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휴즈 항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즈 항공은 1932년 하워드 휴즈가 설립한 항공 회사이다. H-1 레이서와 H-4 허큘리스 등 혁신적인 항공기를 개발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수품을 생산했다. 1948년 항공 우주 그룹을 설립하여 미사일과 레이더 시스템을 개발했고, 1953년 하워드 휴즈는 휴즈 항공을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에 기증했다. 이후 헬리콥터 사업을 시작했으나, 1985년 제너럴 모터스에 인수되어 휴즈 일렉트로닉스로 합병되었다. 2003년에는 뉴스 코퍼레이션에 매각되었고, 휴즈 항공은 미사일, 우주선, 방공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개발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휴스 항공사 - 인텔샛 1호
    인텔샛 1호는 인텔샛 본사 로비에 전시되었던 실물 크기 모형 또는 비행 테스트 모델을 의미하며, 2022년 국립 항공우주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휴즈 항공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개요
회사명휴즈 항공
휴즈 항공 회사 로고 (회사의 처음 50년 동안 사용)
창립일1934년
창립 장소글렌데일, 캘리포니아주
설립자하워드 휴즈
해체일1997년
주요 인물로렌스 A. 하일랜드
글렌 오데커크
산업 분야항공우주 및 방위 (방위 및 통신 전자)
본사 위치컬버 시티
엘 세군도
웨스트체스터
국가미국
매출1986년, 110억 달러 (최고치)
소유주휴즈 툴 컴퍼니 (1934년)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 (1953년)
제너럴 모터스 (1985년)
직원 수1985년, 84,000명 (최고치)
후신레이시온
추가 정보
외부 링크Hughes Aircraft

2. 역사

휴즈 로고, 창립자 사망 후 채택됨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휴즈 항공은 휴즈 공항에서 여러 대의 시제품 항공기를 설계하고 제작했다. 여기에는 "스프루스 구스"라는 별칭으로 더 잘 알려진 휴즈 H-4 헤라클레스, H-1 레이서, D-2, XF-11 등이 포함되었다.[5] 그러나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플라야 비스타에 위치한 휴즈 공항의 공장 격납고는 주로 다른 회사의 설계를 건설하는 지사로 사용되었다. 전쟁 초기 휴즈 항공에는 4명의 정규직 직원이 있었지만,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80,000명으로 늘어났다.[6][7]

1947년에는 고용 인원이 800명으로 줄었다. 휴즈의 스프루스 구스와 XF-11 사진 정찰기 프로젝트의 부실 경영 혐의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처음으로 텔레비전으로 방송된 상원 조사를 받았으나 휴즈는 무혐의로 풀려났다.[8]

이후 회사는 전자 분야로 확장하여 1953년까지 17,000명을 고용했고 6억달러 규모의 정부 계약을 체결했다.[8] 1948년 휴즈는 '''항공 우주 그룹'''을 설립했고, 사이먼 라모와 딘 울드리지는 MA-1 시스템을 개발하여 요격기를 미사일 발사에 적합한 위치로 자동으로 유도했다. 또한 미국 공군과 함께 공대공 미사일 AIM-4 팔콘을 개발했다. 라모와 울드리지는 1953년 9월 사임하여 라모-울드리지 법인을 설립했다.[9]

1951년 휴즈 항공은 애리조나주 투손에 미사일 공장을 건설했고, 1953년 하워드 휴즈는 휴즈 항공을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에 기증했다.[11]

로렌스 A. "팻" 하일랜드의 지도하에 항공 우주 그룹은 레이더 시스템, 전자 광학 시스템, 최초의 작동하는 레이저, 항공기 컴퓨터 시스템, 미사일 시스템, 이온 추진기 (우주 여행용) 및 기타 첨단 기술을 개발했다.

1947년 휴즈는 사업을 헬리콥터로 이전했고,[31] 1955년에는 경량 헬리콥터 개발 생산에 착수했다. 1972년에 휴즈 헬리콥터로 개편되었고, 1984년에는 맥도넬 더글러스에 5억달러에 매각되었다.

