~48km에 불과했지만, 이후 개량된 AIM-120D는 161~180km까지 발사 가능해지면서 AIM-54 피닉스의 사거리 공백을 메웠다.[2]

5. 2. 기술적 유산

AIM-152 AAAM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은 이후 다른 미사일 개발에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주목할 만한 기술적 진보는 다음과 같다.

  • 램제트 엔진: 휴즈/레이시온의 설계에 사용된 하이브리드 램제트/고체 로켓 엔진은 고속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었다. 램제트 엔진은 AIM-120 AMRAAM과 같은 후속 미사일 개발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 복합 유도 방식: AIM-152는 관성 유도, 능동 레이다 호밍, 적외선 최종 호밍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결합하여 사용했다. 이러한 복합 유도 방식은 미사일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이후 미사일 개발에도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센서 기술: 제너럴 다이내믹스/웨스팅하우스의 설계에 사용된 전기 광학 센서와 듀얼 밴드 반능동 레이다는 당시 첨단 기술이었다. 이러한 센서 기술은 미사일의 탐지 및 추적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이후 미사일 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AIM-152 AAAM 프로젝트가 취소된 이후에도 AIM-120 AMRAAM을 비롯한 다른 미사일 개발에 활용되어, 미사일 성능 향상에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IM-152 Advanced Air-to-Air Missile (AAAM) http://www.globalsec[...]
[2] 웹사이트 New long-range missile project emerges in US budget https://www.flightgl[...] 2017-11-02
[3] 문서 http://www.globalsec[...]
[4] 문서 http://www.globals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