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7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T-70은 미국과 서독이 1960년대에 공동 개발한 차세대 주력 전차 프로그램이다. M60 패튼을 대체하고 소련 전차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설계 철학, 기술 표준의 차이, 과도한 신기술 적용, 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1971년 중단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M1 에이브람스, 레오파르트 2 등 이후 전차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술적 혁신과 현실적인 목표 설정 사이의 균형, 국제 협력의 중요성 등 다양한 교훈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중단된 군사 계획 - M6 중전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이 개발을 시작한 M6 중전차는 1940년 미 육군 병기병단이 설계에 착수하여 T1 중전차라는 명칭으로 승인받은 50톤 중전차이다. - 미국의 중단된 군사 계획 - AIM-152 AAAM
AIM-152 AAAM은 1980년대 미국 해군이 소련 장거리 폭격기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을 시도했으나, 소련 붕괴로 인해 1992년 개발이 취소된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 - 전차의 역사 - IT-1
IT-1은 1965년 소련에서 개발되어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생산된 T-62 전차 기반의 대전차자주포이며, 3M7 드라콘 미사일을 주 무장으로 사용했지만, 여러 문제로 인해 1972년 퇴역했다. - 전차의 역사 - 존 월터 크리스티
존 월터 크리스티는 전륜구동 자동차와 혁신적인 전차 설계를 개발하고 자동차 경주에 참여했으며, 소방차 트랙터와 수륙양용 전차를 개발하여 군용 차량 분야에 기여했으나 미국 정부의 채택에는 어려움을 겪고 설계를 해외에 판매했다.
| MBT-70 | |
|---|---|
| 개요 | |
| 명칭 | MBT-70 |
| 종류 | 주력전차 |
| 개발 국가 | 미국, 서독 |
| 제원 | |
| 중량 | 50.4 t |
| 전장 | 9.1 m |
| 전폭 | 3.51 m |
| 전고 | 1.99 ~ 2.59 m |
| 승무원 | 3명 |
| 무장 | |
| 주무장 | 152 mm XM150E5 건 런처 |
| 부무장 | 20 mm Rh-202 기관포 7.62 mm M73 또는 MG 3 기관총 (동축) |
| 장갑 | 간격 장갑, 127mm 간격의 2개 층, 내부층은 파편 방지재 역할도 하는 연강 (46mm), 외부층은 더 단단한 냉간 압연 강철 (34mm) |
| 성능 | |
| 엔진 출력 | 1470 hp (MBT-70) 1500 hp (KPz-70) |
| 변속기 | Renk HSWL354/2 |
| 연료 용량 | 1,300 리터 (343 갤런) |
| 마력 대 중량비 | 29.2 hp/t (MBT-70) 29.8 hp/t (KPz-70) |
| 최고 속도 | 45 km/h |
| 현가 장치 | 유기압식 |
| 항속 거리 | 644 km (400 마일) |
| 개발 및 생산 | |
| 개발 국가 | 미국, 서독 |
| 설계 | 불명 |
| 제조사 | 불명 |
| 생산 대수 | 14대 (시제차 및 시험 제작차) |
| 기타 | |
| 파생형 | 불명 |
2. 역사적 배경
미국 국방부 장관 로버트 맥나마라는 미국과 서독의 주력 전차 공동 개발을 제안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복무했으며, 이후 포드 자동차 회사에서 사장까지 역임했다. 맥나마라는 자신의 산업 관리 방식을 군사 생산에 적용하고자 했으며, 당시 NATO 회원국들이 다양한 무기 체계를 보유하고 있어 탄약, 연료, 부품 등이 통일되지 않은 점을 문제점으로 인식했다.[26]
맥나마라는 1961년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독일 국방부 장관에게 협력적인 주력 전차 프로그램 시작을 제안했지만, 슈트라우스는 레오파르트 1 구매를 제안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맥나마라는 독일과의 공동 전차 프로그램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이듬해 잠정적 합의를 이끌어냈다.
미국 기갑 병과는 펜타곤에 새로운 주력 전차 설계를 요구해 왔지만, 맥나마라가 제시한 7년의 생산 기간은 너무 길다는 반대에 부딪혔다. 또한, 독일의 전차 설계 및 엔지니어링 능력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쇠퇴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맥나마라는 전후 독일의 경제적 성장을 높이 평가하여 독일을 공동 개발 파트너로 선정했다.[26]
1960년대 초, 미국은 M60 패튼을 대체할 차세대 주력 전차 개발에 착수했다. 당시 미 육군의 주력 전차였던 M60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개발된 M26 퍼싱을 기반으로 개량된 전차였지만, 소련의 전후형 전차에 비해 성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서독은 레오파르트 1 개발을 진행했지만, 소련의 T-62나 자동 장전 장치를 장착한 신형 전차(후의 T-64)에 비해 성능이 부족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에 독일 연방군은 레오파르트 1 개량과 함께 차세대 전차 개발을 모색했지만, 예산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과 서독은 차세대 전차 개발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1963년 8월 1일 정식 개발 협정을 체결했다.