하워드 휴즈가 1976년 사망하고, 1984년 법원의 명령에 따라 1985년 휴즈 항공은 제너럴 모터스(GM)에 52억달러에 매각되었다. 1997년에는 항공우주 및 방위 사업 부문이 레이시온과 합병되었고, 2000년에는 우주 통신 관련 부서를 보잉에 매각했다. 2003년에는 나머지 부문이 뉴스 코퍼레이션에 인수되었다.

연도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32년하워드 휴즈, 휴즈 툴 컴퍼니의 부서로 휴즈 항공기 회사 설립
1948년회사 내에 항공우주 그룹 설립
1951년애리조나주 투손에 미사일 공장 건설
1953년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 설립, 휴즈 항공기는 재단의 자회사로 개편
1955년헬리콥터 부서인 항공기 부서 설립
1960년테오도르 메이먼, 휴즈 연구소에서 최초의 레이저 생산
1961년휴즈 연구소(Hughes Research Laboratories), 캘리포니아주 말리부로 이전 완료
1972년휴즈 툴 컴퍼니의 공구 부서 매각, 나머지 지분은 섬마 코퍼레이션(Summa Corporation)으로 이전
1976년툴코 항공기는 휴즈 헬리콥터스로 변경, 하워드 휴즈 사망
1984년섬마 코퍼레이션, 휴즈 헬리콥터스를 맥도넬 더글러스에 매각, 맥도넬 더글러스 헬리콥터스로 이름 변경, 델라웨어 형평 법원,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에 8명의 이사 임명
1985년HHMI, 휴즈 항공기를 제너럴 모터스에 매각, GM의 델코 일렉트로닉스와 합병되어 휴즈 일렉트로닉스 형성
1987년휴즈 항공기 회사, M/A-COM 통신을 인수하여 휴즈 네트워크 시스템(Hughes Network Systems) 형성
1994년휴즈 일렉트로닉스, DirecTV 출시
1995년휴즈 우주 통신 회사, 세계 최대의 상업용 위성 공급 업체, 휴즈 일렉트로닉스, 칼라일 그룹으로부터 매그너복스 전자 시스템스(Magnavox Electronic Systems) 인수, 휴즈 항공기, CAE-링크 인수
1996년휴즈 일렉트로닉스와 팬암샛(PanAmSat), 고정 위성 서비스를 새로운 상장 회사로 합병 합의
1997년GM, 델코 일렉트로닉스를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즈로 이전, 델파이는 1999년에 독립, 휴즈 일렉트로닉스(휴즈 항공기)의 항공우주 및 방위 사업 부문, 레이시온과 합병, 레이시온은 휴즈 연구소의 절반도 인수
2000년휴즈 우주 통신 회사, 보잉에 인수되어 보잉 위성 개발 센터가 됨, 보잉은 HRL 연구소, LLC(HRL Laboratories, LLC)의 3분의 1을 인수
2003년휴즈 일렉트로닉스의 나머지 부분, 뉴스 코퍼레이션에 인수되어 더 DirecTV 그룹으로 이름 변경, 뉴스 코퍼레이션, 팬암샛을 콜버그 크라비스 로버츠(KKR)에 매각
2004년마틴 스코세지, 플라야 비스타의 휴즈 항공기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영화 에비에이터(The Aviator) 촬영
2004년스카이테라 커뮤니케이션스(SkyTerra Communications, Inc.), DirecTV 그룹으로부터 휴즈 네트워크 시스템의 100% 지배 지분을 인수하는 것을 완료


2. 1. 설립과 초기 (1932-1945)

1932년, 하워드 휴즈는 휴즈 툴 컴퍼니의 부서로 휴즈 항공기 회사(Hughes Aircraft Company)를 설립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휴즈 항공은 H-1 레이서, D-2, XF-11, 그리고 "스프루스 구스"라는 별칭으로 더 잘 알려진 휴즈 H-4 헤라클레스 등 여러 대의 시제품 항공기를 설계하고 제작했다.[5]

휴즈 H-1 레이서


휴즈 H-4 헤라클레스.


전쟁 초기 휴즈 항공은 단 4명의 정규직 직원만 있었지만,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80,000명으로 늘어났다.[6][7] 회사는 B-25 지지대, 원심 분리 대포 및 기관총 공급 슈트를 제작하는 계약을 체결했다.[8]

XF-11은 리퍼블릭사 XF-12 레인보우와 동일한 "고속·장거리 사진 정찰기" 요구에 따라 설계된 시제기이다. 휴즈사 초기에 제작된 D-2의 확대판이라고도 할 수 있는 XF-11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P-38 라이트닝과 유사한 외형을 가졌다.[26] 1946년7월 7일, 하워드 휴즈가 조종하는 시제 1호기가 초도 비행 시 추락했다.[27]

휴즈의 열정으로 개발된 H-4 허큘리스 비행정은 기체의 대부분이 목재로 만들어져 "스프루스 구스"라고도 불렸다. 1947년 완성 당시 세계 최대의 항공기였으며, 현재까지 이보다 더 큰 날개폭을 가진 단동기는 제작되지 않았다(2019년 현재).

H-4 허큘리스는 당초 미국군을 위한 수송기로 개발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의 종결로 구매 계약이 파기되었다.[28] 휴즈는 이 거대한 비행정을 단 1대만 제조했고, 완성 후 자신이 단 한 번만 비행했다. 2500만달러가 소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9][30] 현재는 오리건주매컴빌에 있는 에버그린 항공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 2. 전후 확장과 냉전 시대 (1945-198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휴즈 항공은 급성장하는 전자 분야로 확장하여 1953년까지 17,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6억달러 규모의 정부 계약을 체결했다.[8]

1948년 휴즈는 '''항공 우주 그룹'''을 설립했다. 사이먼 라모와 딘 울드리지는 완전한 사격 통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전자를 패키징하는 아이디어를 냈고, MA-1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항공기 레이더 신호와 디지털 컴퓨터를 결합하여 요격기를 미사일 발사에 적합한 위치로 자동으로 유도했다. 동시에 다른 팀들은 미국 공군과 함께 공대공 미사일 AIM-4 팔콘을 개발했다. MA-1/팔콘 패키지는 1980년대까지 미 공군의 주요 요격 무기 시스템으로 사용되었다. 라모와 울드리지는 하워드 휴즈와의 경영 문제로 1953년 9월 사임하여 라모-울드리지 법인을 설립했고, 이는 나중에 톰슨-라모-울드리지(TRW Inc.)가 되었다.[9]

1951년, 휴즈 항공은 애리조나주 투손에 미사일 공장을 건설했다. 이는 하워드 휴즈가 캘리포니아주 컬버 시티에 있는 자사 공장이 공격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그 해 말, 미국 공군은 해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군 공장 44로 운영하는 계약을 휴즈(이후 레이시온[10])와 체결했다.

1953년 하워드 휴즈는 휴즈 항공을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에 기증했는데, 이는 세금 회피를 위한 방법으로 추정된다.[11] 1984년 델라웨어 형평 법원은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에 8명의 이사를 임명했고, 이들은 휴즈 항공기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로렌스 A. "팻" 하일랜드의 지도하에 항공 우주 그룹은 지속적으로 다각화되고 회사의 주요 초점이 되었다. 휴즈 항공은 레이더 시스템, 전자 광학 시스템, 최초의 작동하는 레이저, 항공기 컴퓨터 시스템, 미사일 시스템, 이온 추진기(우주 여행용) 등 첨단 기술을 개발했다. 노벨상 수상자 리처드 파인만은 휴즈 연구소에서 매주 세미나를 열었고, 머리 겔만은 맬컴 커리와 사무실을 함께 사용했다.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마지막 비행에 탑승했던 그레고리 자비스로널드 맥네어는 휴즈 출신이었다.

2. 3. 헬리콥터 사업

1947년 하워드 휴즈는 휴즈 항공기의 사업 방향을 비행기에서 헬리콥터로 전환했다.[31] 1948년 켈레트 항공(Kellett Aircraft Co.)은 최신 헬리콥터 설계인 XH-17 "스카이 크레인"을 휴즈에 판매하여 생산하도록 했다. 그러나 XH-17은 1952년 10월에 완성되었지만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1955년 하워드 휴즈는 헬리콥터 부문을 휴즈 툴 컴퍼니 항공 부서로 개편하고, 휴즈 269/300, OH-6 카유스/휴즈 500과 같은 경량 헬리콥터 개발 및 생산에 주력했다.