2. 1. 미국의 전차 개발 필요성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M48 패튼, M60 패튼 전차를 주력으로 운용했다. 그러나 이 전차들은 기본 설계가 낡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소련의 T-62나 자동 장전 장치를 장착한 신형 전차(후의 T-64)와 같은 전후형 전차에 비해 성능이 뒤떨어진다는 위기감이 있었다. 미국 육군은 M26 퍼싱을 기본으로 개량해 온 M60 전차가 능력상 문제는 없었지만, 낡은 기본 설계는 한계에 이르렀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이전에는 없었던 최신 기술을 담은 차세대 전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2. 2. 서독과의 협력
로버트 맥나마라 미국 국방부 장관은 개발비 절감 및 NATO 동맹 강화 차원에서 서독과의 공동 개발을 추진했다. 당시 서독은 레오파르트 1을 개발하여 생산을 앞두고 있었지만, 이 전차가 소련의 T-62나 자동 장전 장치를 장착한 신형 전차(후의 T-64)를 확실하게 능가할 수 없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에 독일 연방군은 레오파르트 1의 개량과 함께 차세대 전차 개발을 모색하고 있었으나, 예산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2]이러한 상황에서 맥나마라 장관의 제안은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었다. 1963년 8월 1일, 양국은 차세대 전차 공동 개발 협정을 체결했다.[2]
2. 3. 양해각서 체결 (1963년)
1963년 8월 1일, 미국과 서독 양국은 특정 요구 조건을 명시하고 공동 개발에 합의하는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26] 양국은 공동 엔지니어링 기관 및 공동 설계 팀을 구성하여 차세대 전차 개발에 착수했다. 그러나 각국의 상이한 엔지니어링 관행은 MBT-70 프로젝트 개발 전반에 걸쳐 갈등을 야기했다.3. 개발 과정
1963년, 전차 사령관 출신인 웰본 G. 돌빈 장군이 미국 측 프로젝트 매니저로, 독일 측에서는 여러 독일 기업의 합작 회사로 독일 개발 공사가 설립되었다.[26] 미국 측 계약업체로는 크라이슬러 디펜스, 제너럴 모터스(GM), 포드, FMC의 합작 회사가 경쟁했으며, 돌빈은 제너럴 모터스를 선택했다.[26]
개발 초기, GM 엔지니어들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독일 엔지니어들과 협력했으며, 미국 측이 관리를 맡았다. 이후 디트로이트의 GM 공장에서는 독일 측이 관리를 맡는 식으로 역할이 변경되었다.[26]
설계 과정에서는 미터법과 SAE 단위 사용 문제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이견이 발생했다. 이 문제는 맥나마라와 카이-우베 폰 하셀 독일 국방부 장관에게까지 전달되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결국 양측은 각자 설계한 부품에 선호하는 측정을 사용하고, 모든 연결 부분에는 공통 미터법 표준을 사용하기로 합의했다.[26] 이러한 복잡성은 개발 일정 지연과 예산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1965년 설계 확정 당시 미국 프로그램 비용은 1.38억달러로 추산되었으나, 1968년 생산 결정 시점에는 3.03억달러로 증가했고, 1969년에는 5억달러가 넘는 추정치도 나왔다.[26] 같은 해, 독일은 비용 부담을 이유로 프로그램에 대한 재정적 약속을 줄였다.[3]
프로그램의 복잡성과 비용 증가는 독일의 불만을 야기했다. 독일은 미국 엔진의 신뢰성과 미국 포/발사기의 제한적인 정확도 향상, 비미터법 고정 장치 사용에 대해 우려했다.[3] 1969년까지 독일은 프로젝트 관여를 줄였고, KPz-70 구매 규모를 축소하거나 취소하려 했다.[3]
크레이튼 에이브럼스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독일의 원만한 프로그램 종료를 바랐다. 1968년 중반 버나드 R. 루작 준장이 프로젝트를 이어받아 독일과의 파트너십 문제를 인식하고, 데이비드 패커드 부장관의 지지로 1970년 1월 전차 파트너십 종료 협약을 중재했다.[26]
3. 1. 설계 철학의 차이
1964년 9월부터 본격적인 개발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현존하는 소련 전차뿐만 아니라 미래의 신형 전차에 대해서도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최신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계획에는 미국에서는 '''MBT-70''' ('''M'''AIN '''B'''ATTLE '''T'''ANK '''70'''), 서독에서는 '''KPz.70''' ('''K'''ampf '''P'''an'''z'''er.'''70''') 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26]그러나 개발 초기부터 양국의 설계 철학 차이로 인해 난항을 겪었다. "최대한 전면 투영 면적을 줄이는 것"이라는 기본 방침은 동일했지만, 미국은 어느 정도 범용성이 있는 설계를 원했던 반면, 서독은 북부 유럽 환경에 최적화된 설계를 주장했기 때문이다.[3]
결국 모든 승무원을 포탑 내에 수용하고 차체와 포탑의 전고를 최대한 낮춘 디자인이 채택되었으나, 이는 포탑이 커지는 결과를 낳아 당초 설계 목적에서 벗어났다.[3]
3. 2. 기술 표준의 차이
1963년 미국과 서독은 각자 선호하는 측정 단위를 사용하기로 합의했지만, 모든 연결 부분에는 공통 미터법 표준을 사용하기로 하여 기술 표준 차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했다.[26] 그러나 이러한 복잡성은 개발 일정 지연과 프로젝트 예산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투영 방식의 차이 또한 혼란을 야기하여 제작 오류를 발생시켰다.[26] 예를 들어 구멍이 잘못된 쪽에 배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미국과 독일의 서로 다른 지적 재산권 접근 방식 또한 갈등을 일으켰다.[26] 독일 기업들은 자신들의 기술 기밀을 보호하고 최종 제품에 자사 제품을 사용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한 반면, 미국은 정부가 연구 개발 비용을 부담하는 대가로 연구 결과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유지했다.
3. 3. 과도한 신기술 적용
1964년9월부터 본격적인 개발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당시 소련 전차에 대해 우위를 점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등장할 신형 전차에 대해서도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최신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6] 이 계획에는 미국에서는 '''MBT-70''' ('''M'''AIN '''B'''ATTLE '''T'''ANK '''70'''), 서독에서는 '''KPz.70''' ('''K'''ampf '''P'''an'''z'''er.'''70''') 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어, 각각 7대씩 총 14대의 시제 차량이 제작될 예정이었다.그러나 개발 계획은 처음부터 난항을 겪었다.[26] 첫 설계 단계에서 양국이 각자의 설계 디자인을 강하게 주장하며 대립했다. 설계안에는 돌격포 스타일의 무포탑형, 승무원을 모두 차체 내에 배치하고 포와 자동 장전 장치만 돌출시킨 오버헤드 포탑, 포탑을 가지면서도 반쯤 차체와 일체화된 독일의 구축전차의 전투실 부분이 좌우로 선회하는 매몰형 포탑까지, 다종다양한 설계안이 제시되었다. 이는 모두 "최대한 전면 투영 면적을 줄이는 것"이라는 기본 방침에 따르면서도, 미국은 어느 정도 범용성이 있는 설계를 원했지만, 서독은 북부 유럽의 환경에 가장 적합한 설계를 주장했기 때문이다.[26] 결과적으로는 모든 승무원을 포탑 내에 수용하고 차체와 포탑의 전고를 최대한 낮춘 디자인이 결정안으로 채택되었지만, 전고가 낮은 대신 포탑이 이상하게 커진 디자인이 되어, 당초 설계 목적에서 다소 벗어난 결과를 낳았다.
이후에도 사용할 단위를 미국의 야드파운드법을 사용할지 서독의 미터법을 사용할지, 주포 시스템을 미국 측의 건 런처 방식으로 할지 서독이 개발한 활강포 방식으로 할지, 그 외에도 엔진, 서스펜션, 장갑 소재 등 사안마다 양국은 대립했고, 그때마다 의견을 조율하여 양쪽의 안을 각각 반영하는 타협안이 채택되었기 때문에 개발 기간은 한없이 연기되었고, 날이 갈수록 개발비는 폭등했다.[26] 설계 자체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개발의 기술 거점이 미국과 서독으로 나뉘어 있어서, 양국 간 담당자가 협의하는 것만으로도 양측의 일정 조율 등에 큰 어려움이 있었으며, 통신 수단이 발달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설계도를 상호 열람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1965년에 시제차 제작이 시작되어, 1966년에는 차체 부분만의 첫 번째 시제차가, 1968년에는 완전한 시제차가 완성되었다.[26] 테스트 결과는 M60 및 레오파르트 1과 비교하여 가속도, 순항 속도, 회피 능력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우수했지만, 난산의 결과 엔진 및 변속기, 서스펜션, 그리고 화기 관제 장치는 MBT-70과 KPz.70에서 다른 것을 탑재하고 있어, 공동 개발의 의미가 절반 정도 사라진 차량이 되었다.
공동 개발로 대폭 절감할 수 있었을 개발 비용도, 1969년에 1대당 비용이 100만달러를 넘는다는 계산이 나오자, 서독은 이 프로젝트에서 탈퇴했으며, 이후 독자적으로 차세대 전차 개발 계획을 시작했다. 미국 의회에서도 늘어지는 개발 기간과 5차례에 걸친 개발비 폭등에 비난이 집중되었고, 1971년11월 결국 개발 계획은 중단되었다.[26]
3. 4. 시제 차량 제작 및 시험 평가
1965년에 시제 차량 제작이 시작되어 미국과 독일 양측에서 각각 7대씩, 총 14대의 시제 차량이 제작되었다.[26] 하부 차체와 구동계는 1966년에 시험되었고, 1968년부터 본격적인 시험 평가가 시작되었다.[26]시험 결과, MBT-70은 M60보다 뛰어난 기동성을 보였다. 최고 속도뿐만 아니라 가속력도 약 3배나 빨랐으며, 기동 중인 전차가 M60보다 1/3 정도 덜 노출되었고, 10km 장애물 코스를 30% 더 짧은 시간에 주파하여 화력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였다.
1967년 10월, 미국과 독일은 MBT-70을 공개적으로 선보였다. 미국의 시제 차량은 워싱턴 D.C.에서 미국 육군 협회(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밖에서 전시되었다.[9]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에서의 시연은 포탑 유압 장치 고장으로 조기에 종료되었지만, 참관자들은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독일 관리들은 이 전차가 1972년까지 독일 연방군(Bundeswehr)의 모든 M48 패튼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10]
그러나 예상치 못한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포탑이 회전할 때 조종수가 방향 감각 상실을 호소했는데, 이는 설계자들의 예상과는 반대되는 결과였다.[2] 독일의 120mm 주포는 성능이 뛰어났지만, XM150 주포/발사기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탄약은 물에 취약했고, 자동 장전 장치는 전차 탄약의 가연성 탄피를 변형시킬 수 있었다.[2] 또한, 탄약의 자동 점화 문제와 20mm 대공포의 복잡성 문제도 제기되었다.