1972년 휴즈 툴 컴퍼니 항공 부서는 휴즈 헬리콥터로 개편되었고, 1984년에는 맥도넬 더글러스에 5억달러에 매각되어 MD 헬리콥터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휴즈와의 관계는 단절되었지만, 그 후에도 보잉, 슈바이처 항공기, MD 헬리콥터스로 헬리콥터 사업은 계승되었다.

2. 4. 매각과 해체 (1985-2003)

휴즈 로고, 새로운 소유주 제너럴 모터스에 의해 채택됨


휴즈 로고, 레이시온(Raytheon)과 보잉(Boeing)에 회사의 일부가 매각된 1997년부터 2000년까지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 휴즈 우주 통신 회사(Hughes Space and Communications Company)의 각 자회사는 로고 하단에 회사 이름을 배치했다.


하워드 휴즈가 1976년 유언 없이 사망하면서 그의 유산을 둘러싼 분쟁이 시작되었다.[15] 휴즈의 임원과 변호사들은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와 휴즈 항공을 운영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델라웨어주 법무장관은 이에 반대하며 소송을 제기했다.[15][16] 1984년 법원은 HHMI에 독립적인 이사회를 구성하도록 명령했고, 이사회는 1985년 휴즈 항공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17]

1985년 6월, 제너럴 모터스(GM)가 5개월간의 입찰 경쟁 끝에 휴즈 항공 인수자로 선정되었다.[18] 다른 경쟁자로는 포드 자동차 회사와 보잉이 있었다.[18] 1985년 12월 20일, GM은 52억달러에 휴즈 항공 인수를 완료했다.[19] 1985년 12월 31일, GM은 휴즈 항공과 델코 일렉트로닉스를 합병하여 휴즈 일렉트로닉스를 설립했다.

1992년 8월, 휴즈 항공은 제너럴 다이내믹스의 미사일 사업부를 인수하여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등 주요 미사일 기술을 확보했다.[20] 1994년, 휴즈 일렉트로닉스는 세계 최초의 고출력 DBS 서비스인 DirecTV를 출시했다.[23] 1995년, 휴즈 우주 통신 부서는 상업 위성 분야의 최대 공급 업체가 되었다.

1997년, GM은 델코 일렉트로닉스를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 사업부로 이전하고, 휴즈 항공의 항공우주 및 방위 사업 부문을 레이시온에 95억달러에 매각했다.[23] 2000년, 보잉은 휴즈 일렉트로닉스의 우주 통신 관련 부서를 인수하여 보잉 위성 개발 센터를 설립했다.[24]

2003년, 휴즈 일렉트로닉스의 나머지 부분(DirecTV, DirecTV 라틴 아메리카, PanAmSat, 휴즈 네트워크 시스템)은 뉴스 코퍼레이션에 인수되어 The DirecTV Group으로 변경되었다.[24]

3. 주요 제품 및 기술

휴즈 항공은 항공기, 헬리콥터, 미사일, 우주선, 방공 시스템, 레이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개발했다.

1947년, 하워드 휴즈는 회사의 역량을 헬리콥터 개발로 전환했다. 1948년 헬리콥터 제조업체 켈레트 항공(Kellett Aircraft Co.)의 최신 설계 판매를 시작으로, XH-17 "스카이 크레인"을 1952년 10월에 첫 비행을 하였으나 상업적 성공은 없었다. 1955년, 하워드 휴즈는 헬리콥터 생산 부서를 휴즈 항공 회사에서 분리하여 휴즈 툴 컴퍼니(Hughes Tool Company)와 재결합하여 '''휴즈 툴 컴퍼니 항공 부서'''라고 명명했다. 항공 부서는 주로 휴즈 269/300과 OH-6 카유스/휴즈 500과 같은 경헬리콥터 생산에 주력했다.