MBT-70의 무게도 문제였다. 프로젝트 초기에는 46.3ton의 무게가 예상되었지만, 개발 과정에서 54ton으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50.3ton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요구 사항보다 높았다.[2]
결론적으로, MBT-70은 여러 면에서 혁신적이었지만, 너무 많은 검증되지 않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프로젝트가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제임스 W. 풀브라이트 상원은 MBT-70을 운전하려면 기술 연구소에서 석사 학위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2]
3. 5. 프로젝트 중단 (1971년)
1969년 1대당 비용이 100만달러를 넘는다는 계산이 나오자, 서독은 이 프로젝트에서 탈퇴했으며, 이후 독자적으로 차세대 전차 개발 계획을 시작했다.[2][4][5] 원래 MBT-70 프로젝트의 계획 비용은 8천만 달러(2억 9280만 DM)였지만, 1969년에는 이미 3억 300만 달러(약 11억 DM)가 소요되었다.[2] 이 중 서독의 부담은 약 1억 3천만 달러(4억 7580만 DM)였는데, 이는 이 프로젝트의 원래 계획 총 비용보다 더 많은 금액이었다.[2]미국 의회에서도 개발 기간 지연과 5차례에 걸친 개발비 폭등에 대한 비난이 집중되었고, 1971년11월 결국 개발 계획은 중단되었다.
4. 디자인
MBT-70은 시대를 앞서간 여러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45톤(50숏톤)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첨단 유기압 현수장치를 사용하여 빠른 야지 주행 속도를 낼 수 있었다. 이 현가장치는 운전병의 명령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는데, 차체 바닥을 지면에서 약 10.16cm까지 낮추거나 야지 주행을 위해 약 71.12cm까지 높일 수 있었다.[4][5]
MBT-70은 M60과 달리 낮은 차체로 설계되어, 포탑 지붕까지의 높이가 약 1.83m를 약간 넘는 매우 낮은 위치에 있었다. 이로 인해 차체에 조종수를 위한 공간이 없어 조종수는 포탑으로 이동해야 했다. 조종수는 포탑이 회전하더라도 항상 같은 방향을 볼 수 있도록 기어 연결된 큐폴라에 위치했으며, 큐폴라를 회전시켜 전차를 최고 속도로 후진할 수 있었다.[2]
미국 버전은 1470hp 공랭식 V-12 디젤 엔진인 Continental AVCR을, 독일 버전은 1500hp MTU 엔진을 장착할 예정이었다. MTU 장치는 구동계와 함께 15분 만에 전차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었다. 두 버전 모두 43mph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었으며, 이는 T-62의 31.06mph와 비교된다.
MBT-70에는 1,500마력 고출력 디젤 엔진, 사격 통제 장치와 야간 암시장치, 자동 장전 장치 채용에 따른 승무원 감소, 차고 조절이 가능한 유압식 가변 서스펜션, 장갑 재료를 포함한 각 부분에 경합금 사용 등, 후일 3세대 전차에 사용되는 특징이 다수 도입되었다. MBT-70과 KPz.70은 엔진, 변속기, 서스펜션, 화력 통제 장치와 전조등 등의 세부 사항이 달랐다.
4. 1. 차체 및 포탑
MBT-70은 M60 전차와 달리 낮은 차체 형태로 설계되어, 바닥에서 포탑 지붕까지 높이가 약 1.83m를 약간 넘는 매우 낮은 위치에 있었다. 이로 인해 차체에 조종수를 위한 공간이 없어 조종수는 포탑으로 이동해야 했다.[2] 조종수는 포탑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같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기어 연결된 큐폴라에 위치했다.[2] 조종수 캡슐은 포탑의 선회 위치에 관계없이 자동 지향 장치를 통해 차체 진행 방향, 후방, 전방 좌우 50도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었다.하지만, 조종 계통이 전기 신호로 연결되어 있어 전기 계통 고장 시 조종 불능, 조종석 회전으로 인한 방향 감각 장애 우려 등의 문제가 있었다.[28] 또한, 조종석이 높은 곳에 있어 시야가 넓고 후진 시 직접 후방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포탑 위 구조물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차체 전면 좌측에는 장갑 커버가 있는 TV 카메라가 장착되었다.
냉전 시대의 전투 차량으로서 NBC 무기 방호 능력도 중시되었으며, 스노클을 이용한 수중 주행 능력도 갖추고 있었다.
4. 2. 무장
MBT-70의 주무장은 안정화된 XM150 152mm 포/발사기로, M551 셰리던 경전차와 M60A2 "스타쉽"에 사용된 XM-81 포/발사기의 개량형이었다.[5] 이 포는 고폭탄, 대인용, M409A1 고폭 대전차 탄두 (HEAT), XM578E1 철갑탄 (APFSDS), 벌집탄, 그리고 MGM-51 쉴렐라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었다.[2]1960년대에 105mm L7 전차포의 유효 교전 거리는 약 1800m로 간주되었다. XM578 APFSDS 탄은 97.5%의 텅스텐을 함유한 새로운 텅스텐 합금으로 만들어져, 이전의 텅스텐 카바이드 APDS 및 APFSDS 탄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다.[6] 탄약은 "탄피 없는" 가연성 탄피를 사용했다.[2]
MBT-70은 레이저 거리 측정기와 포탑 후방에 26발을 수용할 수 있는 자동 장전 장치를 갖추었다. 자동 장전 장치는 미사일과 가연성 탄피 탄약을 모두 장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미국은 독일의 자동 장전 장치를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의 설계로 대체하여 탄약 적재량을 48발로 늘렸다. 자동 장전 시스템은 분당 12발의 발사 속도를 가능하게 했다.