휴즈는 우주 개발 초기부터 참여하여 1963년 세계 최초의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인 싱콤(Syncom)을 제작했으며, 1966년에는 최초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인 ATS-1을 제작했다. 같은 해 서베이어 1호는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 준비를 위해 달에 최초로 연착륙했다.[6]

3. 1. 항공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휴즈 항공은 H-1 레이서, D-2, XF-11, H-4 허큘리스 등 여러 시제품 항공기를 설계하고 제작했다.[5]

  • 휴즈 D-2
  • 휴즈 H-1 레이서
  • 휴즈 H-4 허큘리스
  • 휴즈 XF-11


이 회사는 고속 정찰기 시험기 XF-11이나 H-4 허큘리스 비행정과 같은 뛰어난 성능을 가진 항공기를 개발했지만, 모두 시제품 단계에 머물렀고, 본격적인 양산은 이후 진출한 헬리콥터까지 기다려야 했다.

XF-11은 리퍼블릭사 XF-12 레인보우와 동일한 "고속·장거리 사진 정찰기" 요구 사양에 따라 설계된 시제기이다. 휴즈사 초기에 제작된 D-2의 확대판이라고도 할 수 있는 XF-11의 최종 설계 외관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P-38 라이트닝과 유사해졌다.[26] 전륜식 착륙 장치, 쌍발, 가압된 조종석이 있는 중앙 동체를 가진 쌍동의 전체 금속제 단엽기인 XF-11은 P-38보다 훨씬 큰 전폭과 훨씬 높은 가로세로비를 가지고 있었다. 하워드 휴즈가 조종하는 시제 1호기(등록 번호: 44-70155)는 1946년7월 7일 초도 비행 시 추락했다.[27]

H-4 허큘리스 비행정은 휴즈의 비행기에 대한 열정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허큘리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인 헤라클레스의 영어식 표기). 기체의 대부분이 목재로 만들어져 "스프루스 거위(스프루스 구스)"라고도 불렸다. 1947년 완성 당시 이 기체는 세계 최대의 항공기였으며, 2019년 현재 이보다 더 큰 날개폭을 가진 단동기는 제작되지 않았다. (관련: 세계 최대 목록).

당초 이 비행정은 미국군을 위한 수송기로 개발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의 종결로 구매 계약이 파기되었다.[28] 휴즈가 온 힘을 쏟아 만든 이 거대한 비행정은 단 1대만 제조되었고, 완성 후 휴즈 자신이 단 한 번만 비행했다. 2500만달러가 소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9][30] 그 후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항에 오랫동안 전시되었으며, 현재는 오리건주매컴빌에 있는 에버그린 항공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3. 2. 미사일

AIM-4 팰콘

AIM-26 팰콘

AIM-47 팰콘

AIM-54 피닉스

AIM-120 암람

휴즈는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공대공 미사일 중 하나인 AIM-120 암람을 개발했다.


AGM-65 매버릭

BGM-71 토우

브라조

3. 3. 우주선

휴즈는 우주 개발 초기부터 참여하여 다양한 탐사선과 통신 위성을 개발했다. 1963년 세계 최초의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인 싱콤(Syncom)을 제작했고, 1966년에는 최초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인 ATS-1을 제작했다.[6] 같은 해, 서베이어 1호는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 준비를 위해 달에 최초로 연착륙했다.[6]
휴즈가 제작한 NASA 서베이어 달 착륙선.
1978년 금성에 대한 최초의 광범위한 레이더 매핑을 수행한 파이오니어 비너스와 1990년대 목성으로 비행한 ''갈릴레오'' 탐사선도 제작했다.[6]
휴즈 갈릴레오 탐사선 배치.
2000년에는 전 세계에서 운용 중인 상업 위성의 약 40%를 제작했다.[14]

휴즈가 개발한 주요 우주선 및 인공위성은 다음과 같다:

  • HS-333
  • 아닉 (위성)(Anik (satellite))
  • 자비스 (로켓)(Jarvis (rocket))
  • ''매젤란'' (우주선)(Magellan (spacecraft))
  • 모렐로스 위성 시스템(Morelos Satellite System)
  • 팍사트-1 위성(Paksat-1 satellite)
  • 파이오니어 계획(Pioneer program)
  • * 파이오니어 비너스 멀티프로브(Pioneer Venus Multiprobe)
  • * 파이오니어 비너스 궤도선(Pioneer Venus Orbiter)
  • 서베이어 계획(Surveyor program)
  • * 서베이어 1(Surveyor 1)
  • * 서베이어 2(Surveyor 2)
  • * 서베이어 3(Surveyor 3)
  • * 서베이어 4(Surveyor 4)
  • * 서베이어 5(Surveyor 5)
  • * 서베이어 6(Surveyor 6)
  • * 서베이어 7(Surveyor 7)