MBT-70의 부무장은 원격 조종 20mm Rh 202 기관포였다.[1] 이 포는 운전수의 회전식 큐폴라 뒤에 있는 컨테이너로 후퇴하여 보호할 수 있었고, 지휘관이 원격으로 조작했다.[1] 또한 7.62mm 기관총이 주포와 나란히 장착되었다. 미국의 시제품에는 M73 기관총이 장착되었고, 독일 버전은 MG 3 기관총을 사용했다.
독일 전차 박물관에 전시된 MBT-70 시제품의 탄약 적재량은 42발의 전차 탄약, 6발의 쉴렐라 미사일, 660발의 20×139 mm 포탄, 2,700발의 7.62×51mm NATO 기관총 탄약으로 구성되어 있다.[1]
4. 3. 방호력
MBT-70의 차체와 포탑 전면부는 공간 장갑으로 보호되었으며, 폴리에틸렌 방사선 차폐재를 설치하여 중성자 방사선에 대해 20:1의 감쇠비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7] 외부 장갑은 1960년대 중반 MBT-70 설계에 포함된 미국에서 개발된 고성능 장갑으로 제작되었다. 고성능 장갑은 니켈 9%와 코발트 4%를 함유하고 있으며, 진공 아크 재용해를 통해 생산되었다. 다른 종류의 고경도 장갑처럼 500 BHN으로 열처리되었지만, 처음부터 두께 40mm의 판 형태로 생산되었다. 이 장갑은 대전차 고폭탄(HEAT)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운동 에너지탄에는 방어 능력이 부족했다.2개의 방수 장갑 횡격벽은 중앙의 승무원 구역을 전방 격실의 다층 고무 연료 탱크와 후방의 엔진 격실로부터 분리했다. 무게를 줄이기 위해 엔진 격실 바닥과 엔진 데크의 출입문에는 알루미늄이 사용되었다.
MBT-70은 전자기 펄스와 NBC 무기로부터도 보호되었다.
이 전차의 차체 높이는 2.59m에서 1.99m까지 낮출 수 있었으며, 이는 큰 장점이었다. M60 전차에 비해 MBT-70은 더 낮은 차체 높이를 가졌다. 유압식 현가장치를 낮추면 레오파드 1보다 더 작아져 MBT-70은 더 나은 헐 다운(hull down) 자세를 취할 수 있었다.
MBT-70은 각 발사관에 2개의 연막탄(1개의 AN-M8 연막탄과 1개의 M34 연막탄)을 장착한 8개의 XM176 연막탄 발사기를 갖추고 있었다. 지휘관의 조작으로 작동하는 이 발사기는 차량에 근접 방어 및 은폐 기능을 제공했다. KPz-70은 4열로 16개의 연막탄 발사기를 장착했다.
장갑에는 HEAT탄이나 대전차 미사일에 어느 정도 대항할 수 있는 중공 장갑 (스페이싱 장갑)을 채용했다. HESH탄에 대항하기 위해 스폴 라이너를 장착하고 있으며, 장갑재에 티타늄을 사용했다는 견해도 있지만, 장갑에 관한 자료는 완전히 공개되지 않아 현재도 자세한 내용은 불명이다.
다만, 동시기에 영국에서 개발 중이던 초밤 장갑 (복합 장갑)을 고려한 흔적은 보이지 않으며, MBT-70을 포함한 제2세대 이후의 전차들이 방어 면에서 여러 특수 형태와 현가 장치 기믹을 시도하고 시행착오를 겪은 것과 비교하면, 복합 장갑을 도입한 제3세대 주력 전차가 잇따라 정통적인 형태로 회귀한 사실을 감안하면, MBT-70의 방어 사상은 제2세대의 연장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생존성 향상을 위해 승무원이 있는 거주 블록과 탄약을 보관하는 블록을 완전히 분리하고, 피탄 시 탄약 저장부를 분리하는 시스템이나, 특수한 방화 도어 등 승무원의 생존성을 높이는 기술이 많이 포함되었다.
4. 4. 기동성
MBT-70은 1,470마력(미국형) 또는 1,500마력(독일형)의 고출력 엔진을 탑재하여 무게가 45톤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빠른 야지 주행 속도를 낼 수 있었다. 미국형은 컨티넨탈 모터스사의 AVCR-1100 공랭식 V-12 디젤 엔진(1,470마력)을, 독일형은 MTU 프리드리히샤펜의 디젤 엔진(1,500마력)을 사용했다. 두 엔진 모두 43mph의 속도를 낼 수 있었는데, 이는 T-62의 31.06mph보다 빠른 속도였다.[4][5]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첨단 유기압 현수장치를 채택하여 뛰어난 야지 기동성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이 현수장치는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차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는데, 지상에서 약 10.16cm까지 낮추거나 약 71.12cm까지 높일 수 있었다.[4][5] 이는 험지 극복 능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차체를 낮춰 은폐 및 엄폐에도 유리하게 작용했다.
MBT-70과 KPz.70은 엔진과 변속기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미국형은 렌크 전기 유압식 변속기와 짝을 이룬 컨티넨탈 엔진을 사용했고, 최고 속도는 50km/h, 항속 거리는 645km였다. 후진 최고 속도는 전진과 동일했다.[3] 독일형은 더 크고 무거운 메르세데스-벤츠 그룹/MTU 프리드리히샤펜 MB 873 Ka-500 4행정 디젤 엔진을 사용했고, 섀시에도 약간의 변경이 필요했다. 이 엔진은 4단 전진, 2단 후진의 렌크 HSWL 354/2 유압식 기어박스와 결합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72km/h, 항속 거리는 580km였다.[8]
엔진과 변속기는 일체화되어 15분 만에 탈착 가능한 "파워 팩" 방식이 도입되어 야전 정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유압식 가변 서스펜션은 차고를 낮춰 적탄 명중률을 낮추는 개념으로 도입되었으며, 최대 1.8m까지 낮출 수 있었다. 또한, 주행 중 차체 동요에 따라 자동으로 서스펜션을 작동시켜 차체 안정을 유지하는 액티브 서스펜션 기능도 갖추고 있어, 고속 주행 중 사격 및 미사일 유도가 가능했다.
5. 파생형
- '''XM742''' - 장갑 구난 차량으로 제안되었다.
- '''XM743''' - 60ton 용량의 XM744 이중 접이식 교량을 탑재한 가교전차로 제안되었다.
- '''XM745''' - 4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며, 165mm (또는 152mm 포) 파쇄포와 25mm 자동 기관포를 장착한 군용 공병 차량으로 제안되었다.
- '''VT 1-1''' - 단축된 ''KPz'' 70 섀시를 기반으로 한 전차이다.

5. 1. XM803

기존 MBT-70 설계를 미국산 부품만 사용하는 저가형 "간소화된" 대안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시작되었고, 그 결과 외관이 유사한 XM803 시제품이 탄생했다. 의회는 대당 가격을 500000USD~600000USD로 낮춰 MBT-70에 비해 대당 200000USD를 절감하려 했다.[15]
가장 큰 비용 절감은 더 저렴한 강철 장갑판으로의 전환에서 이루어졌다. 미국산 엔진 또한 비용을 절감했다. 설계는 약간 더 무거워지고 느려졌다.[17]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는 1971년 7월에 이 전차 개발을 위해 16500000USD의 계약을 체결했다.[18] 비용 절감을 위해 시스템을 단순화하거나 완전히 제거했다. XM150E5 주포 발사기는 폐쇄형 약실 스캐빈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XM150E6로 교체되었다. 24발들이 제너럴 모터스 자동 장전 장치가 설치되었다. 탄약 적재량은 50발로 증가했다. 지휘관의 20mm 포는 .50구경 M85 중기관총으로 교체되었다. 운전병의 탈출 해치가 삭제되었고, 운전병의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승무원의 텔레비전도 제거되었다. 컨티넨탈(Continental) AVCR-1100-3B 엔진은 2600rpm에서 1250hp로 출력이 감소되었고, 제너럴 모터스 XHM-1500-2B 변속기와 결합되었다. 단순화된 내셔널 워터 리프트(National Water Lift) 유압식 공기압 현가 장치가 설치되었다. 측면 스커트가 설치되어 차체에서 일부 장갑을 제거할 수 있었다. 한편, 미국 육군은 가스 터빈 AGT-1500을 설치하여 1500hp를 생성하는 것을 연구했다(이 엔진은 M1 에이브람스의 동력원이 될 것이다).
생산이 승인된 두 대의 시범 차량 중 한 대만 완성되었다. 또한 MBT-70 시제품, M60 및 M88 장갑 회수 차량의 부품을 기반으로 한 대체 차량이 제작되었다.[19]
이러한 변경 사항은 궁극적으로 전차의 비용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1971년 9월, 토머스 이글턴 상원의원의 수정안은 XM803 시제품 생산에 대한 35300000USD의 자금 삭감을 제안했지만, 부결되었다.[20][21] 그러나 1971년 12월, 의회는 국방 예산안에서 이 전차를 취소했다.[22] 법안은 취소 비용으로 20000000USD, 새로운 전차 프로그램 개발에 20000000USD를 배정했다.[23] 이것이 M1 에이브람스 전차의 생산 모델로 이어진 XM1 설계 프로젝트가 되었다.
5. 2. XM742 장갑 회수 차량
장갑 회수 차량으로 제안되었다.[27]5. 3. XM743 가교 전차
적재 중량 60ton의 XM744 돌격교를 탑재하는 가교 전차로 제안되었으나, 실제로 제작되지는 않았다.[27]5. 4. XM745 전투 공병차
4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며, 165mm (또는 152mm 포) 파쇄포와 25mm 자동 기관포를 장착한 군용 공병 차량으로 제안되었다.[27]6. 영향 및 유산
MBT-70 프로젝트는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이후 전차 개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미국 프로그램 관리자인 버나드 루자크 준장은 전차의 높은 비용을 공동 프로그램 관리의 어려움으로 지적했다. 그는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가 방위 계약 업무를 자사의 자동차 사업보다 덜 중요하게 여겨 높은 가격을 책정했다고 주장했다.[26]
1989년 출간된 책 ''킬링 존의 왕''에서 저자 오어 켈리는 MBT-70 프로그램의 종료를 "미국 육군에 닥친 가장 다행스러운 사건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26]
MBT-70은 비록 실패한 프로젝트로 끝났지만, M1 에이브람스와 레오파르트 2 개발에 중요한 기술적 기반을 제공했다.