3. 4. 방공 및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휴즈 항공은 합동 감시 시스템(JSS), NATO 통합 방공 시스템(NADGE), 합동 전술 정보 분배 시스템(JTIDS) 등 주요 방공 및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개발에 참여했다.

다음은 휴즈 항공이 개발에 기여한 주요 시스템 목록이다.

시스템 명칭설명
일본 전술 항공 무기 통제 시스템 - JTAWCS일본
스위스 방공 시스템 - 플로리다(FLORIDA)스위스
스페인 방공 시스템 - 콤바트 그란데(Combat Grande)스페인
전술 항공 무기 통제 시스템
합동 감시 시스템
독일 방공 지상 환경 (GEADGE)
NATO 통합 방공 시스템
NATO 방공 지상 환경 (NADGE) - NSPA
공중 조기 경보/지상 환경 통합 세그먼트 (AEGIS)
캐나다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대한민국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대한민국
합동 전술 정보 분배 시스템 (JTIDS)
AN/MPQ-64 센티넬(Sentinel)
AN/TPQ-36 파이어파인더(Firefinder) 레이더
AN/TPQ-37 파이어파인더(Firefinder) 레이더


3. 5. 기타 기술

1960년 테오도르 메이먼이 휴즈 연구소에서 최초의 레이저를 생산했다.[6] 1978년 휴즈는 금성에 대한 최초의 광범위한 레이더 매핑을 수행한 파이오니어 비너스를 제작했고, 1990년대 목성으로 비행한 ''갈릴레오'' 탐사선도 제작했다.[6]

4. 휴즈 연구소 (Hughes Research Laboratories)

1961년, '''휴즈 연구소(Hughes Research Laboratories)'''가 캘리포니아주 말리부로 이전을 완료했다.[9] 테오도르 메이먼은 1960년 휴즈 연구소에서 최초의 레이저를 생산했다.[9]

노벨상 수상자 리처드 파인만은 휴즈 연구소에서 매주 세미나를 열었고, 머리 겔만은 나중에 휴즈 항공의 이사회 의장 겸 최고 경영자가 된 맬컴 커리와 사무실을 함께 사용했다.[9]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마지막 비행에 탑승했던 그레고리 자비스로널드 맥네어는 휴즈 출신이었다.

1997년 휴즈 일렉트로닉스(휴즈 항공기)의 항공우주 및 방위 사업 부문이 레이시온과 합병되었고, 레이시온은 휴즈 연구소의 절반을 인수했다.[9] 2000년에는 보잉이 HRL 연구소, LLC(HRL Laboratories, LLC)의 3분의 1을 인수했으며, 이후 보잉, GM, 레이시온이 공동 소유하게 되었다.[9]

5.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1953년, 하워드 휴즈는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를 설립하고, 휴즈 항공을 이 연구소의 자회사로 재편했다. 이는 막대한 소득에 대한 세금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추정된다.[11] 미국 국세청은 이 연구소의 세금 면제 혜택을 주는 "자선" 지위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지만 실패했다.

하워드 휴즈는 1976년 유언 없이 사망했다. 이후 그의 유산에 대한 수많은 청구가 제기되었고, 휴즈의 임원과 변호사는 자신들이 HHMI와 휴즈 항공을 운영할 "집행위원회"를 구성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델라웨어주 법무장관 리처드 R. 위어[15]는 이에 이의를 제기하고 1978년에 소송을 제기했다. 1983년 법무장관이 된 찰스 M. 오벌리는 연구소가 자선적 사명을 다하고, 세금 회피처로 계속 운영되지 않도록 독립적인 이사회를 구성하고자 이 소송을 이어갔다.[16]

1984년 1월, 그로버 C. 브라운 판사는 휴즈가 승계 계획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형평법 법원이 이사를 임명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1984년 4월, 브라운 판사는 집행위원회와 법무장관실의 추천 명단을 승인했다.[16] 1985년 1월, HHMI의 새로운 이사회는 휴즈 항공을 사적 매각 또는 공개 주식 공모를 통해 매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7] 결국 1985년, HHMI는 휴즈 항공기를 제너럴 모터스에 52억달러에 매각했다.