6. 1. M1 에이브람스 (미국)
MBT-70은 시대를 앞서간 많은 기능을 담고 있었다. 45톤(50숏톤)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첨단 수압식 서스펜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빠른 속도로 험지 주행이 가능했다. 서스펜션은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는데, 차체 바닥을 지상에서 100mm 위에 놓거나 험지 주행 시 최대 710mm까지 낮출 수 있었다.[1]MBT-70은 M60과 달리 낮은 차체로 설계되었다. 포탑 지붕까지의 높이가 1.8m가 조금 넘는 매우 낮은 위치였다. 이로 인해 차체에 조종수를 위한 공간이 없어 조종수를 포탑으로 옮겨야 했다. 조종수는 회전하는 큐폴라에 위치하여 포탑이 회전하더라도 항상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했다. 또한 큐폴라를 회전시켜 전속력으로 전차를 뒤로 움직일 수 있었다.[1]
미국 버전은 새로 개발된 1,470마력(hp)의 컨티넨탈 AVCR 공랭식 V-12 디젤 엔진을 탑재할 예정이었다. 독일 버전은 원래 유사한 다임러-벤츠 모델을 사용했지만 나중에 1,500마력(hp)의 MTU 설계로 전환되었다. MTU 장치는 구동렬과 함께 15분 만에 전차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었다. 두 버전 모두 엔진에서 69km/h에 도달할 수 있었던 반면, T-62는 49.99km/h에 도달했다.[1]
6. 2. 레오파르트 2 (독일)
MBT-70은 45톤(50숏톤)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첨단 수압식 서스펜션 시스템을 사용했다. 이 서스펜션은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올리거나 내릴 수 있어, 탱크 바닥을 지상에서 100mm 바로 위에 놓거나 크로스컨트리 주행 시 최대 710mm까지 낮출 수 있었다.[1]MBT-70은 M60과 달리 낮은 실루엣으로 설계되었다. M60은 지금까지 제작된 전차 중 가장 높은 전차 중 하나였다. MBT-70은 바닥에서 포탑 지붕까지 1.8m가 조금 넘는 매우 낮은 위치에 있었다. 이 때문에 차체에 조종수를 위한 공간이 없어, 조종수를 포탑으로 옮겨야 했다. 조종수는 회전하도록 설계된 큐폴라에 위치하여 포탑이 회전하더라도 항상 같은 방향을 바라보았다. 또한 큐폴라를 회전시켜 탱크를 전속력으로 뒤로 움직일 수도 있었다.[1]
미국 버전은 새로 개발된 1,470마력(1,100kW)의 컨티넨탈 AVCR 공랭식 V-12 디젤 엔진을 탑재할 예정이었다. 독일 버전은 원래 유사한 다임러-벤츠 모델을 사용했지만, 나중에 1,500마력(1,100kW)의 MTU 설계로 전환되었다. MTU 장치는 구동렬과 함께 15분 만에 탱크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었다. 두 버전 모두 엔진에서 시속 약 69.20km에 도달할 수 있었던 반면, T-62는 시속 49.99km에 도달했다.[1]
7. 평가
MBT-70은 험지 주행 능력, 낮은 차체 설계 등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주포/발사기 및 자동 장전 장치의 문제, 무게 증가, 복잡한 시스템 등 부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2]
무탄피 탄약은 습기에 취약하고 자동 점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자동 장전 장치는 탄피 변형 문제를 겪었다. 무게 증가로 자체 장갑 구난 차량 및 교량 전개 시스템이 필요했다.[2]
제임스 W. 풀브라이트 상원의원은 MBT-70 운전에 높은 수준의 기술 지식이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하는 등, MBT-70은 혁신적이었지만 너무 많은 미검증 기술을 사용하여 문제가 발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
7. 1. 긍정적 평가
MBT-70은 여러 면에서 시대를 앞선 기술을 적용했다. 45톤(50숏톤)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첨단 수압식 서스펜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빠른 속도로 험지 주행이 가능했다. 이 서스펜션은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었는데, 차체 바닥을 지상에서 100mm 높이로 유지하거나 험지 주행 시에는 최대 710mm까지 낮출 수 있었다.MBT-70은 당시 가장 높은 전차 중 하나였던 M60과 달리 차체 높이가 낮게 설계되었다. 포탑 지붕까지의 높이가 1.8m에 불과하여 차체 내부에 조종수 공간을 확보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조종수는 포탑으로 이동 배치되었으며, 회전식 큐폴라에 탑승하여 포탑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같은 방향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큐폴라를 회전시켜 전속력으로 후진하는 것도 가능했다.