6. 유산과 영향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 소유였던 휴즈 항공은 이해 상충을 피하고자 의료 분야를 제외한 광범위한 과학 기술을 개발했다.[25] 휴즈 항공이 HHMI에 제공한 자금은 유전학 및 암 연구의 주요 개선으로 이어졌다.

캘리포니아 풀러턴시는 1997년 이전에 휴즈 항공이 위치했던 부지를 따서 휴즈 드라이브로 명명했다. 휴즈 항공이 문을 닫은 후, 시는 주거 공동체인 아메리지 하이츠를 개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ughes Aircraft http://www.centennia[...] 2018-04-29
[2] 서적 Building Victory: Aircraft Manufacturing in the Los Angeles Area in World War II Cypress, CA 2013
[3] 웹사이트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 American corporation https://www.britanni[...] 2018-04-29
[4] 서적 Building Victory: Aircraft Manufacturing in the Los Angeles Area in World War II Cypress, CA 2013
[5] 웹사이트 American airplanes: Ha - Hu http://aerofiles.com[...] 2018-04-29
[6] 웹사이트 The Hughes Companies http://www.centennia[...] U.S. Centennial of Flight Commission 2006-12-06
[7] 서적 Building Victory: Aircraft Manufacturing in the Los Angeles Area in World War II Cypress, CA 2013
[8] 서적 Howard, The Amazing Mr. Hughes Fawcett Publications, Inc. 1972
[9] 웹사이트 ACME http://acmela.org/at[...] 2016-08-31
[10] 뉴스 Street Smarts: Tucson's biggest manufacturing plant was almost built in Phoenix http://tucson.com/ne[...] Arizona Daily Star 2015-05-05
[11] 뉴스 Virginia lab putting big money into pure research http://www.post-gaze[...] Associated Press Financial Wire 2006-09-22
[12] 웹사이트 The Electronic Properties Information Center (EPIC) http://stinet.dtic.m[...] 2018-04-29
[13] 웹사이트 Continuously Improving Software Process http://www.sei.cmu.e[...] 1998-10-31
[14] 웹사이트 Boeing: Integrated Defense Systems – Space and Intelligence Systems – About Space and Intelligence Systems http://www.boeing.co[...]
[15] 웹사이트 Attorney Richard R Wier Jr {{!}} Lawyer in Wilmington DE https://www.lawyerce[...]
[16] 뉴스 Delaware shaped legacy of 'Aviator'; Court helped Howard Hughes tax shelter become leading charity The News Journal 2005-02-12
[17] 뉴스 Medical Institute to Sell Hughes Aircraft The Associated Press 1985-01-10
[18] 뉴스 GM to Buy Hughes Aircraft; Offer Provides Windfall for Medical Institute Washington Post 1985-06-06
[19] 뉴스 G.M. Purchase Of Hugh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5-12-23
[20] 뉴스 Missile completion Flight International 1992-09-02
[21] 웹사이트 Hughes-Palomar History http://www.palomarte[...]
[22] 웹사이트 Palomar Technologies Achieves Management Buy-out https://www.photonic[...] 2018-04-29
[23] 뉴스 Raytheon Completes Hughes Merger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98-01-07
[24] 웹사이트 Boeing: History -- Higher, Faster, Farther - Hughes Companies ... Joining the Boeing Family http://www.boeing.co[...]
[25] 간행물 HughesNews
[26] 서적 Winchester 2005
[27] 웹사이트 Crash of the XF-11 http://www.check-six[...]
[28] 문서 개발에 있어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
[29] 학술지 World's Biggest Plane Makes First Fright Bonnier Corporation 1947-12
[30] 학술지 이브닝스타 1948-05
[31] 웹사이트 The Hughes Companies http://www.centennia[...] U.S. Centennial of Flight Commiss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