미국 버전은 1,470마력의 컨티넨탈 AVCR 공랭식 V-12 디젤 엔진을, 독일 버전은 초기에는 다임러-벤츠 엔진을 사용했으나 이후 1,500마력의 MTU 엔진으로 교체했다. MTU 엔진은 구동렬과 함께 15분 만에 쉽게 교체할 수 있었다. 두 버전 모두 최고 속도 69km/h를 낼 수 있었던 반면, T-62는 49.99km/h에 불과했다.[1]
7. 2. 부정적 평가
M551 셔리던에 장착된 XM81 주포/발사기와 마찬가지로, XM150 주포/발사기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무탄피 설계는 기존 전차 탄약이 물에 너무 취약하게 만들었다. 젖은 탄약은 팽창하여 포신에 들어가지 않거나, 사격 후 딱딱한 잔류물을 남겼다.[2]자동 장전 장치는 쉴렐라 미사일을 문제없이 처리했지만, 전차 탄약의 가연성 탄피는 변형될 수 있었다.[2] 무탄피 탄약의 흔한 문제점처럼, 탄약은 이전에 발사된 탄약으로 인해 포신 내에 열이 축적되어 "자동 점화"되거나 조기에 발사되는 경향도 있었다. 단일 탄약만 휴대하고 나머지는 미사일로 채우는 해결책도 받아들일 수 없었다. 20mm 대공포의 배치도 어려웠고, 무기 자체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MBT-70의 또 다른 문제는 무게 증가였다. 프로젝트 초기에는 46.3ton의 무게가 예상되었지만, 개발 과정에서 54ton으로 증가하여 설계자들은 일부 요소를 재설계해야 했다. 결국 50.3ton의 무게에 도달했지만, 이는 여전히 요구 사항보다 높았다.[2] 이는 MBT-70이 자체 장갑 구난 차량과 교량 전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독일은 전차의 과도한 무게에 대해 우려했다. 제안된 해결책 중 하나는 포탑에서 방사선 경화를 제거하는 것이었지만, 이는 핵폭발 시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조종수의 포탑 내 배치에 대한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MBT-70에 대한 논평가들은 대체로 이 전차가 여러 면에서 혁신적이었지만, 너무 많은 검증되지 않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프로젝트가 망쳐졌다고 주장한다. 제임스 W. 풀브라이트 상원의원은 MBT-70을 운전하려면 기술 연구소에서 석사 학위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2]
참조
[1]
웹사이트
MBT (MBT 70) "prototype"
https://commons.wiki[...]
2010-11-19
[2]
뉴스
Licht vom Mond
http://www.spiegel.d[...]
2010-11-08
[3]
서적
Jane's Weapon Systems 1969–1970
https://archive.org/[...]
B. P. C. Publishing
[4]
웹사이트
MBT-70 at armorsite
http://www.fprado.co[...]
2010-10-24
[5]
웹사이트
MBT-70 at globalsecurity.org
http://www.globalsec[...]
2010-11-08
[6]
웹사이트
XM578 152mm, APFSD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11-11
[7]
서적
Technology of Tanks (Vols 1-2)
Janes Information Group
[8]
서적
Waffensysteme Leopard 1 und Leopard 2
Motorbuch-Verlag
2003
[9]
뉴스
U.S.-German Tank, Called Deadliest Armored Vehicle, Is on Display Today
https://timesmachine[...]
2018-08-08
[10]
뉴스
Bonn Shows U.S.-German Tank; Turret Malfunction Mars Test
https://timesmachine[...]
2018-08-08
[11]
뉴스
Sheridan Tank under Fire in Subcommittee
https://www.newspape[...]
2021-11-13
[12]
뉴스
Tank Fund Halted for a Cost Study
https://www.nytimes.[...]
2018-08-26
[13]
뉴스
Controversial Tank Project suspended by Defense Department
https://www.newspape[...]
2021-11-13
[14]
뉴스
Pentagon Plans Cheaper Tank
https://www.newspape[...]
2021-11-13
[15]
뉴스
U.S. and Bonn End 7-Year Joint Effort to Build a Tank
https://www.nytimes.[...]
2018-08-26
[16]
웹사이트
Leopard II at history of war
http://www.historyof[...]
2010-10-24
[17]
뉴스
New 'Austere' Army Tank Nearly Ready
https://www.newspape[...]
2021-11-12
[18]
뉴스
Michigan Business in Brief
https://www.newspape[...]
2021-11-12
[19]
AV media
Meet the 'Pigg'! MBT70/XM803 Hybrid tank at NACM Ft Benning
https://www.youtube.[...]
2024-06-27
[20]
뉴스
Pullout Deadline Voted by Senate
https://www.nytimes.[...]
2021-11-12
[21]
뉴스
U.S. Withdrawal Deadline Again Approved by Senate
https://www.newspape[...]
2021-11-12
[22]
뉴스
U.S. Germany Abandon 'Dream Tank'
https://www.newspape[...]
2021-11-12
[23]
뉴스
Congress Kills Tank Program
https://www.newspape[...]
2021-11-12
[24]
서적
Waffensysteme Leopard 1 und Leopard 2
Motorbuch-Verlag
2003
[25]
서적
Operator's instruction manual for Tank, Combat, Full-Tracked, 152 mm Gun/Launcher XM-803 (Pilot Vehicle No. 7)
Detroit Diesel Allison
1972-06
[26]
서적
King of the Killing Zone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Inc
1989
[27]
서적
Jane's Armour and Artillery 1982–83
https://archive.org/[...]
Jane's Publishing Company
[28]
간행물
PANZER
2005-02
[29]
간행물
グランドパワー
2014-08
[30]
웹사이트
Faun SLT-50 Elefant Tank transporter
http://www.milit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